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269A -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269A
KR20120029269A KR1020100091258A KR20100091258A KR20120029269A KR 20120029269 A KR20120029269 A KR 20120029269A KR 1020100091258 A KR1020100091258 A KR 1020100091258A KR 20100091258 A KR20100091258 A KR 20100091258A KR 20120029269 A KR20120029269 A KR 20120029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layer
conductiv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덕
황성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269A/ko
Publication of KR20120029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2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shape, e.g. curved or truncated substr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1회 적층되고, 복수 개의 홀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발광 유닛 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적층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발광 유닛 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Stack structure including graphene and light emitting device employing the same}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그래핀 적층 구조물을 채용하여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와 같은 발광 소자는 반도체의 pn 접합에서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을 통해서 발광원을 구성하여, 다양한 색의 빛을 구현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를 말한다. 이와 같은 발광 소자는 수명이 길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며, 빛의 지향성이 우수하여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발광 소자는 충격 및 진동에 강하고, 예열 시간과 복잡한 구동이 필요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패키징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로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반도체 발광 소자 특히,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는 낮은 광 추출 효율은 보이는데, 이는 질화 갈륨(굴절률 약 2,4)과 빛이 방출되는 공기(굴절률 약 1.0) 사이의 큰 굴절률 차이에 의해서, 발광 소자에서 발생된 빛의 상당 부분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전반사되어 소멸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래핀 적층 구조를 채용하여 광 추출 효율이 향상된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적층 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1회 적층되고, 복수 개의 홀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 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적층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물은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2회 적층된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물은 순차로 적층된 제1그래핀, 유전체층 및 제2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 및 상기 적층 구조물 사이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물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물은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도전성 기판;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된 절연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는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 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는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2회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적층 구조는 순차로 적층된 제1그래핀, 유전체층 및 제2그래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구조물의 형태는 다각형 기둥 또는 원기둥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 및 상기 나노 구조물 사이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 구조물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은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도전성 기판;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된 절연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은 음의 굴절률과 광 투과 현상을 보일 수 있는 완벽한 렌즈(prefect lens)가 될 수 있으므로,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는 별도의 광학 렌즈가 필요 없으며, 종래의 광학 렌즈를 구비한 발광 소자보다 더 얇고,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은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나, 금속은 본래 광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메타물질의 광 투과도 역시 낮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은 금속보다 광 투과도가 우수한 그래핀을 사용하기 때문에,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보다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적층 구조물을 구비한 발광 소자는 종래에 반도체층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거나, 광 결정(photonic crystal)을 형성하여 전반사를 줄이는 경우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반사를 방지하여,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를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광 소자를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발광 소자를 CC'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발광 소자를 DD'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발광 소자(100)를 AA'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는 발광 유닛(10), 발광 유닛(10) 상에 마련된 적층 구조물(50)을 구비할 수 있다. 적층 구조물(50)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30)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40)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홀(6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00)는 발광 유닛(10) 및 적층 구조물(50) 사이에 마련된 형광체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유닛(10)은 빛을 방출 하는 유닛으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반도체 레이저, 무기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ce, EL),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형광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유닛(10)은 예를 들어, 화합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질화물 반도체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유닛(10)은 칩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LED 칩일 수 있다.
형광체층(20)은 발광 유닛(10)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자외선 영역의 광을 흡수하여,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형광체층(20)은 발광 유닛(10)에서 출사하는 광의 휘도, 균일성 등의 특성을 제어하여, 발광 소자(100)의 효율, 수명, 연색성, 색재현성 등의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형광체층(20)은 적색 형광체, 청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핀(graphene)(30)은 형광체층(2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그래핀(30)은 탄소원자들이 2차원 상에서 벌집 모양의 배열을 이루면서 원자 한 층의 두께를 가지는 전도성 물질이다. 그래핀(30)은 구조적,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며, 우수한 전도체로서 실리콘보다 약 100배 정도 빠른 전하 이동도를 가지고, 구리보다 약 100배 정도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30)은 투명도가 우수한데, 종래에 투명 전극으로 사용되던 ITO(indium tin oxide)보다 높은 투명도를 갖는다. 그래핀(30)은 발광 유닛(10) 상에 화학 증기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박리법, 에피택시(epitaxy) 성장법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래핀(30)의 두께는 약 0.34nm일 수 있다. 한편, 그래핀(30)은 복수 개의 그래핀이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층(40)이 그래핀(30)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유전체층(40)은 TiO2, MgFe2, SiO2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전체층(40)의 두께는 약 100nm 이하일 수 있다.
