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993A -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993A
KR20120027993A KR1020100089925A KR20100089925A KR20120027993A KR 20120027993 A KR20120027993 A KR 20120027993A KR 1020100089925 A KR1020100089925 A KR 1020100089925A KR 20100089925 A KR20100089925 A KR 20100089925A KR 20120027993 A KR20120027993 A KR 2012002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able sensor
fence
installation structu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웅
Original Assignee
박래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래웅 filed Critical 박래웅
Priority to KR1020100089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993A/ko
Publication of KR2012002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17Fencing provided with electric elements or components, e.g. fencing member or component, such as fence strands, post, panel or rail, provided with electric elements 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3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케이블센서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들을 사전에 제거하여 방범방재 기능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펜스의 하단부를 지나 지표면을 뚫고 땅속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대연장부와, 상기 땅속에서 지지대연장부에 접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횡으로 설치된 배관과, 상기 지지대연장부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센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배관은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센서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기선이 외부로 통하도록 하는 전기선배출부가 지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지지대연장부는 침입자가 월담을 할 경우 흔들리는 세기가 배관에 양호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배관에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혹은 접촉되는 배관의 부분에 통공을 형성하여 지지대연장부가 소정길이만큼 배관의 내부로 인입하여 설치된다.

Description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Cable sensor establishing structure for preventing crime and disaster}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 10-2010-0032712호(2010. 04. 09 출원)에 관련된 기술이다.
본 발명은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케이블센서의 동작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들을 사전에 제거하여 방범방재 기능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는 일반적으로 소정높이를 갖는 담에 설치되어 월담을 하는 침입자를 감지해내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케이블센서의 동작은 월담을 하는 침입자에 의해 케이블센서가 흔들리거나 케이블센서에 연결된 전기선을 절단하는 등의 행위에 의해 케이블센서가 흔들려 그 내부에 구성된 영구자석에 의해 자기장이 변화함으로써 전류값이 변화하는 원리를 토대로 침입자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종래 구체적인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일정폭을 갖는 펜스(10)를 종으로 가로질러 상부쪽으로 드러나도록 가로지지대(20)가 설치되고, 가로지지대(20)의 상부에 대체로 V자형의 브라켓(3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며, 브라켓(30)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철조망(40)이 펜스(10) 위 전체에 걸쳐 설치되면, 상기 브라켓(30)이나 펜스 상측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된 가로지지대(20)의 상부 노출부분에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50)를 설치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 이외에 하단 가로지지대와 지표면 사이에 설치하거나 혹은 배관 속에 넣어 설치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는 예를 들어 폭우나 우박 등으로부터 직접적인 충격을 받거나 지표면에 있는 모래 등이 튕겨 흔들림으로써 경보를 발생하는 등의 오작동을 불러일으키는 경우가 있고, 접지봉 하단 부분의 땅을 파헤쳐 접지봉을 옆으로 이동시킬 경우 침입자 감지가 되지 않아 침입자 감지라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센서 설치구조가 내포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예상치 못한 자연환경 변화 및 침입자의 의도적인 훼손에 전혀 구애받지 않고 침입자 감지라는 본연의 기능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는, 상하 일정폭으로 형성된 펜스와, 펜스를 종으로 가로질러 상부쪽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된 가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의 상부에 대체로 V자형으로 설치된 브라켓과, 브라켓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펜스 위 전체에 걸쳐 설치된 철조망으로 구성된 방범방재 펜스에 있어서, 펜스의 하단부를 지나 지표면을 뚫고 땅속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대연장부와, 땅속에서 지지대연장부에 접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횡으로 설치된 배관과, 지지대연장부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배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배관은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센서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기선이 외부로 통하도록 하는 전기선배출부가 지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지대연장부는 침입자가 월담을 할 경우 흔들리는 세기가 배관에 양호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배관에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혹은 접촉되는 배관의 부분에 통공을 형성하여 지지대연장부가 소정길이만큼 배관의 내부로 인입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에 따르면, 예상치 못한 폭우나 우박 등의 자연환경으로 인해 충격을 받거나 지표면에 존재하는 모래 혹은 흙이 튕겨 센서를 흔들리게 함으로써 오작동으로 경보를 발생하게 하거나 의도적인 훼손에도 불구하고 침입자 감지라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여 정확하고 효율적인 감지가 가능토록 한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케이블센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명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구조는, 상하 일정폭(높이)으로 형성된 펜스(10)와, 상기 펜스(10)를 종으로 가로질러 상부쪽으로 일정길이 드러나도록 설치된 가로지지대(20)와, 상기 가로지지대(20)의 상부에 대체로 V자형으로 설치된 브라켓(30)과, 상기 브라켓(3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펜스(10) 위 전체에 걸쳐 설치된 철조망(40)으로 구성된 방범방재 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10)의 하단부를 통해 지표면을 뚫고 땅속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대연장부(21)와, 상기 땅속에서 지지대연장부(21)에 접하면서 횡으로 설치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의 배관(60)과, 상기 지지대연장부(21)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배관(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센서(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관(60)은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센서(50)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기선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전기선배출부(61)가 지표면에 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연장부(21)는 침입자가 월담을 할 경우 흔들리는 세기가 배관(60)에 양호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파이프 형태로 폐쇄된 배관(60)에 단순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혹은 접촉되는 배관의 부분에 통공을 형성하여 지지대연장부(21)가 소정길이만큼 배관(60)의 내부로 인입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블센서는 침입자가 월담을 위해 가로지지대(20)를 건드려 흔들리면 가로지지대연장부(21)가 접촉된 배관(60)도 흔들리게 되어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센서(50)도 흔들리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센서(50)의 내부에 설치된 영구자석이 흔들리게 됨으로써 자속이 변화하여 전류의 흐름이 변화되고, 배관(60)의 전기선배출부(61)를 통해 외부로 연결된 전기선을 통해 원격지 관제센터로 감지신호가 전송되어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펜스 20 : 가로지지대
21 : 가로지지대연장부 30 : 브라켓
40 : 철조망 50 : 케이블센서
60 : 배관 61 : 전기선배출부

