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761A -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761A
KR20120027761A KR1020100089535A KR20100089535A KR20120027761A KR 20120027761 A KR20120027761 A KR 20120027761A KR 1020100089535 A KR1020100089535 A KR 1020100089535A KR 20100089535 A KR20100089535 A KR 20100089535A KR 20120027761 A KR20120027761 A KR 20120027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weight
filling
pattern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8034B1 (ko
Inventor
문행근
Original Assignee
문행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행근 filed Critical 문행근
Priority to KR1020100089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803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8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8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08Colouring, e.g. striated bars or striped bars, or perfu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촉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나 형태를 압인하거나 비누에 새겨 넣는 기존의 각인방법이 아니라 압인이나 새겨 넣는 각인방법의 문제점과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바탕비누에 필요한 크기의 규격으로 입체적인 문자나 형태가 들어있으면서 소모도 동일하게 하여 비누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장기간 표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금형에 의한 판촉용 문장의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나 단체, 기관 등등에서 필요로 하는 패턴을 비누속에 입체적으로 만들어 비누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볼 수 있는 비누를 만들어 사용 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부터 현재까지 비누를 통해 필요한 문자나 형태를 전달하고자 하는 제작방법의 문제점과 제한사항을 제거한 새로운 방법으로 일상생활, 기관이나 단체, 개인 등등에서 선물용, 사은품, 홍보판촉용, 기념용, 관광지용, 일반 판매용 등등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장소에서 제품을 활용 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omitted}
본 발명은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나 형태를 압인하거나 비누에 새겨 넣는 기존의 각인방법이 아니라 압인이나 새겨 넣는 각인방법의 문제점과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바탕비누에 필요한 크기의 규격으로 패턴(이하, 입체적인 문자나 형태 혹은 Logotype를 통칭하는 것으로 정의함)이 들어있으면서 비누 사용에 따른 소모도 동일하게 하여 비누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장기간 표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가 본격적으로 시판된 이래 단순히 몸에 묻은 먼지나 노폐물 등의 오물을 제거하는 단순기능의 저렴한 가격대의 비누가 지속적으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었으나 소득 및 문화적 수준이 점진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피부관리나 세안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기존의 슈퍼에서 판매되고 있던 일반비누와 달리 기능성 미용비누란 이름으로 불리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비누를 외형상으로 분류해보면, 일반 고체형 비누와, 천연 야자유 팜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글리세린을 완전 추출해 내어 아주 딱딱하고 견고한 비누로서 통상 강알칼리(Ph 9.5?11) 일반 고체형 비누와, 글리세린 등을 부분 추출하여 약간 딱딱하고 반투명해 보이며 통상 약 알칼리 (Ph 8?9.5) 반 투명비누와, 천연 야자유 팜유를 극도로 정제하고 글리세린 및 보습성분이 함유되어 투명하게 보이며 통상 약산성 (Ph 5.5?6.8) 투명비누로 구분 된다.
그런데, 이러한 비누를 어느 정도 사용하여 얇아지면 약간의 힘을 주어도 부러져서 여러 조각이 나게 되므로 대개는 조각비누를 버리는 일이 많고, 가정에서는 알뜰하게 조각비누를 모아두었다가 뭉쳐서 사용하거나 새 비누에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빌딩의 세면장이나 공공장소에서는 얇은 비누의 파손 확률이 크고, 또한 조각난 비누를 알뜰히 사용하지 않고 쉽게 버리고 새 비누를 사용하는 일이 많은 실정이다.
