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975A -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를 위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를 위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975A
KR20120028975A KR1020127000918A KR20127000918A KR20120028975A KR 20120028975 A KR20120028975 A KR 20120028975A KR 1020127000918 A KR1020127000918 A KR 1020127000918A KR 20127000918 A KR20127000918 A KR 20127000918A KR 20120028975 A KR20120028975 A KR 20120028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tch
housing
mounting posi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 오리구치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20028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9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80Exchanging energy storage elements, e.g. removabl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05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characterised by their position
    • B60K2001/0438Arrangement under the 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of the electric storage means for propulsion
    • B60K2001/0455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 B60K2001/0472Removal or replacement of the energy storages from be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10) 내에 배치된 배터리(1)를 위한 요부(12); 및 장착 위치까지 제1 장착 방향으로 그 요부(12)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되는 배터리(14);를 포함하는, 자동차(10) 내의 배터리(14)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요부(12)는 요부(12)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차단 표면(32)을 포함하고, 그것은 배터리(14)를 모든 방향에서 수평적으로 부동화시키기 위하여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주변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를 위한 고정 장치{Secure arrangement for a battery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전지의 뱅크(bank)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에 배치된 배터리용 하우징; 및
장착 위치까지 장착 방향으로 하우징 안으로 수직으로 도입되도록 의도된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배터리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전기 모터에 의하여 동력을 공급받는 자동차는 100 내지 150 km의 거리를 주행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15 내지 20 kWh 사이의 많은 전력량을 필요로 한다.
그 전력의 공급원은 일반적으로 축전지들(electric accumulator batteries)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뱅크로 형성된다. 이하에서, "배터리"라 함은, 축전지들로 이루어진 뱅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가정용 벽 콘센트(domestic wall outlet)로서의 종래의 전력 공급원은 3 내지 4kW를 공급할 수 있는바, 그러한 축전지의 뱅크는 대략 5 시간 내에 재충전될 수 있다. 이 재충전의 시간 중에, 자동차는 이용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충전을 필요로 하는 배터리를 대체할 충전된 여분 배터리(spare battery)를 이용하는 것은 공지된 사항이다. 방전된 배터리는 자동차 밖으로 꺼내어지고, 여분 배터리로 교체된다. 따라서, 자동차는 소진된 배터리가 재충전되기까지를 기다릴 필요없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서비스는, 예를 들어 연소 엔진을 구비한 차량에 대해 존재하는 서비스 스테이션(주유소)와 유사한 스테이션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유형의 배터리는 예를 들어 200 내지 300 kg 의 중량만큼 무겁고 또한 예를 들어 두께가 800 mm 높이에 달하고 폭이 1000 mm 길이에 달할 만큼 부피가 매우 크다. 이와 같은 사양은 자동차에 배터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순하고 효과적인 시스템을 설계함에 있어서의 문제를 유발한다. 현존하는 고정 장치의 복잡성은 배터리 교환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게 한다.
또한, 예를 들어 고속 정면 충돌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 자동차가 급격히 제동되는 때에, 배터리는 수평방향(일반적으로는 길이방향)의 가속력을 겪게 될 것인데, 이것은 중력 가속도의 50 배에 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배터리가 하우징으로부터 이탈하여 자동차로부터 파손되어 나갈 위험이 있다.
현존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배터리 잠금 메카니즘(battery locking mechanism)이 배터리의 수평 잠금물들 중의 적어도 일부를 담당한다. 그러한 잠금 메카니즘은 제조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복잡한데, 이는 특히 사고시 배터리가 잠금 메카니즘에 가할 수평 하중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가 해결된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은 자동차용 배터리의 구성을 제안하는바, 그 구성은, 하우징이 적어도 하나의 쐐기면을 포함하고, 그 쐐기면은, 배터리를 수평에서 모든 방향으로 부동화(움직이지 못하게 함; immobilization) 시키도록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의 주변부와 접촉하는 하우징에 대해 고정된다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 쐐기면은, 배터리의 모든 방향들에서의 수평적인 움직임들을 막도록,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의 주변부와 길이 전체를 따라서 접촉하고 또한 배터리를 수평적으로 둘러싸는 견고 둘레부(rigid surround)를 형성하는 고리형 내부면(annular interior face)에 의해 형성된다.
