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700A -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700A
KR20120028700A KR1020100090704A KR20100090704A KR20120028700A KR 20120028700 A KR20120028700 A KR 20120028700A KR 1020100090704 A KR1020100090704 A KR 1020100090704A KR 20100090704 A KR20100090704 A KR 20100090704A KR 20120028700 A KR20120028700 A KR 20120028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evice
camera
base
cam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8105B1 (ko
Inventor
정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투와이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투와이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투와이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90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81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3Constructional details, e.g. casings, housings
    • H04B1/034Portable transmitters
    • H04B1/0346Hand-held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와, 기립 부재와, 카메라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기립 부재는 제1 힌지부에 의해 베이스에 지지되고, 카메라 지지 부재는 제2 힌지부에 의해 기립 부재에 지지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Portable Device for Transmitting Images}
본 발명은 영상 전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휴대가 간편한 영상 전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원격지에 떨어져 있는 주체간에도 서로 손쉽게 정보를 교환할 수 있고, 특히 온라인 강의 내지 온라인 업무가 활성화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온라인 강의는 원격지에 위치한 강사의 강의 내용이 수강자에게 일방적으로 전달될 뿐이며, 온라인상의 업무도 서로 화상회의를 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리고 화상 회의를 위해서는 큰 규모의 장비가 설치되어야 하고, 문서나 샘플 등과 같은 물체 정보를 획득하여 전송하여 공유하는 등의 근거리 상호작용(interaction)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여,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간편한, 영상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는,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제1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립 가능한 기립 부재와, 상기 기립 부재에 대해 제2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지지부재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회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기립 부재에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기립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리세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리세스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는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지지 부재에 장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일측에 소정의 개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걸림홈 사이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기립 부재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탄성 수용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피걸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는 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기립 부재에 대해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대한 회전이 제한되도록 축부에 끼워지는 제1 캠과, 상기 제1 캠과 협동하여 소정의 개수의 위치에 대해서만 회전 위치가 결정되는 제2 캠과, 상기 제2 캠이 회전이 제한되도록 탄성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 지지 부재에 대해 고정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를 향해 조사할 수 있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는 카메라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에 피촬영 물체를 놓고 그 물체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전송 장치로서 그 휴대성이 우수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원격지에 있는 상대방에게 매우 간편하게 피촬영 물체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강의 등에 있어서 강의자나 수강자 어느 한쪽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의 베이스에 교과서 또는 종이를 올려 놓고 직접 필기하며 설명하는 과정을 카메라를 통하여 원격지에 있는 다른 한쪽에 편리하게 전송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된다. 더 나아가 언제나 휴대하기 편리하게 접히기 때문에 그 효용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1 힌지부의 구성 요소가 포함된 기립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2 힌지부의 구성 요소가 포함된 카메라 지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1)는 상면(11) 및 하면(13)으로 구성되는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대해 회동하여 기립 가능한 기립 부재(20)와, 상기 기립 부재(2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카메라 지지 부재(30)와, 카메라 지지 부재(30)에 장착되는 카메라(40)와,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회로부(90)를 포함한다.
기립 부재(20)는 제1 힌지부(15)에 의해 베이스(1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카메라 지지 부재(30)는 제2 힌지부(27)에 의해 기립 부재(2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카메라(40)는 카메라 지지 부재(30)에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립 부재(20)에는 카메라 지지 부재(30)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리세스(25)가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10)의 하면(13)에는 기립 부재(20)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리세스(17)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리세스(25) 및 제2 리세스(17)의 형성 위치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위치가 아니어도 무방하다.
회로부(90)는 카메라(4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데이터 전송 장치(도시되지 않음) 즉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이러한 회로부(90)는 종래 기술에 의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는 카메라(40)에 의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는 USB 인터페이스 등을 통해 데이터 전송 장치가 구비된 컴퓨터로 전송된다.
