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156A -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7156A
KR20120027156A KR1020117024676A KR20117024676A KR20120027156A KR 20120027156 A KR20120027156 A KR 20120027156A KR 1020117024676 A KR1020117024676 A KR 1020117024676A KR 20117024676 A KR20117024676 A KR 20117024676A KR 20120027156 A KR20120027156 A KR 20120027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ysteine
glutamic acid
proline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타카 아시다
요스케 토죠
마사시 미타
치에코 미즈모토
쇼이치로 시마다
하나요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2002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1Proline; Derivatives thereof, e.g. captopr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75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1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nitrogen, e.g. nitro-, nitroso-, azo-compounds, nitriles, cyanates
    • A61K47/18Amines; Amides; Urea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mino acids; Oligopeptides having up to five amino acids
    • A61K47/183Amino acids, e.g. glycine, EDTA or aspart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7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1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five membered rings, e.g. pyrrolidone carbox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2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treating wounds, ulcers, burns, scars, keloi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12Ophthalmic agents for cata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05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1617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정적이며 또한 안전한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과, 이것을 포함하는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 조성물을 개발한다. 본 발명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와, 화장품 조성물과, 주름 억제제와, 자외선 차단제와, 피부질환 치료용 및/또는 예방용 의약품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과, 백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조성물인 경우가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COMPOSITION FOR ALLEVIATING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DAMAGE}
본 발명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과,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피부질환 및 피부의 미용상태의 개선 방법과, 상기 화합물을 투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백내장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약 320nm보다 긴 장파장역 자외선(UV-A)과, 약 320?약 280nm의 중파장역 자외선(UV-B)과, 약 280nm보다 짧은 단파장역 자외선(UV-C)으로 분류된다. 이 중 UV-C는 오존층에 흡수되므로 지상에 도달하는 태양광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UV-A는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고, 지상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UV-B는 오존층에 일부가 흡수되지만, UV-A의 1000분의 1의 광량으로 피부 장해를 일으킨다. 따라서, UV-A 및 UV-B는 모두 피부 장해의 주된 원인으로서 중요하다. 비특허문헌 1에 의하면, 자외선이 관여하는 질병에는 주름, 홍반, 색소성 건피증, 만성 광선성 피부염, 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 악성 흑색종, 보웬병, 일광각화증, 광선과민증, 종두상 수포증 및 광접촉피부염이, 비특허문헌 2에 의하면, 일광피부염, 만성 광선피부증, 광선각화증, 광선구순염, Favre-Racouchot병, 광선과민증, 광접촉피부염, 벨록 피부염, 광선과민성 약진, 다형일광진, 종두상 수포증, 일광담마진, 만성 광선과민성 피부염, 색소성 건피증, 작란반,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하트넙병, 일광각화증, 피부근염, 편평태선, 다리어병, 모공성 홍색 비강진, 주사, 아토피성 피부염, 간반, 단순성 포진 및 홍반성 낭창 등을 들 수 있다.