또한, 비누의 외부표면에 회사의 고유상표나 고유품명을 비누의 상, 하단에 압인(壓印)하여 융각(隆刻)되게 제작하기 때문에 비누를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비누에 형성되어진 문장이나 형상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비누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문자나 형태는 종래부터 현재까지 대부분 비누표면을 눌러 표현하는 압인(壓印)방법이나 비누에 새겨 넣는 각인(刻印)방법은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얕게 압인(壓印)이나 각인(刻印)된 비누는 몇번 사용하면 표시가 없어져 단기성이고 일회성 형태다. 또한 깊게 압인(壓印)하거나 깊게 문자를 새겨 넣는 각인(刻印)방법은 이론적인 설명으로는 가능하겠지만 비누원료의 화학적 결합이나 원료의 특성상 문제가 많이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현실적으로 제품에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나 형태를 압인하거나 비누에 새겨 넣는 기존의 각인방법이 아니라 압인이나 새겨 넣는 각인방법의 문제점과 제한사항을 제거하여 바탕비누에 필요한 크기의 규격으로 패턴이 들어있으면서 비누 사용에 따른 소모도 동일하게 하여 비누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장기간 표시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에서 패턴이란 비누에 생산자 혹은 소비자의 요구나 필요에 의해 형성되는 입체적인 문자나 형태 혹은 Logotype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임의로 정의 되어진 용어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본 발명을 쉽게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정의된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의 특징은, 0.1중량%를 갖는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과, 17.9중량%를 갖는 ERYTHROMYCIN STEARATE와, 10중량%를 갖는 GLYCOL DISTEARATE와, 15중량%를 갖는 물(WATER)과, 3중량%를 갖는 DEODORIZED ETHANOL와, 1중량%를 갖는 시어버터(SHEA BUTTER)와, 34중량%를 갖는 글리세린(GLYCERIN)과, 9.5중량%를 갖는 솔비톨 분말(SORBITOL POWDER)과, 3중량%를 갖는 CH310COOH와, 5중량%를 갖는 CH316COOH와, 1중량%를 갖는 CH312COOH 및 0.5중량%를 갖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으로 충진용 비누액을 만드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의 부가적인 특징은, 동물성 혹은 광물성 천연염료를 소량의 미지근한 물에 색소를 고농도로 녹인 후 상기 충진용 비누액에 첨가하면서 색상을 조절하되, 해당 천연 염료는 상기 충진용 비누액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1
중량% ~ 7중량%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인조 무기물을 제외한 무해성 무기안료를 소량의 충진용 비누액에 안료를 충분히 혼한한 후 전체 충진용 비누액에 첨가하면서 색상을 조절하되, 해당 무해성 무기안료는 상기 충진용 비누액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2중량% ~ 6중량%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의 특징은, 필요한 패턴의 이미지가 잘 표현되고, 잘 전달될 수 있게 디자인하여 바탕비누는 음각형이 되게, 해당 패턴은 양각형이 되도록 설계하여 실리콘(Silicon)계열의 재질로 금형을 제작하는 제 1단계와; 금형에 바탕비누(주 비누) 원료를 충진하는 제 2단계와; 주변 환경과 온도 등의 건조시간을 고려하여 굳은 상태를 확인 후 바탕비누를 금형에서 이탈시키는 제 3단계와; 이탈시킨 바탕비누의 패턴에 대해 작업이 용이하게 내부 및 주변을 정리하는 제 4단계; 및 비누제작 완성 후 시간경과에 따른 충진물 색소의 혼색이나 번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미지나 의미전달이 용이한 패턴이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에 0.1중량%를 갖는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과, 17.9중량%를 갖는 ERYTHROMYCIN