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481A - 단말장치 및 재송(再送)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재송(再送)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481A
KR20120032481A KR1020117029884A KR20117029884A KR20120032481A KR 20120032481 A KR20120032481 A KR 20120032481A KR 1020117029884 A KR1020117029884 A KR 1020117029884A KR 20117029884 A KR20117029884 A KR 20117029884A KR 20120032481 A KR20120032481 A KR 20120032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unit
resource
terminal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675B1 (ko
Inventor
세이고 나카오
다이치 이마무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35620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3248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2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1Group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defining a range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1Physical mapp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64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02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 H04W74/004Transmission of channel access control information in the uplink, i.e. toward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0007Code type
    • H04J13/0055ZCZ [zero correlation zone]
    • H04J13/0059CAZAC [constant-amplitude and zero auto-correlation]
    • H04J13/0062Zadoff-Ch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4Erro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상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ARQ가 적용될 경우에,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향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 단말(200)에 있어서, 제어부(209)가, 단위밴드 그룹의 복수 하향 데이터의 전부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위밴드 그룹의 상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통지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인 기본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그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제어 채널의 기본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묶음 응답신호(束 應答信號)를 송신하고, 복수의 하향 데이터의 전부에 오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상향 제어 채널의 추가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재송(再送) 제어 방법{TERMINAL DEVICE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 LTE에서는, 하향회선의 통신 방식으로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채용되고 있다. 3GPP LTE가 적용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는, 기지국이 미리 정해진 통신 리소스를 이용하여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Channel:SCH) 및 통지 신호 (Broadcast Channel:BCH)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우선, SCH를 잡음으로써 기지국과의 동기를 확보한다. 그 후, 단말은, BCH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기지국 독자적인 파라미터(예를 들면, 주파수 대역폭 등)를 취득한다(비특허 문헌 1, 2, 3 참조).
또, 단말은, 기지국 독자적인 파라미터의 취득이 완료한 후, 기지국에 대해서 접속 요구를 행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을 확립한다. 기지국은, 통신이 확립된 단말에 대해서, 필요에 따라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경유하여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그리고, 단말은, 수신한 PDCCH 신호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어정보를 각각 「블라인드 판정」한다. 즉, 제어정보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부분을 포함하고, 이 CRC 부분은, 기지국에 있어서, 송신 대상 단말의 단말 ID에 의해 마스크 된다. 따라서, 단말은, 수신한 제어정보의 CRC 부분을 자기(自機)의 단말 ID로 디마스크해 볼때까지는, 자기앞으로의 제어정보인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없다. 이 블라인드 판정에서는, 디마스크한 결과, CRC 연산이 OK가 되면, 그 제어정보가 자기앞이라고 판정된다.
또, 3GPP LTE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ARQ(Automatic Repeat Request)가 적용된다. 즉, 단말은 하향회선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응답신호를 기지국에 피드백한다. 단말은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CRC를 행하여, CRC=OK(오류 없음)이면 ACK(Acknowledgment)를, CRC=NG(오류 있음)이면 NACK(Negative Acknowledgment)를 응답신호로서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이 응답신호(즉, ACK/NACK 신호)의 피드백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의 상향 회선 제어 채널이 이용된다.
여기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제어정보에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할당한 리소스 정보 등을 포함한 리소스 할당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제어정보의 송신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PDCCH가 이용된다. 이 PDCCH는, 1개 또는 복수의 L1/L2CCH(L1/L2 Control Channel)로 구성된다. 각 L1/L2CCH는, 1개 또는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로 구성된다. 즉, CCE는, 제어정보를 PDCCH에 매핑할 때의 기본 단위이다. 또, 1개의 L1/L2CCH가 복수의 CCE로 구성될 경우에는, 그 L1/L2CCH에는 연속된 복수의 CCE가 할당된다. 기지국은,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에 대한 제어정보의 통지에 필요한 CCE수에 따라, 그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에 대해서 L1/L2CCH를 할당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 L1/L2CCH의 CCE에 대응하는 물리 리소스에 매핑해서 제어정보를 송신한다.
또 여기서, 각 CCE는, PUCCH의 구성 리소스와 1 대 1로 대응지어져 있다. 따라서, L1/L2CCH를 수신한 단말은, 이 L1/L2CCH를 구성하는 CCE에 대응하는 PUCCH의 구성 리소스를 특정하여, 이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단, L1/L2CCH가 연속된 복수의 CCE를 점유할 경우에는, 단말은, 복수의 CCE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PUCCH 구성 리소스중 1개(예를 들면, 제일 Index가 작은 CCE에 대응하는 PUCCH 구성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이렇게 하여 하향회선의 통신 리소스가 효율좋게 사용된다.
복수의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복수의 응답신호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간축상에서 제로 오토 콜렉션(Zero Auto-correlation) 특성을 가지는 ZAC(Zero Auto-correlation) 계열, 월쉬(Walsh) 계열 및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계열에 의해 확산되어 PUCCH내에서 코드 다중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W0, W1, W2, W3)은 계열길이 4의 월쉬 계열을 나타내고, (F0, F1, F2)는 계열길이 3의 DFT 계열을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말에서는, ACK 또는 NACK의 응답신호가, 우선 주파수축상에서 ZAC 계열(계열길이 12)에 의해 1SC-FDMA 심볼에 대응하는 주파수 성분으로 1차 확산된다. 그 다음에 1차 확산 후의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로서의 ZAC 계열이 월쉬 계열(계열길이 4:W0~W3), DFT 계열(계열길이 3:F0~F3) 각각에 대응되어져 2차 확산된다. 또, 2차 확산된 신호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에 의해 시간축상의 계열길이 12의 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IFFT 후의 신호 각각에 대해서 CP가 부가되어, 7개의 SC-FDMA 심볼로 되어있는 1 슬롯의 신호가 형성된다.
다른 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끼리는, 다른 순회 쉬프트량(Cyclic shift Index)에 대응하는 ZAC 계열, 또는, 다른 계열 번호(Orthogonal cover Index :OC index)에 대응하는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해 확산되고 있다. 직교 부호 계열은, 월쉬 계열과 DFT 계열의 조(組)이다. 또, 직교 부호 계열은 블록 와이즈 확산 코드 계열(Block-wise spreading code) 이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종래의 역확산 및 상관 처리를 이용함으로써, 이 코드 다중된 복수의 응답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비특허 문헌 4 참조).
단, 각 단말이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자기앞으로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를 블라인드 판정하기 때문에, 단말측에서는, 반드시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이 성공한다고는 할 수 없다. 단말이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자기앞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 단말은, 해당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자기앞 하향회선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하지않는지 조차도 알 수 없다. 따라서,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 단말은, 해당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도 생성하지 않는다. 이 에러 케이스는, 단말측에서 응답신호의 송신이 행해지지않는다는 의미에서의, 응답신호의 DTX(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 of ACK/NACK signals)로서 정의되고 있다.
또, 3GPP LTE보다 한층 더 통신의 고속화를 실현하는 3GPP LTE-advanced의 표준화가 개시되었다. 3GPP LTE-advanced 시스템(이하, 「LTE-A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은, 3GPP LTE 시스템(이하, 「LTE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을 답습한다. 3GPP LTE-advanced에서는, 최대 1Gbps 이상의 하향 전송 속도를 실현하기 위해, 40MHz 이상의 광대역 주파수로 통신할 수 있는 기지국 및 단말이 도입될 전망이다.
LTE-A 시스템에 있어서는,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전송 속도의 수배나 되는 초고속 전송 속도에 의한 통신 및, LTE 시스템에 대한 후방 호환성(백워드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동시에 실현하기 위해, LTE-A 시스템용 대역이, LTE 시스템의 서포트 대역폭인 20MHz 이하의 「단위밴드」로 구분된다. 즉, 「단위밴드」는, 여기에서는, 최대 20MHz의 폭을 가지는 대역이며, 통신 대역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된다. 또, 하향회선에 있어서의 「단위밴드」(이하, 「하향 단위밴드」라고 함)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BCH중의 하향 주파수 대역정보에 의해 구분된 대역, 또는, 하향 제어 채널(PDCCH)이 주파수 영역에 분산 배치될 경우의 분산폭에 의해 정의되는 대역으로서 정의되는 일도 있다. 또, 상향 회선에 있어서의 「단위밴드」(이하, 「상향 단위밴드」라고 함)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는 BCH중의 상향 주파수 대역정보에 의해 구분된 대역, 또는, 중심 부근에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영역을 포함하고, 양단부에 LTE용 PUCCH를 포함한 20MHz 이하의 통신 대역의 기본 단위로서 정의되는 일도 있다. 또, 「단위밴드」는, 3GPP LTE-Advanced에 있어서, 영어로 Component Carrier(s)라고 표기되는 일이 있다.
그리고, LTE-A 시스템에서는, 그 단위밴드를 몇개인가 묶은 대역을 이용한 통신, 소위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서포트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상향에 대한 스루풋 요구와 하향에 대한 스루풋 요구는 다르므로, LTE-A 시스템에서는, 임의의 LTE-A 시스템 대응의 단말(이하, 「LTE-A단말」이라고 함)에 대해서 설정되는 단위밴드의 수가 상향과 하향에서 다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소위 어심매트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Asymmetric carrier aggregation)도 검토되고 있다. 게다가, 상향과 하향에서 단위밴드수가 비대칭이면서 또, 각 단위밴드의 주파수대역폭이 각각 다른 경우도, 서포트된다.
도 2는, 개별 단말에 적용되는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및 그 제어 순서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2에는, 기지국의 상향과 하향의 대역폭 및 단위밴드수가 대칭인 예가 표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단말 1에 대해서는, 2개의 하향 단위밴드와 좌측의 1개의 상향 단위밴드를 이용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을 행하는 등의 설정(Configuration)이 되어지는 한편, 단말 2에 대해서는, 단말 1과 동일한 2개의 하향 단위밴드를 이용하는 등의 설정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상향 통신에서는 우측의 상향 단위밴드를 이용하는 등의 설정이 되어진다.
그리고, 단말 1에 착목하면, LTE-A 시스템을 구성하는 LTE-A기지국과 LTE-A단말 사이에서는, 도 2A에 나타내는 순서도에 따라, 신호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도 2A에 나타내는 것처럼, (1)단말 1은, 기지국과의 통신 개시시에, 좌측의 하향 단위밴드와 동기를 취하고, 좌측의 하향 단위밴드와 페어가 되어 있는 상향 단위밴드의 정보를 SIB2(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2)라고 불리는 통지 신호로부터 판독한다. (2)단말 1은, 이 상향 단위밴드를 이용하여, 예를 들면, 접속 요구를 기지국에 송신함으로써 기지국과의 통신을 개시한다. (3)단말에 대해서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할당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 기지국은, 단말에 하향 단위밴드의 추가를 지시한다. 단, 이 경우, 상향 단위밴드수는 증가하지 않고, 개별 단말인 단말 1에 있어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개시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적용되는 LTE-A에서는, 단말이 한 번에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하는 일이 있다. LTE-A에서는, 이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복수의 응답신호의 송신 방법의 하나로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Multiplexing라고도 부름))이 검토되고 있다.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서는,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에 따라, 응답신호에 이용하는 심볼 뿐만이 아니라, 응답신호를 매핑하는 리소스도 변화시킨다. 즉,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은,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로 수신한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가 각각 ACK인지 NACK인지에 기초하여, 응답신호의 위상점(즉, Constellation point) 뿐만이 아니라, 응답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리소스도 변화시키는 수법이다(비특허 문헌 5, 6 참조).
