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8692A -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8692A
KR20120028692A KR1020100090695A KR20100090695A KR20120028692A KR 20120028692 A KR20120028692 A KR 20120028692A KR 1020100090695 A KR1020100090695 A KR 1020100090695A KR 20100090695 A KR20100090695 A KR 20100090695A KR 20120028692 A KR20120028692 A KR 20120028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battery
rectifi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봉
윤정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8692A/ko
Priority to JP2010276769A priority patent/JP2012065532A/ja
Priority to CN2010105996754A priority patent/CN102403773A/zh
Publication of KR2012002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219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50Charging of capacitors, supercapacitors, ultra-capacitors or double layer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양과 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는 교류(AC) 전원을 정류하여 한 가지 방향만을 갖는 직류(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일정한 크기의 값을 갖는 직류(steady DC)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해 충전하는 충전 장치를 포함하며, 경박단소화가 가능하고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상용 교류(AC) 전원을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으로 변환 시 발생되는 잡음 및 전자파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온 장치 등에 사용되는 열전소자의 전원으로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인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ed-mode power supply; SMPS)가 사용된다.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원을 컴퓨터, 통신 기기, 가전 기기 등 각종 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의 전원 공급 장치로서, 고속 전력 반도체를 이용해 높은 주파수로 단속 제어를 하고 정류와 평활 회로를 거쳐 안정된 각종 직류 전압을 얻는다.
상기 열전소자가 교류(AC) 전원이 아닌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을 사용하는 이유는 열전소자의 특성상 한 면은 고온부(hot side)를 다른 한 면은 저온부(cold side)를 항상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열전소자에 직류(DC) 전원이 아닌 교류(AC) 전원을 인가할 경우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고 바뀌게 되므로 그에 따라 열전소자의 고온부(hot side)와 저온부(cold side)가 바뀌게 되어 상기 열전소자에 약 1초 간격으로 열충격이 가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열전소자의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거나, 열전소자의 특성인 양단의 열 차이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런 이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소자의 한 면은 고온부(hot side)로 다른 한 면은 저온부(cold side)로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전류 회로가 내장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를 구현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전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는 일반적으로 라인 필터(EMI 필터), PFC부, PWM부, 정류기, 변압기 및 보호 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대용량의 직류(DC) 전원을 얻을 수 있는 있지만 대전력을 필요로 하고 차지하는 부피가 크며 상당히 고가이다.
또한, 상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MPS)는 여러 단계의 각 부를 거쳐 직류(DC) 전원이 생성되므로 스위칭 과정에서 많은 잡음 및 전자파를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전력의 전원을 필요로 하는 열전소자에 전원 공급 시 간단한 구성으로 경박단소화가 가능하고 저가이면서 안정되고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소전력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소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용 교류(AC) 전원을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으로 변환 시 발생되는 잡음 및 전자파가 현저히 감소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양과 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는 교류(AC) 전원을 정류하여 한 가지 방향만을 갖는 직류(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일정한 크기의 값을 갖는 직류(steady DC)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해 충전하는 충전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류기 앞 단에 설치되어 상기 교류(AC) 전원의 전자파의 간섭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류기는 제1 단자에 양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 및 제4 다이오드가 온(on)되어 통과되고, 상기 정류기의 제2 단자에 음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 및 제3 다이오드가 온(on)되어 통과되도록 연결되어 전류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를 통해서 공급할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2차 전지 또는 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는 충전용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류기와 충전장치만으로 구성된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를 구현함으로써 경박단소화가 가능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므로 상용 교류(AC) 전원을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으로 변환 시 각 구성요소로부터 발생되는 잡음 및 전자파가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류기의 정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각 부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류기의 정류 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충전장치의 상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의 각 부에 따른 파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라인 필터(110), 정류기(120) 및 충전 장치(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라인 필터(11)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교류(AC) 전원의 불필요한 전자파 신호의 간섭 및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기 라인 필터(11)로는 예를 들면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정류기(120)는 상기 라인 필터(110)로부터 제공된 주기적으로 양과 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는 교류(AC) 전원을 한 가지 방향만을 갖는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상기 정류기(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다이오드(121~124)가 브릿지 연결된 브릿지 회로로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릿지 회로의 제1 단자(a)에 양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 및 제4 다이오드(121 및 124)가 온(on)되어 통과하게 되고, 상기 브릿지 회로의 제2 단자(b)에 음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 및 제 3 다이오드(122 및 123)가 온(on)되어 통과하게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정류기(120)의 브릿지 회로의 양단 사이에, 즉 제1 단자(a)와 제2 단자(b) 사이에 부하를 연결하면 상기 브릿지 회로를 거친 전류는 항상 제1단자(a)에서 제2 단자(b) 방향으로 일정하게 흐르게 된다. 즉, 전류의 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상기 부하가 열전소자(200)일 경우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상기 열전소자(200)의 한 면은 고온부(hot side)로 다른 한 면은 저온부(cold side)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파형으로 나타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과 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는 상기 교류(AC) 전원은 상기 정류기(120)의 브릿지 회로를 거쳐 한 가지 방향만을 갖는(예컨대, 양의 방향만을 갖는) 정류된 직류(DC) 전원으로 변환된다.
그러나 정류기(120)만을 거쳐 정류된 직류(DC) 전원은 전류의 방향은 바뀌지 않으나,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직류(DC) 전원의 크기는 감소 및 증가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직류(DC) 전원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은 전원이 열전소자(200)에 인가될 경우 소정의 한 면을 고온부(hot side)로 다른 한 면을 저온부(cold side)로 유지하는 것은 가능하나, 인가된 직류(DC) 전원의 크기에 따라 고온부(hot side) 및 저온부(cold side) 각각에 열 차이가 발생해 상기 열전소자(200)의 신뢰성 및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200)에 일정한 값을 갖는 직류(DC)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정류기(120)를 통해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후술될 충전 장치(130)를 통해 충전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충전 장치(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류기(120)로부터 입력되는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회로(131), 상기 충전회로(131)를 통해서 상기 열전소자(200)에 공급할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는 배터리(133) 및 상기 배터리(133)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회로(131)를 제어하는 제어수단(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133)는 예를 들면 2차 전지 또는 축전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133)는 충전용 캐패시터(capacitor)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충전 장치(130)는 상기 배터리(133)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수단(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100)는 대용량의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정류기(120)와 충전 장치(130)만을 포함하여 안정적인 일정한 직류(steady DC)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인한 경박단소화가 가능하고 설계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각 구성요소로부터 발생되는 잡음 및 전자파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전원공급장치 200: 열전소자
110: 라인 필터 120: 정류기
121~124: 제1~제4 다이오드 130: 충전 장치
131: 충전회로 133:배터리
135: 제어수단