STEARATE와, 10중량%를 갖는 GLYCOL DISTEARATE와, 15중량%를 갖는 물(WATER)과, 3중량%를 갖는 DEODORIZED ETHANOL와, 1중량%를 갖는 시어버터(SHEA BUTTER)와, 34중량%를 갖는 글리세린(GLYCERIN)과, 9.5중량%를 갖는 솔비톨 분말(SORBITOL POWDER)와, 3중량%를 갖는 CH310COOH와, 5중량%를 갖는 CH316COOH와, 1중량%를 갖는 CH312COOH 및 0.5중량%를 갖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으로 이루어진 충진용 비누액을 상기 제 3단계이후 30분이 경과하지 않은 시간 혹은 1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시간 이내에 40℃~73℃의 열환경속에서 충진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일상생활에서나 단체, 기관 등등에서 필요로 하는 패턴을 비누속에 입체적으로 만들어 비누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볼 수 있는 비누를 만들어 사용 할 수가 있으므로, 종래부터 현재까지 비누를 통해 필요한 패턴을 전달하고자 하는 제작방법의 문제점과 제한사항을 제거한 새로운 방법으로 일상생활, 기관이나 단체, 개인 등등에서 선물용, 사은품, 홍보판촉용, 기념용, 관광지용, 일반 판매용 등등 다양한 용도로 다양한 장소에서 제품을 활용 할 수가 있다.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을 간략히 살펴보면, 필요한 패턴을 기본바탕 비누에 입체적인 음각형으로 만들어서, 만들어진 음각형의 문자나 Logotype의 완성을 위한 제 조건에 알맞은 비누를 충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들의 해결수단으로서는 음각형의 패턴은 금형의 재질에 따라서 패턴이 만들어 지기도 하고 망가지거나 금형과 비누의 분리가 되지 않기도 하는데 금형의 재질은 금속계열이나 절연판 계열이 아닌 비누와 분리, 이탈이 용이한 실리콘(Silicon)계열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또한 음각형의 패턴의 완성에 사용되는 충진물의 사용되는 색소, 충진물의 온도, 충진 작업시간 시간, 사용되는 염료나 안료의 배합 비율 등등의 조건에 따라서 입체적인 패턴이 정상적으로 표시되기도 하고, 바탕비누에 음각형 패턴 자체가 형성되지 않거나, 형성되어 있어도 충진물 온도에 망가지기도 하며, 색상의 혼합이나 번짐이 발생되기도 하고, 바탕비누와 동일한 소모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기본 바탕비누와 분리되어 이탈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필요하고 원하는 형태의 입체적인 패턴이 들어가는 비누를 제작하는 방법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필요한 패턴을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전달이 용이하게 설계하고, 필요한 형태의 실리콘(Silicon)계열 금형을 제작하며, 음각형 패턴의 바탕비누(주 비누)를 만든 후, 충진물의 색이 바탕비누에 혼합되거나 번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조하거나 배합하여, 음각형 패턴의 세밀한 부분의 녹아내림이나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충진물의 적정온도를 유지하면서, 충진 작업이 적정한 시간내에 충진물을 충진시켜 입체적인 패턴의 비누를 제작하는 방법 이다.
(1) 필요한 패턴의 이미지가 잘 표현되고, 잘 전달될 수 있게 디자인하여 바탕비누는 음각형이 되게, 필요한 패턴은 양각형이 되도록 설계하여 실리콘(Silicon)계열의 재질로 금형을 제작한다.
(2) 금형에 바탕비누(주 비누) 원료를 충진 한다.
(3) 주변 환경과 온도 등의 건조시간을 고려하여 굳은 상태를 확인 후 바탕비누를 금형에서 이탈시킨다.
(4) 이탈시킨 바탕비누의 음각형 패턴을 작업이 용이하게 내부 및 주변을 정리한다.
(5) 비누제작 완성 후 시간경과에 따른 충진물 색소의 혼색이나 번짐이 발생하지 않고, 이미지나 의미전달이 용이한 입체적 패턴에 적절한 충진물의 색소를 선택하여야 하는 데, 충진물로 사용되는 원료를 찾기 위해 실험한 결과들을 대분류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아래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따라서 상술한 표 1을 기준으로 살펴 볼 때 충진물은 동물성, 광물성 천연염료나 인조 무기물을 제외한 무해성 무기안료를 선택 혹은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음각형 패턴에 충진할 충진물의 배합은 아래의 표 2의 비율에 근거하여 배합한다.
