KR20120034873A -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4873A
KR20120034873A KR1020100096230A KR20100096230A KR20120034873A KR 20120034873 A KR20120034873 A KR 20120034873A KR 1020100096230 A KR1020100096230 A KR 1020100096230A KR 20100096230 A KR20100096230 A KR 20100096230A KR 20120034873 A KR20120034873 A KR 20120034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plastic bag
heating wire
base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0009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4873A/ko
Publication of KR20120034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48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6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otary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선에 의해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가열하여 열봉합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실링장치는, 상부에 열선이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열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열선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압롤러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열선과 가압롤러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닿아 상기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되,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밴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밴딩돌기가 삽입되는 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밴딩돌기 및 밴딩홈은 상기 열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열선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의 크기는 상기 밴딩돌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비닐봉투가 상기 밴딩돌기와 밴딩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열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 SEALING DEVICE FOR VINYL BAG }
본 발명은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선에 의해 비닐봉투의 개구부를 가열하여 열봉합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판매, 보관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닐소재의 봉투 포장으로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봉투포장은 시중에 대표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과자류, 사탕류를 비롯하여 각종 음식물이 남게 되면 보관을 위해 비닐봉지 포장의 입구부를 간단히 묶음 처리하거나, 집게 등을 이용하여 밀봉 보관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소재로 제작되는 비닐봉지의 경우, 한번 개봉부위를 뜯고 난 다음 남은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에 밀봉처리하는데 이때 밀봉상태가 불량하면, 공기가 유입되어 보관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실링장치(비닐접착기)가 개발되어 휴대용으로서 간단한 접촉만으로서 비닐봉지의 밀봉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고안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실링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69995호에 개시된바 있다.
이러한 실링장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밀봉하고자 하는 비닐봉투를 위치시킨 후 상부몸체를 회전시켜 가압하면, 하부몸체의 전방에 마련된 열선(니크롬선)에 전력이 공급되고, 열선이 가열됨으로서 밀착된 비닐봉투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열융착으로 밀봉시킬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실링장치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에 비닐봉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를 눌려 상기 열선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실링장치를 이동시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링장치는, 열선에 의해 비닐봉투를 열봉합할 경우 열선이 비닐봉투를 가압한 상태에서 비닐봉투 또는 실링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때 열선의 가압력에 의해 비닐봉투가 잘 이동하지 않거나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가압롤러를 장착하여 비닐봉투의 열봉합시 비닐봉투가 잘 이동하여 찢어지지 않도록 하고, 비닐봉투가 두껍거나 가압롤러의 높이차가 있거나 비닐봉투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열봉합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실링장치는, 상부에 열선이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열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열선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압롤러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열선과 가압롤러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닿아 상기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되,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밴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밴딩돌기가 삽입되는 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밴딩돌기 및 밴딩홈은 상기 열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열선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의 크기는 상기 밴딩돌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비닐봉투가 상기 밴딩돌기와 밴딩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열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과 상기 가압롤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롤러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본체와; 상기 열선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본체에 장착된 2개 이상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와 상기 롤러본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밴딩돌기는 상기 커버부재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양측이 외부와 개방되며, 상기 밴딩돌기의 돌출높이는 상기 커버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최대 이격되었을 때의 이격거리보다 작도록 한다.
상기 비닐봉투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밴딩돌기 및 밴딩홈은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열선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압롤러가 장착되어 있어, 비닐봉투의 열봉합시 비닐봉투가 잘 이동하여 찢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의 하강시 밴딩돌기 및 밴딩홈에 의해 비닐봉투가 절곡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 또는 실링장치의 이동시 흔들림없이 곧바르게 이동하도록 안내해주어 열선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에 발생하는 열봉합라인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닐봉투가 두껍거나 가압롤러의 높이차가 있거나 비닐봉투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도 상기 제1스프링이 상기 제1가압롤러와 제2가압롤러를 탄성지지하기 때문에, 비닐봉투의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6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작동과정도,
도 8은 도 5에서 커버부재를 하강시켜 비닐봉투를 실링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롤러와 제1스프링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닐봉투용 실링장치는, 베이스부재(110)와, 커버부재(120)와, 가열부재(130)와, 열선(131)과, 전원공급부(140)와, 가압롤러부(150)와, 제1스프링(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상방향으로 개방된 수용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111)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에는 상기 수용부(111)의 전방에 상기 가열부재(130)가 삽입되어 노출되는 삽입공(116)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는 걸림공(113)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즉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재(120)는 제1커버(121)와 제2커버(122)로 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1커버(121)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111)에 삽입되는 제1가이드돌기(12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123)의 안쪽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관통공(112)에 삽입되는 제2가이드돌기(1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121)의 하부에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124)의 양측에 보조가이드돌기(125)가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에는 상기 보조가이드돌기(125)가 삽입되는 보조가이드공(11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124)에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124)는 감싸는 제2스프링(127)이 장착되어 상기 커버부재(12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즉, 상기 제2스프링(127)은 상면이 상기 제1커버(121)의 하면에 접하고, 하면이 상기 수용부(111)의 상면에 접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하부에는 상기 관통공(112)을 관통한 상기 제2가이드돌기(124)의 하단에 결합되는 체결부재(129)가 장착된다.