- 배터리가 자동차의 섀시에 대해 수평적으로 모든 방향들에서 부동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리형 내부면과 배터리 사이에 있는 장착 간극(mounting clearances)을 흡수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pad)가,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와 고리형 내부면 사이에 사전부하를 가지고 수평적으로 개재된다.
- 각각의 쐐기면은, 자동차의 섀시(chassis)에 고정된 견고 프레임(rigid frame)의 내부면으로 형성된다.
- 상기 장치는,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에 대해 맞닿는 수직 버퍼 수단(vertical buffer means)을 포함한다.
- 고리형 쐐기면은, 배터리가 장착 위치에 있는 때에 배터리의 장착 방향으로의 수직 움직임을 막도록 수평적으로 배터리를 둘러싸는 상대부(counterpart)와 협력하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는다.
- 상대부는 배터리의 일체적 부분으로서 제작된다.
- 상대부는, 배터리의 수직면들(vertical faces)로부터 수평 외향으로 돌출된 림(rim)의 절두원추형 외부면(frustoconical exterior face)으로 형성된다.
- 상기 장치는, 배터리의 장착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수직 움직임을 막고 배터리를 장착 위치에 잠그는 잠금 수단(locking means)을 포함한다.
- 잠금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후크 형상 포획부(hook-shaped catch)를 포함하고, 그 후크 형상 포획부는, 배터리가 수직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해제 위치(released position)와 배터리가 장착 위치(mounted position)에서 하우징 내에 갇히는 잠금 위치(locked position) 간으로 피봇(pivot)되도록 장착된다.
- 잠금 위치에서, 후크 형상 포획부는 림(rim)의 프리 립(free lip) 아래를 포획하도록 의도된다.
- 잠금 위치에서, 후크 형상 포획부는 배터리에 의해 지탱되는 링(ring)을 포획하도록 의도된다.
- 포획부의 피봇축(axis of pivoting)은, 중력의 방향에서, 잠금 위치에 있는 포획부와 배터리 간의 접촉 지점과 선을 이루어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가 해결된 자동차용 배터리의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확하게 될 것인바,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참조되는 첨부 도면들은 아래와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취지에 따라 제작된 배터리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자동차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여기에는 장착 전에 자동차의 아래에 배치된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은 도 2 의 확대 상세도로서, 여기에는 자동차의 배터리와 배터리 하우징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는 도 3 과 유사한 상세도로서, 여기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고정 수단(securing means)에 의하여 고정되고 배터리 하우징 내에 장착된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는 도 4 와 유사한 상세도로서, 여기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배터리 하우징 내에 장착된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은 도 4 와 유사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여기에는 장착되기 전의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은 도 6 의 측면도이고;
도 8 은 도 6 과 유사한 모습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여기에는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가 도시되어 있고;
도 9 는 도 8 의 측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도면들에서 "L, V, T"에 의해 표시된 길이방향, 수직방향, 및 횡방향은 비제한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여기에서, 수직 방향은 중력의 방향에 대해 반대인 방향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유사하거나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에 의하여 표시될 것이다.
도 1 에는 부분적으로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하이브리드 추진 장치에 의하여 또는 전기 모터(미도시)에 의하여 동력을 공급받는 자동차(10)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0)는 축전지들(14)의 뱅크를 수용하도록 의도된 하우징(12)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자동차(10)의 아래에 배치되는바, 실질적으로는 자동차(10)의 무게중심과 선을 이루어 배치되고 아래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14)는 장착 방향에서 장착 위치까지 하우징(12) 안으로 수직 상향으로 도입되도록 의도된다.