Figure pat00002
상술한 표 2A는 충진물로 사용되는 백색 비누의 조성비를 나타내며, 그 구성들의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시어버터는 보습제이며, 솔비톨은 식물 첨가제로써 습윤 조정 기능과 단백질 변성방지 등의 다양한 특성으로 인해 화장품 원료로도 많이 사용되는 데, 연화제 코코넛 오일에서 나오는 미리스틱산에서 합성, 로션이나 크림이 피부에 잘 펴 발라지도록 도와주는 무색. 무취의 보습제입니다.
또한, 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차단제 및 화장품 등으로 쓰이는 것으로, 흰색의 도료(물감, 유약, 잉크, 수정액, 페인트 등)로서 널리 쓰이며, 산화력이커 광촉매로서 쓰이고, 향균제, 악취제거 및 살균제로 쓰인다.
Figure pat00003
또한, 표 2B는 상기 표 1의 실험 정리예를 기준으로 선별한 염료(동물성, 광물성 천연염료나 안료(인조 무기물을 제외한 무해성 무기안료)를 이용하여 상기 표 2A에서 정리되어진 백색의 충진용 비누에 색상을 입히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한 것이다.
(7) 바탕비누와 충진물인 입체적 패턴이 비누가 모두 소모될 때까지 분리되지 않고 동일하게 소모되도록 배합원료와 비율을 맞추어 적정시간이내에 충진물을 충진한다.
이때 충진물은 상기 표 2에 나타나있는 충진물의 제조 배합 및 사용비율을 기준으로하며, 음각형 패턴에 충진물 충진 적정시간은 아래의 표 3을 기준으로 한다.
Figure pat00004
(8) 충진물 충진시 음각형 패턴의 미세부분 변형이나 녹아내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정 온도가 유지되게 충진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설정하여 충진물을 충진하는데, 충진물의 적정 사용온도는 아래의 표 4를 기준으로 한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4에서 충진 비누액의 충진시 적정 온도는 충진동작시에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충진시 표시한 범위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패턴의 미세부분 변형이나 녹아내림 현상이 발생되며, 반대로 너무 낮은 온도로 떨어지면 충진액이 굳는 현상으로 불량이 발생되어진다.
또한, 충진 비누액은 50℃(겨울제외) 혹은 53℃(겨울)가 되면 약간 굳어지는 현상을 보이다가 45℃~47℃(겨울제외) 혹은 47℃~50℃(겨울)에서는 걸죽한 상태로 변하면서 표시한 온도에서 고체화가 시작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0.1중량%를 갖는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과, 17.9중량%를 갖는 ERYTHROMYCIN STEARATE와, 10중량%를 갖는 GLYCOL DISTEARATE와, 15중량%를 갖는 물(WATER)과, 3중량%를 갖는 DEODORIZED ETHANOL와, 1중량%를 갖는 시어버터(SHEA BUTTER)와, 34중량%를 갖는 글리세린(GLYCERIN)과, 9.5중량%를 갖는 솔비톨 분말(SORBITOL POWDER)와, 3중량%를 갖는 CH310COOH와, 5중량%를 갖는 CH316COOH와, 1중량%를 갖는 CH312COOH 및 0.5중량%를 갖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으로 충진용 비누액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
  2. 제 1항에 있어서,
    동물성 혹은 광물성 천연염료를 소량의 미지근한 물에 색소를 고농도로 녹인 후 상기 충진용 비누액에 첨가하면서 색상을 조절하되, 해당 천연 염료는 상기 충진용 비누액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1중량% ~ 7중량%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
  3. 제 1항에 있어서,
    인조 무기물을 제외한 무해성 무기안료를 소량의 충진용 비누액에 안료를 충분히 혼한한 후 전체 충진용 비누액에 첨가하면서 색상을 조절하되, 해당 무해성 무기안료는 상기 충진용 비누액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2중량% ~ 6중량%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
  4. 필요한 패턴의 이미지가 잘 표현되고, 잘 전달될 수 있게 디자인하여 바탕비누는 음각형이 되게, 해당 패턴은 양각형이 되도록 설계하여 실리콘(Silicon)계열의 재질로 금형을 제작하는 제 1단계와;
    금형에 바탕비누(주 비누) 원료를 충진하는 제 2단계와;
    주변 환경과 온도 등의 건조시간을 고려하여 굳은 상태를 확인 후 바탕비누를 금형에서 이탈시키는 제 3단계와;
    이탈시킨 바탕비누의 패턴에 대해 작업이 용이하게 내부 및 주변을 정리하는 제 4단계; 및