상기 체결부재(129)는 나사 등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커버부재(120)의 승강시 상기 제2가이드돌기(124)와 함께 승강한다.
상기 체결부재(129)는 상기 관통공(112)의 하부에 배치되는 머리부가 상기 관통공(112)의 지름보다 크게 되어 있어, 상기 제2스프링(127)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2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려할 때, 상기 체결부재(129)의 머리부가 상기 관통공(11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하면에 걸려 상기 커버부재(120)가 상기 베이스부재(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커버(121)에는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배치되어 승강되는 안착부(12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커버(122)는 상기 제1커버(121)의 상부를 덮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열부재(13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전방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116)에 상부가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고, 상부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열선(131)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재(130)의 하부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하부가 지지되는 제3스프링(135)이 장착되어 상기 가열부재(13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열선(131)은 양단이 상기 가열부재(130)의 하부에 노출되고, 중심부가 상기 가열부재(130)의 상부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4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열선(131)과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열선(131)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상기 전원공급부(14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141)과,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열선(131)과 연결된 배터리(143)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41)에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해,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공(113)에 삽입되는 걸림돌기(142)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142)는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공(113)에 삽입될 때에는 쉽게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141)과 베이스부재(110)를 결합시키고,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하우징(141)과 베이스부재(110)가 임의로 분리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하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140)를 열선(131)에 연결하기 위한 단자부(11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단자부(115)는 상기 전원공급부(140)와 항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열선(131)과는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즉, 자유상태에 상기 열선(131)과 단자부(115)는 상기 제3스프링(135)에 의해 이격되어 있지만, 상기 가열부재(130)가 상기 제3스프링(135)을 압축시키면서 하강하면 상기 열선(131)과 단자부(115)는 상호 접하여 상기 전원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열선(131)이 가열되게 된다.
상기 가압롤러부(150)는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부 자세하게는 상기 제1커버(121)에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롤러부(150)는 상기 제1커버(121)에서 상기 열선(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열선(131)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가압롤러부(150)는, 상기 커버부재(120)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본체(151)와, 상기 열선(131)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본체(151)에 장착된 2개 이상의 롤러(152)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롤러본체(151)에는 다수개의 상기 롤러(152)가 상기 열선(131)의 배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152)의 하부는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부를 통해 상기 가열부재(130)방향 즉 하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롤러(152)는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강시 상기 가열부재(130)와 맞닿아 자세하게는 상기 열선(131)과 맞닿아 그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A)를 열봉합한다.
상기 롤러(152)는 1개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롤러(152)는 제1롤러(153)와 제2롤러(154)로 이루어져 상기 열선(131)의 배치방향으로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열선(131)은 상기 롤러(152)의 회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열부재(130)의 상부에 노출된 상기 열선(131)의 길이는, 다수개로 이루어진 상기 롤러(152)의 중심길이 즉 상기 제1롤러(153)와 제2롤러(154)의 중심길이보다 길도록 하고,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강시 상기 열선(131)은 상기 제1롤러(153) 및 제2롤러(154)와 상호 맞닿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강시 상기 제1롤러(153) 및 제2롤러(154)가 상기 비닐봉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열선(131)과 모두 맞닿게 되어, 상기 비닐봉투(A)를 2접점에서 열봉합하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A)를 보다 확실하게 밀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120)에는 상기 가압롤러부(150)의 하강시 상기 롤러본체(151)의 양측이 걸려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부를 통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8)가 상기 안착부(126)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8)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프링(160)은 상기 커버부재(120)의 하면과 상기 롤러본체(151)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150)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1스프링(160)은 코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스프링(160)은 상기 가압롤러부(150)와 가열부재(130)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A)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두꺼운 비닐봉투(A)도 열봉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품 공차 등에 의해 상기 제1롤러(153)와 제2롤러(154)의 높이가 상이한 경우, 예를 들어 상기 제1롤러(153)의 하면높이가 상기 제2롤러(154)의 하면높이보다 낮은 경우에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상하로 승강됨이 없이 고정되어 있다면 상기 가열부재(130)는 상기 제1롤러(153)하고만 접할 뿐 상기 제2롤러(154)하고는 접하지 않게 되어, 한접점에서만 상기 비닐봉투(A)를 열봉합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1스프링(160)에 