여기서, 상기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단말에 적용될 경우의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 의한 ARQ 제어에 대해서, 도 3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말 1에 대해서, 하향 단위밴드 1, 2 및 상향 단위밴드 1로 되어있는 단위밴드 그룹(영어로 「Component carrier set」라고 표기되는 일이 있음)이 설정될 경우에는, 하향 단위밴드 1, 2의 각각의 PDCCH를 경유하여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단말 1로 송신된 후에, 그 하향 리소스 할당 정보에 대응하는 리소스로 하향회선 데이터가 송신된다.
그리고, 단위밴드 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고, 단위밴드 2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즉, 단위밴드 1의 응답신호가 ACK이고, 단위밴드 2의 응답신호가 NACK인 경우)에는, PUCCH 영역 1내에 포함되는 PUCCH 리소스에 응답신호가 매핑되면서 또, 그 응답신호의 위상점으로서, 제1 위상점(예를 들면, (1,0) 등의 위상점)이 이용된다. 또, 단위밴드 1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고, 또, 단위밴드 2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의 수신에도 성공했을 경우에는, PUCCH 영역 2내에 포함되는 PUCCH 리소스에 응답신호가 매핑되면서 또, 제1 위상점이 이용된다. 즉, 하향 단위밴드가 2개일 경우, 오류 검출 결과 패턴이 4 패턴 있으므로, 2개 리소스와 2종류의 위상점의 조합에 의해, 그 4패턴을 나타낼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비특허 문헌)
(비특허 문헌 1) 3GPP TS 36.211 V8.6.0,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8), ” March 2009
(비특허 문헌 2) 3GPP TS 36.212 V8.6.0, “Multiplexing and channel coding (Release 8), ” March 2009
(비특허 문헌 3) 3GPP TS 36.213 V8.6.0, “Physical layer procedures (Release 8), ” March 2009
(비특허 문헌 4) Seigo Nakao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of E-UTRA uplink control channel in fast fading environments”, Proceeding of VTC2009 spring, April, 2009
(비특허 문헌 5) ZTE, 3GPP RAN1 meeting #57, R1-091702, “Uplink Control Channel Design for LTE-Advanced, ” May 2009
(비특허 문헌 6) Panasonic, 3GPP RAN1 meeting #57, R1-091744, “UL ACK/NACK transmission on PUCCH for carrier aggregation, ” May 2009
그런데, 앞에서 설명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에 있어서는, 임의의 단말이 복수의 PUCCH 리소스 중 어느것인가를 이용해 응답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기지국측은 임의의 단말에 대해서 복수의 PUCCH 리소스를 확보해 두지 않으면 안된다.
LTE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의 하향 단위밴드 1과 상향 단위밴드 1이 대응지어져 밴드 페어를 구성하고, 하향 단위밴드 2와 상향 단위밴드 2가 대응지어져 밴드 페어가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하향 단위밴드 2에 대응하는 PUCCH를 상향 단위밴드 2에만 준비하면 좋았다. 한편, LTE-A에서는, 단말 개별적으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설정(Configuration)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내는 것처럼, 하향 단위밴드 2와 상향 단위밴드 1이라는 LTE-A단말 독자적인 단위밴드 관련화에 기인하여, 상향 단위밴드 1에서도 하향 단위밴드 2에 대한 응답신호용 PUCCH 리소스를 확보할 필요가 생긴다. 즉, 상향 단위밴드 1의 상향 제어 채널(PUCCH)에는, 기본 영역(PUCCH 영역 1) 외에, 추가 영역(PUCCH 영역 2)이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상은, LTE-A 시스템에 있어서, 응답신호 송신 방법으로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이 적용될 경우의 PUCCH 오버헤드가, LTE 시스템보다 대폭으로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LTE 시스템에 대한 추가 오버헤드는, 단말의 하향 단위밴드와 상향 단위밴드의 비대칭성이 커지면 커질수록 증가한다.
또, 앞에서 설명한 추가 오버헤드를 가능한한 삭감하기 위해, PUCCH 영역 1보다 PUCCH 영역 2내에 보다 많은 PUCCH 리소스를 확보하는(즉, 동일 시간 주파수 리소스에 있어서의 부호 다중수를 증대시킴) 일도 생각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부호 다중수의 증대에 기인하는 부호간 간섭의 영향에 의해,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이 열화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ARQ가 적용될 경우에,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향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는,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와 상향 단위밴드로 되어있는 단위밴드 그룹을 이용해 기지국과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향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1개의 묶음 응답신호(束 應答信號)를 상기 상향 단위밴드의 상향 제어 채널로 송신하는 단말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내의 적어도 1개의 하향 데이터 채널로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향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하향 데이터의 수신 오류 유무(有無)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으로 얻어진 오류 검출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어느것인가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발생 확률이 높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발생 확률이 낮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본 발명의 재송 제어 방법은,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내의 적어도 1개의 하향 데이터 채널로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향 데이터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된 하향 데이터의 수신 오류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스텝과, 상기 오류 검출 스텝에서 얻어진 오류 검출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제어 채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어느것인가를 이용해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제어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제어 스텝에서는, 발생 확률이 높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가 송신되고, 발생 확률이 낮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가 송신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ARQ가 적용될 경우에,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향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의 확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개별 단말에 적용되는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및 그 제어 순서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3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단말에 적용될 경우의 ARQ 제어의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7은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실시형태 2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실시형태 3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2는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중복하므로 생략한다.
(실시형태 1)
[통신 시스템의 개요]
후술하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한 통신, 즉, 단말(200)독자적인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이 행해진다. 또, 이 통신 시스템에는, 단말(200)과 달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능력이 없고, 1개의 하향 단위밴드와 이것에 대응지어진 1개의 상향 단위밴드에 의한 통신(즉, 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을 행하는 단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100)은,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의 양쪽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지국(100)과 단말(200) 간이라 해도, 기지국(100)에 의한 단말(200)에 대한 리소스 할당에 따라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이 행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은 ARQ가 행해지는 한편,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는 경우에는, ARQ에 있어서 채널 섹렉션(Channel Selection)이 채용된다. 즉, 이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A 시스템이고, 기지국(100)은, 예를 들면, LTE-A기지국이며, 단말(200)은, 예를 들면, LTE-A단말이다. 또,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능력이 없는 단말은, 예를 들면, LTE 단말이다.
이하에서는, 다음 사항을 전제로 해서 설명한다. 즉, 미리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단말(200) 독자적인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구성되어 있고, 단말(200)이 이용해야 할 하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의 정보가,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또, 기지국(100)에 의해 임의의 단말(200)에 대해서 설정(Configure)되어, 미리 단말(200)에 통지(Signaling)된 단위밴드 그룹을 구성하는 상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BCH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가, 해당 단말(200)에 대한 「기본 단위밴드」이다. 그리고, 이 기본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가, 「기본 단위밴드 정보」이다. 따라서, 임의의 단말(200)은,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BCH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이 기본 단위밴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기지국의 구성]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기지국(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있어서, 기지국(100)은, 제어부(101)와, 제어정보 생성부(102)와, 부호화부(103)와, 변조부(104)와, 통지 신호 생성부(105)와, 부호화부(106)와,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와, 변조부(108)와, 매핑부(109)와, IFFT부(110)와, CP부가부(111)와, 무선 송신부(112)와, 무선 수신부(113)와, CP제거부(114)와, PUCCH 추출부(115)와, 역확산부(116)와, 계열 제어부(117)와, 상관 처리부(118)와, 판정부(119)와,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를 가진다.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즉,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 및, 해당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즉,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를 할당한다(Assign 한다). 이 리소스 할당은,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설정되는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행해진다. 또,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PDCCH)에 대응하는 리소스 내에서 선택된다. 또,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 채널(PDSCH)에 대응하는 리소스 내에서 선택된다. 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이 복수 있을 경우에는,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의 각각에 다른 리소스를 할당한다.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는, 상기의 L1/L2CCH와 동등하다. 즉,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는, 1개 또는 복수의 CCE로 구성된다. 또, 기본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각 CCE는, 단위밴드 그룹내의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제어 채널 영역(PUCCH 영역)의 구성 리소스와 1 대 1로 대응지어져 있다.
또,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제어정보를 송신할 때에 이용할 부호화율을 결정한다. 이 부호화율에 따라 제어정보의 데이터량이 다르므로, 이 데이터량의 제어정보를 매핑 가능한 수의 CCE를 가진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가, 제어부(101)에 의해 할당된다.
또, 제어부(101)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에 대해서, 어느 하향 단위밴드로 하향회선 리소스를 할당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DAI(Downlink Assignment Indicator)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01)는, 제어정보 생성부(102)에 대해서,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DAI를 제어정보 생성부(102)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부호화부(103)에 대해서, 부호화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송신 데이터(즉, 하향회선 데이터)의 부호화율을 결정하여, 부호화부(106)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 및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매핑부(109)에 대해서 출력한다. 단, 제어부(101)는 하향 데이터와 해당 하향 데이터에 대한 하향 제어정보를 동일한 하향 단위밴드에 매핑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부(101)는, 통지 신호 생성부(105)에 대해서, 각 PUCCH 영역에 배치되는 1개의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1리소스 블록:1RB(Resource Block))당 부호 다중되는 PUCCH 신호의 최대수에 관한 정보(즉, 다중도(多重度) 정보)를 출력한다. 또, 제어부(101)는, 송신되는 통지 채널 신호(BCH)를 생성시키는 제어신호를 통지 신호 생성부(105)에 출력한다. 또한, 각 PUCCH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당 PUCCH 리소스 수의 제어에 대해서는,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어정보 생성부(102)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 및, DAI를 포함한 제어정보를 생성하여 부호화부(103)에 출력한다. 이 제어정보는 하향 단위밴드 마다 생성된다. 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이 복수 있을 경우에,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끼리를 구별하기 위해, 제어정보에는, 행선지 단말의 단말 ID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행선지 단말의 단말 ID로 마스킹된 CRC 비트가 제어정보에 포함된다. 이 제어정보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라고 불리는 일이 있다. 또, DAI는,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200)용 제어정보의 전부에 포함된다.
부호화부(103)는, 제어부(101)로부터 수취하는 부호화율에 따라, 제어정보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제어정보를 변조부(104)에 출력한다.
변조부(104)는, 부호화 후의 제어정보를 변조하고, 얻어진 변조 신호를 매핑부(109)에 출력한다.
통지 신호 생성부(105)는, 제어부(101)로부터 수취하는 정보, 및 제어신호에 따라, 하향 단위밴드 마다 통지 신호(BCH)를 생성하여, 매핑부(109)에 출력한다.