Claims (8)

  1. 외부로부터 입력된 양과 음의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는 교류(AC) 전원을 정류하여 한 가지 방향만을 갖는 직류(D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 및
    상기 정류기를 통해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일정한 크기의 값을 갖는 직류(steady DC) 전원으로 공급하기 위해 충전하는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 앞 단에 설치되어 상기 교류(AC) 전원의 전자파의 간섭 및 노이즈를 제거하는 라인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제1 단자에 양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1 및 제4 다이오드가 온(on)되어 통과되고, 상기 정류기의 제2 단자에 음의 전류가 인가되면 제2 및 제3 다이오드가 온(on)되어 통과되도록 연결되어 전류의 방향을 일정하게 하는 브릿지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정류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류된 직류(DC) 전원을 배터리 충전 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를 통해서 공급할 전원을 충전하고 충전된 전원을 방전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회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충전 장치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2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축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충전용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KR1020100090695A 2010-09-15 2010-09-15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KR20120028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95A KR20120028692A (ko) 2010-09-15 2010-09-15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JP2010276769A JP2012065532A (ja) 2010-09-15 2010-12-13 熱電素子用電源供給装置
CN2010105996754A CN102403773A (zh) 2010-09-15 2010-12-14 用于热电元件的电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95A KR20120028692A (ko) 2010-09-15 2010-09-15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92A true KR20120028692A (ko) 2012-03-23

Family

ID=4588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95A KR20120028692A (ko) 2010-09-15 2010-09-15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2065532A (ko)
KR (1) KR20120028692A (ko)
CN (1) CN102403773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27643A (ja) * 1985-03-31 1986-10-09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バツテリのモニタ装置
JP2633950B2 (ja) * 1989-03-08 1997-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JP3020728B2 (ja) * 1992-05-08 2000-03-15 株式会社東芝 電子冷蔵庫
JP3077744B2 (ja) * 1997-07-14 2000-08-1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ペルチェ素子の電源装置
IL136275A0 (en) * 2000-05-22 2001-05-20 Active Cool Ltd Active cooling system for cpu and semiconductors also enabling thermal acceleration
JP2004274875A (ja) * 2003-03-07 2004-09-30 Yamaha Motor Co Ltd 電動車両用充電器
JP4601532B2 (ja) * 2005-10-05 2010-12-22 オリオン機械株式会社 サーモモジュール用制御装置
CN2882081Y (zh) * 2006-02-27 2007-03-21 邓小龙 适用于具有整流滤波电源输入电路设备的大功率后备电源
CN201063385Y (zh) * 2007-07-28 2008-05-21 张龙平 一种具有整流功能的插头/插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03773A (zh) 2012-04-04
JP2012065532A (ja)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4785B2 (en) Insulation type switching power source apparatus
KR101818773B1 (ko) 공진 방식 무선 충전 시스템용 수신 전력 변환 장치
KR100806774B1 (ko) Ac/dc 변환기 및 이를 이용한 ac/dc 변환 방법
Park et al. Quasi-resonant (QR) controller with adaptive switching frequency reduction scheme for flyback converter
US20110025289A1 (en) Two-stage switching power supply
US11463012B1 (en) Architecture for multi-port AC/DC switching mode power supply
JP6255577B2 (ja) 直流電源回路
JP5547603B2 (ja) 電源装置
US11611282B2 (en) Switching power circuit for charging a battery
CN107834822B (zh) 用于开关模式功率转换器的控制器和功率转换器
KR20120052759A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방법
JP201212509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表示装置
JP2011229391A (ja) 力率改善用電流制御回路を有する電源供給装置
KR20080110376A (ko) 다출력 어댑터
KR101367954B1 (ko)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및 이의 스위칭 제어 회로
JP2012065531A (ja) 熱電素子用電源供給装置
US20150256098A1 (en) Mains power converter, and methods of operating and equipment incorporating the same
KR20100005898A (ko) 멀티 피드백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교류-직류 컨버터
KR20120028692A (ko) 열전소자용 전원공급장치
KR101444602B1 (ko) 정류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JP2014220876A (ja) 電子トランス
KR100816842B1 (ko) 동기화 전원장치
KR20150072788A (ko) 전원 공급 장치
CN218514279U (zh) 一种开关电源及交流-直流变换电路
CN208078915U (zh) 一种直流高压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