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730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730A
KR20120027730A KR1020100089489A KR20100089489A KR20120027730A KR 20120027730 A KR20120027730 A KR 20120027730A KR 1020100089489 A KR1020100089489 A KR 1020100089489A KR 20100089489 A KR20100089489 A KR 20100089489A KR 20120027730 A KR20120027730 A KR 20120027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heat
heat recovery
hoo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박준수
이재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7730A/ko
Publication of KR2012002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3/00Stoves or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 중 음식물을 가열하고 버려지는 폐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하여 공급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의 조리 중 버려지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고,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A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히터열,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가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생성하고 상기 조리실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드로 흡입되는 오염 공기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 및 상기 열회수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회수부에 의하여 회수된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온수공급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따르면,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는, 설겆이 등과 같이 물을 사용해야 하는 작업에 사용되거나,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재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이 회수되어 재활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조리기기에 의하여 낭비되는 에너지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에서 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 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본체(11)와, 상기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후드(1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1)는 주방 등과 같은 실내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본체(11)의 일측에는, 음식물이 조리되기 위한 조리 공간(11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11)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가 안착되고 상기 음식물 또는 용기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쿡탑부가 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의 내부에 캐비티가 구비되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가열되는 방식으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오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가 쿡탑부라면 상기 조리 공간(110)은 상기 쿡탑부의 상면이 될 수 있고, 상기 본체(11)가 오븐이라면 상기 조리 공간(110)은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쿡탑부는, 가스의 연소를 이용하여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직접 가열하는 탑버너가 될 수도 있고,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유도 가열 조리기기(1)가 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본체(11)가 오븐이고 상기 조리 공간(110)이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상기 후드(12)를 향하여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음식물의 조리 중 상기 조리 공간(110)에서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에 의하여 고온의 공기가 발생된다. 상기 고온의 공기는, 음식물의 냄새 및 연소 가스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을 포함한다는 측면에서 오염 공기라고 칭할 수도 있다.
한편, 후드(12)는 상기 오염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에 인접한 실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후드(12)는, 상기 오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121)와, 상기 흡입부(121)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 공기를 외부로 안내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덕트(20)에 연결되는 후드 본체(122)와, 상기 흡입부(121) 및 후드 본체(122)를 연결하여 오염 공기의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 후드(12)에는, 상기 오염 공기를 강제 흡입하기 위한 팬(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후드 본체(122)는, 상기 오염 공기를 더욱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의 상방에 해당하는 실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부(121)는, 상기 상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후드 본체(122)에 연결된다. 상기 흡입부(121)의 저면에는 상기 오염 공기가 상기 흡입부(121)의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1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124)를 통하여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124)에는 흡입그릴(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흡입부(121)가 승강하는 방식으로 상기 후드 본체(122)로부터 상기 흡입부(121)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도록, 길이 조절이 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23)는 예를 들면, 풀무 등과 같은 주름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흡입부(121)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후드 본체(122)로부터 상기 흡입부(121)까지의 거리가 가변됨과 동시에, 상기 조리 공간(110)으로부터 상기 흡입부(121)까지의 거리가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 공간(110)에서 음식물이 조리 중인 경우에는 상기 흡입부(121)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조리 공간(110)에 더욱 가까이 위치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 중에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흡입부(121)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 공간(110)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경우 즉, 상기 오염 공기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흡입부(121)가 상승함으로써 상기 흡입부(121)로 인한 사용자의 불편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기기(1)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기 위한 열회수부(13)와, 상기 열회수부(13)에서 회수되는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온수공급부(14)를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열회수부(13)는, 상기 오염 공기 및 열회수매체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회수열교환기(13)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회수매체는 예를 들면, 물, 냉매 등과 같이, 상기 오염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기 위한 물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열교환기(13)는 예를 들면, 상기 열회수매체가 유동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외부에는 상기 오염 공기 및 열회수매체의 열교환을 촉진하는 핀이 결합되는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상기 오염 공기가 상기 회수열교환기(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열교환기(13)는 상기 오염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 상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회수열교환기(13)는 상기 