부호화부(106)는, 행선지 단말(200)마다의 송신 데이터(즉, 하향회선 데이터) 및 제어부(101)로부터의 부호화율 정보가 입력되면 송신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단, 행선지 단말(200)에 대해서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가 할당될 경우에는, 각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를 각각 부호화하고,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는, 첫회 송신시에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보지(保持)함과 동시에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는, 행선지 단말(200)마다 보지된다. 또, 1개 행선지 단말(200)로의 송신 데이터는,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마다 보지된다. 이것에 의해, 행선지 단말(200)에 송신되는 데이터 전체의 재송 제어 뿐만이 아니라, 하향 단위밴드마다의 재송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는,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한 하향 데이터에 대한 NACK 또는 DTX를 수취하면, 이 하향 단위밴드에 대응하는 보지 데이터를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는,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 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한 하향 데이터에 대한 ACK를 수취하면, 이 하향 단위밴드에 대응하는 보지 데이터를 삭제한다.
변조부(108)는,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로부터 수취하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변조하고, 변조 신호를 매핑부(109)에 출력한다.
매핑부(109)는, 제어부(101)로부터 수취하는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가 나타내는 리소스에, 변조부(104)로부터 받는 제어정보의 변조 신호를 매핑하여, IFFT부(110)에 출력한다.
또, 매핑부(109)는, 제어부(101)로부터 수취하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가 나타내는 리소스에, 변조부(108)로부터 수취하는 송신 데이터의 변조 신호를 매핑하여, IFFT부(110)에 출력한다.
또, 매핑부(109)는, 미리 결정된 시간?주파수 리소스에, 통지 정보를 매핑하여, IFFT부(110)에 출력한다.
매핑부(109)에서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서브캐리어에 매핑된 제어정보, 송신 데이터, 및 통지 신호는, IFFT부(110)에서 주파수 영역 신호로부터 시간 영역 신호로 변환되고, CP부가부(111)에서 CP가 부가되어 OFDM 신호로 된 후에, 무선 송신부(112)에서 D/A변환, 증폭 및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가 실시되어 안테나를 경유하여 단말(200)에 송신된다.
무선 수신부(113)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 또는 참조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여, 응답신호 또는 참조신호에 대해 다운 컨버트, A/D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제거부(114)는, 수신 처리 후의 응답신호 또는 참조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CP를 제거한다.
PUCCH 추출부(115)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는 상향 제어 채널 신호를 PUCCH 영역마다 추출하고, 추출한 신호를 배분한다. 이 상향 제어 채널 신호에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역확산부(116-N), 상관 처리부(118-N), 및 판정부(119-N)는, PUCCH 영역 N에서 추출된 상향 제어 채널 신호의 처리를 행한다. 기지국(100)에는, 기지국(100)이 이용하는 PUCCH 영역 1~N의 각각에 대응하는 역확산부(116), 상관 처리부(118) 및 판정부(119)의 처리 계통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역확산부(116)는, 단말(200)이 각각의 PUCCH 영역에서 2차 확산에 이용해야 할 직교 부호 계열로 응답신호에 상당하는 부분의 신호를 역확산하고, 역확산 후의 신호를 상관 처리부(118)에 출력한다. 또, 역확산부(116)는, 단말(200)이 각각의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참조신호의 확산에 이용해야 할 직교 부호 계열로 참조신호에 상당하는 부분의 신호를 역확산하고, 역확산 후의 신호를 상관 처리부(118)에 출력한다.
계열 제어부(117)는, 단말(200)로부터 송신되는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의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ZAC 계열을 생성한다. 또, 계열 제어부(117)는, 단말(200)이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부호 리소스(예를 들면, 순환 쉬프트량)에 기초하여, PUCCH 영역 1~N의 각각에서 단말(200)로부터의 신호 성분이 포함되어야 할 상관 윈도우를 특정한다. 그리고, 계열 제어부(117)는, 특정한 상관 윈도우을 나타내는 정보 및 생성한 ZAC 계열을 상관 처리부(118)에 출력한다.
상관 처리부(118)는, 계열 제어부(117)로부터 입력되는 상관 윈도우를 나타내는 정보 및 ZAC 계열을 이용하여, 역확산부(116)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단말(200)에 있어서 1차 확산에 이용될 가능성이 있는 ZAC 계열과의 상관값을 구하여 판정부(119)에 출력한다.
판정부(119)는, 상관 처리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상관값에 기초하여, 단말로부터 송신된 응답신호가, 각각의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해서 ACK 또는 NACK의 어느것인가를 나타내고 있는지, 혹은 DTX인지를 판정한다. 즉, 판정부(119)는, 상관 처리부(118)로부터 입력되는 상관값의 크기가 어느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200)은 해당 리소스를 이용해 ACK도 NACK도 송신하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관값의 크기가 임계값 이상이면, 다시 해당 응답신호가 어느 위상점을 나타내고 있는지를 동기 검파에 의해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119)는, 각 PUCCH 영역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를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에 출력한다.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는, 판정부(119)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각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한 데이터를 재송해야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재송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즉, 처음에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는, 판정부(119-1~N)에 대응하는 어느 PUCCH 영역에 있어서 최대의 상관값이 검출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다음에, 최대 상관값이 검출된 PUCCH 영역에 있어서 송신된 응답신호가, 어느 위상점을 나타내고 있는지에 따라,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송신된 데이터에 대한 ACK 신호 또는 NACK 신호를 개별적으로 생성하여,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단,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는, 각 PUCCH 영역에 있어서 검출된 상관값이 전부 어느 임계값 이하이면, 단말(200)로부터는 아무런 응답신호가 송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하고, 전부의 하향 데이터에 대해서 DTX를 생성하여, 데이터 송신 제어부(107)에 출력한다.
판정부(119) 및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의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말의 구성]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단말(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단말(200)은, 무선 수신부(201)와, CP제거부(202)와, FFT부(203)와, 추출부(204)와, 통지 신호 수신부(205)와, 복조부(206)와, 복호부(207)와, 판정부(208)와, 제어부(209)와, 복조부(210)와, 복호부(211)와, CRC부(212)와, 응답신호 생성부(213)와, 변조부(214)와, 1차 확산부(215)와, 2차 확산부(216)와, IFFT부(217)와, CP부가부(218)와, 무선 송신부(219)를 가진다.
무선 수신부(201)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OFDM 신호를 안테나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수신 OFDM 신호에 대해서 다운 컨버트, A/D변환 등의 수신 처리를 행한다.
CP제거부(202)는, 수신 처리 후의 OFDM 신호에 부가되어 있는 CP를 제거한다.
FFT부(203)는, 수신 OFDM 신호를 FFT 하여 주파수 영역 신호로 변환하고, 얻어진 수신 신호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추출부(204)는, FFT부(203)로부터 수취하는 수신 신호로부터 통지 신호를 추출하여 통지 신호 수신부(205)에 출력한다. 통지 신호가 매핑되는 리소스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추출부(204)는, 그 리소스에 매핑되어 있는 정보를 추출한다. 또, 추출된 통지 신호에는, 각 하향 단위밴드와 상향 단위밴드의 관련화에 관한 정보 및 각 PUCCH 영역내에 포함되는 PUCCH 리소스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 추출부(204)는, 입력되는 부호화율 정보에 따라, FFT부(203) 로부터 받는 수신 신호로부터 하향 제어 채널 신호(PDCCH 신호)를 추출한다. 즉, 부호화율에 따라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를 구성하는 CCE의 수가 바뀌므로, 추출부(204)는, 그 부호화율에 대응하는 개수의 CCE를 추출 단위로 하여 하향 제어 채널 신호를 추출한다. 또, 하향 제어 채널 신호는, 하향 단위밴드 마다 추출된다. 추출된 하향 제어 채널 신호는, 복조부(206)에 출력된다.
또, 추출부(204)는, 판정부(208)로부터 수취하는 자장치앞으로의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하향회선 데이터를 추출하여, 복조부(210)에 출력한다.
통지 신호 수신부(205)는, 하향 단위밴드마다 포함되는 통지 신호를 각각 복호하고, 각 하향 단위밴드와 페어를 구성하는 상향 단위밴드의 정보(즉, 각 하향 단위밴드에 매핑된 SIB2에 의해 통지되는 상향 단위밴드의 정보)를 추출한다. 또, 통지 신호 수신부(205)는, 자장치에 대한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상향 단위밴드와 페어가 되어 있는 하향 단위밴드를 「기본 단위밴드」라고 인식하고, 기본 단위밴드 정보를 판정부(208) 및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또, 통지 신호 수신부(205)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대응하여 준비되는 각 PUCCH 영역내에 있어서의 부호 다중수에 관한 정보(즉, 각 PUCCH 영역에 있어서의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당 몇개의 PUCCH 리소스가 정의되어 있는지에 관한 정보(다중도 정보))를 추출하여,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복조부(206)는, 추출부(204)로부터 수취하는 하향 제어 채널 신호를 복조하고, 얻어진 복조 결과를 복호부(207)에 출력한다.
복호부(207)는, 입력되는 부호화율 정보에 따라, 복조부(206)로부터 받는 복조 결과를 복호하고, 얻어진 복호 결과를 판정부(208)에 출력한다.
판정부(208)는, 복호부(207)로부터 받는 복호 결과에 포함되는 제어정보가 자장치앞으로의 제어정보인지 아닌지를 블라인드 판정한다. 이 판정은, 상기한 추출 단위에 대응하는 복호 결과를 단위로 하여 행해진다. 예를 들면, 판정부(208)는, 자장치의 단말 ID로 CRC 비트를 디마스킹하여, CRC=OK(오류 없음)가 된 제어정보를 자장치앞으로의 제어정보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부(208)는, 자장치앞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자장치에 대한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또, 판정부(208)는, 기본 단위밴드에서 얻어진, 자장치앞으로의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DAI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또, 판정부(208)는, 기본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에 있어서, 상기한 자장치앞 제어정보가 매핑되어 있던 CCE를 특정하고, 특정한 CCE의 식별 정보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제어부(209)는, 판정부(208)로부터 수취하는 CCE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주파수?부호)를 특정한다. 즉, 제어부(209)는, CCE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채널의 기본 영역내의 PUCCH 리소스(즉, 「기본 PUCCH 리소스」)를 특정한다. 단, 제어부(209)는,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 앞으로 통지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용 추가 영역내의 PUCCH 리소스(즉, 「추가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보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CRC부(212)로부터 입력되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 상황에 기초하여,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 중의 어느것을 응답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지 결정한다. 즉, 제어부(209)는,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에 따라,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 중의 어느것을 응답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지 결정한다. 또, 제어부(209)는, CRC부(212)로부터 입력되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 상황에 기초하여, 응답신호에 어느 위상점을 설정하는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설정해야 할 위상점에 관한 정보를 응답신호 생성부(213)에 출력하고, 사용해야 할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ZAC 계열 및 순환 쉬프트량을 1차 확산부(215)에 출력하고, 주파수 리소스 정보를 IFFT부(217)에 출력한다. 또, 제어부(209)는, 사용해야 할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직교 부호 계열을 2차 확산부(216)에 출력한다. 제어부(209)에 의한, PUCCH 리소스 및 위상점 제어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복조부(210)는, 추출부(204)로부터 수취하는 하향회선 데이터를 복조하고, 복조 후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복호부(211)에 출력한다.
복호부(211)는, 복조부(210)로부터 수취하는 하향회선 데이터를 복호하고, 복호 후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CRC부(212)에 출력한다.