의해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지지되면, 상기 커버부재(120)가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가압롤러부(150)는 상기 제1롤러(153)의 하면과 상기 제2롤러(154)의 하면이 모두 상기 가열부재(130)와 접하도록 비틀어지게 되어, 상기 비닐봉투(A)를 두접점에서 이중으로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비닐봉투(A)의 두께가 다른 경우에, 상기 가압롤러부(150)는 상기 제1스프링(160)의 탄성력에 의해 제1롤러(153)와 제2롤러(154)가 각각 상기 열선(131)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A)의 두께차가 있는 부분에서도 상기 제1롤러(153) 및 제2롤러(154) 모두가 상기 비닐봉투(A)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재(110) 또는 커버부재(120) 중 어느 하나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밴딩돌기(121a)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밴딩돌기(121a)가 삽입되는 밴딩홈(117)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부재(110)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기 밴딩홈(117)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120)의 제1커버(121)의 하면에 상기 밴딩돌기(121a)가 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였다.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은 상기 열선(131)의 전방 즉 제1가이드돌기(123)를 기준으로 상기 열선(131)보다 먼거리에 위치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열선(131)의 후방 즉 상기 제1가이돌기(123)를 기준으로 상기 열선(131)보다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A)가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은 상기 비닐봉투(A)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열선(131)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은 상기 열선(131)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열선(131)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117)의 크기는 상기 밴딩돌기(121a)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딩홈(117)은 양측이 외부와 연통되게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밴딩돌기(121a)의 돌출높이는 상기 커버부재(120)와 베이스부재(110)가 최대 이격되었을 때의 이격거리보다 작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비닐봉투(A)가 상기 밴딩돌기(121a)와 밴딩홈(117)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절곡되었을 때, 상기 비닐봉투(A)는 상기 열선(131)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작동과정도이다.
자유상태 즉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2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기 베이스부재(110)로부터 상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프링(12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커버부재(120)는 상방향으로 계속 상승하려고 하나, 상기 체결부재(129)가 상기 관통공(112)이 형성된 상기 베이스부재(110)의 하면에 걸려 더 이상 상승하지 않게 되어, 상기 커버부재(120)와 베이스부재(110)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7(a)에 도시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상기 열선(131)과 상기 단자부(115)는 상기 제3스프링(135)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롤러(152)와 가열부재(130)도 상호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152)와 가열부재(130) 사이에 비닐봉투(A)를 삽입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을 가로질러 배치되도록 한다.
즉, 상기 비닐봉투(A)가 상기 베이스부재(110)와 커버부재(120)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은 상기 열선(131)보다 상기 비닐봉투(A)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롤러(152)와 가열부재(130) 사이에 비닐봉투(A)가 삽입 배치되면, 상기 커버부재(120)를 하방향으로 누른다.
그러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롤러부(150) 및 제1스프링(160)은 상기 커버부재(120)와 함께 하강하여, 상기 롤러(152)의 하면이 상기 비닐봉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열선(131)과 맞닿게 된다.
이때까지 상기 가열부재(130)는 상기 제3스프링(135)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열선(131)과 단자는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가 더 하강됨에 따라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재(130)는 하강하여 상기 열선(131)의 양단이 상기 단자부(115)와 접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열선(131)은 상기 전원공급부(140)의 배터리(143)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열선(131)은 가열되어 상기 열선(131)과 롤러(152) 사이에 배치된 상기 비닐봉투(A)를 열봉합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밴딩돌기(121a)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A)를 누르면서 상기 비닐봉투(A)의 일부분을 상기 밴딩홈(117)에 삽입시킨다.
상기 밴딩홈(117)의 크기는 상기 밴딩돌기(121a)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밴딩홈(117)과 밴딩돌기(121a)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 이격공간에 상기 비닐봉투(A)의 일부분이 절곡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비닐봉투(A) 또는 실링장치를 이동시켜 상기 비닐봉투(A)를 연속적으로 열봉합하게 된다.
이때, 회전될 수 있는 상기 롤러(152)가 상기 비닐봉투(A)의 상부를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A)를 이동시켜도 상기 비닐봉투(A)는 찢겨짐이 없이 보다 잘 이동하면서 열봉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돌기(121a)의 크기보다 밴딩홈(117)의 크기기 크기 때문에, 상기 비닐봉투(A)의 개구부에 인접한 일부분이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에 의해 절곡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비닐봉투(A) 또는 실링장치의 이동시 상기 비닐봉투(A)는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 사이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A)의 개구부에 인접한 일부분을 절곡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A) 또는 실링장치를 이동시켜 열봉합할 때, 상기 비닐봉투(A)가 흔들려 열봉합라인이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밴딩돌기(121a) 및 밴딩홈(117)은 상기 비닐봉투(A) 또는 실링장치의 이동시 흔들림없이 곧바르게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커버부재(120)를 더 하강시키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160)은 압축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롤러(152)는 상기 열선(131)방향으로 탄성지지되어 상기 롤러(152)와 열선(131)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A)를 강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A)의 두께가 상기 롤러(152)의 하면과 가열부재(130) 사이의 간격보다 두꺼운 경우에 상기 가압롤러부(15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두꺼운 비닐봉투(A)를 삽입할 수 있는바 유용하다.
