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9446A -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9446A
KR20130049446A KR1020110114477A KR20110114477A KR20130049446A KR 20130049446 A KR20130049446 A KR 20130049446A KR 1020110114477 A KR1020110114477 A KR 1020110114477A KR 20110114477 A KR20110114477 A KR 20110114477A KR 20130049446 A KR20130049446 A KR 201300494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plastic bag
paper
upper member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4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로팩
Priority to KR102011011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9446A/ko
Publication of KR20130049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94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33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 등을 열봉합하여 밀봉하고, 밀봉된 비닐봉투 등을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으며, 용지 등을 파쇄할 수 있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히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제1가압부; 상기 상부부재에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커터; 및 상기 하부부재의 후방에 장착되어 삽입되는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 SEALING APPARATUS HAVING SHREDDING FUNCTION }
본 발명은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닐봉투 등을 열봉합하여 밀봉하고, 밀봉된 비닐봉투 등을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으며, 용지 등을 파쇄할 수 있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판매, 보관하기 위한 목적에서 비닐소재의 봉투 포장으로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봉투포장은 시중에 대표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과자류, 사탕류를 비롯하여 각종 음식물이 남게 되면 보관을 위해 비닐봉지 포장의 입구부를 간단히 묶음 처리하거나, 집게 등을 이용하여 밀봉 보관하는 예가 대부분이다.
주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소재로 제작되는 비닐봉지의 경우, 한번 개봉부위를 뜯고 난 다음 남은 음식물을 보관하기 위한 목적에 밀봉처리하는데 이때 밀봉상태가 불량하면, 공기가 유입되어 보관 음식물을 상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실링장치(비닐접착기)가 개발되어 휴대용으로서 간단한 접촉만으로서 비닐봉지의 밀봉을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 고안된바 있다.
상기와 같은 실링장치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2194호에 개시된바 있다.
이러한 실링장치는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10) 사이에 밀봉하고자 하는 비닐봉투를 위치시킨 후 상부몸체(120)를 상하방향으로 가압하면, 하부몸체(110)의 전방에 마련된 열선(131,니크롬선)에 전력이 공급되고, 열선(131)이 가열됨으로서 밀착된 비닐봉투를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열융착으로 밀봉시킬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실링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상부몸체(120)와 하부몸체(110) 사이에 비닐봉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몸체(120)를 하방향으로 눌려 상기 열선(131)이 가열되도록 한 후, 상기 실링장치를 이동시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실링장치는, 단순히 비닐봉투를 열봉합만 할 수 있을 뿐이어서 그 기능이 다양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비닐봉투를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으며, 종이 등의 용지를 파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는,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히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제1가압부; 상기 상부부재에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커터; 및 상기 하부부재의 후방에 장착되어 삽입되는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를 하부부재에 고정결합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는 하부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다.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를 하부부재에 고정결합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커터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부부재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이격되어 있다.
상기 하부부재의 후면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탈착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쇄부에는 상기 탈착지지부에 삽입되는 탈착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파쇄부는, 삽입되는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용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쇄부재는, 하부에 상기 수용부재가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된 파쇄날과; 다수개의 상기 회전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비닐봉투를 절단하여 개방할 수 있으며, 종이 등의 용지를 파쇄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핸드 실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의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도 4에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4에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용지를 파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닐봉투의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의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쇄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비닐봉투를 열봉합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4에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여 용지를 파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는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부재(10), 상부부재(20), 락킹부(30), 히터(41), 제1가압부(42), 가이드공(21), 커터(50), 파쇄부(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부재(10)는 하면이 바닥면과 접한다.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상부부재(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을 개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부재(2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에는 승강돌기(28)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부재(10)에는 상기 승강돌기(28)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승강홈(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는 스프링(29)이 배치되어, 자유상태에서 상기 상부부재(20)가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부부재(20)는 상기 하부부재(10)에 대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거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락킹부(30)는 상기 상부부재(20)가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20)를 하부부재(10)에 고정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락킹부(30)의 구조는 종래의 공지된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면 충분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히터(41)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가압부(42)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4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히터(41)는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가압부(42)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히터(41)는 다이얼노브(22) 등을 통해 그 온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공(21)은 상기 상부부재(20)에 상기 히터(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20)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터(50)는 상기 상부부재(20)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가이드공(21)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70)를 절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부재(10)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1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20)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15)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출부(15)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20)의 하강시 상기 커터(50)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16)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출부(15), 삽입안착부(25) 및 삽입홈(16)은 상기 가이드공(21)이 형성된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삽입돌출부(15) 및 삽입안착부(25)에 의해, 비닐봉투(70)가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가압되었을 때 상기 비닐봉투(70)가 절곡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터(50)가 상기 삽입홈(16)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커터(50)의 이동에 의한 밀림 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상기 파쇄부(60)는, 상기 하부부재(10)의 후방에 장착되어 삽입되는 용지(75)를 파쇄한다.