CRC부(212)는, 복호부(211)로부터 수취하는 복호 후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생성하여, CRC를 이용해 하향 단위밴드마다 오류 검출하여, CRC=OK(오류 없음)일 경우에는 ACK를, CRC=NG(오류 있음)일 경우에는 NACK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또, CRC부(212)는, CRC=OK(오류 없음)의 경우에는, 복호 후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응답신호 생성부(213)는, 제어부(209)로부터 지시되는 응답신호의 위상점에 기초하여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를 생성하여, 변조부(214)에 출력한다.
변조부(214)는, 응답신호 생성부(213)로부터 입력되는 응답신호를 변조하여 1차 확산부(215)에 출력한다.
1차 확산부(215)는, 제어부(209)에 의해 설정된 ZAC 계열 및 순환 쉬프트량에 기초하여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를 1차 확산하고, 1차 확산 후의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를 2차 확산부(216)에 출력한다. 즉, 1차 확산부(215)는, 제어부(209)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를 1차 확산한다.
2차 확산부(216)는, 제어부(209)에 의해 설정된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하여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를 2차 확산하고, 2차 확산 후의 신호를 IFFT부(217)에 출력한다. 즉, 2차 확산부(216)는, 1차 확산 후의 응답신호 및 참조신호를 제어부(209)에서 선택된 PUCCH 리소스에 대응하는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해 2차 확산하고, 확산 후의 신호를 IFFT부(217)에 출력한다.
CP부가부(218)는, IFFT 후의 신호의 후미 부분과 동일한 신호를 CP로서 그 신호의 선두에 부가한다.
무선 송신부(219)는, 입력되는 신호에 대해서 D/A변환, 증폭 및 업 컨버트 등의 송신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무선 송신부(219)는, 안테나로부터 기지국(100)으로 신호를 송신한다.
[기지국(100)및 단말(2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기지국(100) 및 단말(200)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기지국(100)에 의한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내의 PUCCH 다중수에 관한 제어〉
기지국(100)에 있어서, 제어부(101)는, PUCCH 신호의 다중도를, 각 PUCCH 영역에서 독립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는, PUCCH 영역 1(즉, LTE 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와 LTE-A단말로부터의 응답신호가 공존하는 영역)에서는, 1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당 18개의 PUCCH 리소스#1~18이 정의되어 있다. 한편, PUCCH 영역 2(즉, LTE-A단말에 통지된 추가 PUCCH 영역)에서는, 1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당 36개의 PUCCH 리소스#1~36이 정의되어 있다. PUCCH 영역 1내에, 단말(200)용 기본 PUCCH 리소스가 포함되고, PUCCH 영역 2내에, 단말(200)용 추가 PUCCH 리소스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100)은, 각 PUCCH 영역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당의 다중도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다중도는, 순회 쉬프트량으로서 취할 수 있는 포지션 내에서 이용하는 포지션수로 특정된다. 보다 상세한 것은, 몇개 간격으로 포지션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특정된다. 도 7에서는, 1개의 계열에 대해서 12개의 포지션을 취할 수 있다. 그리고, PUCCH 영역 1에서는, 1개 간격의 순회 쉬프트량(Cyclic shift index)에 대응하는 계열이 이용되고 있고, PUCCH 영역 2에서는, 12개의 순회 쉬프트량의 전부에 대응하는 순회 쉬프트 계열이 이용되고 있다. 즉, PUCCH 영역 2에서는, 0개 간격으로 포지션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 7에 있어서, PUCCH 영역 1에서는, 18개의 PUCCH 리소스가 준비되는 한편, PUCCH 영역 2에서는, 36개의 PUCCH 리소스가 준비된다. 즉, PUCCH 영역 1보다도 PUCCH 영역 2가, PUCCH 신호를 넣을 수 있는 상자(즉, PUCCH 리소스)가 많이 준비되어 있다.
또, PUCCH 영역 1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는, 각각 기본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CCE와 1대 1로 관련지어져 있고, 이 관련화에 관한 정보는, 미리 기지국(100)과 단말(200)의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단말(200)에 의한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
단말(200)에서는, 통지 신호 수신부(205)가, 단말(200)에 통지된 단위밴드 그룹을 구성하는 상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BCH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를 기본 단위밴드로서 특정한다.
또, 판정부(208)가, 각 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에 자장치앞으로의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자신앞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추출부(204)는, 판정부(208)로부터 수취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하향회선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렇게 하여 단말(20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상향 단위밴드 1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는 BCH가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므로, 하향 단위밴드 1이 단말(200)의 기본 단위밴드가 된다.
또,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는,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는 하향회선 데이터(DL data)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하향 단위밴드 2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는, 하향 단위밴드 2로 송신되는 하향회선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단말(200)은,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 및 하향 단위밴드 2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하향 단위밴드 1 및 하향 단위밴드 2의 양쪽으로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이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없으면, 단말(200)은, 해당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또, 단말(200)은, 각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되는 DAI에 의해,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송신되고 있는 하향 단위밴드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200)에 의한 응답〉
CRC부(212)는, 수신에 성공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해서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 검출 결과를 제어부(20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CRC부(212)로부터 수취하는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응답신호의 송신 제어를 행한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모두 「오류 없음」일 경우(즉, ACK/ACK의 경우), 기본 PUCCH 리소스(즉, PUCCH 영역 1의 리소스)를 이용해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1 위상점(예를 들면, (I, Q)=(1,0) 등)이 이용된다. 또, 기본 PUCCH 리소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 단위밴드에 있어서 단말(200)앞으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와 관련지어져서 결정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모두 「오류 있음」일 경우(즉, NACK/NACK의 경우), 추가 PUCCH 리소스(즉, PUCCH 영역 2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2 위상점(예를 들면, (I, Q)=(-1, 0) 등)이 이용된다. 추가 PUCCH 리소스의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없음」이고 또,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있음」일 경우(즉, ACK/NACK의 경우)에는, 기본 PUCCH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2 위상점(즉, (I, Q)=(-1, 0) 등)이 이용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있음」이고 또,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없음」일 경우(즉, NACK/ACK의 경우)에는, 추가 PUCCH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1 위상점(즉, (I, Q)=(1,0) 등)이 이용된다.
이와 같이,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에는, 각각 2개의 오류 검출 결과 패턴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매핑된다. 따라서, 2개의 위상점을 가지는 BPSK가 이용된다.
또한, 단말이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의 일부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거기에 포함되는 DAI에 의해, 기타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타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했기 때문에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었을 경우(즉, 그 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DTX가 발생했을 경우)는,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한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오류 있음」의 경우와 동일하게 취급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하향회선 데이터의 상정 오류율(Target Block Error Rate :Target BLER)이 0%~30%정도가 되도록, 하향회선 데이터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제어한다(상정 오류율을 10%정도로 하는 운용이 가장 전형적임). 이것에 의해, 단말측에서 하향 데이터에 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 될 가능성이, 「오류있음」이 될 가능성보다 높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하향 단위밴드가 2개일 경우, 각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의 양쪽 모두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을 확률은 약 81%이며, 양쪽에서 오류가 검출될 확률은 약 1%이다.
따라서,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되는 복수의 하향 데이터의 전부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기본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기본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즉, Channel Selection의 동작에 의해 이용 리소스 및 위상점이 결정된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전부에 오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추가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추가 영역이 이용되는 빈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영역에 의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추가 영역에 포함되는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에 있어서의 다중도를 크게 하여도, 묶음 응답신호가 추가 영역에 매핑되는 빈도가 작게 억제되고 있으므로, 부호간 간섭이 증가하는 일도 억제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향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LTE-A 시스템에 있어서 LTE 시스템에 대해서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PUCCH 영역(즉, PUCCH 영역 2)이 점유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수를 대폭으로 삭감하기위하여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증가시켜도, 추가 PUCCH 리소스가 사용되는 확률을 내림으로써(즉, 모든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없음」일 경우에는 기본 PUCCH 리소스를 이용하고, 모든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있음」일 경우에 추가 PUCCH 리소스를 이용하는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의 제어를 행함),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의 증가에 기인하는 부호간 간섭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200)에 있어서, 제어부(209)가, 단위밴드 그룹의 복수의 하향 데이터의 전부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위밴드 그룹의 상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통지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인 기본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그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제어 채널의 기본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복수의 하향 데이터의 전부에 오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상향 제어 채널의 추가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묶음 응답신호가 추가 영역에 매핑되는 빈도를 기본 영역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묶음 응답신호가 추가 영역에 매핑되는 빈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부호간 간섭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추가 영역의 다중도를 크게 하여 추가 영역에 의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추가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미리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즉, 추가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명시적(Explicit)으로 기지국(100)으로부터 단말(200)에 통지되고 있다고 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추가 PUCCH 리소스도, 기본 PUCCH 리소스와 마찬가지로,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에 대응지어 정의되어도 좋다(즉, 암시적(Implicit) 추가 PUCCH 리소스 시그널링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추가 PUCCH 리소스에 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추가 PUCCH 리소스가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에 대응지어지는 경우에, 추가 PUCCH 리소스 수를 삭감하기 위해, 기본 단위밴드 이외에 있어서의 복수의 CCE(예를 들면 연속된 m개의 CCE)를, 1개의 추가 PUCCH 리소스와 관련지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향 제어 채널의 추가 영역내에서 정의되어야 할 추가 PUCCH 리소스 수는 CCE수/m까지 삭감되므로, PUCCH 오버헤드가 더욱 삭감된다.
또 덧붙여,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본 PUCCH 리소스가 포함되는 기본 영역과, 추가 PUCCH 리소스가 포함되는 추가 영역이 중복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본 영역과 추가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복되어 있어도 좋다. 중요한 것은, 어느 단말이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인식해야 할 기본 PUCCH 리소스와 추가 PUCCH 리소스가 다르도록, 기지국측에서 제어되고 있으면 좋다. 이렇게 해서 기지국(100)이 기본 영역과 추가 영역을 중복하여 준비함으로써,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PUCCH 오버헤드는, LTE 시스템과 동등하게까지 삭감된다.
