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9058A -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9058A
KR20120029058A KR1020100090883A KR20100090883A KR20120029058A KR 20120029058 A KR20120029058 A KR 20120029058A KR 1020100090883 A KR1020100090883 A KR 1020100090883A KR 20100090883 A KR20100090883 A KR 20100090883A KR 20120029058 A KR20120029058 A KR 20120029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slide portion
lathe
mounting body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항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항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항공
Priority to KR1020100090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9058A/ko
Publication of KR20120029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0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홈(12)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터렛(turret) 장착 바디(10);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마련된 홈(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결합되어 공작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촉하여 공작물을 위아래에서 고정 지지하는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를 포함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FEEDING APPARATUS FOR NC LATHE}
본 발명은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슬라이드부와 하부 슬라이드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제 1 나사홈을 통해서, 척킹할 공작물 외경에 맞게 적당하게 상부 공작물 집게와 하부 공작물 집게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부 공작물 집게와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가, 공작물의 주축에 수직 방향으로 진입하여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에서와 같이 축방향에서 소재를 클램핑함으로 인해 미끌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결과, 중량의 공작물(소재)도 쉽고 완벽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자동공급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자동공급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소재) 자동공급장치는 축방향에서 공작물 소재를 클램핑함으로 인해 미끌림이 발생하기 쉬워 완벽하게 이송(공급)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중량 소재의 정확한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NC 선반 터렛(turret)(가공용 툴 홀더 체결부) 운영상 외경 작업시 주축과의 충돌 위험이 많음으로 인해 사용시 부담이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를 척킹하는 척킹 집게의 형상이 점접촉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이며 바디에 조립되어 분해가 되지 않아서, 다양한 형태로 변화가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척킹할 공작물 외경에 맞게 적당하게 상부 공작물 집게 및 하부 공작물 집게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에서와 같이 축방향에서 소재를 클램핑함으로 인해 미끌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하고, 그 결과, 중량의 공작물(소재)도 쉽고 완벽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홈(12)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터렛(turret) 장착 바디(10);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마련된 홈(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결합되어 공작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촉하여 공작물을 위아래에서 고정 지지하는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를 포함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와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는, 상기 공작물의 주축에 수직 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공작물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는,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의 관통홀(24, 29)에 대응하여, 가이드봉(1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의 관통홀(24, 29)에 상기 가이드봉(15)이 삽입되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홀(32, 3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볼트 삽입홀(32, 37)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제 1 나사홈(22, 2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는 상부 나사(40, 41)에 의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는 하부 나사(45, 46)에 의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와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홈(22, 27)은, 변화하는 상기 공작물의 외경에 맞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의 일측에,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를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나사홈(1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나사홈(19)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나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15)은, 상기 가이드봉(15)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외경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14)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4)에 대응되어, 상기 돌출부(14)가 삽입되도록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홀(24, 29)은 관통 나사홈이며, 상기 가이드봉(15)의 외경과 상기 관통홀(24, 29)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24) 및 상기 관통홀(29)는 서로 반대의 나사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소재 공급장치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NC 선반의 터렛(turret)에 간단히 장착하여 장시간 자동소재공급이 가능하다.
둘째,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홈(22, 27)은, 변화하는 상기 공작물의 외경에 맞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어서, 척킹할 공작물 외경에 맞게 적당하게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설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공작물 외경의 크기에 상관없이 척킹력을 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셋째, 터렛 운영상 스핀들 충돌 위험이 없으며 경제적이다.
넷째, 상부 공작물 집게(30)와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는, 공작물의 주축에 수직 방향으로 진입하여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에서와 같이 축방향에서 소재를 클램핑함으로 인해 미끌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 결과, 중량의 소재도 쉽고 완벽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를 통해서 공작물을 직접 이송(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를 통해서 공작물을 직접 이송(공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NC 선반(Numerically Controlled lathe)은 바이트의 운동이 수치 정보에 의한 지령으로 제어되는 선반으로, 컴퓨터 제어 선반을 말한다. 공구대의 이동이나 주축의 회전, 공구의 교환, 절삭유의 입출 등을 프로그램으로 제어할 수 있다. 수동으로 공구대를 움직이는 범용선반에서는 X축(전후 방향)과 Z축(좌우 방향)을 동시에 규칙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극히 어려운 일이다. NC선반은 프로그램에서 정해진 대로 공구대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테이퍼 형상이나 구면 형상의 부품을 비교적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는, 터렛(turret) 장착 바디(10);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 및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를 포함한다.