축전지(14)들의 뱅크는 축전지들, 초고성능 커패시터(capacitor)들, 또는 이와 동등한 것들과 같은 전기 에너지 저장 요소들(미도시)을 포함하느 케이스(casing)로 형성된다.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본 설명의 남은 부분에서는 배터리(14)가 배터리 케이스에 상응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배터리(14)는 사각형 평행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그것은 수직방향에서 수평 상부면(16)과 수평 저부면(18)에 의해 한정되고, 수평방향에서 한 쌍의 수직의 길이방향면(vertical longitudinal face; 22)들과 한 쌍의 수직의 횡방향면(20)들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가르침에 따르면, 하우징(12)은 개별의 하우징(12)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쐐기면(32)을 포함하고, 그것은 배터리(14)를 수평방향에서의 모든 방향으로 부동화시키도록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주변부와 접촉한다.
여기에서의 하우징(12)은 견고 수평 프레임(rigid horizontal frame; 24)을 포함하고, 그 프레임은 자동차(10)의 섀시(26)에 고정된다. 프레임(24)은, 배터리(14)의 수평 외형(horizontal profile)과 어느 정도 상보적인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프레임(24)은 예를 들어 4개의 금속 거더(girder)들, 즉 두 개의 길이방향 부재(28)들과 두 개의 횡방향 부재(30)들로 만들어지고, 이들은 직각으로 서로에 대해 고정되고 또한 함께 맞닿으며, 이들 각각은 프레임(24)의 일 측부를 형성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의 프레임(24)은 그 상부면에 의하여 자동차(10)의 섀시(26)에 확고히 고정된다. 이로써, 프레임(24)과 섀시(26)는, 자동차(10)가 고속의 정면 충돌시에 겪게 되는 것과 같은 매우 격렬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는 단일체 조립체(one piece assembly)를 형성한다.
여기에서의 쐐기면은 프레임(24)의 고리형 내부면(32)에 의하여 형성되는데, 그것은 배터리(14)를 장착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도록 의도된 견고 둘레부를 형성한다. 쐐기면(32)은 그 길이 전체에 걸쳐서, 모든 방향들에서 배터리(14)의 수평 움직임을 확고히 막도록,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14)의 수직 주변면들(vertical peripheral faces; 20, 22)과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하도록 특별히 의도된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대안예에 따르면, 하우징은 4개의 접합되지 않은 쐐기면들을 포함하고, 그 쐐기면들 각각은 배터리의 4개의 수직면들 중 하나와 접촉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장치는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상향 수직 움직임을 막기 위한 수직 버퍼 수단도 포함한다.
수직 버퍼 수단은 하우징(12)의 고정된 면으로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프레임(24)의 고리형 용접면(32)이 절두원추형으로 형성되는바, 본 예에서는 저부를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피라미드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것은 배터리가 장착 위치에 있는 때에 장착 방향에서 배터리(14)의 수직 움직임을 막도록 배터리(14)를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상대부(34)과 협력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수평방향의 막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대부에는 배터리(14)를 수평방향으로 둘러싸는 림(36)의 절두원추형 외부면(34)이 형성된다. 이 예에서 림(36)은, 배터리(14)의 높이의 실질적인 중간까지 위치되고, 배터리(14)의 수직면들(20, 22)로부터 수평방향 밖으로 돌출된다.
여기에서의 림(36)은 배터리(14)의 일체적인 부분으로서 형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의 대안적인 형태에 따르면, 림은 제2 프레임으로서 형성되는데, 제2 프레임은 배터리 둘레에 장착되고 그 다음에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하여 배터리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림(36)은, 하우징(12)의 프레임(24)의 쐐기면(32)에 대해 상보적인 절두원추형 형상의 외부면(34)을 갖는다.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와 프레임(24)의 고리형 쐐기면(32) 사이에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38)가 사전부하(preload)를 가지고 수평적으로 개재되는데, 이것은 배터리(14)를 자동차(10)의 섀시(26)에 대해 수평방향에서 모든 방향들로 부동화시키도록, 고리형 쐐기면(32)과 배터리(14) 사이에 있는 장착 간극(mounting clearances)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패드(38)는, 예를 들어 균일하지 못한 지표면 위로 운행하는 자동차(10)에 의하여 유발되는 배터리(14)의 진동을 매우 신속히 감쇠시킬 수도 있다.