적층 구조물(50)은 그래핀(30)과 유전체층(40)을 포함하는 구조물일 수 있다. 도 2에는 적층 구조물(50)이 형광체층(20) 상에 순차로 그래핀(30)과 유전체층(40)이 적층된 구조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역으로 형광체층(30) 상에 순차로 유전체층(40)과 그래핀(30)이 적층된 구조물일 수 있다. 적층 구조물(50)은 주기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홀(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 구조물(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fishnet)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배열된 홀(60)의 주기는 수백 nm 이하일 수 있다. 도 1에는 홀(60)의 단면이 정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홀(60)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일 수 있다. 또한, 홀(60)의 단면은 더 복잡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60)의 단면은 SRR(split ring resonator)의 분할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홀(60)의 크기와 깊이는 100n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60)이 정사각형인 경우, 그 한 변의 길이가 100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조물(5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60)은 그 하부에 마련된 형광체층(20)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적층 구조물(50)은 복수 개의 나노 크기의 홀(60)이 형성된 규칙적인 구조에 의해서, 음의 굴절률(negative refractive index, n < 0)을 가질 수 있다. 자연계의 광학 매질은 양의 굴절률(positive refractive index, n > 0)을 갖는데, 본 실시예의 적층 구조물(50)은 이와 달리, 음의 굴절률을 갖을 수 있다. 굴절률은 유전율(permittivity)과 투자율(permeability)의 곱에 대한 제곱근으로, 자연계의 일반적인 물질은 보통 양의 값을 갖는다. 메타물질(metamaterial)은 일반적인 물질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음의 유전율, 음의 투자율 및 음의 굴절률을 가질수 있다. 일반적으로 굴절률은 빛의 파장에 따라서 변하는데, 메타물질의 경우, 특정 파장 영역에서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50)은 메타물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시광선, 자외선 또는 적외선 영역 등에서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조물(50)은 특이 광 투과(extraordianry optical transmission)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특이 광 투과 현상이란,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주기적인 구조물에서, 빛이 그 파장 이하의 개구를 통해서 투과하면서 강화되는 현상이며, 표면 플라즈몬 공명(surface plasmon resonances)과 보강 간섭 등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50)은 거기에 규칙적으로 주기를 갖고 형성된 홀(60)에 의해서 특이한 광 투과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음의 굴절률과 특이 광 투과 현상을 갖는 렌즈는 소멸파(evanescent wave)의 감쇠(decay)를 보상하여, 회절 한계를 넘어서는 해상도를 달성할 수 있는 완벽한 렌즈(perfect lens)가 될 수 있다. 또한, 완벽한 렌즈는 렌즈를 투과하는 빛을 흡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음의 굴절률과 특이 광 투과 현상을 보이는 적층 구조물(50)은 완벽한 렌즈(prefect lens)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50)을 구비한 발광 소자(100)는 별도의 광학 렌즈가 필요 없으며, 종래의 광학 렌즈를 구비한 발광 소자보다 더 얇고,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은 음의 굴절률을 가질 수 있으나, 금속은 본래 광 투과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메타물질의 광 투과도 역시 낮게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적층 구조물(50)은 금속보다 광 투과도가 우수한 그래핀(30)을 사용하기 때문에,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보다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적층 구조물(50)을 구비한 발광 소자(100)는 종래에 반도체층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거나, 광 결정(photonic crystal)을 형성하여 전반사를 줄이는 경우보다 더 효율적으로 전반사를 방지하여, 발광 소자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1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발광 소자(110)를 BB'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발광 소자(10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10)는 발광 유닛(10)과 그 위에 마련된 적층 구조물(55)을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물(55)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30)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층 구조물(55)에는 복수 개의 홀이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 구조물(55)은 그래핀(30)과 유전체층(40)이 교대로 적어도 2회 적층되어 있다. 또한, 발광 소자(110)는 적층 구조물(55) 상에 형광체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층 구조물(55)은 그래핀(30)과 유전체(40)이 교대하여 2회 이상 적층된 구조물일 수 있다. 도 4에는 적층 구조물(55)이 발광 유닛(10) 상에 순차로 그래핀(30)과 유전체층(40)이 교대하여 적층된 구조물로 도시되어 있으나, 역으로 발광 유닛(10) 상에 순차로 유전체층(40)과 그래핀(30)이 교대하여 적층된 구조물일 수 있다. 그리고, 적층 구조물(55)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홀(6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는 홀(65)의 단면이 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홀(65)의 단면은 다각형일 수 있다. 또한, 홀(65)의 단면은 더 복잡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65)의 단면은 SRR(split ring resonator)의 분할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홀(65)의 크기는 100nm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홀(65)이 원인 경우, 그 지름이 100nm 이하일 수 있다.