터렛 장착 바디(10)는,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홈(12)이 일측에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는,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의 관통홀(24, 29)에 대응하여, 가이드봉(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봉(15)이,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의 관통홀(24, 29)에 삽입되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때, 가이드봉(15)은, 가이드봉(15)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외경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14)를 더 구비하고, 이 가이드봉(15)의 돌출부(14)에 대응되어, 돌출부(14)가 삽입되도록 터렛 장착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3)을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24, 29)은 관통 나사홈이며, 가이드봉(15)의 외경과 관통홀(24, 29)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관통홀(24)이 왼나사 형태인 경우, 관통홀(29)는 오른나사 형태로, 서로 반대의 나사산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는, 터렛 장착 바디(10)에 마련된 홈(12)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봉(15)의 위쪽에는 공작물 직경에 맞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를 상하로 움직여 조정할 수 있도록, 렌치를 꽂아서 회전시킬 수 있는 육각홈 또는 다각형홈이 파져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는,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결합되어 공작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촉하여 공작물을 위아래에서 고정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와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는, 공작물의 주축에 수직 방향으로 진입하여 공작물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종래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에서와 같이 축방향에서 소재를 클램핑함으로 인해 미끌림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중량의 소재도 쉽고 완벽하게 이송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경량의 공작물인 경우 집게의 체결압력만으로 충분하지만, 중량의 공작물인 경우, 작업완료된 파트를 절단한 후 잔여공작물(스핀들에 물려진 공작물)에 예비 그루브(groove)를 파고 그 파인 홈에 집게를 삽입시켜 체결할 수도 있어서, 공작물을 이송시킬 때 미끄러질 위험성을 더욱 줄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홀(32, 3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볼트 삽입홀(32, 37)에 대응되도록,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제 1 나사홈(22, 27)이 형성되고,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부 슬라이드부(20)는 상부 나사(40, 41)에 의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되고, 하부 공작물 집게(35) 및 하부 슬라이드부(25)는 하부 나사(45, 46)에 의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터렛 장착 바디(10)의 일측에,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를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나사홈(1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나사홈(19)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나사(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홈(22, 27)은, 변화하는 상기 공작물의 외경에 맞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설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공작물의 외경을 맞출 수 있다.
물론,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를 슬라이딩 한 뒤, 이를 제 2 나사(17)로 고정하거나, 또는 상부 나사 및 하부 나사를 고정함으로써 공작물의 외경을 맞출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척킹할 공작물 직경에 적당하게 집게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시킬 수 있다. 즉, 공작물 직경의 크기에 상관없이 척킹력을 쉽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는, NC 선반의 터렛(turret)에 간단히 장착하여 장시간 자동소재공급이 가능하다. 즉, NC 선반의 보조기능(miscellaneous function) M코드와 준비기능(preparation function) G코드를 조합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소재이송, 자동공작물공급 또는 무한 반복가공작업을 작업자나 프로그래머가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서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공개수(생산수량)을 제어하며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는, 터렛 운영상 스핀들 충돌 위험이 없으며 경제적이다. 종래 장치는 터렛의 내경가공 툴(center drill, drill, reamer, 내경 바이트 등등) 장착위치에 체결되며, 어저스트 볼트(adjust bolt)가 있는 바디와 집게 부위가 터렛 단면부보다 항상 돌출되어 있었다. 따라서 장치의 양쪽에 있는 외경 툴로 공작물의 외경가공을 위한 스핀들 접근시 충돌 위험성이 높아져 작업자 스트레스의 요인이 된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터렛의 외경가공 툴 위치에 체결할 수 있게 되어서, 터렛 단면부에서 돌출이 되지 않아 터렛 운영상 스핀들 충돌 위험성이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터렛(turret) 장착 바디
12 홈
13 삽입홈
14 돌출부
15 가이드봉
17 제 2 나사
19 제 2 나사홈
20 상부 슬라이드부
22 제 1 나사홈
24 관통홀
25 하부 슬라이드부
27 제 1 나사홈
29 관통홀
30 상부 공작물 집게
32 볼트 삽입홀