그 장치는 예를 들어 4개의 패드(38)들을 포함하는데, 이들 각각은 림(36)의 외부면(34)의 관련된 측부들의 길이 전체를 따라 고정된다.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안적인 형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 또는 패드(38)들은 프레임(24)의 쐐기면(32)에 고정된다.
림(36)이 배터리(14)의 하중에 견디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36)의 관련된 일 측부의 저부면을 배터리(14)의 관련된 수직면(20)에 연결하기 위하여 수직 리브(vertical rib; 40)들이 제공된다.
따라서, 수평방향에서의 모든 방향들에서 또는 수직 상향으로 향하는 부하들로서 배터리에 의하여 가해질 수 있는 부하들은, 프레임(24)에 의하여 완전히 흡수된다.
나아가, 배터리(14)의 단자들(미도시)과의 전기적 연결 수단(미도시)들은 하우징(12) 내측에 제공된다.
물이 전기 연결 수단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프레임(24)과 림(36) 사이에는 밀봉 가스켓(sealing gasket; 44)이 개재된다.
이 때문에, 프레임(24)은, 림(36)의 외부면(34)을 둘러싸는 자유 수평 고리형 립(free horizontal annular lip; 48)을 대면하여 배치된 수평 저부면(46)을 갖는다. 가스켓(44)은 예를 들어 수평 립(48)의 상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터리(14)가 장착 위치에 있는 때에, 밀봉 가스켓(44)은 프레임(24)의 저부면(46)과 배터리(14)의 립(48)의 상부면 사이에서 수직으로 압축된다.
림(36)의 프리 립(48)은 림(36)의 외부 표면(34)의 하측 베이스(lower base)로부터 자유 고리형 에지만큼 멀러 수평방향 외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견고 프레임(24)은 배터리(14)에 대한 전기 연결 수단을 보유한다. 전기 연결 수단은, 예를 들어 브라켓(bracket)에 의해 형성되는데, 그 브라켓은, 프레임(24)의 측부들(28, 30) 중의 하나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 직립부를 포함하고, 또한 전기 커넥터들을 보유하는 아암(arm)을 포함한다.
전기 연결 수단은, 배터리(14)가 하우징(12) 안으로 수직으로 삽입됨에 따라서 배터리(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레임(24)에 대해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전기 커넥터들은 배터리(14)의 대응되는 단자들을 수직으로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배터리(14)를 장착 위치에 잠그기 위한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바, 이것은 배터리(14)의 장착 방향, 즉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중력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에 대한 반대의 방향으로의 수직 움직임을 막는다. 잠금 수단은 배터리(14)의 하향 수직 움직임만을 막는다. 배터리(14)의 수평 움직임은 고정된 프레임(24)에 의하여 사실상 이미 막혀져 있다.
잠금 수단은 여기에서는 길이방향 축인 수평축 "A"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후크 형상 포획부(50)를 포함하는데, 후크 형상 포획부(50)는, 배터리(14)가 수직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sliding)하게 되도록 포획부(50)가 외향으로 멀리 움직여지는 자유 각도 위치(free angular position)와, 배터리(14)가 장착 위치에서 하우징(12) 내에 갇히게 되는 각도 잠금 위치(angular locking position) 사이에서 피봇된다. 여기에서의 포획부(50)는, 예를 들어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는 탄성 복귀 수단(52)을 통해서 잠금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된다.
포획부(50)의 자유로운 하측 단부는, 포획부(50)의 피봇 평면에서 프레임(24)의 내측을 향하여 후크 형상으로 굽혀진다.
피봇축 "A"는 프레임(24)의 길이방향 부재(28)의 외부 수직면에 의해 지탱된다. 피봇축 "A"는,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대면하는 프리 립(48)의 수직으로 위에 있게 되도록 위치된다.
포획부(50)는, 배터리(14)를 그 하중의 작용에 반하여 구속하도록,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대향하는 프리 립(48)의 아래를 포획하도록 의도된다.