또 덧붙여, 이상의 설명에서는, 1차 확산에 ZAC 계열을 이용하고, 2차 확산에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1차 확산에는, ZAC 계열 이외의,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량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한 계열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GCL(Generalized Chirp like) 계열,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계열, ZC(Zadoff-Chu) 계열, M계열이나 직교 골드 부호 계열 등의 PN계열, 또는, 컴퓨터에 의해 랜덤하게 생성된 시간축상에서의 자기 상관 특성이 급준(急峻)한 계열 등을 1차 확산에 이용해도 좋다. 또, 2차 확산에는, 서로 직교하는 계열, 또는, 서로 거의 직교한다고 볼 수 있는 계열이면 어떠한 계열을 직교 부호 계열로서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월쉬 계열 또는 푸리에 계열 등을 직교 부호 계열로서 2차 확산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ZAC 계열의 순환 쉬프트량과 직교 부호 계열의 계열 번호에 의해 응답신호의 리소스(예를 들면, PUCCH 리소스)가 정의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1에서는, 단말이 응답신호를 생성할 때에,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해서 수신 실패했을 경우와,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는, 동일하게 취급되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실시형태 2에서는, 단말이 응답신호를 생성할 때에,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해서 수신 실패했을 경우와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는 구별된다. 이것에 의해, 실시형태 2에서는, 기지국측에서, 단말이 각 단위밴드의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에 실패했는지,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에 실패했는지를 구별할 수 있기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재송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도 4와 도 5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2에 따른 단말(200)에 있어서, 제어부(209)는, 복수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의 패턴 및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에 따라,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 내의 어느것을 응답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지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09)는, 복수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의 패턴 및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의 패턴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응답신호의 송신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의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모두 「오류 없음」일 경우, 기본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1 위상점(예를 들면, (I, Q)=(1,0) 등)이 이용된다. 또, 기본 PUCCH 리소스는, 상술한 것처럼, 기본 단위밴드에 있어서 단말(200)앞으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와 관련지어져 결정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및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없음」인 한편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있음」일 경우에는, 기본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2 위상점(즉, (I, Q)=(-1, 0) 등)이 이용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및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있음」인 한편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가 「오류 없음」일 경우에는, 기본 PUCCH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3 위상점(즉, (I, Q)=(0, j) 등)이 이용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및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여,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모두 「오류 있음」일 경우, 기본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4 위상점(즉, (I, Q)=(0, -j) 등)이 이용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의 기타 하향 단위밴드 내의 한쪽으로만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DAI가, 기본 단위밴드 및 기본 단위밴드 이외의 기타 하향 단위밴드의 양쪽으로 하향회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낼 경우, 추가 PUCCH 리소스를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즉, 제어부(209)는, DTX가 발생할 경우에는, 추가 PUCCH 리소스를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단, 추가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리 기지국(100)과 단말(200)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기때문에, 단말(200)은 기본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수신에 실패했을 경우라 하더라도, 이용해야 할 추가 PUCCH 리소스를 틀림없이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이외의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만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면, 응답신호에 제1 위상점(즉, (I, Q)=(1,0) 등)을 이용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 이외의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만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기타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있음」이면, 응답신호에 제2 위상점(즉, (I, Q)=(-1, 0) 등)을 이용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로만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면, 응답신호에 제3 위상점(즉, (I, Q)=(0, j) 등)을 이용한다.
또, 제어부(209)는, 기본 단위밴드로만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고, 기본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있음 」이면, 응답신호에 제4 위상점(즉, (I, Q)=(0, -j) 등)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에는, 각각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수신 성공 여부 및 오류검출 결과의 4개 패턴에 대응하는 응답신호가 매핑된다. 따라서, 4개의 위상점을 가지는 QPSK가 이용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지국은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상정 오류율이 0%~1%정도가 되도록,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제어한다. 즉, 단말측에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수신에 실패할 확률, 즉, DTX가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다. 즉,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DTX가 발생할 확률은, 4 패턴의 전부를 합쳐도, 약 2%이다.
따라서, DTX가 발생할 경우에만, 추가 영역내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실시형태 1보다 더욱, 추가 영역이 이용되는 빈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부호간 간섭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상향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더욱 작게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했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즉, DAI)를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 포함해서 송신한다고 했지만, 실시형태 3에서는, 기지국이 DAI를 송신하지 않는 점에 있어서 실시형태 1 및 2와 상위하다.
또, 실시형태 3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에 설정한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중, 1개 하향 단위밴드를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Primary Component carrier 또는 Anchor Carrier라고 불리는 일이 있음)」로서 단말에 설정한다. 단,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는, 단말(400)이 도 2(a)에 나타내는 통신 확립시에 이용한 하향 단위밴드(즉, Carrier aggregation 통신을 행하기 전의 Initial Access process에 이용한 하향 단위밴드)로서 설정되어도 좋다. 또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는, 이니셜 액세스 프로세스(Initial Access process)와는 독립적으로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400)에 대해서 개별 통지(Dedicated signaling)해도 좋다. 이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로의 하향회선 데이터가 1개밖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즉, 기지국이 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을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 우선해서 사용되는 하향 단위밴드이며, 기타 하향 단위밴드 (Non-Primary Component carrier 또는 Non-Anchor Carrier)에 비해, 하향회선 데이터의 전송에 사용될 확률이 높다.
[통신 시스템의 개요]
후술하는 기지국(300) 및 단말(400)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상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한 통신, 즉, 단말(400)독자적인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이 행해진다. 또,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이 통신 시스템에는, 단말(400)과 달리,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을 행할 능력이 없고, 1개의 하향 단위밴드와 이것에 대응지어진 1개의 상향 단위밴드에 의한 통신(즉, 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을 행하는 단말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국(300)은,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 및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의 양쪽을 서포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기지국(300)과 단말(400) 간이라 해도, 기지국(300)에 의한 단말(400)에 대한 리소스 할당에 따라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이 행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단, 기지국(300)이 단말(400)에 대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을 행할 때는, 미리 단말(400)에 1개만 설정한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를 이용한다.
또, 이 통신 시스템에서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이 행해지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ARQ에 있어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이 채용된다. 즉, 미리 기지국(300)이 단말(400)에 대해서 설정한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중, 일부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하지 않고 하향회선 데이터가 송신되었을 경우, 단말(400)측에서는, 일부 사용되지 않은 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피드백을 DTX라 설정하여,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동작을 실행한다. 단, 단말(400)에 있어서 하나도 하향할당 제어정보(및 하향회선 데이터)를 검출할 수 없었을 경우에는, 단말(400)은 응답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다음 사항을 전제로 해서 설명한다. 즉, 미리 기지국(300)과 단말(400) 사이에서, 단말(400)독자적인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구성되어 있고, 단말(400)이 이용해야 할 하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의 정보가, 기지국(300)과 단말(400) 사이에서 공유되어 있다. 또, 기지국(300)은, 단말(400)에 대해서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를 미리 통지하고 있다.
[기지국의 구성]
도 9에 나타내는, 기지국(300)의 제어부(301)는,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400)에 대해서, 제어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즉, 하향 제어정보 할당 리소스), 및, 해당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하향 리소스(즉,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를 할당한다(Assign 한다).
또, 제어부(301)는, 단말(400)에 대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즉, 단말(400)에 대해서 하향회선 데이터를 할당하는 하향 단위밴드수가 1개뿐인 경우), 단말(400)에 대한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를 이용하도록 제어한다. 단, 제어부(301)는, 실시형태 1 및 2와는 달리, 리소스 할당 대상 단말(400)에 대한 DAI 정보는 생성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301)는, 하향 데이터 할당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제어정보 생성부(302)에 출력한다.
데이터 송신 제어부(307)는, 첫회 송신시에는,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를 보지함과 동시에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부호화 후의 송신 데이터는, 행선지 단말(400)마다 보지된다. 또, 1개의 행선지 단말(400)로의 송신 데이터는,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마다 보지된다. 이것에 의해, 행선지 단말(400)에 송신되는 데이터 전체의 재송 제어 뿐만이 아니라, 하향 단위밴드마다 재송 제어도 가능하게 된다.
또, 데이터 송신 제어부(307)는,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한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NACK 또는 그 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DTX를 수취하면서 또, 응답신호가 대응하는 과거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하향 단위밴드로 실제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이 하향 단위밴드에 대응하는 보지 데이터를 변조부(108)에 출력한다. 단, 데이터 송신 제어부(307)는,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DTX를 수취했지만, 대응하는 과거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해당 하향 단위밴드로 실제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해당 DTX 정보를 무시한다. 즉, 기지국(300)으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밴드로 하향회선 데이터가 실제로 송신되었는지 아닌지에 상관없이,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지 않았을 경우(이 경우에는, 당연히, 하향회선 데이터도 수신하고 있지않음)에는, 그 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단말(400)의 응답신호는 DTX가 된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제어부(307)는, DTX를 수취했을 경우, 기지국(300)이 실제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했는지 안했는지에 따른 재송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또, 데이터 송신 제어부(307)는,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120)로부터 어느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한 하향 데이터에 대한 ACK를 수취하면, 이 하향 단위밴드에 대응하는 보지(保持) 데이터를 삭제한다.
[단말의 구성]
도 10에 있어서의, 단말(400)의 제어부(409)는, 판정부(208)로부터 수취하는 CCE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CCE에 대응하는 PUCCH 리소스(주파수?부호)를 특정한다. 즉, 제어부(409)는,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CCE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채널의 기본 영역내의 PUCCH 리소스(즉, 「기본 PUCCH 리소스」)를 특정한다. 단, 제어부(409)는,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400)앞으로 통지된,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용의 추가 영역내의 PUCCH 리소스(즉, 「추가 PUCCH 리소스」)에 관한 정보를 미리 보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부(409)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 및 CRC부(212)로부터 입력되는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 중의 어느것을 응답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지 결정한다. 즉, 제어부(409)는,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 및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에 따라 규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에 따라, 기본 PUCCH 리소스 및 추가 PUCCH 리소스 중의 어느것을 응답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지 결정한다. 단, 제어부(409)는 실시형태 1 및 2와 달리, 하향회선 데이터에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이 적용되고 있었을 경우에도,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동작에 기초하여 PUCCH 리소스를 선택한다. 또, 제어부(409)는, 상기의 수신 상황 패턴에 기초하여, 응답신호에 어느 위상점을 설정하는지를 결정한다.
[기지국(300) 및 단말(400)의 동작]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기지국(300) 및 단말(400)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기지국(300) 및 단말(400)의 동작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이다.
〈기지국(300)에 의한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내의 PUCCH 다중수에 관한 제어〉
기지국(300)에 있어서, 제어부(301)는, PUCCH 신호의 다중도를, 각 PUCCH 영역(즉, PUCCH 영역 a 및 PUCCH 영역 b)에서 독립적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는, PUCCH 영역 a(즉,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CCE와 관련지어진 PUCCH 리소스 군이 포함되는 영역)에서는, 1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당 18개의 PUCCH 리소스#1~18이 정의되어 있다. 한편, PUCCH 영역 b(즉, 단말 300에 통지된 추가 PUCCH 영역)에서는, 1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당 36개의 PUCCH 리소스#1~36이 정의되어 있다. PUCCH 영역 a내에, 단말(400)용 PUCCH 리소스 1이 포함되고, PUCCH 영역 b내에, 단말(400)용 PUCCH 리소스 2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300)은,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각 PUCCH 영역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당 다중도를 설정한다. 또, PUCCH 영역 a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는, 각각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CCE와 1 대 1로 관련지어져 있고, 이 관련화에 관한 정보는, 미리 기지국(300)과 단말(400)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다.
〈기지국(300)에 의한 하향회선 데이터의 할당〉
기지국(300)은, 단말(400)에 대해서, 서브프레임으로 불리는 시간 단위마다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는지 어떤지를 결정한다. 또, 기지국(300)이 어느 서브프레임으로 단말(400)에 대해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몇개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하는지 (할당하는지)도 결정한다. 즉,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기지국(300)이 단말(400)에 대해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2개의 하향 단위밴드를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300)은 단말(400)에 설정되어 있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와「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의 양쪽을 이용하여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한다. 한편,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하향 단위밴드를 1개 할당하는 경우, 기지국(300)은 단말(400)에 설정되어 있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만을 이용해서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400)에 송신해야 할 하향회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기지국(300)은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도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단말(400)에 의한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
단말(400)은, 미리 기지국(300)으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를 특정한다. 이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관한 통지 정보는, 데이터 채널로 송신된다. 따라서, 제어부(409)는, CRC부(212)를 경유하여 수취하는 수신 데이터로부터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를 취득한다.