35 하부 공작물 집게
37 볼트 삽입홀
40, 41 상부 나사
45, 46 하부 나사

Claims (8)

  1. 상부 슬라이드부(20)와 하부 슬라이드부(25)가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홈(12)이 일측에 마련되어 있는 터렛(turret) 장착 바디(10);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마련된 홈(12)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하부 슬라이드부(25);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결합되어 공작물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접촉하여 공작물을 위아래에서 고정 지지하는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하부 공작물 집게(35);를 포함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와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는, 상기 공작물의 주축에 수직 방향으로 진입하여 상기 공작물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는,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의 관통홀(24, 29)에 대응하여, 가이드봉(15)이 더 구비되고,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의 관통홀(24, 29)에 상기 가이드봉(15)이 삽입되어, 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 삽입홀(32, 37)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의 볼트 삽입홀(32, 37)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제 1 나사홈(22, 27)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공작물 집게(30) 및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는, 상부 나사(40, 41)에 의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 공작물 집게(35)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는, 하부 나사(45, 46)에 의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와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에 각각 형성된 제 1 나사홈(22, 27)은, 변화하는 상기 공작물의 외경에 맞도록,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의 일측에, 상기 상부 슬라이드부(20) 및 상기 하부 슬라이드부(25)를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에 고정하기 위한 제 2 나사홈(19)이 더 형성되고, 상기 제 2 나사홈(19)에 나사결합되는 제 2 나사(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15)은, 상기 가이드봉(15)의 길이방향으로 중간에 외경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출부(14)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4)에 대응되어, 상기 돌출부(14)가 삽입되도록 상기 터렛 장착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홈(1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24, 29)은 관통 나사홈이며,
    상기 가이드봉(15)의 외경과 상기 관통홀(24, 29)의 내경은 서로 대응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홀(24) 및 상기 관통홀(29)는 서로 반대의 나사산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KR1020100090883A 2010-09-16 2010-09-16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KR201200290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883A KR20120029058A (ko) 2010-09-16 2010-09-16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883A KR20120029058A (ko) 2010-09-16 2010-09-16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058A true KR20120029058A (ko) 2012-03-26

Family

ID=4613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883A KR20120029058A (ko) 2010-09-16 2010-09-16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90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0016A (zh) * 2014-12-07 2015-03-11 张纪山 立式车床的自动夹料机械爪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0016A (zh) * 2014-12-07 2015-03-11 张纪山 立式车床的自动夹料机械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64101U (zh) 可调式定位主轴工装及使用该工装的车床
KR101552814B1 (ko) 머시닝센터용 인덱스 지그
US4496165A (en) Adjustable collet
KR102263072B1 (ko) 퀵 워크홀더 클램프장치
US3653780A (en) Tapping tool
CN216421836U (zh) 一种应用于机床的机械手和机床
KR101999424B1 (ko) 선반용 척 조의 이동 장치
CN204396901U (zh) 一种四工位数控车床快换钻头夹具
KR20160106416A (ko) 공작기계용 공작물 길이조절구조
CN212823186U (zh) 一种可读式自动行程攻丝、套丝装置
CN205733643U (zh) 一种激光切割机及其管件切割夹具
KR20130069620A (ko) 콜릿 척
KR20120029058A (ko) Nc 선반의 공작물 공급장치
CN212496512U (zh) 柔性棒材夹具
JP2001191253A (ja) 汎用加工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加工方法
CN212398135U (zh) 一种用于工件静止加工的机床
CN113618171A (zh) 普通车床仿套丝机加工装置及方法
KR20060033517A (ko) 선반 가공물 가공 기준 위치 지그 유니트
KR20040075669A (ko) 공작기계용 탭핑지그장치
US3472105A (en) Drawbar collet adapter
KR20090000641U (ko) 선반용 나사 절삭 지그
CN219292774U (zh) 一种数控车床用轴向定位工装
CN210254396U (zh) 一种轴棒钻斜孔定位工装
GB2422800A (en) A thread cutting device
CN205599982U (zh) 一种钻孔深度套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