피부질환최신의 치료 2005-2006(난코도) 표준피부과학 제7판(의학서원)
종래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는 자외선의 피부흡수를 저해하는 산화 티타늄과 같은 자외선 산란제나 파라메톡시 신남산 2에틸헥실과 같은 자외선 흡수제나, 자외선에 의해 발생된 유리 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외선 산란제, 자외선 흡수제는 옥외에서의 자외선 차단에는 유효하지만,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항산화제는 안정성 및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해에 대한 치료제는 대증 요법제밖에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일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안정되며 또한 안전한 자외선 장해의 예방 및/또는 치료제와, 이것을 포함하는 의약품, 화장품 및 식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은 피부외용제로서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화장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주름 억제제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은 자외선 차단제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는 피부질환용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부질환은 홍반, 일광피부염, 만성 광선피부증, 광선각화증, 광선구순염, Favre-Racouchot병, 광선과민증, 광접촉피부염, 벨록 피부염, 광선과민성 약진, 다형 일광진, 종두상 수포증, 일광담마진, 만성 광선과민성 피부염, 색소성 건피증, 작란반,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하트넙(Hartnup)병도, 일광각화증, 피부근염, 편평태선, 다리어(다리어)병, 모공성 홍색 비강진, 주사, 아토피성 피부염, 간반, 단순성 포진, 홍반성 낭창, 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 및 보웬(Bowen)병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용 의약품은 피부질환용 치료제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용 의약품은 피부질환용 예방제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은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은 백내장용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백내장용 의약품은 백내장용 치료제 또는 백내장용 예방제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은 점안약으로서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 백내장은 노인성 백내장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자외선 폭로에 의한 피부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부질환은 홍반, 일광피부염, 만성 광선피부증, 광선각화증, 광선구순염, Favre-Racouchot병, 광선과민증, 광접촉피부염, 벨록 피부염, 광선과민성 약진, 다형 일광진, 종두상 수포증, 일광담마진, 만성 광선과민성 피부염, 색소성 건피증, 작란반,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하트넙병, 일광각화증, 피부근염, 편평태선, 다리어병, 모공성 홍색 비강진, 주사, 아토피성 피부염, 간반, 단순성 포진, 홍반성 낭창, 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 및 보웬병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용상태의 개선 방법을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피부의 미용상태의 개선 방법에 있어서, 상기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화장품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피부의 미용상태의 개선 방법에 있어서, 피부의 미용상태의 개선이란 주름 억제 및/또는 자외선 차단인 경우가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백내장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백내장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백내장용 의약품은 점안약인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백내장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백내장은 노인성 백내장인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염」이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자외선 장해의 경감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금속염, 아민염 등을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염을 말한다. 상기 금속염은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아민염은 트리에틸아민염, 벤질아민염 등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들 유도체」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자외선 장해의 경감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이나, 아미노기나, 카르복실기나, 측쇄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원자단과 공유 결합한 것을 가리킨다. 상기 어느 하나의 원자단은 N-페닐아세틸기, 4,4'-디메톡시트리틸(DMT)기 등과 같은 보호기와, 단백질, 펩티드, 당, 지질, 핵산 등과 같은 생체 고분자와,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폴리비닐,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 고분자와, 에스테르기 등과 같은 관능기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스테르기는 예를 들면,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기타 지방족 에스테르나, 방향족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아미노산에는 광학 이성체로서 L-체와 D-체가 있지만, 천연 단백질은 L-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한 것이며, 세균의 세포벽 등의 예외를 제외하고 L-아미노산만이 이용되고 있는 점에서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에는 L-아미노산만이 존재하고, L-아미노산만을 이용하고 있다고 생각되어 왔다. (키노우치 타다토시 등, 단백질 핵산 효소, 50:453-460(2005), 레닌자의 새생화학[상] 제2판 pp132-147(1993) 히로카와 서점, 하퍼 생화학 원서 22판 pp21-30(1991) 마루젠) 따라서, 종전부터 학술적으로도 산업적으로도 아미노산으로서는 L-아미노산만이 오로지 사용되어 왔다.
예외적으로 D-아미노산이 사용되는 케이스로서는 세균에 산생시키는 항생 물질의 원료로서 사용할 경우, 및 아미노산을 화학 합성했을 때에 등량 얻어지는 L-아미노산과 D-아미노산 혼합물로부터 L-아미노산만을 분취하는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 그대로 DL-아미노산 혼합물로서 D-아미노산을 사용하고 있는 식품 첨가물의 예가 있다. 그러나, 유리 또는 단체의 D-아미노산 자체를 생리활성을 갖는 물질로서 산업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예는 종래 없었다.