오염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후드 본체(12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드 본체(122)의 내부를 유동하는 오염 공기가 전부 상기 회수열교환기(13)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열교환기(13)는 상기 후드 본체(122)의 내부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공급부(14)는, 상기 열회수매체를 이용하여 물이 가열됨으로써 온수가 생성되는 급탕열교환기(141)와, 상기 회수열교환기(13) 및 급탕열교환기(141) 사이에 상기 열회수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회수열교환기(13) 및 급탕열교환기(141)를 연결하는 순환배관(142)과, 상기 열회수매체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14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리기기(1)는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급탕유닛(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급탕열교환기(141) 및 순환펌프(143)는 상기 급탕유닛(15)에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급탕유닛(15)은, 상기 본체(11) 및 후드(12)와 별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1) 및 후드(12)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급탕열교환기(141)로 물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급탕열교환기(141)의 유입측은 상수도원(30)에 연결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탕열교환기(141)에서 생성된 온수가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급탕열교환기(141)의 토출측은 출수부(31)에 연결된다. 상기 출수부(31)는 예를 들면 수도 꼭지와 같이 사용자가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는 다양한 물공급장치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조리기기(1)가 작동되고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면, 상기 오염 공기가 발생된다. 이때, 상기 오염 공기는 음식물의 냄새 및 배기 가스 등 뿐만 아니라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포함한다. 즉, 상기 오염 공기는 고온의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후드(12)의 팬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후드(12)의 흡입부(121)를 통하여 상기 오염 공기가 흡입되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121)가 하강함으로써 상기 음식물의 조리 공간(110)으로 더욱 가까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 공간(110)의 오염 공기는 상기 흡입구(124)를 통하여 상기 흡입부(121)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연결부(123)를 통하여 상기 후드 본체(122)로 유동한다. 상기 후드 본체(122)로 유동하는 오염 공기는 상기 회수열교환기(13)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회수매체를 가열한 후 상기 덕트(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오염 공기의 열은 상기 회수열교환기(1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열회수매체에 의하여 회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순환펌프(143)가 작동함에 따라, 상기 순환배관(142)의 열회수매체가 순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수열교환기(13)에서 상기 오염 공기의 열을 회수한 상기 열회수매체는, 상기 회수열교환기(13)로부터 토출되어 상기 급탕열교환기(141)를 향하여 유동한다. 그리고, 상기 급탕열교환기(141)로 유입된 열회수매체는 물과 열교환하여 물을 가열한 후 상기 회수열교환기(13)를 향하여 다시 유동하게 된다. 즉, 상기 열회수매체에 의하여 회수한 열을 이용하여 상기 급탕열교환기(141)의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가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급탕열교환기(141)에서 가열된 물은, 상기 출수부(31)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온수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급탕열교환기(141)는 상수도원(30)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출수부(3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수도압에 의하여 온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수부(31)는 예를 들면 씽크대와 같이 사용자가 물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에 위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온수가 씽크대의 설겆이용 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씽크대가 상기 조리기기(1)의 본체(11)와 인접하게 위치되므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여 온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구조가 더욱 간단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열회수부(13) 및 출수부(31)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열회수부(13)로부터 상기 온수가 공급되기까지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회수부(13)에서 회수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을 가열한 후 배기되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세히,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는, 설겆이 등과 같이 물이 필요한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이 재활용되는 만큼,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에 의하여 낭비되는 에너지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회수열교환기가 흡입부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 1 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회수열교환기(43)가 흡입부(421)에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회수열교환기(43)는, 흡입부(421)의 내부 유로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수열교환기(43)는 상기 흡입부(421)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흡입부(421)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는 전부 상기 회수열교환기(43)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상기 흡입부(421)의 승강에 따라 유연하게 신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수열교환기(43)에 연결되는 순환연결부(444)를 포함한다. 상기 순환연결부(444)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는 연질 재료로써 코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연결부(444)는 상기 회수열교환기(43) 및 순환배관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순환연결부(444) 내부에는 상기 회수열교환기(43)를 유동하는 열회수매체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순환연결부(444)의 유로는 상기 순환연결부(444)의 신축에 관계없이 연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421)가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상기 순환연결부(444)를 통하여 상기 열회수매체가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회수열교환기(43)가 상기 흡입부(421)에 설치되므로, 상기 회수열교환기(43)에 의한 열회수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후드(42)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 공기는, 음식물의 조리 공간에 가까운 지점일수록 더욱 고온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후드(42) 상에서, 상기 흡입구(424)의 오염 공기가 가장 고온의 공기에 해당한다. 따라서, 상기 회수열교환기(43)가 상기 흡입구(424)에 인접한 상기 흡입부(421)에 설치됨으로써, 상기 열회수매체는 최고온의 오염 공기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오염 공기 및 열회수매체 간의 열교환량이 더욱 증대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열회수매체로 회수되는 열량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를 포한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온수를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이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시예와 중첩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설명을 원용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3실시예에서 물이 유동하는 모습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생성한 온수를,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이용한다.