자동차(10)는, 배터리(14)가 여러개의 포획부(50)들에 의해 안정적인 방식으로 안착되고, 또한 배터리(14)의 하중이 여러개의 포획부(50)들에 걸쳐 분산되도록, 예를 들어 4개인 복수의 잠금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포획부(50)의 굽혀진 단부가 저부면(54)을 포함하는데, 이 저부면(54)은 경사면(ramp)의 형상을 가져서, 배터리(14)가 장착되는 때에, 포획부가 삽입됨에 따라서 포획부(50)가 배터리(14)의 립(48)과의 접촉에 의해 자동적으로 되돌려져 해제 위치로 밀림으로써 포획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잠금 수단의 제1 실시예에서, 포획부(50)의 피봇축 "A"은 배터리(14)의 대향된 립(48)과의 관계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적으로, 이 예에서는 횡방향으로 오프셋(offset)된다.
피봇축 "A"의 이와 같은 구성은, 수평 평면에서 콤팩트한 잠금 수단이 구현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배터리(14)의 하중은 포획부(50)에서 스프링(52)의 탄성 복원력에 반하는 회전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52)은 그에 따른 규격을 가져야 한다.
배터리(14)를 장착 위치에 잠그는 잠금 수단의 제2 실시예가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 차이점에 대하여만 설명할 것이다.
제2 실시예에서, 포획부(50)의 피봇축 "A"은 포획부(50)와 관련된 배터리(14)의 립(48)과 선을 이루어 수직으로 위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피봇축 "A"은 배터리(14)가 포획부(50)에 안착되는 지점과 선을 이루어 수직으로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배터리(14)의 하중에 의해 생성되는 부하가 피봇축 "A"을 통과하게 되어서, 배터리(14)가 장착 위치에 잠겨진 때에 포획부에 회전 모멘트의 발생이 방지된다.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포획 수단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포획부(50)는 링(56)을 포획하도록 의도되는데, 그 링(56)은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14)의 립(48)의 상부면으로부터 수직 상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는 설계자가 포획부(50)와 그 피봇축 "A" 이 수직축에 대해서 자유로운 방위를 갖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포획부(50)의 피봇축 "A"은 여기에서, 배터리(14)의 관련된 측부들에 대해 직각으로 지향된다.
장착시, 배터리(14)는 하우징(12) 아래에 배치된다. 배터리(14)는, 하우징(12) 내에 배치될 때까지, 장착 방향으로의 상향 수직 병진 움직임으로 장착된다.
포획부(50)들은, 배터리(14)의 립(48)과의 접촉의 결과로서 해제 위치로 되돌려 밀리게 된다. 그러면, 배터리(14)가 그 장착 위치까지 더 멀리 장착이 계속됨에 따라서, 포획부(50)들은 잠금 위치로 탄성적으로 복귀되어, 배터리(14)의 립(48)을 포획하게 된다.
그러므로, 패드(38)와 밀봉 가스켓(44)은 하우징(12)의 프레임(24)의 쐐기면(32)과 배터리(14)의 림(36)의 외부면(34) 사이에서 압축된다.
따라서, 배터리(14)는 수평적으로 모든 방향에서 견고 프레임(24)에 의해 유격없이 확고하게 보유된다.
프레임(24)은, 자동차(10)의 강한 충돌의 경우에 배터리(14)의 관성에 의해 변형되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프레임(24)은, 배터리의 매우 큰 하중에도 불구하고 가장 극한의 조건에서도 배터리(14)가 하우징(12) 내에 유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프레임(24)은 사고 또는 비상 정지 상황에서 배터리(14)가 수평적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포획부(50)들은, 자동차(10)가 편평하지 않은 도로 표면 위에서 주행하고 있는 때에 파손되지 않을 정도로 강하다.