최근, 인간에게 있어서 D-세린, D-아스파르트산에 생리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고, 인간에게서도 D-세린라세마아제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밝혀지는 등, 포유류에 있어서도 D-아미노산이 체내에 존재해서 생리작용을 발휘하고 있는 것이 명확해졌지만, 인간에게 있어서 생리작용이 보고되고 있는 D-세린과 L-세린, D-아스파르트산과 L-아스파르트산은 전혀 다른 생리작용을 나타내는 점에서 D-아미노산은 L-아미노산과는 다른 물질로서 취급되어야 하는 것은 명확하며, 종래 알려져 있던 아미노산에 관한 지견은 L-아미노산에 관한 지견으로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프롤린에는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효과는 없고,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에 대해서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효과도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은 신규 발명이다.
최근, ddY 마우스에 10mM의 D-아미노산 수용액을 2주간 자유섭취시킨 후, 각 기관에서 D-아미노산 농도를 측정한 결과 송과체에서는 송과체 1선당 3-1000pmol이며, 뇌조직에서는 습중량 1g당 2-500nmol인 것이 보고되었다(Morikawa, A. 등, Amino Acids, 32:13-20(2007)). 이것에 의거해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L- 또는 D-글루탐산과, D-프롤린과, L- 또는 D-시스테인의 1일 섭취량의 하한이 산출되었다.
본 발명의 L- 및 D-글루탐산은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체이며 배양 인간케라티노사이트 및 섬유아세포에 대해서 0.1?100μM의 농도범위에서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품 조성물과, 주름 억제제 및 자외선 차단제와, 화장품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L- 및/또는 D-글루탐산의 양은 이 농도범위의 L- 및/또는 D-글루탐산 단체가 생체 피부 조직의 케라티노사이트 또는 섬유아세포에 송달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어떠한 함유량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글루탐산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량 중 0.000015중량%로부터 10중량%이나 배합 가능한 최대 중량 농도까지의 범위이면 좋다. 즉 상기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글루탐산의 함유량은 0.00003중량%?0.3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3중량%?0.03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복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글루탐산의 함유량은 0.00001중량%?100중량%의 범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복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글루탐산의 함유량은 0.00002중량%?80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2중량%?60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D-글루탐산의 1일 섭취량의 하한은 체중 1kg당 0.01ng이면 좋고, 0.1ng이 바람직하고, 1ng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L-글루탐산의 1일 섭취량의 하한은 임상약의 투여량(체중 1kg당 80mg 이상)보다 적은 양이며, 체중 1kg당 0.1mg이면 좋고, 1mg이 바람직하고, 10mg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D-프롤린은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체이며 배양 인간 섬유아세포에 대해서 0.01?1μM의 농도범위에서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품 조성물과, 주름 억제제 및 자외선 차단제와, 화장품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D-프롤린의 양은 이 농도범위의 D-프롤린 단체가 생체 피부 조직의 섬유아세포에 송달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어떠한 함유량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D-프롤린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량 중 0.000015중량%로부터 50중량%나 배합 가능한 최대 중량 농도까지의 범위이면 좋다. 즉 상기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D-프롤린의 함유량은 0.00003중량%?30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3중량%?3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복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D-프롤린의 함유량은 0.00001중량%?100중량%의 범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복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D-프롤린의 함유량은 0.00002중량%?80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2중량%?60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D-프롤린의 1일 섭취량의 하한은 체중 1kg당 0.01ng이면 좋고, 0.1ng이 바람직하고, 1ng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L- 및 D-시스테인은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체이며 배양 인간 케라티노사이트 및 섬유아세포에 대해서 0.1?100μM의 농도에서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품 조성물과, 주름 억제제 및 자외선 차단제와, 화장품 조성물과, 식품 조성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L- 및/또는 D-시스테인의 양은 이 농도의 L- 및/또는 D-시스테인 단체가 생체 피부 조직의 케라티노사이트 또는 섬유아세포에 송달되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어떠한 함유량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시스테인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전량 중 0.000015중량%로부터 10중량%나 배합 가능한 최대 중량 농도까지의 범위이면 좋다. 