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7250A -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7250A
KR20130037250A KR1020110101538A KR20110101538A KR20130037250A KR 20130037250 A KR20130037250 A KR 20130037250A KR 1020110101538 A KR1020110101538 A KR 1020110101538A KR 20110101538 A KR20110101538 A KR 20110101538A KR 20130037250 A KR20130037250 A KR 20130037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bag
upper member
lower member
heater
hea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10101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7250A/ko
Publication of KR20130037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7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 등을 열봉합하여 밀봉하거나, 밀봉된 비닐봉투 등을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히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제1가압부; 상기 상부부재에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 및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 SEALING AND CUTTING APPARATUS FOR ENVELOPE }
본 발명은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 등을 열봉합하여 밀봉하거나, 밀봉된 비닐봉투 등을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판매, 보관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닐소재의 봉투 포장으로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봉투포장은 시중에 대표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과자류, 사탕류를 비롯하여 각종 음식물이 남게 되면 보관을 위해 비닐봉지 포장의 입구부를 간단히 묶음 처리하거나, 집게 등을 이용하여 밀봉 보관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소재로 제작되는 비닐봉지의 경우, 한번 개봉부위를 뜯고 난 다음 남은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에 밀봉처리하는데 이때 밀봉상태가 불량하면, 공기가 유입되어 보관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실링장치(비닐접착기)가 개발되어 휴대용으로서 간단한 접촉만으로서 비닐봉지의 밀봉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고안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실링장치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2194호에 개시된바 있다.
이러한 실링장치는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10) 사이에 밀봉하고자 하는 비닐봉투를 위치시킨 후 상부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면, 하부몸체(110)의 전방에 마련된 열선(131,니크롬선)에 전력이 공급되고, 열선(131)이 가열됨으로서 밀착된 비닐봉투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열융착으로 밀봉시킬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실링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10) 사이에 비닐봉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120)를 하방향으로 눌려 상기 열선(131)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실링장치를 이동시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링장치는, 단순히 비닐봉투를 열봉합만 할 수 있을 뿐이어서 그 기능이 다양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비닐봉투를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히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제1가압부; 상기 상부부재에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 및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부재는 하부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다.
또는,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커터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히터는 길게 배치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돌출된다.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 장착되고, 롤비닐이 수용된 롤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롤비닐은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를 통해 인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롤비닐을 절단하여 비닐봉투를 제작할 수도 있고, 비닐봉투를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 실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도 3에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3에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8은 도 3에서 롤비닐을 이용하여 비닐봉투를 제작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6은 도 3에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서 롤비닐을 이용하여 비닐봉투를 제작하는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비닐봉투(70)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는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10), 상부부재(20), 락킹부(30), 히터(41), 제1가압부(42), 가이드공(21), 커터(5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부재(10)는 하면이 바닥면과 접한다.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상부부재(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부재(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에는 승강돌기(28)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10)에는 상기 승강돌기(28)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는 스프링(29)이 배치되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20)가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락킹부(30)는 상기 상부부재(20)가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20)를 하부부재(10)에 고정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락킹부(30)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히터(41)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가압부(42)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1)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가압부(42)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히터(4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배치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즉 상기 락킹부(30)가 배치된 좌우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보다 중심부가 상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히터(41)를 종래와 같이 중심부가 돌출됨이 없이 평평하게 형성할 경우에는, 상기 상부부재(20)가 하강하여 상기 락킹부(3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락킹부(30)가 상기 상부부재(20) 및 하부부재(10)의 양측에 장착되어 양측을 잘 잡아주지만 중심부는 잡아주지 못해 상기 히터(41)의 중심부가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41)의 중심부가 양측보다 더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41)는 상기 제1가압부(42)와 중심부가 먼저 접하고 양측이 늦게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락킹부(3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가 잠금상태가 되었을 때, 상기 히터(41)의 중심부가 들뜨는 현상이 방지되어, 비닐봉투(70)의 열봉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41)는 다이얼노브(22) 등을 통해 그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공(21)은 상기 상부부재(20)에 상기 히터(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터(50)는 상기 상부부재(20)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공(2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70)를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20)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15)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출부(15)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커터(50)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6)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출부(15), 삽입안착부(25) 및 삽입홈(16)은 상기 가이드공(21)이 형성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삽입돌출부(15) 및 삽입안착부(25)에 의해, 비닐봉투(70)가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가압되었을 때 상기 비닐봉투(70)가 절곡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터(50)가 상기 삽입홈(1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커터(50)의 이동에 의한 밀림 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롤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롤부재(60)는 상기 상부부재(20) 또는 하부부재(10)에 장착되고, 롤비닐(61)이 수용되어 있다.
상기 롤비닐(61)은 양단이 개방된 튜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비닐(61)은 상기 하부부재(10)와 상부부재(20) 사이를 통해 인출된다.
또한,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장착되는 제2가압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압부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터(50)를 기준으로 상기 히터(41) 및 제1가압부(42)와 반대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커터(5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여 비닐봉투(70) 등을 절단할 때, 상기 비닐봉투(70)를 가압하여 상기 비닐봉투(70)가 밀리지 않고 잘 절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투(70)를 열봉합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 또는 회전시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서 상기 비닐봉투(70)가 가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41)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열봉합되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된 비닐봉투(70)를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커터(50)를 상기 가이드공(21)의 좌우끝부분에 위치한 후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를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 또는 회전시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서 상기 비닐봉투(70)가 가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가압부(42)와 히터(41)의 가압 및 상기 제2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70)는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5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봉투(70)를 절단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7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돌출부(15) 및 삽입안착부(25)에 의해 절곡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터(50)가 상기 삽입홈(1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커터(50)의 이동에 의한 밀림 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한편, 상기 롤부재(60)에 수용되어 있는 롤비닐(61)을 이용하여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비닐봉투(70)를 제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커터(50)를 상기 가이드공(21)의 좌우끝부분에 위치한 후,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비닐(61)의 일단을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를 통해 인출시킨다.
상기 롤비닐(61)이 어느 정도 인출되었으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시켜 상기 락킹부(30)에 의해 상기 상부부재(20)가 상기 롤비닐(61)을 가압하도록 한 후, 상기 히터(41)를 작동시켜 열봉합을 한다.
그 후,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50)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공(21)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롤비닐(61)은 상기 커터(50)의 이동에 의한 밀림 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롤비닐(61)이 일정길이만큼 절단되면,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단이 열봉합되어 폐쇄된 비닐봉투(7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커터(50)에 의해 먼저 절단을 하고, 그 후 상기 히터(41)를 작동시켜 비닐봉투(70)를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해,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열봉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단 및 롤비닐(61)을 이용하여 비닐봉투(70)를 자체 제작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인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부부재, 15 : 삽입돌출부, 16 : 삽입홈, 18 : 승강홈, 20 : 상부부재, 21 : 가이드공, 22 : 다이얼노브, 25 : 삽입안착부, 28 : 승강돌기, 29 : 스프링, 30 : 락킹부, 41 : 히터, 42 : 제1가압부, 50 : 커터, 60 : 롤부재, 61 : 롤비닐, 70 : 비닐봉투,