상세히, 본 실시예는, 회수열교환기(53)에서 회수된 열을 이용하여 물을 생성 및 공급하는 온수공급부(54)와, 음식물로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온수가 유동하는 워머(warmer)(5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상기 온수공급부(54)는, 회수열교환기(53)에서 가열된 열회수매체를 이용하여 물이 가열되는 급탕열교환기(541)와, 상기 회수열교환기(53) 및 급탕열교환기(541) 사이에 상기 열회수매체가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회수열교환기(53) 및 급탕열교환기(541)를 연결하는 제 1 순환배관(542)과, 상기 열회수매체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제 1 순환펌프(543)와, 상기 온수가 생성 및 저장되는 온수저장부(544)와, 상기 온수저장부(544) 및 워머(56) 사이에 상기 온수가 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온수저장부(544) 및 워머(56)를 연결하는 제 2 순환배관(545)과, 상기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제 2 순환펌프(546)를 포함한다.
상기 급탕열교환기(541)를 유동하는 열회수매체에 의하여 상기 온수저장부(544)의 물이 직접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급탕열교환기(541)는 상기 온수저장부(54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워머(56)는, 상기 조리기기(5)의 본체(51)에 인접한 설치장의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본체(51)의 일측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회수하여 온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구조가 더욱 간단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수열교환기(53) 즉, 열회수부(53) 및 워머(56)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되므로, 상기 열회수부(53)에서 회수된 열이 상기 워머(56)로 전달되기까지의 열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열회수부(53)에서 회수되는 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조리기기(5)의 본체(51) 및 후드(52)의 작동이 시작되면, 상기 제 1 순환펌프(543)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열회수매체는 상기 회수열교환기(53)를 통과하는 오염 공기의 열을 회수하여 상기 온수저장부(544)의 물로 전달한다. 즉, 상기 온수저장부(544)의 물이 상기 열회수매체에 의하여 회수되는 열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가열되어 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음식물을 데우거나 음식물의 보온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워머(56)의 상면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순환펌프(546)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순환펌프(546)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온수저장부(544)의 온수가 상기 워머(56)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가 상기 워머(56)를 유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워머(56)에 안착된 음식물 또는 용기를 가열하게 됨으로써, 상기 음식물이 데워지거나 보온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제 2 순환펌프(546)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상기 워머(56)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음식물의 보온이 필요한 경우에는 사용자는 워머(56)의 작동을 위한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 2 순환펌프(546)가 작동됨으로써 상기 워머(56)가 사용되고, 상기 음식물의 보온이 더이상 필요없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워머(56)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함에 따라 상기 제 2 순환펌프(546)의 작동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워머(56)의 사용이 중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을 가열한 후 버려지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세히,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회수하여 물을 가열함으로써 온수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는, 음식물을 데우거나 음식물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필요한 에너지만으로, 음식물의 보온까지 함께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에너지 효율이 더욱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조리기기 11 : 본체
12 : 후드 13 : 열회수부
14 : 온수공급부 141 : 급탕열교환기
142 : 순환배관 143 : 순환펌프
15 : 급탕유닛 20 : 덕트
31 : 출수부

Claims (10)

  1.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 공간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후드;
    상기 후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후드로 흡입되는 오염 공기의 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 및
    상기 열회수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회수부에 의하여 회수된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 및 공급하는 온수공급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는 상기 오염 공기가 상기 후드의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흡입구에 인접한 상기 후드의 내부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는,
    상기 오염 공기를 외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외부로 연통되는 덕트와 연결되는 후드 본체; 및