즉 상기 조성물이 외용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시스테인의 함유량은 0.00003중량%?0.3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3중량%?0.03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복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시스테인의 함유량은 0.00001중량%?100중량%의 범위이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내복제인 경우에 있어서의 L- 및/또는 D-시스테인의 함유량은 0.00002중량%?80중량%가 바람직하고, 0.0002 중량%?60중량%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D-시스테인의 1일 섭취량의 하한은 체중 1kg당 0.01ng이면 좋고, 0.1ng이 바람직하고, 1ng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L-시스테인의 1일 섭취량의 하한은 임상약의 투여량(체중 1kg당 3mg 이상)보다 적은 양이며, 체중 1kg당 0.01mg이면 좋고, 0.1mg이 바람직하고, 1mg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품 조성물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단체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염과, 생체내에서 약물대사 효소, 기타에 의해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을 방출할 수 있는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에 첨가해서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자외선 장해의 경감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상기 첨가물은 희석제 및 팽창제와, 결합제 및 접착제와, 활제와, 유동 촉진제와, 가소제와, 붕괴제와, 담체용매와, 완충제와, 착색료와, 향료와, 감미료와, 방부제 및 안정화제와, 흡착제와, 당업자에게 알려진 그 밖의 의약품 첨가제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름 억제제 및/또는 자외선 차단제는 유효성분으로서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단체,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염 및/또는 생체내에서 약물대사 효소, 기타에 의해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을 방출할 수 있는 유도체만을 사용해서 조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통상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의약부외품을 포함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 등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임의 배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분, 계면활성제, 분말, 색재, 물, 알콜류, 증점제, 킬레이트제, 실리콘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향료, 각종 약효성분, 방부제, pH 조정제, 중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조성물이란 예를 들면 연고, 크림, 유액, 로션, 팩, 욕용제 등, 종래 피부외용제 및 화장품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고, 제형은 특별히 상관없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자외선 장해의 경감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의약 부외품을 포함하는 화장품이나 의약품등의 피부외용제 등에 사용되는 다른 성분을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임의 배합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유분, 계면활성제, 분말, 색재, 물, 알콜류, 증점제, 킬레이트제, 실리콘류,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보습제, 향료, 각종 약효성분, 방부제, pH조정제, 중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단체,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염 및/또는 생체내에서 약품대사 효소, 기타에 의해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을 방출할 수 있는 유도체에 첨가해서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의 자외선 장해의 경감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조미료, 착색료, 보존료, 기타의 식품으로서 허용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예를 들면, 청량음료, 구미, 캔디, 정과 등 종래 식품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좋고,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폭로는 피부질환 뿐만 아니라 안질환, 특히, 백내장의 원인의 하나라고 여겨지고 있다. 마우스에서는 장시간 자외선 폭로가 수정체의 전부피질에 백탁을 발생시키고, 실험적으로 백내장 모델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마에사토 다카미 및 이와타 슈조, 「수정체 그 생화학적 기구」, 318-323페이지, 이와타 슈조 편, 메디컬 아오이 슛판, 도쿄(1986)). 또한, 노인성 백내장의 원인의 하나는 자외선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며(후지나가 유타카, 「백내장 안과 MOOK No.17」, 10페이지, 미시마 세이이치 등 편, 카네하라 슛판, 도쿄(1982)), Zigman 등은 마닐라, 탬파 및 로체스터에서의 역학적 조사에 의해 자외선의 조사량과, 백내장의 발생율에 상관이 있고, 자외선은 백내장의 리스크 인자인 것을 나타냈다(Zigman, S. 등, Invest. Ophthalmol. Visual Sci. 18:462-467(1979)). 따라서, 이들의 지견과,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은 백내장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효하다.