적층 구조물(55)은 복수 개의 나노 크기의 홀(65)이 형성된 규칙적인 구조에 의해서, 음의 굴절률(negative refractive index, n < 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적층 구조물(55)은 특이 광 투과(extraordianry optical transmission)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음의 굴절률과 특이 광 투과 현상을 갖는 적층 구조물(50)은 완벽한 렌즈(prefect lens)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55)을 구비한 발광 소자(110)는 별도의 광학 렌즈가 필요 없으며, 종래의 광학 렌즈를 구비한 발광 소자보다 더 얇고,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구조물(55)은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보다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2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발광 소자(120)를 CC'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발광 소자(100, 11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20)는 발광 유닛(10)과 그 위에 규칙적으로 마련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나노 구조물(80)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30)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40)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120)는 발광 유닛(10)과 나노 구조물(80) 사이에 마련된 형광체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제1그래핀(30), 유전체층(40) 및 제2그래핀(70)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그래핀(30)과 제2그래핀(70)은 서로 같은 그래핀일 수 있으며, 그 마련된 위치가 다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제1유전체층(40), 그래핀(30) 및 제2유전체층(40)이 순차로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형광체층(20) 상에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 주기는 수백 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물(8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기둥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나노 구조물(80)은 다각형 기둥 또는 원기둥일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물(80)은 더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구조물(80)의 단면은 SRR(split ring resonator)의 분할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나노 구조물(80)의 크기 및 높이 약 100 nm 이하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에 의해서, 음의 굴절률(negative refractive index, n < 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특이 광 투과(extraordianry optical transmission)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음의 굴절률과 특이 광 투과 현상을 갖는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완벽한 렌즈(prefect lens)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을 구비한 발광 소자(120)는 별도의 광학 렌즈가 필요 없으며, 종래의 광학 렌즈를 구비한 발광 소자보다 더 얇고,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은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보다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30)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발광 소자(13)를 DD'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발광 소자(100, 110, 120)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30)는 발광 유닛(10)과 그 위에 규칙적으로 마련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나노 구조물(85)은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30)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40)을 포함하며, 그래핀(30)과 유전체층(40)이 교대로 적어도 2회 적층된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130)는 나노 구조물(85)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은 그래핀(30)과 유전체층(40)이 교대로 적어도 2회 적층된 적층 구조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은 발광 유닛(10) 상에 주기적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그 주기는 수백 n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물(85)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나노 구조물(85)은 다각형 기둥일 수 있다. 또한, 나노 구조물(85)은 더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노 구조물(85)의 단면은 SRR(split ring resonator)의 분할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나노 구조물(85)의 크기 및 높이 약 100 nm 이하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은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에 의해서, 음의 굴절률(negative refractive index, n < 0)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은 특이 광 투과(extraordianry optical transmission)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음의 굴절률과 특이 광 투과 현상을 갖는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은 완벽한 렌즈(prefect lens)가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을 구비한 발광 소자(130)는 별도의 광학 렌즈가 필요 없으며, 종래의 광학 렌즈를 구비한 발광 소자보다 더 얇고, 광 추출 효율이 우수한 발광 소자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은 금속으로 형성된 메타물질보다 높은 광 투과도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1)는 도 2에 도시된 발광 소자(100)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발광 소자(11)는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20) 및 형광층(20) 상에 마련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0)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층(20) 및 적층 구조물(5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1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0) 대신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5), 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 8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광 소자(11)는 기판(1), 기판(1)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상에 마련된 활성층(3), 활성층(3)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상에 활성층(3)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4)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1전극(5)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상에 마련된 제2전극(6)을 포함하는 수평형 발광 소자일 수 있다. 