상기 파쇄부(60)는 상기 하부부재(10)에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으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부재(10)의 후면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탈착지지부(2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쇄부(60)에는 상기 탈착지지부(29)에 삽입되어 상기 파쇄부(60)를 상기 하부부재(10)에 결합시키는 탈착걸림돌기(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60)는 상기 상부부재(20)와 이격되어 있다.
이는 상기 커터(50)에 의해 절단된 비닐봉투(70) 등이 상기 상부부재(20)와 상기 파쇄부(60)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파쇄부(60)는, 삽입되는 용지(75)를 파쇄하는 파쇄부재(61)와, 상기 파쇄부재(61)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파쇄부재(61)에 의해 파쇄된 용지(75)를 수용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수용부재(6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쇄부재(61)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63)과, 회전축(64)과, 파쇄날(65)과, 연결부재(66)와, 레버(67)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63)은 하부에 상기 수용부재(62)가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재(62)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68)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63)의 상부에 하우징커버(63a)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커버(63a)에도 관통공(68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8,68a)은 파쇄하기 위한 용지(75)가 투입되고, 파쇄된 용지(75)가 배출되는 구멍이다.
상기 회전축(64)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63)의 내부에서 상기 관통공(68)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축(64)이 2개로 이루어져, 상기 관통공(68)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상기 파쇄날(65)은 다수개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축(64)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파쇄날(65)은 원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호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회전축(64)에 결합된 파쇄날(65)들은 상호 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66)는 다수개의 상기 회전축(64)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기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레버(67)는 상기 회전축(64)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64)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68)에 용지(75)를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레버(67)를 회전시키면, 상기 연결부재(66)에 의해 다수개의 회전축(64)이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하는 상기 파쇄날(65)에 의해 용지(75) 등을 파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탈착지지부에 삽입되는 상기 탈착걸림돌기(69)는, 상기 하우징(63) 또는 수용부재(6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개구부가 형성된 비닐봉투(70)를 열봉합하고자 할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 또는 회전시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서 상기 비닐봉투(70)가 가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41)에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열봉합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된 비닐봉투(70)를 절단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커터(50)를 상기 가이드공(21)의 좌우끝부분에 위치한 후 절단하고자 하는 부위를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 배치한다.
그 후, 상기 상부부재(20)를 하강 또는 회전시켜 상기 상부부재(20)와 하부부재(10) 사이에서 상기 비닐봉투(70)가 가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가압부(42)와 히터(41)의 가압 및 상기 제2가압부의 가압에 의해 상기 비닐봉투(70)는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다.
그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터(50)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비닐봉투(70)를 절단한다.
이때, 상기 비닐봉투(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돌출부(15) 및 삽입안착부(25)에 의해 절곡되기 때문에,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커터(50)가 상기 삽입홈(16)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비닐봉투(70)가 상기 커터(50)의 이동에 의한 밀림 현상없이 잘 절단되게 된다.
한편, 용지(75) 등을 파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통공(68a)에 용지 등을 넣는다.
그 후 상기 레버(67)를 회전시키면 다수개의 상기 회전축(64)이 상기 연결부재(66)에 의해 함께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회전축(64)에 장착된 파쇄날(65)이 상호 접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용지(75)를 상기 관통공(68)이 있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파쇄하게 된다.
그리고, 파쇄된 용지(75)는 상기 수용부재(62)에 수용된다.