카메라 지지부재(30)는 하면(30a) 및 상면(30b)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카메라 지지부재(30)의 단부쪽에 카메라 조립체(35)가 제공된다. 카메라 조립체(35)는 양측에 제공되는 회전축(380, 390)에 의해서 카메라 지지 부재(30)에 대해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좋다. 카메라 조립체(35)는 제1 케이스(350)와, 제1 케이스(350)와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제2 케이스(355), 그리고 제1 케이스(350) 및 제2 케이스(355)에 수용되는 카메라(40)를 포함한다. 카메라(40)는 카메라 지지대(360)에 결합되어 있다. 카메라(40)는 통상 사용되는 웹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메라 지지 부재(30)에는 회로부(90)가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로부(90)는 웹캠(40)에 의해 획득된 영상 이미지를 처리하여, 데이터 통신 장치(예를 들어, 네트워크 카드)를 구비한 컴퓨터 등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통해 구현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회로부(90)는 웹캠(40)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도록 카메라 지지 부재(3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기립 부재 또는 베이스 부재, 아니면 별도의 구성 부품으로 외부에 장착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웹캠(40)에 더해 추가적인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추가된 카메라와 웹캠(4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게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선택적으로 표시하게 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선택적 또는 집합적으로 전송/표시하게 하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는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면 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 개의 카메라를 두는 경우에 웹캠(40)이 자동으로 작동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를 장착해서 베이스(10) 위에 물체가 놓이거나 할 때에 웹캠(40)이 영상을 촬영하도록 작동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두 개의 카메라를 장착하는 경우에, 하나는 사용자를, 다른 하나 특히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카메라(웹캠; 40)는 베이스에 놓인 물체를 촬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지지 부재(30)에는 베이스(10)를 향해 조사할 수 있는 조명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1)의 베이스(10)의 상면에 촬영 대상인 물체를 놓는데, 이 상면을 조사할 수 있으면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의 촬영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제1 힌지부(15) 및 제2 힌지부(27)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1 힌지부(15)는, 축부(151)와, 제1 하우징(154)과, 캠부(152)를 포함한다. 축부(151)는, 몸체(1513)가 베이스(10)에 고정되며, 캠부(152)를 마주보는 쪽에 캠부(152)에 삽입되는 로드(1511)가 제공된다. 캠부(152)를 마주보는 쪽의 확대도가 도 2의 우상단에 표시되어 있는데, 이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51)의 일측에는 소정 개수의 걸림홈(1514, 1515)이 형성되고, 걸림홈 사이에는 가이드면(15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홈과 가이드면 사이에는 경사면(1500, 1650)이 제공된다. 캠부(152)는 헤드부(156)와 몸통부(1526)로 구성되며, 헤드부(156)는 축부(151)의 가이드면(1512)과 대향한다. 헤드부(156)에는 제1 돌기(1522) 및 제2 돌기(1523)가 측방향으로 돌출하며, 축부(151)의 가이드면(15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융기부(1529)가 관통공(155)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융기부(1529)의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걸림부(1525)가 제공된다. 제1 돌기(1522) 및 제2 돌기(1523)는 제1 하우징(154)의 제1 슬롯(1542) 및 제2 슬롯(1560)에 의해 각각 안내된다.
제1 하우징(154)는 기립 부재(20)에 고정부(1545)를 거쳐 고정된다.
제1 힌지부(15)가 결합되면, 캠부(152)의 융기부(1529)가 축부(151)의 가이드면(1512)의 안쪽에 배치되고, 피걸림부(1525)는 걸림홈(1514, 1515) 중 어느 하나에 걸리게 된다. 기립 부재(20)를 회전시키면, 그에 따라 캠부(152)가 회전을 하는데, 이때 피걸림부(1525)는 경사면(1500, 1650)을 타고 넘어가서 가이드면(1512)의 상면으로 안내된다. 안내되는 도중에 걸림홈에 도달하면 피걸림부(1525)가 복귀하면서 이 걸림홈에 다시 안착하게 된다. 캠부(152)는 제1 하우징(154) 내에서 스프링(153)에 의해 탄성 지지되기 때문에 캠부(152)와 축부(151)의 위와 같은 작동이 가능하다. 도 2에는 걸림홈(1514, 1515)이 두 개인 것으로 표시되었지만, 이 걸림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서 더 형성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립 부재(20)가 베이스(10)에 대해서 직립으로 기립하는 경우 및 휴대를 위해 베이스 뒤쪽으로 접히는 경우 두 경우로 상정하였지만, 기립 부재(20)가 기립하는 단계를 그 이상의 단계로 설계하는 경우에는 걸림홈의 개수가 그에 맞게 수정되어야 한다.
제2 힌지부(27)의 분해 사시도 및 각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힌지부(27)는, 기립 부재(20)에 대해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축부(271)와, 제1 캠(272)과, 제2 캠(273)과, 카메라 지지부재(30)의 회전과 함께 회전 가능한 제2 하우징(275)을 포함한다. 제1 캠(272)는 축부(271)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끼워지는데, 축부(271)의 헤드부가 원형이 아닌 다각형의 형상으로 하여, 제1 캠(272)의 상응하는 다각형 형상의 관통공에 끼워지게 할 수 있다. 축부(271)의 반대쪽 헤드부 역시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링(276)에 걸려서 회전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캠(272)에는 서로 나란히 돌출한 위치결정 돌기(2720)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제 2 캠(273)에는 축부(271)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사로 나란히 파인 두 개의 위치결정홈(2730, 2740)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우징(275)에는 제2 캠(273)이 스프링(274)에 의해 탄성 수용되며, 제2 캠(273)은 제2 하우징(275)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수용된다.