Claims (3)

  1. 상하 일정폭으로 형성된 펜스(10)와, 상기 펜스(10)를 종으로 가로질러 상부쪽으로 드러나도록 설치된 가로지지대(20)와, 상기 가로지지대(20)의 상부에 대체로 V자형으로 설치된 브라켓(30)과, 상기 브라켓(30)이 지지하는 상태에서 펜스(10) 위 전체에 걸쳐 설치된 철조망(40)으로 구성된 방범방재 펜스에 있어서,
    상기 펜스(10)의 하단부를 지나 지표면을 뚫고 땅속으로 연장 설치된 지지대연장부(21)와, 상기 땅속에서 지지대연장부(21)에 접하면서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횡으로 설치된 배관(60)과, 상기 지지대연장부(21)의 하부에 위치되면서 배관(60)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블센서(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60)은 내부에 설치된 케이블센서(50)의 감지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도록 전기선이 외부로 통하도록 하는 전기선배출부(61)가 지표면에 접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연장부(21)는 침입자가 월담을 할 경우 흔들리는 세기가 배관(60)에 양호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그 단부가 배관(60)에 접촉되는 상태로 설치되거나 혹은 접촉되는 배관의 부분에 통공을 형성하여 지지대연장부(21)가 소정길이만큼 배관(60)의 내부로 인입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구조.
KR1020100089925A 2010-09-14 2010-09-14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KR201200279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25A KR20120027993A (ko) 2010-09-14 2010-09-14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925A KR20120027993A (ko) 2010-09-14 2010-09-14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993A true KR20120027993A (ko) 2012-03-22

Family

ID=4613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925A KR20120027993A (ko) 2010-09-14 2010-09-14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9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828B1 (ko) * 2013-10-18 2014-06-23 도아기업주식회사 분해 조립 가능한 이동 울타리
KR101483293B1 (ko) * 2013-07-15 2015-01-16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293B1 (ko) * 2013-07-15 2015-01-16 주식회사 가우테크닉스 침입감지 시스템용 광케이블 그립장치
KR101410828B1 (ko) * 2013-10-18 2014-06-23 도아기업주식회사 분해 조립 가능한 이동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9140B2 (en) Security fence module
US20070170411A1 (en) Temporary fence
US20130319539A1 (en) Protective device and method of use for a lift station water level sensor
KR20160092637A (ko) 철조망 침입감지 및 보안 시스템
KR20120027993A (ko) 방범방재용 케이블센서 설치 구조
WO2009014304A1 (en) An external trespass sensing system
CN101858987A (zh) 基于全方位倾斜传感器的塌方监测装置
JP5580612B2 (ja) 冠水検出センサ
RU2425200C1 (ru) Ох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снове спирального заграждения
KR101598985B1 (ko) 산사태 경보 장치
JP6087204B2 (ja) 無線タグシステムおよびセンサデータ処理方法
KR101947266B1 (ko) 해저배관 충격 감시 장치
JP3166909U (ja) ワイヤーセンサー
KR101482238B1 (ko) 지중배전 이엘피 입상연결관
AU2013330201B2 (en) Mining and mineral processing tracers with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KR100674591B1 (ko) 야외시설물 도난 방지 장치
JP2018087814A (ja) 冠水検知センサの取付構造
KR102650128B1 (ko) 맨홀 뚜껑 개방 경고 장치
KR200424685Y1 (ko) 지하용 보안펜스
JP3174859U (ja) 冠水検出センサ
RU66835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е средство охраны периметров объектов
KR102508454B1 (ko) 시설물 관리 장치
AU2014216043A1 (en) Safe intrusion sensor unit
PL224540B1 (pl) Czujka do wykrywania zmian położenia elementów urządzeń, zwłaszcza pokryw studni kanalizacyjnych
JP2014163205A (ja) 免震建物の雨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