또, 판정부(208)가, 각 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에 자장치(自裝置)앞으로의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자신앞으로의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추출부(204)에 출력한다.
추출부(204)는, 판정부(208)로부터 수취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하향회선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렇게 해서 단말(400)은, 기지국(30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는,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는 하향회선 데이터(DL data)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고, 하향 단위밴드 2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는, 하향 단위밴드 2로 송신되는 하향회선 데이터의 송신에 이용되는 리소스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따라서, 단말(400)은, 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 및 하향 단위밴드 2로 송신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하향 단위밴드 1 및 하향 단위밴드 2의 양쪽으로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반대로, 단말이 어느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할 수 없으면, 단말(400)은, 해당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다.
〈단말(400)에 의한 응답〉
CRC부(212)는, 수신에 성공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에 대응하는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해 오류 검출을 행하고, 오류 검출 결과를 제어부(409)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409)는, 각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 및 CRC부(212)로부터 수취하는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응답신호의 송신 제어를 행한다.
즉,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 및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어느것도 「오류 없음」일 경우(즉, ACK/ACK의 경우), PUCCH 리소스 1(즉, PUCCH 영역 a의 리소스)을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1 위상점(예를 들면, (I, Q)=(0, j) 등)이 이용된다. 또, PUCCH 리소스 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단말(400)앞으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와 관련지어져 결정된다.
또,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면서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에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즉, ACK/DTX의 경우), PUCCH 리소스 1(즉, PUCCH 영역 a의 리소스)을 이용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때의 응답신호에는, 제2 위상점(예를 들면, (I, Q)=(-1, 0) 등)이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면서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있음」일 경우(즉, ACK/NACK의 경우)에도, PUCCH 리소스 1(즉, PUCCH 영역 a의 리소스)에 대해서, 제2 위상점(예를 들면, (I, Q)=(-1, 0) 등)을 설정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또,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있음」이면서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에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검출하지 않았을 경우(즉, NACK/DTX의 경우), PUCCH 리소스 1의 제3 위상점(예를 들면, (I, Q)=(1,0) 등)을 이용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것에 비해서,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검출하지 않으면서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었을 경우(즉, DTX/ACK의 경우)에는, PUCCH 리소스 2(즉, PUCCH 영역 b의 리소스)에 대해 제 4 위상점을 설정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단, 이 제4 위상점은, 제1부터 제3 위상점의 어느것인가와 동일한 위상점이어도 좋다(예를 들면, (I, Q)=(-1, 0) 등). 마찬가지로,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있음」이면서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없음」이었을 경우(즉, NACK/ACK의 경우)에도, PUCCH 리소스 2(즉, PUCCH 영역 b의 리소스)에 대해서 제 4 위상점을 설정하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또, 제어부(409)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검출하지 않으면서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가 「오류 있음」이었을 경우(즉, DTX/NACK의 경우)에는, PUCCH 리소스 2(즉, PUCCH 영역 b의 리소스)에 대해 제 5 위상점을 설정해서,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단, 제5 위상점은, 제4 위상점과 다르면, 제1부터 제3 위상점의 어느것인가와 동일한 위상점이어도 좋다(예를 들면, (I, Q)=(1,0) 등).
이와 같이, 도 1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PUCCH 리소스 1의 3개의 위상점 및 PUCCH 리소스 2의 2개의 위상점의 각각에 대해서, 1개 또는 복수의 수신 상황 패턴이 대응지어져 있다. 따라서, PUCCH 리소스 1에서는 QPSK의 위상점 중 3개의 위상점이 이용되고, PUCCH 리소스 2에서는 BPSK의 2개의 위상점이 이용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지국(300)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해 단말(400)에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으면 안되는 시간의 비율(즉, 서브프레임의 비율)은, 크지 않다고 생각된다. 왜냐하면, 기지국(300)과 통신하는 단말수가 충분히 많을 경우에는, 일부 단말만이 연속해서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계속 점유하는 상황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말(400)에서 보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해 하향회선 데이터가 송신되는 빈도는 적기 때문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검출하는 빈도도 적어진다. 즉, 단말(400)은,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대해서 「DTX」를 피드백할 기회가 많아진다.
또, 실시형태 1 및 2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기지국(300)은 하향회선 데이터의 상정 오류율(Target Block Error Rate :Target BLER)이 0%~30%정도가 되도록, 하향회선 데이터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제어한다. 그 때문에, 단말(300)측인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검출했을 경우에는, 그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응답신호는 「ACK」으로 될 가능성이 높다. 또, 실시형태 2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지국은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상정 오류율이 0%~1%정도가 되도록,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부호화율 및 변조 방식을 제어한다. 그 때문에, 기지국(300)이 실제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송신했을 경우에 있어서, 단말(400)이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수신에 실패할 확률은 매우 낮다.
이것에서, 단말측으로부터 응답신호를 송신해야 할 상황(즉, 단말측에서 1개이상의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된 상황)에 있어서의,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응답신호가 취할 수 있는 상태의 확률은, 하기의 식(1)에 표시되는 대소 관계를 가지는데 비해,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응답신호가 취할 수 있는 상태일 확률은, 하기의 식(2)에 표시되는 대소 관계를 가진다.
ACK가 되는 확률>NACK가 되는 확률>DTX가 되는 확률???(1)
DTX가 되는 확률>ACK가 되는 확률>NACK가 되는 확률???(2)
따라서, DTX/DTX를 제외한 단말(400)측에서 인식되는 8개의 응답신호 상태(즉, A/A, A/N, A/D, N/N, N/D, D/A, N/A, D/N) 중, 가장 발생 확률이 높은 것은, A/D(즉,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1, 2 중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하향 단위밴드 1)로 송신된 하향회선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고,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하향 단위밴드 2)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지 않는(즉, 하향 단위밴드 2로 하향회선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반대로, 가장 발생 확률이 낮은 것은, D/N(즉,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하향 단위밴드 1)에 있어서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지 않고,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하향 단위밴드 2)에 있어서의 하향 할당 제어정보는 검출되었지만 대응하는 하향회선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는 상태(패턴 후보))가 된다. 왜냐하면, 기지국(300)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을 행할 때에만 하향 단위밴드 2를 경유하여 하향회선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D/A」 「D/N」 상태는, 다시말하면, 기지국(300)이 하향 단위밴드 1, 2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및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송신했음에도 불구하고, 단말(300)측에서 하향 단위밴드 1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수신에 실패했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는 한편 하향회선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고,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PUCCH 영역 a내의 PUCCH 리소스 1을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즉, Channel Selection의 동작에 의해 이용 리소스 및 위상점이 결정된 응답신호)가 송신된다.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지 않고, 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응하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는 한편 하향회선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PUCCH 영역 b내의 PUCCH 리소스 2를 이용하여 묶음 응답신호가 송신된다. 이것에 의해, PUCCH 영역 b가 이용되는 빈도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PUCCH 영역 b에 의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서 PUCCH 영역 b에 포함되는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에 있어서의 다중도를 크게 하여도, 묶음 응답신호가 PUCCH 영역 b에 매핑되는 빈도가 작게 억제되고 있으므로, 부호간 간섭이 증가하는 것도 억제되고 있다. 이렇게 해서,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향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제어 채널(즉, CCE 리소스)에 관련지어져서 확보된 PUCCH 영역 a의 리소스에 대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기인해서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PUCCH 영역(즉, PUCCH 영역 b)이 점유하는 시간 주파수 리소스 수를 대폭으로 삭감하기 위해서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증가시켜도, PUCCH 리소스 2가 사용될 확률을 낮춤으로써,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의 증가에 기인하는 부호간 간섭의 영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PUCCH 리소스 2가 사용될 확률을 낮추는 것은, ACK/DTX의 경우에는 PUCCH 리소스 1을 이용하는 한편 DTX/NACK의 경우에는 PUCCH 리소스 2를 이용하는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또, ACK/ACK 또는 NACK/DTX등의 비교적 발생 확률이 높은 상태를 PUCCH 리소스 1에 매핑하고, NACK/ACK이나 DTX/ACK등의 비교적 발생 확률이 낮은 상태를 PUCCH 리소스 2에 매핑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다시말하면, 「ACK/*」는, PUCCH 리소스 1(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관련지어진 PUCCH 영역 b)에, 「*/DTX」도, PUCCH 리소스 1에, 「DTX/*」는, PUCCH 리소스 2(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관련지어진 PUCCH 영역 b)에 매핑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 PUCCH 리소스 1에는, QPSK의 심볼점이 이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UCCH 리소스 2에 대해서는 BPSK의 심볼점이 이용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PUCCH 영역 b에 있어서의 부호간 간섭이 약간 커졌다 하더라도, PUCCH 리소스 2를 이용했을 경우의 채널 셀렉션(Channel selection) 상태 판정의 정밀도는 열화되기 어렵다. 따라서, PUCCH 영역 b의 오버헤드를 삭감하기 위해서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를 증가시켜도 시스템에 대한 악영향은 더욱 작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말(400)에 있어서, 제어부(409)가,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송신되는 하향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지 않고,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PUCCH 영역 a내의 PUCCH 리소스 1을 이용해서 묶음 응답신호(즉, Channel Selection의 동작에 의해 이용 리소스 및 위상점이 결정된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지 않고,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단위밴드에 있어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검출되는 한편 송신된 하향 데이터에 오류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PUCCH 영역 b내의 PUCCH 리소스 2를 이용해서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묶음 응답신호가 PUCCH 영역 b에 매핑되는 빈도를 PUCCH 영역 a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묶음 응답신호가 PUCCH 영역 b에 매핑되는 빈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부호간 간섭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PUCCH 영역 b의 다중도를 크게 하여 PUCCH 영역 b에 의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PUCCH 리소스 2에 관한 정보가, 미리 기지국(300)과 단말(400)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즉, PUCCH 리소스 2에 관한 정보가, 명시적(Explicit)으로 기지국(300)으로부터 단말(400)에 통지되고 있다고 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UCCH 리소스 2도, PUCCH 리소스 1과 마찬가지로,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에 대응지어 정의되어도 좋다. 즉, 암시적(Implicit)인 PUCCH 리소스 2에 대한 시그널링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PUCCH 리소스 2에 관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삭감할 수 있다.
또, PUCCH 리소스 2가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고 있던 CCE에 대응지어질 경우에, PUCCH 영역 b에 확보되는 리소스 수를 삭감하기 위해,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복수의 CCE(예를 들면 연속된 m개의 CCE)를, PUCCH 영역 b내의 1개의 PUCCH 리소스 2와 관련지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향 제어 채널의 PUCCH 영역 b내에서 정의되어야 할 PUCCH 리소스 2의 총 수는 CCE수/m까지 삭감되므로, PUCCH 오버헤드가 더욱 삭감된다.
또 덧붙여, 이상의 설명에서는, PUCCH 리소스 1이 포함되는 PUCCH 영역 a와 PUCCH 리소스 2가 포함되는 PUCCH 영역 b가 중복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UCCH 영역 a와 PUCCH 영역 b의 일부 또는 전부가 중복되고 있어도 좋다. 중요한 것은, 어느 단말이 어느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인식해야 할 PUCCH 리소스 1과 PUCCH 리소스 2가 다르도록, 기지국측에서 제어되고 있으면 좋다. 이렇게 해서 기지국(300)이 PUCCH 영역 a와 PUCCH 영역 b를 중복해서 준비함으로써, 본 시스템에 있어서의 PUCCH 오버헤드는, LTE 시스템과 동등하게까지 삭감된다.