본 발명의 장치 덕분에, 포획부(50)들은 하향으로 지향된 수직의 부하, 즉 배터리의 하중만을 견디면 될 뿐이고, 다른 수평으로 지향되거나 수직 상향으로 지향되는 부하는 프레임(24)에 의해 흡수된다. 그러므로 잠금 수단(50)은 설계가 단순하게 된다.
또한, 잠금 수단은 예를 들어 배터리의 하중의 10배까지만의 범위 내에 있는 힘에 노출될 것이고, 프레임은 배터리의 하중의 50배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힘에 노출될 것이다. 따라서, 잠금 수단의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10: 자동차 12: 하우징
14: 배터리 24: 프레임
26: 섀시 32: 쐐기면

Claims (13)

  1. 자동차(10) 내에 배치된 배터리(1)용 하우징(housing; 12); 및
    장착 방향에서 장착 위치까지 하우징(12) 안으로 수직으로 도입되도록 의도된 배터리(14);를 포함하는, 자동차(10) 내의 배터리(14)의 장치로서,
    하우징(12)은 하우징(12)에 대해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쐐기면(wedging face; 32)을 포함하고, 그 쐐기면은, 배터리(14)를 수평방향의 모든 방향들에서 부동화시키도록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주변부(periphery)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쐐기면은, 배터리(14)의 모든 방향들에서의 수평적인 움직임들을 막도록,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의 주변부와 길이 전체를 따라서 접촉하고 또한 배터리(14)를 수평적으로 둘러싸는 견고 둘레부(rigid surround)를 형성하는 고리형 내부면(annular interior face; 32)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배터리(14)가 자동차(10)의 섀시(26)에 대해 수평적으로 모든 방향들에서 부동화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리형 내부면(32)과 배터리(14) 사이에 있는 장착 간극(mounting clearances)을 흡수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로 된 적어도 하나의 패드(pad; 38)가, 장착 위치에 있는 배터리(14)와 고리형 내부면(32) 사이에 사전부하를 가지고 수평적으로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쐐기면(32)은, 자동차(10)의 섀시(chassis; 26)에 고정된 견고 프레임(rigid frame; 24)의 내부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위치에서 배터리(14)에 대해 맞닿는 수직 버퍼 수단(vertical buffer means; 32, 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과 조합되어 고려되는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고리형 쐐기면(32)은, 배터리(14)가 장착 위치에 있는 때에 배터리(14)의 장착 방향으로의 수직 움직임을 막도록 수평적으로 배터리(14)를 둘러싸는 상대부(counterpart; 34)와 협력하는 절두원추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상대부(34)는 배터리(14)의 일체적 부분으로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대부(34)는, 배터리(14)의 수직면들(vertical faces; 20, 22)로부터 수평 외향으로 돌출된 림(rim; 36)의 절두원추형 외부면(frustoconical exterior fac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터리(14)의 장착 방향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의 수직 움직임을 막고 배터리(14)를 장착 위치에 잠그는 잠금 수단(locking means; 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잠금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후크 형상 포획부(hook-shaped catch; 50)를 포함하고, 그 후크 형상 포획부는, 배터리(14)가 수직으로 자유로이 슬라이딩할 수 있는 해제 위치(released position)와 배터리(14)가 장착 위치(mounted position)에서 하우징(12) 내에 갇히는 잠금 위치(locked position) 간으로 피봇(pivot)되도록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8 항과 조합되어 고려되는 앞선 청구항에 있어서,
    잠금 위치에서, 후크 형상 포획부(50)는 림(rim; 36)의 프리 립(free lip; 48) 아래를 포획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잠금 위치에서, 후크 형상 포획부(50)는 배터리(14)에 의해 지탱되는 링(ring; 56)을 포획하도록 의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획부(50)의 피봇축(axis of pivoting; A)은, 중력의 방향에서, 잠금 위치에 있는 포획부(50)와 배터리(14) 간의 접촉 지점과 선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27000918A 2009-06-16 2010-05-31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를 위한 고정 장치 KR201200289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54005 2009-06-16
FR0954005A FR2946593B1 (fr) 2009-06-16 2009-06-16 Agencement securise d'une batteri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975A true KR20120028975A (ko) 2012-03-23

Family

ID=41566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0918A KR20120028975A (ko) 2009-06-16 2010-05-31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를 위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111654A1 (ko)