한편,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은 n형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제2도전형 반도체층(4)은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3)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3)는 도 4에 도시된 발광 소자(110)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발광 소자(13)는 제2전극(6) 상에 마련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5) 및 적층 구조물(55)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층(20) 및 적층 구조물(55)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5) 대신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0), 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 8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광 소자(13)는 기판(1), 기판(1) 상에 마련된 제1전극(5), 제1전극(5)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상에 마련된 활성층(3), 활성층(3)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상에 마련된 제2전극(6)을 포함하는 수직형 발광 소자일 수 있다. 한편,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은 n형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제2도전형 반도체층(4)은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5)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5)는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120)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발광 소자(15)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20) 및 형광체층(20) 상에 마련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층(20) 및 나노 구조물(80)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15)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나노 구조물(80) 대신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0, 55), 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광 소자(15)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제1도전형 반도체층(2)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3),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하부에 마련되고, 제1도전형 반도체층(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5)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하면에 마련되고, 제2도전형 반도체층(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은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활성층(3)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의 일부까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에 채워진 도전체(5`)를 통해서 제1전극(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층(8)이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하부 및 도전체(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2전극(6) 상에는 제2전극 패드(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전극(5)은 도전성 기판일 수 있다. 한편,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은 n형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제2도전형 반도체층(4)은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광 소자(17)는 도 8에 도시된 발광 소자(130)를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발광 소자(17)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상에 마련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5) 및 나노 구조물(85)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층(20) 및 나노 구조물(85)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17)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나노 구조물(85) 대신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적층 구조물(50, 55), 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8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광 소자(17)는 제1도전형 반도체층(2),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제1도전형 반도체층(2)과 제2도전형 반도체층(4)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3),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하부에 마련되고, 제1도전형 반도체층(2) 및 제2도전형 반도체층(4)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5) 및 제2전극(6)을 포함하는 도전성 기판 및 제1전극(5)과 제2전극(6)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된 절연 격벽(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은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활성층(3) 및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의 일부까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비아홀에 채워진 도전체(5`)를 통해서 제1전극(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층(8)이 제2도전형 반도체층(4) 하부 및 도전체(5`)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절연 격벽(7)은 상기 도전성 기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비아홀에 절연체를 채워서 형성할 수 있으며, 제1전극(5) 및 제2전극(6)을 절연시킬 수 있다. 한편, 제1도전형 반도체층(2)은 n형 반도체층일 수 있으며, 제2도전형 반도체층(4)은 p형 반도체층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인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발광 유닛 20: 형광체층
30: 그래핀 40: 유전체층
50, 55: 적층 구조물 60, 65: 홀
70: 그래핀 80, 85: 나노 구조물
100, 110, 120, 130: 발광 소자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1회 적층되고, 복수 개의 홀이 주기적으로 형성된 적층 구조물.