도 1은 정상 인간 표피각화세포에서의 D-글루탐산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정상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후의 D-프롤린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정상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전의 D-프롤린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정상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에서의 자외선 조사전의 D-프롤린 처리 및 글루탐산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정상 인간 표피각화세포에서의 시스테인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XP세포에서의 L- 및 D-글루탐산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XP세포에서의 L- 및 D-프롤린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XP세포에서의 L- 및 D-시스테인 처리의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만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실시예 1
D-글루탐산의 자외선 장해 경감 효과
세포
세포는 시판의 인간 신생아 표피각화세포(Cryo NHEK-Neo, 산코 쥰야쿠)가 사용되었다. 상기 세포는 2×105개/mL가 되도록 시판의 타입 I 콜라겐으로 코팅된 35mm 지름의 배양 디시(COL1, 아사히 테크노 글래스)에 파종되어, 시판의 무혈청 배지(Defined Keratinocyte-SFM, Gibco사, 이하, 「통상 배지 1」이라고 한다)를 사용해서 배양되었다. 상기 세포는 2일마다 배지를 교환해서 컨플루언트될 때까지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5 내지 7일간 배양되었다.
자외선 조사전에 글루탐산을 첨가하는 처리(이하, 「전처리」라고 한다)의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에는 조사 24시간 전에 0.1 내지 100μM의 L- 또는 D-글루탐산을 첨가한 배지로 스위칭하였다.
자외선 조사
UV -B 조사전에 배지는 PBS 1mL로 치환되었다. UV-B 조사는 자작의 자외광 노광 장치(자외선 형광등, 도시바 메디칼 서플라이 TOREX FL20S-E-30/DMR, 2개)를 사용해서 배양 디시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배양 디시의 40cm 상부로부터 280nm 내지 320nm의 자외선을 75J/㎠로 조사해서 실시되었다. 자외선량은 UV RADIOMETER UVR-3036/S(가부시키가이샤 탑콘)를 사용해서 측정되었다.
자외선 조사 처리된 세포는 통상 배지 1에 되돌려서 21시간,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배양되었다. 자외선 조사후에 글루탐산을 첨가하는 처리(이하, 「후처리」라고 한다)의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에는 이 21시간의 배양의 배지에 0.1 내지 100μM의 L- 또는 D-글루탐산을 첨가했다.
세포 장해의 정량
그 후, 배지에 alamarBlue(상표, Biosource, 바이오소스 인터내셔널)를 최종 농도 10%가 되도록 첨가하고, 3시간후에 Ahmed S. A. 등, (J. Immunol. Method. 170, 211-224(1994)) 및 제조자의 지시서에 따라서 여기파장 544nm, 형광파장 590nm에서 상청의 형광강도가 측정되었다.
결과
도 1에 UV-B 75mJ/㎠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 장해에 대한 D-글루탐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8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또한, 아스테리스크(**)는 본페로니(Bonferroni) 검정에서 P가 1%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UV 비조사의 경우에는 alamarBlue(상표)의 형광강도가 약 22000이며, UV-B 조사에 의해 세포 장해가 일어나면 5000 내지 7000으로 저하되었다. 그런데, D-글루탐산을 첨가하면 형광강도가 증대하여 세포 장해가 경감되었다. 이 세포 장해의 경감 효과는 D-글루탐산 처리를 UV 조사의 전후 중 언제 실시할지에는 관계가 없었지만, D-글루탐산의 농도를 높이면 경감 효과도 컸다. L-글루탐산의 첨가에 따라서는 세포 장해의 경감 효과는 보여지지 않았다(도시 생략). 이상의 결과로부터 D-글루탐산은 케라티노사이트의 UV-B에 의한 세포 장해를 농도 의존적으로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2
D-프롤린의 자외선 장해 경감 효과
세포
세포는 시판의 인간 신생아 진피섬유아세포(Cryo NHDF-Neo, 산코 쥰야쿠)가 이용되었다. 상기 세포는 2×105개/mL가 되도록 시판의 35mm 지름의 배양 디시(BD FALCON 353001, 니혼 벡톤 디킨슨)에 파종되고, 시판의 세포배양용 배지(D-MEM(1g/L글루코오스), 와코 쥰야쿠)에 소태아 혈청을 10% 첨가한 배지(이하, 「통상 배지 2」라고 함)를 사용해서 배양되었다. 상기 세포는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약 24시간 배양되었다.