    비누제작 완성 후 시간경과에 따른 충진물 색소의 혼색이나 번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이미지나 의미전달이 용이한 패턴이 입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에 0.1중량%를 갖는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과, 17.9중량%를 갖는 ERYTHROMYCIN STEARATE와, 10중량%를 갖는 GLYCOL DISTEARATE와, 15중량%를 갖는 물(WATER)과, 3중량%를 갖는 DEODORIZED ETHANOL와, 1중량%를 갖는 시어버터(SHEA BUTTER)와, 34중량%를 갖는 글리세린(GLYCERIN)과, 9.5중량%를 갖는 솔비톨 분말(SORBITOL POWDER)와, 3중량%를 갖는 CH310COOH와, 5중량%를 갖는 CH316COOH와, 1중량%를 갖는 CH312COOH 및 0.5중량%를 갖는 이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으로 이루어진 충진용 비누액을 상기 제 3단계이후 30분이 경과하지 않은 시간 혹은 1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시간 이내에 40℃~73℃의 열환경속에서 충진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에 의한 패턴의 각인에 따른 비누 각인의 충진물을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100089535A 2010-09-13 2010-09-13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01128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35A KR101128034B1 (ko) 2010-09-13 2010-09-13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535A KR101128034B1 (ko) 2010-09-13 2010-09-13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61A true KR20120027761A (ko) 2012-03-22
KR101128034B1 KR101128034B1 (ko) 2012-03-29

Family

ID=4614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535A KR101128034B1 (ko) 2010-09-13 2010-09-13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8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14B1 (ko) 2012-11-23 2014-06-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캡슐형 내시경 구동 제어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8034B1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2094182A3 (en) Long wearing composition for making up eyes, skin, and lips
EP1351656B1 (en) Henna product
JPH0739598B2 (ja) 透明−不透明二相石鹸
CA2752781C (en)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rfactant, sodium carbonate and cream of tartar
KR101128034B1 (ko) 금형에 의한 패턴의 비누 각인에 따른 각인의 충진물과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19990083850A (ko) 천연 미용물질이 함유된 미용화장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1006167B (zh) 按摩条皂
CN101559688A (zh) 一种可擦拭的彩色蜡笔
KR100432904B1 (ko) 다수의 투명층 및(또는) 불투명층이 결합된 투명 비누의제조 방법
DE60030956T2 (de) Weinstein und natriumbicarbonat enthaltende kosmetische zubereitungen
KR101855582B1 (ko) 천연재료분말을 이용한 광고용 비누 제조방법
KR101758991B1 (ko) 미용 팩 제조방법 및 미용 팩
JP2010202835A (ja) 透明石けん
KR20140035610A (ko) 액상 비누 제조방법
KR102245320B1 (ko) 3차원적 메세지 표시기능을 갖는 투명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1875553B (zh) 彩色醇基凹凸棒手印泥及其生产方法
JP2006169187A (ja) アルカリイオン水を用いた洗顔料の製造方法
CN201439521U (zh) 组合式香皂
JP2001311098A (ja) マーブル模様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75544B (zh) 醇基凹凸棒手印泥及其生产方法
Katz Soap, detergents, and personal care products
JP6793429B1 (ja) 固形石けん
JPH11293292A (ja) 標識手段が内蔵された透明石鹸の製造方法
Lalonde Toothpaste: Friend or Foe?
KR100453287B1 (ko) 아트비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