또한, 제품 공차로 인해 상기 제1롤러(153)와 제2롤러(154)의 높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높이가 낮은 한쪽 롤러(152)만 상기 열선(131)과 접할 수 있는데, 상기 제1스프링(160)에 의해 두개의 롤러(152)의 하면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가압롤러부(150)가 비틀어져 두 개의 롤러(152) 모두가 상기 비닐봉투(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열선(131)과 접할 수 있어, 상기 비닐봉투(A)를 보다 확실하게 열봉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링장치는 단독의 제작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본 출원인이 출원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흡입펌프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비닐봉투용 실링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0 : 베이스부재, 111 : 수용부, 112 : 관통공, 113 : 걸림공, 114 : 보조가이드공, 115 : 단자부, 116 : 삽입공, 117 : 밴딩홈,
120 : 커버부재, 121 : 제1커버, 121a : 밴딩돌기, 122 : 제2커버, 123 : 제1가이드돌기, 124 : 제2가이드돌기, 125 : 보조가이드돌기, 126 : 안착부, 127 : 제2스프링, 128 : 스토퍼, 129 : 체결부재,
130 : 가열부재, 131 : 열선, 135 : 제3스프링,
140 : 전원공급부, 141 : 하우징, 142 : 걸림돌기, 143 : 배터리,
150 : 가압롤러부, 151 : 롤러본체, 152 : 롤러, 153 : 제1롤러, 154 : 제2롤러,
160 : 제1스프링,
A : 비닐봉투,

Claims (5)

  1. 상부에 열선이 상방향으로 노출되게 장착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열선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열선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되는 가압롤러부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부재의 하강시 상기 열선과 가압롤러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비닐봉투를 사이에 두고 상호 맞닿아 상기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되,
    상기 베이스부재 또는 커버부재 중 어느 하나에는 마주보는 방향으로 밴딩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밴딩돌기가 삽입되는 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밴딩돌기 및 밴딩홈은 상기 열선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열선과 평행하게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의 크기는 상기 밴딩돌기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비닐봉투가 상기 밴딩돌기와 밴딩홈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열선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의 하면과 상기 가압롤러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롤러부를 상하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1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부는,
    상기 커버부재에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롤러본체와;
    상기 열선의 배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롤러본체에 장착된 2개 이상의 롤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프링은 상기 커버부재의 하부와 상기 롤러본체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돌기는 상기 커버부재에서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밴딩홈은 상기 베이스부재에서 상방향으로 개방 형성되고 양측이 외부와 개방되며,
    상기 밴딩돌기의 돌출높이는 상기 커버부재와 베이스부재가 최대 이격되었을 때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봉투가 상기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밴딩돌기 및 밴딩홈은 상기 비닐봉투의 개구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열선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KR1020100096230A 2010-10-04 2010-10-04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KR201200348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30A KR20120034873A (ko) 2010-10-04 2010-10-04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230A KR20120034873A (ko) 2010-10-04 2010-10-04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4873A true KR20120034873A (ko) 2012-04-13

Family

ID=46136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230A KR20120034873A (ko) 2010-10-04 2010-10-04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48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242B1 (en) Heat-sealing apparatus
US7759611B2 (en) Portable heat sealing apparatus
KR100992194B1 (ko)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US20100116441A1 (en) Portable heat sealing apparatus
KR20120034873A (ko)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CN113708096B (zh) 一种接线端子
CN213216289U (zh) 便于快速组装的柜子
CN204103141U (zh) Sim卡座及移动终端
KR20110119251A (ko)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KR20090084370A (ko) 휴대용 진공비닐접착기
CN201626566U (zh) 薄膜袋封口装置
CN100484747C (zh) 轻巧型电热封口机的改良结构
KR20130037250A (ko)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JP2001294254A (ja) ウエットシート包装体
CN218432351U (zh) 一种细胞提取修复液安全放置包装盒
KR101623847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CN209587566U (zh) 一种美容设备组合座
CN101797984A (zh) 薄膜袋封口装置
CN212830295U (zh) 一种两支装的牙刷包装盒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CN212423928U (zh) 一种生物工程用药品运输装置
CN215205939U (zh) 一种包装罐
CN217049749U (zh) 一种具有多个开度的包装盒
CN213229387U (zh) 用于护手霜悬空包装的内衬及其包装盒
CN208955275U (zh) 带压缩式塑胶盖子的端子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