  2.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 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홀이 형성된 적층 구조물;을 구비하는 발광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물은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2회 적층된 구조물인 발광 소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물은 순차로 적층된 제1그래핀, 유전체층 및 제2그래핀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단면은 다각형 또는 원인 발광 소자.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 및 상기 적층 구조물 사이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물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8.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물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발광 소자.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도전성 기판;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된 절연 격벽;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13. 발광 유닛; 및
    상기 발광 유닛 상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그래핀과 적어도 하나의 유전체층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인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을 구비하는 발광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상기 그래핀과 상기 유전체층이 적어도 2회 적층된 구조인 발광 소자.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구조는 순차로 적층된 제1그래핀, 유전체층 및 제2그래핀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물의 형태는 다각형 기둥 또는 원기둥인 발광 소자.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 및 상기 나노 구조물 사이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구조물 상에 마련된 형광체층을 더 포함하는 발광 소자.
  19.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나노 구조물은 음의 굴절률을 갖는 발광 소자.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상기 활성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이격되어 마련된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마련된 제1전극;
    상기 제1전극 상에 마련된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마련된 제2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에 마련된 제2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유닛은
    제1도전형 반도체층;
    제2도전형 반도체층;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과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사이에 마련된 활성층;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층 및 상기 제2도전형 반도체층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도전성 기판;
    상기 제1전극과 상기 제2전극 사이의 경계 영역에 마련된 절연 격벽;을 포함하는 발광소자.
KR1020100091258A 2010-09-16 2010-09-16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KR201200292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58A KR20120029269A (ko) 2010-09-16 2010-09-16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258A KR20120029269A (ko) 2010-09-16 2010-09-16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269A true KR20120029269A (ko) 2012-03-26

Family

ID=4613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258A KR20120029269A (ko) 2010-09-16 2010-09-16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2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7318A1 (en) * 2012-12-05 2014-06-12 Koninklijke Philips N.V. A color conversion arrangement, a lighting unit, a solid state light emitter package and a luminaire
WO2013136035A3 (en) * 2012-03-14 2014-09-18 Lamda Guard Technologies Ltd An optical device
KR101452632B1 (ko) * 2013-05-14 2014-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형 투과 반도체 소자
KR20150039598A (ko) * 2015-03-1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 전지 부스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6035A3 (en) * 2012-03-14 2014-09-18 Lamda Guard Technologies Ltd An optical device
JP2015510278A (ja) * 2012-03-14 2015-04-02 ラムダ ガ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リミテッド 光デバイス
US9890925B2 (en) 2012-03-14 2018-02-13 Lamda Guard Technologies Ltd Optical device
WO2014087318A1 (en) * 2012-12-05 2014-06-12 Koninklijke Philips N.V. A color conversion arrangement, a lighting unit, a solid state light emitter package and a luminaire
CN104854717A (zh) * 2012-12-05 2015-08-1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颜色转换装置、照明单元、固态发光体封装和灯具
US10094537B2 (en) 2012-12-05 2018-10-09 Philips Lighting Holding B.V. Color conversion arrangement, a lighting unit, a solid state light emitter package and a luminaire
KR101452632B1 (ko) * 2013-05-14 2014-10-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형 투과 반도체 소자
KR20150039598A (ko) * 2015-03-18 2015-04-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 전지 부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8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9595648B2 (en) Light-emitting device
US11038148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including nano-structured mirror
US914785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4467931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組立体
WO2020108558A1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WO2014141611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TWI596748B (zh) 顯示裝置
KR101339440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US8987767B2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US9960373B2 (en) Substrate for photoelectric device and photoelectr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200021275A (ko)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140894A (ja) 発光素子
WO2017043242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201900556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626919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1181269A (ja) 面発光素子
US11943952B2 (en)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nanostructures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26853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20120029269A (ko) 그래핀을 포함하는 적층 구조물 및 이를 채용한 발광 소자
KR101268543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268534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유기 발광 소자 제조 방법
WO2016076221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照明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5723344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JP2006100187A (ja) 有機el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