EP (1) EP2442994A2 (ko)
JP (1) JP2012530018A (ko)
KR (1) KR20120028975A (ko)
CN (1) CN102802982A (ko)
FR (1) FR2946593B1 (ko)
IL (1) IL216934A0 (ko)
WO (1) WO2010146269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42A1 (ko) * 2018-03-12 2019-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6539B2 (ja) * 2009-11-06 2013-02-06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11129412A (ja) * 2009-12-18 2011-06-30 Nissan Motor Co Ltd 電動車両用バッテリのコネクタ構造
FR2958226B1 (fr) * 2010-04-06 2012-10-19 Akka Ingenierie Produit Chassis pour vehicule electrique
US8960781B2 (en) * 2010-12-20 2015-02-24 Tesla Motors, Inc. Single piece vehicle rocker panel
FR2978382B1 (fr) * 2011-07-29 2014-11-07 Renault Sa Dispositif de fixation d'un groupe motopropulseur sur un chassis d'un vehicule automobile
JP5906689B2 (ja) * 2011-11-22 2016-04-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搭載構造
JP6004774B2 (ja) * 2011-12-16 2016-10-12 モテックス プロダク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ーの脱着装置
US9461284B2 (en) * 2012-01-11 2016-10-04 Tata Technologies Pte Limited Swappable, configurable and structural battery pack for electric vehicles
FR2988041B1 (fr) * 2012-03-15 2014-02-28 Renault Sas System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d'un objet sous une structure a crochet de rapprochement et de soutien
CN104284830B (zh) * 2012-05-08 2018-01-16 Ksm铸造集团有限公司 具有电驱动的汽车的模块化的轮轴总成
FR2994894B1 (fr) * 2012-08-30 2015-06-05 Renault Sa Agencement muni d'un mecanisme de retenue d'un dispositif de stockage d'energie, et vehicule associe
CN103359662A (zh) * 2013-07-17 2013-10-23 浙江鼎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高空作业平台的电池防坠落机构
JP6036667B2 (ja) 2013-12-04 2016-1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車両用バッテリユニット保持装置
CN107848431A (zh) * 2015-06-10 2018-03-27 巴特斯韦普公司 电池交换系统
CN105098115B (zh) * 2015-09-15 2017-07-14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电动车辆及其电池柔性安装装置
DE102015015744A1 (de) * 2015-12-04 2017-06-08 Audi Ag Karosserie für ein Fahrzeug
US9722223B1 (en) * 2016-03-02 2017-08-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attery pack retention assembly and method
JP6471738B2 (ja) * 2016-11-17 2019-02-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CN114103722B (zh) * 2016-11-21 2024-01-19 上海电巴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
JP6416858B2 (ja) * 2016-12-13 2018-10-31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Daimler AG 電動トラック用バッテリモジュール構造
CN107195825B (zh) * 2017-06-29 2023-07-21 绵阳启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安全实用的电芯模块、车辆电池及机动车辆
EP3663142A4 (en) * 2017-08-02 2021-04-28 Shanghai Dianba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BATTERY BOX, BRACKET AND BATTERY BOX ASSEMBLY
CA3087315C (en) * 2017-12-29 2024-04-16 Shanghai Dianba New Energy Technology Co., Ltd. Battery holder, power transfer device, electric vehicle and installation method for electric vehicle
JP7057712B2 (ja) * 2018-04-27 2022-04-20 ダイムラー・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支持装置
NL2020843B1 (en) * 2018-04-30 2019-11-07 R U Eng & Detachering B V Battery exchange system and method
DE102018211346A1 (de) * 2018-07-10 2020-01-16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DE102018218789A1 (de) * 2018-11-05 2020-05-07 Audi Ag Kraftfahrzeug
CN111332151B (zh) * 2018-12-03 2021-05-14 浙江吉智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快换装置、电动汽车及快换方法
DE102018131055B4 (de) * 2018-12-05 2023-11-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ochvoltspeichergehäuse für einen Kraftwagen