Claims (6)

  1.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히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제1가압부;
    상기 상부부재에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 및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하부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커터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길게 배치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양측보다 중심부가 더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6.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 또는 하부부재에 장착되고, 롤비닐이 수용된 롤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롤비닐은 상기 하부부재와 상부부재 사이를 통해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KR1020110101538A 2011-10-06 2011-10-06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KR20130037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38A KR20130037250A (ko) 2011-10-06 2011-10-06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538A KR20130037250A (ko) 2011-10-06 2011-10-06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7250A true KR20130037250A (ko) 2013-04-16

Family

ID=4843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538A KR20130037250A (ko) 2011-10-06 2011-10-06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72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891A (zh) * 2019-03-15 2019-05-17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轻载式往复封切装置的包装机
CN112158423A (zh) * 2020-10-09 2021-01-01 万园园 一种二极管加工用排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0891A (zh) * 2019-03-15 2019-05-17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轻载式往复封切装置的包装机
CN112158423A (zh) * 2020-10-09 2021-01-01 万园园 一种二极管加工用排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4346B2 (en) Vacuum packaging appliance with removable trough
CN109515828A (zh) 具有两级密封的真空密封器
CN103415445A (zh) 可重复密封的开口装置以及包括该开口装置的包装袋
KR101529159B1 (ko)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30037250A (ko)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KR101370787B1 (ko) 식품용기 실링 포장기
KR101871256B1 (ko) 식품용기 포장기
KR101529155B1 (ko) 식품용기 및 비닐봉투 진공포장장치
KR101269947B1 (ko) 용기 실링기능과 진공포장기능을 갖는 포장기
KR20130031519A (ko) 다중 히터를 갖는 진공포장기
KR101277284B1 (ko) 안착홈 가변형 식품용기 실링 포장기
KR20130019614A (ko) 양방향 진공포장기
KR20150043808A (ko) 절단기능을 갖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30015506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100700215B1 (ko) 절취라인이 구비된 비닐봉지
KR1021283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101677450B1 (ko) 비닐필름 고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KR101623847B1 (ko) 비닐봉투 고정형 진공포장기
KR101720209B1 (ko) 독립형 가압부재가 장착된 진공포장기
KR20130049446A (ko)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KR102128347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20130033890A (ko) 커팅기능을 갖는 진공포장기
KR20110045792A (ko) 비닐 슬라이드형 씰링장치, 씰링장치가 구비된 진공흡입펌프 및 비닐봉투 씰링방법
KR101623850B1 (ko) 회전 승강형 진공포장기
KR100992194B1 (ko) 비닐봉투용 실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