또 덧붙여, 이상의 설명에서는, 1차 확산에 ZAC 계열을 이용하고, 2차 확산에 직교 부호 계열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1차 확산에는, ZAC 계열 이외의,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량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한 계열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GCL(Generalized Chirp like) 계열,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 Correlation) 계열, ZC(Zadoff-Chu) 계열, M계열이나 직교 골드 부호 계열 등의 PN계열, 또는, 컴퓨터에 의해 랜덤하게 생성된 시간축상에서의 자기 상관 특성이 급준한 계열 등을 1차 확산에 이용해도 좋다. 또, ZAC 계열은, 순환 쉬프트를 실시해야 하는 베이스가 되는 계열이라는 의미에서의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와, 순환 쉬프트량(Cyclic shift index)의 조(組)로서 나타낼 수도 있다. 또, 2차 확산에는, 서로 직교하는 계열, 또는, 서로 거의 직교한다고 볼 수 있는 계열이면 어떠한 계열을 직교 부호 계열로서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월쉬 계열 또는 푸리에 계열 등을 직교 부호 계열로서 2차 확산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ZAC 계열의 순환 쉬프트량과 직교 부호 계열의 계열 번호에 의해 응답신호의 리소스(예를 들면, PUCCH 리소스)가 정의되어 있다.
또 덧붙여, 이상의 설명에서는, 기지국(300)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을 행할 때는, 반드시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를 이용한다고 했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지국(300)이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을 행할 때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를 이용하는 빈도가,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하지 않는 통신을 행할 때에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를 이용하는 빈도보다 충분히 크면, 상기 식(1)(2)는 성립하고,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 1 내지 3에 공통되는 특징을 정리한다. 실시형태 1 내지 3에는, 단말이 다음의 응답신호 송신 룰에 따라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이 응답신호 송신 룰에는, 단말에 있어서의, 복수의 하향 할당 제어신호의 수신 성공 여부 및 복수의 하향회선 데이터에 관한 오류 검출 결과에 의해 규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 후보와, PUCCCH 리소스 및 위상점의 페어가 대응지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생 확률이 가장 높은 수신 상황 패턴은, 제1 PUCCH 영역의 리소스와 대응지어지는 한편, 발생 확률이 가장 낮은 수신 상황 패턴은, 제1 PUCCH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다른 제2 PUCCH 영역의 리소스와 대응지어져 있다. 이 제1 PUCCH 영역의 리소스는, 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기본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리소스이고, 실시형태 3에서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리소스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묶음 응답신호가 제2 PUCCH 영역에 매핑되는 빈도를 제1 PUCCH 영역보다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묶음 응답신호가 제2 PUCCH 영역에 매핑되는 빈도를 작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부호간 간섭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제2 PUCCH 영역의 다중도를 크게 하여 제2 PUCCH 영역에 의한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1)실시형태 1 내지 3에서는, 하향 할당 제어정보 및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을 단말측에서 실패할 가능성이 낮은 것에 착안하고, 실시형태 3에서는, 다시 기지국이 단말에 대해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의한 통신을 행하는 빈도가 낮은 것에 착안하여, PUCCH 영역 1(또는 a)의 리소스의 사용 확률을 가능한 한 높게함과 함께, PUCCH영역 2(또는 b)의 리소스의 사용 빈도를 가능한 한 낮게 했다. 그렇지만, PUCCH 영역 1(또는 a)의 리소스의 사용 확률과 PUCCH 영역 2(또는 b)의 리소스의 사용 확률의 차(差)를 수배정도로 억제하는 매핑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3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응답신호가 ACK, NACK, DTX가 되는 확률을 각각, 89%, 10%, 1%라고 하고,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에 대한 응답신호가 DTX, ACK, NACK가 되는 확률을 각각, 90%, 9%, 1%라고 가정하면, 도 12에 있어서의 PUCCH 영역 b의 리소스 사용확률은, 1% 정도가 되어버린다. 즉, PUCCH 영역 b의 리소스의 사용 확률은, PUCCH 영역 a의 리소스의 사용 빈도에 대해서 너무나도 큰 차(差)가 나고 있다. 그 때문에,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K/ACK이나, NACK/DTX 등의 비교적 발생 빈도가 높은 수신 상황 패턴을 PUCCH 영역 b의 리소스에 옮김으로써, PUCCH 영역 a의 리소스와 PUCCH 영역 b의 리소스의 사용 빈도의 차를 수배 이내로 억제하는 매핑도 유용하다. 즉, 수신 상황 패턴 중 가장 발생 확률이 높은 ACK/DTX를 PUCCH 영역 a의 리소스에 매핑한다고 하는 조건하에서, 여러가지 요인을 고려하면서, PUCCH 영역의 사용 빈도 차의 밸런스를 최적화하도록, 기타 수신 상황 패턴을 복수의 PUCCH 영역 내의 어느것인가에 매핑한다고 하는 응용이 가능하다. 이 PUCCH 영역간의 사용 빈도 밸런스를 최적화하는 것도 유용한 것은, 실시형태 1 및 2의 경우에도 해당된다.
(2)실시형태 1 및 2에서는, 기본 PUCCH 리소스를 포함한 기본 영역과, 추가 PUCCH 리소스를 포함한 추가 영역에 대해서,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내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可能數)가 독립적으로 결정되고, 또, 기본 영역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 쪽이 추가 영역보다 작은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즉, PUCCH 신호를 넣을 수 있는 상자(즉, PUCCH 리소스)의 수는, 기본 영역의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내보다도 추가 영역의 단위시간 주파수 리소스 내에서, 보다 많이 준비되어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질상, 기본 영역의 최대 부호 다중 가능수 쪽이 추가 영역보다 작으면 좋다.
예를 들면, 기본 영역과 추가 영역에 대해서, 순회 쉬프트량으로서 취할 수 있는 포지션중에서 이용하는 포지션수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었다 하더라도, 이하의 조건(a)~(c)를 모두 만족시킬 경우에는, 실질상, 상정되는 기본 영역내의 최대 부호 다중수가 추가 영역의 최대 부호 다중수에 비해 작게 된다.
(a)기본 영역내의 PUCCH 리소스가 기본 단위밴드의 CCE와 1 대 1로 관련지어져 있어, 「단말이 수신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점유하는 CCE 번호로부터 PUCCH 사용 리소스가 결정된다. 즉, PUCCH 리소스가, 암시적으로(Implicit) 통지되고 있다.
(b)추가 영역내의 PUCCH 리소스에 대해서는 기지국으로부터 단말에 사용해야 할 리소스 번호가 명시적(Explicit)으로 통지된다.
(c)1개의 L1/L2CCH가 복수의 CCE를 점유하는 일이 있으면서 또, 1개의 L1/L2CCH는 1개의 하향회선 데이터의 할당 정보를 통지한다.
이러한 조건(a)~(c)의 전부를 만족시킴으로써, 실질상, 상정되는 기본 영역내의 최대 부호 다중수가 추가 영역의 최대 부호 다중수에 비해 작아지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추가 영역에서는, 기지국이 전부의 PUCCH 리소스를 다른 단말에 할당할 수 있는 한편으로, 기본 영역에서는, 1개의 L1/L2 CCH가 복수의 CCE를 점유함에도 불구하고, 1개의 하향회선 데이터의 통지에만 이용되므로, 일부의 CCE가 미사용으로 되기 때문이다. 이 상황은, CCE가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송신뿐만이 아니고, 단말로부터의 상향 회선 데이터에 이용해야만 하는 상향 회선 리소스를 통지하는, 상향 할당 제어정보의 송신에도 이용될 경우에는, 보다 현저해 진다. 또한, 실시형태 3의,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진 PUCCH 영역 및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 이외의 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에 관련지어진 PUCCH 영역도, 상기 기본 영역 및 추가 영역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다.
(3)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에 대해서 구성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있어서의 단위밴드 그룹 중에, 하향 단위밴드가 2개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밴드 그룹 중에 3개 이상의 하향 단위밴드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각각의 하향 단위밴드에 대응하는 PUCCH 영역이, 따로 따로 정의된다.
(4)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에 대해서 구성된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있어서의 단위밴드 그룹 내에, 상향 단위밴드가 1개만 포함되고, 기본 PUCCH 리소스와 추가 PUCCH 리소스가 동일 상향 단위밴드에 포함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위밴드 그룹 내에 복수의 상향 단위밴드가 포함되어 있고, 또, 기본 PUCCH 리소스와 추가 PUCCH 리소스가 다른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 정의되어 있어도 좋다.
(5)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비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에 대해서만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데이터 송신에 관해서 대칭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적용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단말의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상향 단위밴드 내에, 복수의 PUCCH 영역이 정의되어 있고, 하향회선 데이터의 수신 성공 여부 상황에 따라 어느 PUCCH 영역에 있어서의 PUCCH 리소스를 이용하는지 결정하는 경우이면,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6)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의 제어부(101, 301)는, 하향회선 데이터와 해당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동일한 하향 단위밴드에 매핑하도록 제어한다고 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향회선 데이터와 해당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다른 하향 단위밴드에 매핑되어 있어도, 하향 할당 제어정보와 하향회선 데이터의 대응 관계가 명확하면, 반드시, 하향회선 데이터와 해당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가 동일한 하향 단위밴드에 매핑될 필요는 없다. 이 경우, 단말측에서는, PUCCH 리소스를, 「대응하는 하향 단위밴드로 송신되는 하향회선 데이터에 대한 하향 할당 제어정보(하향회선 데이터와 동일한 하향 단위밴드에 존재한다고는 할 수 없음)가 점유하고 있던 리소스(CCE)」에 대응지어진 PUCCH 리소스, 로서 구한다.
(7)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ZAC 계열은, 순환 쉬프트 처리를 실시하는 베이스가 되는 계열이라는 의미에서, 베이스 시퀀스(Base sequence)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또, 월쉬 계열은, 월쉬 부호 계열(Walsh code sequence) 이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8)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말측의 처리 순서로서 1차 확산, IFFT 변환의 뒤에, 2차 확산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의 순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1차 확산, 2차 확산은 모두 곱셈 처리이기때문에, 1차 확산 처리의 후단에 IFFT 처리가 있는 한, 2차 확산 처리의 장소는 어디에 있어도 등가의 결과가 얻어진다.
(9)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확산부는, 어느 신호에 계열을 곱셈하는 처리이기 때문에, 곱셈부라고 불리는 일도 있다.
(10)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하드웨어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각 기능 블록은, 전형적으로는 집적회로인 LSI로서 실현된다. 이들은 개별적으로 1칩화되어도 좋고,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도록 1칩화되어도 좋다. 여기에서는, LSI라고 했지만, 집적도의 차이에 의해, IC, 시스템 LSI, 슈퍼 LSI, 울트라 LSI라고 호칭되는 일도 있다.
또, 집적회로화의 수법은 LSI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되어도 좋다. LSI 제조 후에, 프로그램하는 것이 가능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나, LSI 내부의 회로 셀의 접속이나 설정을 재구성 가능한 리컨피규러블 프로세서를 이용해도 좋다.