    상기 오염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후드 본체로 안내하는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승강 가능하게 상기 후드 본체에 연결되는 조리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부는 상기 흡입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부 및 온수공급부를 연결하고, 상기 흡입부의 승강에 따라 길이가 가변되는 순환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열회수부에서 상기 오염 공기로부터 열을 회수한 열회수매체로 물을 가열하는 방식으로 온수를 생성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열회수매체에 의하여 물이 가열되는 급탕열교환기;
    상기 회수부 및 급탕열교환기 사이에 상기 열회수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열회수부 및 급탕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순환배관; 및
    상기 열회수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수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여 설겆이를 위한 출수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데우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보온하는 워머;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부는,
    상기 열회수매체에 의하여 물이 가열되는 급탕열교환기;
    상기 회수부 및 급탕열교환기 사이에 상기 열회수매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열회수부 및 급탕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제 1 순환배관;
    상기 열회수매체를 강제 순환시키는 제 1 순환펌프;
    상기 급탕열교환기로 생성된 온수가 저장되는 급탕탱크;
    상기 급탕탱크 및 워머 사이에 온수가 순환할 수 있도록, 상기 급탕탱크 및 워머를 연결하는 제 2 순환배관; 및
    상기 온수를 강제 순환시키는 제 2 순환펌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00089489A 2010-09-13 2010-09-13 조리기기 KR20120027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89A KR20120027730A (ko) 2010-09-13 2010-09-13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489A KR20120027730A (ko) 2010-09-13 2010-09-1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730A true KR20120027730A (ko) 2012-03-22

Family

ID=46132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489A KR20120027730A (ko) 2010-09-13 2010-09-1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7730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426A (zh) * 2017-03-09 2017-05-3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吸油烟机的wifi控制方法
CN108895506A (zh) * 2018-08-28 2018-11-27 李霞林 一种油烟机的余热利用装置
CN109237561A (zh) * 2018-08-28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烟灶联动控制方法、装置、烟灶联动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285461A (zh) * 2019-06-28 2019-09-27 浙江哲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烟气余热回收系统
CN110513725A (zh) * 2019-07-09 2019-11-29 浙江沃普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集成灶
CN114484540A (zh) * 2022-01-28 2022-05-13 佛山市泓鑫机电设备有限公司 带蒸汽热能回收的烟罩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5426A (zh) * 2017-03-09 2017-05-31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吸油烟机的wifi控制方法
CN108895506A (zh) * 2018-08-28 2018-11-27 李霞林 一种油烟机的余热利用装置
CN109237561A (zh) * 2018-08-28 2019-01-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烟灶联动控制方法、装置、烟灶联动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8895506B (zh) * 2018-08-28 2019-11-08 绍兴市德帏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油烟机的余热利用装置
CN110285461A (zh) * 2019-06-28 2019-09-27 浙江哲丰能源发展有限公司 一种烟气余热回收系统
CN110513725A (zh) * 2019-07-09 2019-11-29 浙江沃普思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环保的集成灶
CN114484540A (zh) * 2022-01-28 2022-05-13 佛山市泓鑫机电设备有限公司 带蒸汽热能回收的烟罩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7730A (ko) 조리기기
CN201145319Y (zh) 多功能组合式燃气系统
KR101291412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CN110848767B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CN104523137A (zh) 一种具有过热功能及外置热风循环功能的电蒸炉
KR20060129119A (ko) 가열조리장치
KR101261646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20080063569A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CN101149162B (zh) 多功能组合式燃气系统
JP4948299B2 (ja) 加熱調理器
CN216557265U (zh) 一种集成烹饪器具
CN111853874A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CN212029637U (zh) 一种集成灶水盒及集成灶
JP7270370B2 (ja) 加熱調理器
EP3865042A1 (en) Heat recovery oven with dishwasher
CN213577661U (zh) 一种节能集成灶
CN210399026U (zh) 一种带烹饪装置的集成灶
JP2015105773A (ja) 給水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CN210383618U (zh) 一种带有可移动推车的自清洁蒸柜
JP5732231B2 (ja) 加熱調理器
JP2017062103A (ja) 蒸気調理器
CN212996076U (zh) 烹饪装置的排汽冷凝组件及具有其的烹饪装置
JP4412331B2 (ja) 過熱蒸気調理器
KR100735697B1 (ko) 스팀 조리기기의 스팀발생장치
CN219494171U (zh) 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