제1 캠(272)의 위치결정 돌기(2720)은 위치에 따라서 두 개의 위치결정홈(2730, 274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며, 카메라 지지 부재(30)의 회전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때에는 위치결정 돌기(2720)가 위치결정 돌기 사이를 타고 넘어가게 된다. 도 3에는 두 개의 위치로 카메라 지지 부재(30)가 기립 부재(30)에 대해 회동하여 위치하는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카메라 지지 부재(30)의 위치가 더 많은 단계의 위치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위치결정홈의 개수를 그만큼 더 늘리면 된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첨부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10: 베이스
20: 기립 부재
30: 카메라 지지 부재

Claims (6)

  1.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에 있어서,
    상면 및 하면으로 구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대해 제1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립 가능한 기립 부재와,
    상기 기립 부재에 대해 제2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카메라가 장착되는 카메라 지지부재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데이터 전송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회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립 부재에는 상기 카메라 지지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기립 부재가 수용될 수 있는 제2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카메라 지지 부재에 장착되는,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일측에 소정의 개수의 걸림홈이 형성되며 걸림홈 사이에는 가이드면이 형성되어 있는 축부와,
    상기 기립 부재에 고정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해 회전이 제한되도록 탄성 수용되며, 상기 걸림홈에 걸리는 피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가이드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되어 있는 캠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기립 부재에 대해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에 대한 회전이 제한되도록 축부에 끼워지는 제1 캠과,
    상기 제1 캠과 협동하여 소정의 개수의 위치에 대해서만 회전 위치가 결정되는 제2 캠과,
    상기 제2 캠이 회전이 제한되도록 탄성 수용되며, 상기 카메라 지지 부재에 대해 고정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를 향해 조사할 수 있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KR1020100090704A 2010-09-15 2010-09-15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KR101148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04A KR101148105B1 (ko) 2010-09-15 2010-09-15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704A KR101148105B1 (ko) 2010-09-15 2010-09-15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700A true KR20120028700A (ko) 2012-03-23
KR101148105B1 KR101148105B1 (ko) 2012-05-23

Family

ID=46133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704A KR101148105B1 (ko) 2010-09-15 2010-09-15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81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85B1 (ko) * 2020-06-25 2021-08-31 (주)알파캠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1799B2 (ja) * 2003-08-22 2007-07-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カメラスタンド
KR100577234B1 (ko) 2004-03-15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용 스탠드
KR100662331B1 (ko) * 2004-12-31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스탠드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885B1 (ko) * 2020-06-25 2021-08-31 (주)알파캠 온라인 수업용 실물 화상기 타입 웹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8105B1 (ko)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95357A1 (en) Mobile and portable screen to view an image recorded by a camera
US10021286B2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and video imaging and recording and system utilizing the same
US10831093B1 (en) Focus control for a plurality of cameras in a smartphone
US10200583B2 (en) System for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camer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10218942B2 (en) Positionable camera
KR10137793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내시경 카메라
US10261408B2 (en) Mobile and portable camera platform for tracking an object
US11681382B2 (en) Electronic stylus having image capabilities
JPH09128091A (ja) 画面表示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及びこの電子機器に接続した撮像機器
KR101148105B1 (ko) 휴대용 영상 전송 장치
KR101184690B1 (ko) 모션 추적 프로그램이 내장된 모바일 단말기와 이와 연동하는 트래킹 크래들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 제작장치
US20100289903A1 (en) Portable presentation computer station
JP4496325B2 (ja) 撮像機器
JP4390887B2 (ja) 撮像機器
WO2019052147A1 (zh) 一种智能投影互动装置
CN112648479B (zh) 一种人脸识别跟踪的云台支架的使用方法
FR3006418A1 (fr) Studio mobile de prises de vues video
KR101241815B1 (ko) 실물화상 및 음성인식 출력장치
JP2000214517A5 (ko)
CN220158220U (zh) 一种肌肤检测设备和肌肤检测系统
JP2003315891A (ja) カメラ
RU2782735C1 (ru) Система «индустриальный mr-ассистент»
KR100449096B1 (ko) 실물화상 출력장치
CN213271681U (zh) 基于移动终端设备屏幕图像进行人脸识别跟踪的云台支架
JP2002044203A (ja) 携帯型無線通信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