그 후 상기 세포를 배양하는 배지는 글루타티온의 생합성 저해제인 BSO(L-buthionine-(S,R)-sulfoximine, 와코 쥰야쿠)를 1×10-3% 첨가한 BSO 배지 1mL로 스위칭되고,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약 24시간 배양되었다. 상기 BSO 배지는 0.2% BSO를 에틸알콜에 용해한 보존용 원액을 상기 통상 배지 2에 200배 희석해서 조제되었다.
자외선 조사전에 프롤린을 첨가하는 처리(이하, 「전처리」라고 한다)의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에는 조사 24시간 전에 0.1μM의 L- 또는 D-프롤린을 첨가한 배지로 스위칭했다.
자외선 조사용 배지
염화철(II)을 증류수에 2×10-3%가 되도록 용해하고, 그 용해액을 200배 희석(종농도 1×10-5%)이 되도록 칼슘 이온, 마그네슘 이온을 포함한 인산 완충액 PBS(+)로 희석해서 제작한 배지(이하, 「자외선 조사용 배지」라고 한다)를 37℃로 미리 가온해서 사용했다.
자외선 조사
UV-A 조사전에 배지는 상기 자외선 조사용 배지 1mL로 치환되었다. UV-A 조사는 자외광 균일 노광 장치 UVE-502S+EL-160(산에이 덴키 세이사쿠쇼)을 사용하고, 배양 디시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로 상기 배양 디시의 대략 20cm 상부로부터 32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5J/㎠ 및 22.5J/㎠로 조사해서 실시되었다. 자외선량은 UV RADIOMETER UVR-3036/S(가부시키가이샤 탑콘)를 사용해서 측정되었다.
자외선 조사후에 프롤린을 첨가하는 처리
자외선 조사 처리후, 상기 통상 배지 2로 되돌려서 21시간,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배양되었다. 자외선 조사후에 프롤린을 첨가하는 처리(이하, 「후처리」라고 한다)의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에는 이 21시간의 배양의 배지에 0.01 내지 1000μM의 L- 또는 D-프롤린을 첨가했다.
후처리시의 세포 장해의 정량
그 후, 형광강도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후처리의 결과
도 2에 UV-A 15J/㎠ 및 22.5J/㎠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D-프롤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4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또한, 아스테리스크(*)는 본페로니 검정에서 p가 5%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UV 비조사의 경우에는 alamarBlue(상표)의 형광강도가 약 12000이며, UV-A 15J/㎠의 조사에 의해 세포 장해가 일어나면 약 5000으로 저하되었다. 또한, UV-A 22.5J/㎠의 조사에 의해 세포 장해가 일어나면 약 3000으로 저하되었다. 그런데, D-프롤린을 첨가하면 형광강도가 증대되고, 세포 장해는 경감되었다.
표 1에 UV-A 12.5J/㎠ 및 15J/㎠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L- 및 D-프롤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4회 또는 6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아스테리스크(*) 1은 본페로니 검정에서 대조와 비교한 p가 0.1% 미만, L-프롤린과 비교한 P가 0.1%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아스테리스크(*) 2는 본페로니 검정에서 대조와 비교한 p가 0.1% 미만, L-프롤린과 비교한 p가 5%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UV 비조사의 경우에는 alamarBlue(상표)의 형광강도가 약 12000이며, UV-A 12.5J/㎠ 및 UV-A 15J/㎠의 조사에 의해 세포 장해가 일어나면 약 2500 및 약 1000으로 저하되었다. L-프롤린의 첨가에 의해서는 세포 장해는 거의 경감되지 않았다. 그러나, D-프롤린을 첨가하면 형광강도가 증대되고, 세포 장해는 경감되었다.
Figure pct00001
전처리시의 세포 장해의 정량
세포 장해성은 0.25% 트립신-EDTA(GIBCO)로 5분간 처리해서 세포 박리후, 원심해서 세정하고, 0.2% 트리판 블루 염색(GIBCO)으로 생사를 확인함으로써 정량되었다.