상기 수용부재(62)에 파쇄된 용지(75)가 축적되면, 상기 수용부재(62)를 상기 파쇄부재(61)로 분리하거나, 상기 파쇄부(60) 자체를 상기 하부부재(10)로부터 분리시켜 상기 수용부재(62)에 수용된 용지(75)를 버리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닐봉투(70)의 개구부를 열봉합하거나, 비닐봉투(70)를 절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지(75)를 파쇄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기능을 1개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부부재, 15 : 삽입돌출부, 16 : 삽입홈, 18 : 승강홈, 19 : 탈착지지부, 20 : 상부부재, 21 : 가이드공, 22 : 다이얼노브, 25 : 삽입안착부, 28 : 승강돌기, 29 : 스프링, 30 : 락킹부, 41 : 히터, 42 : 제1가압부, 50 : 커터,
60 : 파쇄부, 61 : 파쇄부재, 62 : 수용부재, 63 : 하우징, 63a : 하우징커버, 64 : 회전축, 65 : 파쇄날, 66 : 연결부재, 67 : 레버, 68 : 관통공, 69 : 탈착걸림돌기,
70 : 비닐봉투, 75 : 용지,

Claims (7)

  1.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을 개폐하는 상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된 히터;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 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면 중 나머지 하나에서 상기 히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된 제1가압부;
    상기 상부부재에 상기 히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공;
    상기 가이드공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공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 배치된 비닐봉투를 절단하는 커터; 및
    상기 하부부재의 후방에 장착되어 삽입되는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를 하부부재에 고정결합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는 하부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를 덮었을 때, 상기 상부부재를 하부부재에 고정결합시키는 락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상면에는 상방향으로 삽입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삽입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안착부가 형성되되,
    상기 삽입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부재의 하강시 상기 커터의 하단이 삽입 배치되는 삽입홈이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5.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하부부재의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파쇄부는 상기 상부부재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하부부재의 후면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탈착지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쇄부에는 상기 탈착지지부에 삽입되는 탈착걸림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7.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삽입되는 용지를 파쇄하는 파쇄부재와;
    상기 파쇄부재의 하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파쇄부재에 의해 파쇄된 용지를 수용하는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파쇄부재는,
    하부에 상기 수용부재가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상기 수용부재의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관통공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된 파쇄날과;
    다수개의 상기 회전축이 함께 회전하도록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레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KR1020110114477A 2011-11-04 2011-11-04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KR201300494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477A KR20130049446A (ko) 2011-11-04 2011-11-04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4477A KR20130049446A (ko) 2011-11-04 2011-11-04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9446A true KR20130049446A (ko) 2013-05-14

Family

ID=48660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4477A KR20130049446A (ko) 2011-11-04 2011-11-04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94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1334A (zh) * 2021-06-15 2021-09-07 梁红梅 一种用于废铁小圆钢绞碎回收设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1334A (zh) * 2021-06-15 2021-09-07 梁红梅 一种用于废铁小圆钢绞碎回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6382A (en) Bag sealer and cutter assembly
US7530510B2 (en) Storage food processor
WO2014087077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 recipient de travail comprenant un panier pour la cuisson a la vapeur
EP2923621B1 (fr)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éparation culinaire comprenant un recipient fermé par un couvercle amovible cooperant avec un dispositif de sécurité
WO2013041466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comprenant un recipient de travail muni d'un filtre
KR20080079975A (ko) 다기능 두유기
CN108378671A (zh) 双功能压蒜器
CN205995328U (zh) 具有可更换刀片功能的混合器
KR20130049446A (ko) 용지 파쇄기능을 갖는 비닐봉투 열봉합장치
KR102257331B1 (ko) 안전 개폐 구조를 가진 투입장치
EP2545830A1 (fr) Appareil électroménager de préparation culinaire avec dispositif de remplissage
KR20180024991A (ko) 식품용기 포장기
KR101685593B1 (ko) 진공 조리 장치
WO2016020776A1 (en) Device for opening capsules
ES2362639T3 (es) Aparato de compactación termo-electromecánico para uso doméstico y comunitario, para una botella de material plástico colocada verticalmente y método para compactación de la botella colocada verticalmente.
CN205682366U (zh) 一种麻糍机中的糯米团切割装置
CN203424844U (zh) 食物研磨器
KR20130037250A (ko) 비닐봉투의 열봉합 및 절단장치
KR102348733B1 (ko) 슈레드 치즈 자동 포장 장치
KR101277284B1 (ko) 안착홈 가변형 식품용기 실링 포장기
KR101424231B1 (ko) 용기 포장기
KR101477737B1 (ko) 음료제조기
JP2017536907A (ja) 食品処理装置用滴下防止アタッチメント
KR101720209B1 (ko) 독립형 가압부재가 장착된 진공포장기
KR101867017B1 (ko)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비닐봉합 테이프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