또, 반도체 기술의 진보 또는 파생하는 별개의 기술에 의해 LSI에 대체되는 집적회로화의 기술이 등장하면, 당연히, 그 기술을 이용해서 기능 블록의 집적화를 행해도 좋다. 바이오 기술의 적용등이 가능성으로서 있을 수 있다.
2009년 6월 19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9-146592의 일본 출원 및 2009년 11월 2 일에 출원한 특허출원 2009-252051의 일본 출원에 포함되는 명세서, 도면 및 요약서의 개시 내용은, 모두 본원에 원용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은, 상향 단위밴드 및 상향 단위밴드와 대응지어진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를 사용한 통신에 있어서 ARQ가 적용될 경우에, 응답신호의 전송 특성의 열화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향 제어 채널의 오버헤드의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용하다.
100 : 기지국
101, 209, 301, 409 : 제어부
102, 302 : 제어정보 생성부
103, 106 : 부호화부
104, 108, 214 : 변조부
105 : 통지 신호 생성부
107, 307 : 데이터 송신 제어부
109 : 매핑부
110, 217 : IFFT부
111, 218 : CP부가부
112, 219 : 무선 송신부
113, 201 : 무선 수신부
114, 202 : CP제거부
115 : PUCCH 추출부
116 : 역확산부
117 : 계열 제어부
118 : 상관 처리부
119, 208 : 판정부
120 : 재송 제어신호 생성부
200 : 단말
203 : FFT부
204 : 추출부
205 : 통지 신호 수신부
206, 210 : 복조부
207, 211 : 복호부
212 : CRC부
213 : 응답신호 생성부
215 : 1차 확산부
216 : 2차 확산부

Claims (6)

  1.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와 상향 단위밴드로 되어있는 단위밴드 그룹을 이용해서 기지국과 통신하고, 상기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에 배치되는 복수의 하향 데이터의 오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1개의 묶음 응답신호를 상기 상향 단위밴드의 상향 제어 채널로 송신하는 단말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내의 적어도 1개의 하향 데이터 채널로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향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된 하향 데이터의 수신 오류의 유무를 검출하는 오류 검출 수단과,
    상기 오류 검출 수단으로 얻어진 오류 검출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어느것인가를 이용하여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발생 확률이 높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고, 발생 확률이 낮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내의 적어도 1개의 하향 제어 채널로 송신된 하향 할당 제어정보를 수신하는 제어정보 수신 수단을 더 가지고,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은, 상기 오류 검출 수단으로 얻어진 오류 검출 결과 및 상기 하향 할당 제어정보의 수신 성공 여부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 제어 채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어느것인가를 이용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단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소정수의 구성 리소스로 되어있는 리소스 블록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응답 제어 수단이 상기 묶음 응답신호를 매핑할 수 있는 리소스 수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리소스 수보다, 상기 제2 영역에 포함되는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리소스 수 쪽이 많은, 단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는, 상기 상향 단위밴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통지 채널 신호가 송신되는 하향 단위밴드인 기본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리소스인 단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는, 다른 하향 단위밴드에 우선(優先)하여 하향회선 데이터에 할당되는 우선(優先)하향 단위밴드의 하향 제어 채널과 관련지어진 리소스인, 단말장치.
  6.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복수의 하향 단위밴드 내의 적어도 1개의 하향 데이터 채널로 송신된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향 데이터 수신 스텝과,
    상기 수신된 하향 데이터의 수신 오류을 검출하는 오류 검출 스텝과,
    상기 오류 검출 스텝에서 얻어진 오류 검출 결과에 의해 결정되는 수신 상황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밴드 그룹에 포함되는 상향 단위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제어 채널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의 어느것인가를 이용해서 묶음 응답신호를 송신하는 응답 제어 스텝을 구비하고,
    상기 응답 제어 스텝에서는, 발생 확률이 높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상기 묶음 응답신호가 송신되고, 발생 확률이 낮은 수신 상황 패턴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영역의 리소스를 이용해서 상기 묶음 응답신호가 송신되는, 재송 제어 방법.
KR1020117029884A 2009-06-19 2010-06-18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KR101751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46592 2009-06-19
JPJP-P-2009-146592 2009-06-19
JP2009252051 2009-11-02
JPJP-P-2009-252051 2009-11-02
PCT/JP2010/004099 WO2010146879A1 (ja) 2009-06-19 2010-06-18 端末装置および再送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481A true KR20120032481A (ko) 2012-04-05
KR101751675B1 KR101751675B1 (ko) 2017-06-28

Family

ID=4335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884A KR101751675B1 (ko) 2009-06-19 2010-06-18 단말, 기지국, 송신 방법, 수신 방법 및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9) US9136985B2 (ko)
EP (4) EP2445249A4 (ko)
JP (2) JP5468070B2 (ko)
KR (1) KR101751675B1 (ko)
CN (2) CN104301076B (ko)
BR (1) BRPI1014497A2 (ko)
CA (1) CA2764652C (ko)
DE (1) DE202010018622U1 (ko)
ES (1) ES2739506T3 (ko)
HU (1) HUE043854T2 (ko)
MY (1) MY158826A (ko)
PL (1) PL3402108T3 (ko)
RU (1) RU2526840C2 (ko)
WO (1) WO2010146879A1 (ko)
ZA (1) ZA2011092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43280B2 (en) 2009-04-21 2015-09-22 Optis Wireless Technology, Llc Terminal apparatus and retransmission control method
JPWO2010146880A1 (ja) * 2009-06-19 2012-12-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および再送制御方法
CN104301076B (zh) 2009-06-19 2018-01-12 知识产权之桥一号有限责任公司 终端、基站、发送方法、接收方法以及集成电路
PT2464048T (pt) 2009-08-07 2019-01-23 Sun Patent Trust Dispositivo terminal e método de controlo de retransmissão
US8755326B2 (en) * 2009-12-10 2014-06-17 Lg Electronics Inc. Repeater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transceiving signa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same
JP5883248B2 (ja) * 2011-07-27 2016-03-0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GB2493917B (en) * 2011-08-19 2016-04-06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cast transmissions
JP6044901B2 (ja) 2012-05-11 2016-12-14 サン パテント トラスト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集積回路
CN104365139B (zh) * 2012-07-18 2018-02-06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和缓冲区划分方法
CN104471976B (zh) * 2012-08-02 2018-05-01 太阳专利信托公司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发送方法
WO2014068839A1 (ja) * 2012-10-30 2014-05-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US20160270033A1 (en) * 2013-10-14 2016-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enhancing cover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080227B2 (en) * 2014-09-11 2018-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sign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6162874B (zh) * 2015-04-10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信息接收方法、装置及用户设备
WO2017117795A1 (zh) * 2016-01-08 2017-07-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号的发送方法、接收方法、终端设备、基站及系统
CN109478957A (zh) * 2017-05-04 2019-03-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信息传输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CN110324130B (zh) * 2018-03-30 2021-08-24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Pucch资源的指示及确定方法、基站、终端、可读介质
US10772153B2 (en) * 2018-04-27 2020-09-08 Cavium,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two-stage ACK/DTX detection
EP3793112A4 (en) * 2018-05-11 2021-12-08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CESS
CN114040414A (zh) * 2021-10-09 2022-02-1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877A (ko) * 2004-01-16 2005-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재전송 장치 및 방법
EP1944896A1 (en) * 2007-01-09 2008-07-1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figuration of control channe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153367A1 (en) * 2007-06-15 2008-12-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acquiring ack/nack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350670B1 (ko) * 2007-08-14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Tdd에 기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JPWO2009037853A1 (ja) * 2007-09-21 2011-0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基地局装置、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応答信号割当方法
JP2009146592A (ja) 2007-12-11 2009-07-02 Yazaki Corp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2009252051A (ja) 2008-04-08 2009-10-29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1296513B (zh) 2008-04-22 2013-05-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物理上行控制信道干扰随机化的方法
CN101267253B (zh) * 2008-04-25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检测dtx的确认信息表示方法、ue和基站
CN101448332B (zh) * 2008-12-31 2011-12-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大带宽系统中上行控制信道资源映射方法及装置
JP5504331B2 (ja) 2009-03-18 2014-05-28 ノキア シーメンス ネットワークス オサケユキチュア データを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
CN101873706A (zh) * 2009-04-24 2010-10-2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在多载波系统中反馈确认/未确认消息的方法
CN104301076B (zh) * 2009-06-19 2018-01-12 知识产权之桥一号有限责任公司 终端、基站、发送方法、接收方法以及集成电路
KR101781871B1 (ko) 2009-07-16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장치가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PT2464048T (pt) 2009-08-07 2019-01-23 Sun Patent Trust Dispositivo terminal e método de controlo de retransmissão
US20110222491A1 (en) * 2010-03-09 2011-09-1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control information with enhanced coverage in a wireles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45249A4 (en) 2017-06-28
MY158826A (en) 2016-11-15
EP2445249A1 (en) 2012-04-25
CN104301076B (zh) 2018-01-12
US20180302883A1 (en) 2018-10-18
US10827482B2 (en) 2020-11-03
US10257822B2 (en) 2019-04-09
CN104301076A (zh) 2015-01-21
KR101751675B1 (ko) 2017-06-28
JP5468070B2 (ja) 2014-04-09
JPWO2010146879A1 (ja) 2012-12-06
EP4087313B1 (en) 2024-01-10
ES2739506T3 (es) 2020-01-31
WO2010146879A1 (ja) 2010-12-23
HUE043854T2 (hu) 2019-09-30
US20170164341A1 (en) 2017-06-08
BRPI1014497A2 (pt) 2019-04-30
RU2011151390A (ru) 2013-07-27
US20210022123A1 (en) 2021-01-21
US10028268B2 (en) 2018-07-17
US9397809B2 (en) 2016-07-19
US20120092982A1 (en) 2012-04-19
EP3293999A1 (en) 2018-03-14
EP3293999B1 (en) 2022-09-21
EP3402108A1 (en) 2018-11-14
JP5647745B2 (ja) 2015-01-07
US10512071B2 (en) 2019-12-17
US9136985B2 (en) 2015-09-15
EP3402108B1 (en) 2019-05-22
US20200084755A1 (en) 2020-03-12
US9641302B2 (en) 2017-05-02
ZA201109233B (en) 2013-02-27
US9756634B2 (en) 2017-09-05
US20160028522A1 (en) 2016-01-28
CN102461245A (zh) 2012-05-16
EP4087313A1 (en) 2022-11-09
CN102461245B (zh) 2014-11-12
CA2764652A1 (en) 2010-12-23
US20190200329A1 (en) 2019-06-27
US20160301507A1 (en) 2016-10-13
CA2764652C (en) 2017-02-28
RU2526840C2 (ru) 2014-08-27
DE202010018622U1 (de) 2018-12-20
US11310789B2 (en) 2022-04-19
PL3402108T3 (pl) 2019-11-29
US20170359809A1 (en) 2017-12-14
JP2014096843A (ja)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10789B2 (en) Base station devic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6778909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1728187B1 (ko) 단말 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
KR20120039696A (ko) 단말장치 및 재송 제어 방법
WO2010146880A1 (ja) 端末装置および再送制御方法
WO2011052235A1 (ja) 端末装置及び再送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