US11505084B2 (en) 2019-05-03 2022-11-22 Oshkosh Corporation Battery placement for electric refuse vehicle
US20200346556A1 (en) 2019-05-03 2020-11-05 Oshkosh Corporation Battery storage system for electric refuse vehicle
CN111204254A (zh) * 2020-01-20 2020-05-29 浙江吉智新能源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锁紧机构、电池包解锁机构、电池包及车辆
EP4011668A1 (en) 2020-12-09 2022-06-15 Volvo Car Corporation Method for mounting a battery system to a chassis of an electric vehicle
US11565769B2 (en) 2020-12-11 2023-01-31 Specialized Bicycle Components, Inc. 3-position battery latching system
CN112886116B (zh) * 2021-01-28 2023-01-13 周进 一种撞击后能弹出电池的新能源汽车装置
WO2023278602A1 (en) * 2021-06-29 2023-01-05 Oshkosh Corporation Battery placement for electric refuse vehicle
CN113561839B (zh) * 2021-06-29 2023-05-16 东风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侧边具有伸缩功能的动力电池箱拆装系统及拆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61779A (en) * 1923-06-27 1928-03-06 Commercial Truck Company Battery cradle for electric trucks
FR2354897A1 (fr) * 1976-06-17 1978-01-13 Peugeot Dispositif pour l'echange rapide d'une batterie d'accumulateur sur un vehicule electrique
CN2307696Y (zh) * 1997-09-11 1999-02-17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电动车辆的电池装配结构
FR2880476A3 (fr) * 2005-01-04 2006-07-07 Joel Henry Marcel Enault Coffre a batterie pour vehicule electrique
US7851101B2 (en) * 2005-02-02 2010-12-1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uel cell stack, installation structure of fuel cell stack, method of transporting fuel cell stack, and method of mounting fuel cell stack on vehicle
JP2008260382A (ja) * 2007-04-11 2008-10-30 Toyota Motor Corp 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342A1 (ko) * 2018-03-12 2019-09-19 주식회사 엘지화학 훅 구조가 적용된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US11522245B2 (en) 2018-03-12 2022-12-06 Lg Energy Solution, Ltd. Energy storage apparatus using hook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system comprising energy stora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946593A1 (fr) 2010-12-17
IL216934A0 (en) 2012-02-29
WO2010146269A3 (fr) 2011-02-24
WO2010146269A2 (fr) 2010-12-23
EP2442994A2 (fr) 2012-04-25
JP2012530018A (ja) 2012-11-29
FR2946593B1 (fr) 2013-02-08
CN102802982A (zh) 2012-11-28
US20120111654A1 (en) 201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8975A (ko) 자동차에 있는 배터리를 위한 고정 장치
US997541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onboard battery for vehicle
JP6118381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JP5811830B2 (ja) 電池パック
KR101720173B1 (ko) 배터리를 포함하는 자동차 구조체
JP6484628B2 (ja) 自動車用の少なくとも一つのエネルギーモジュールを収納する装置
US8950537B2 (en) Battery system for vehicle
EP2767427B1 (en) Structure for mounting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JP6997525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KR200492666Y1 (ko) 전기트럭용 배터리 팩 장착 구조
CN110103692A (zh) 车辆前部构造
JP5706967B2 (ja) 車両駆動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US20180194213A1 (en) Battery pack
JP5737169B2 (ja) 車載機器搭載構造
CN110626184B (zh) 电池固定结构
JP2018167640A (ja) 車載用バッテリー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JP547701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
JP2023067402A (ja) 電池モジュールの保護構造
JP6777580B2 (ja) 車載用バッテリー
JP2015224009A (ja) 車両構造
JP2017056861A (ja) 車両の後部構造
CN113246711B (zh) 一种电池包安装结构及后地板总成
US20230327283A1 (en) Vent feature protection brackets for electrified vehicle traction battery packs
CN210123761U (zh) 电池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