전처리의 결과
도 3에 22.5J/㎠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D-프롤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4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또한, 아스테리스크(**)는 본페로니 검정에서 p가 1%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UV 비조사의 경우에는 생세포율이 약 95%이며, UV-A 22.5J/㎠의 조사에 의해 세포 장해가 일어나면 약 30%로 저하되었다. 그런데, D-프롤린을 첨가하면 생세포율이 약 50%로 증대되어 세포 죽음은 경감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세포 장해의 경감 효과는 D-프롤린 처리를 UV 조사의 전후 중 언제 실시하는지에는 관계가 없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또한, D-프롤린은 섬유아세포의 UV-A에 의한 세포 장해를 농도 의존적으로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3
D-프롤린 및 D-글루탐산의 자외선 장해 경감 효과의 비교
방법
세포는 시판의 인간 신생아 진피섬유아세포(Cryo NHDF-Neo, 산코 쥰야쿠)가 이용되며,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하게 배양되었다. 자외선 조사전에 D-프롤린 또는 D-글루탐산을 첨가하는 처리의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에는 조사 24시간 전에 0.1μM의 D-프롤린이나, 1μM의 L- 또는 D-글루탐산을 첨가한 배지로 스위칭하였다. 이들의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 상태에서의 자외선 조사를 대조로 했다. UV-A의 자외선 조사(22.5J/㎠)와, alamarBlue(상표)에서의 세포 장해의 정량은 실시예 2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되었다.
결과
도 4에 UV-A 22.5J/㎠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D-프롤린과, L- 또는 D-글루탐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4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또한, 아스테리스크(**)는 본페로니/던 검정에서 p가 1%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형광강도는 대조에서는 약 1100이었다. 또한, D-프롤린이나, L- 또는 D-글루탐산을 첨가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1750, 약 1100 또는 약 1700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프롤린 및 D-글루탐산은 정상 인간 진피섬유아세포의 UV-A에 의한 세포 장해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그러나, L-글루탐산에는 세포 장해의 경감 효과는 보여지지 않았다. 또한, D-프롤린은 D-글루탐산과 비교해서 10분의 1의 농도로 자외선 장해를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4
L- 및 D-시스테인의 자외선 장해 경감 효과
세포
세포는 시판의 인간 신생아표피 각화세포(Cryo NHEK-Neo, 산코 쥰야쿠)가 사용되었다. 상기 세포는 1×105개/mL가 되도록 시판의 타입 I 콜라겐으로 코팅된 35mm 지름의 배양 디시(COL1, 아사히 테크노 글라스)에 파종되었다. 상기 세포는 시판의 무혈청 배지(Defined Keratinocyte-SFM, Gibco사, 이하, 「통상 배지 3」이라고 한다)에 증식 첨가제(Defined Keratinocyte-SFM Growth Supplement, Gibco사) 및 항생 물질(PSF:페니실린, 스트렙토마이신 및 훈기존)을 첨가하고,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3일간 배양되었다. 그 후, 100μM의 D-알라닌, D-세린, D-히드록시프롤린, D-아스파르트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 첨가된 2mL의 통상 배지 3에서 2일간 배양되었다. 대조로서는 D-아미노산 대신에 PBS가 통상 배지 3에 첨가되었다.
자외선 조사
UV-B 조사전에 배지는 PBS 1mL로 치환되었다. UV-B 조사는 자작의 자외광 노광 장치(자외선 형광등, 도시바 메디칼 서플라이 TOREX FL20S-E-30/DMR, 2개)를 사용하고, 배양 디시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로 상기 배양 디시의 40cm 상부로부터 280nm 내지 320nm의 자외선을 25J/㎠로 조사해서 실시되었다. 자외선량은 UV RADIOMETER UVR-3036/S(가부시키가이샤 탑콘)를 사용해서 측정되었다.
자외선 조사 처리된 세포는 100μM의 D-알라닌, D-세린, D-히드록시프롤린, D-아스파르트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 첨가된 900μL의 통상 배지 3을 사용하고, 37℃, 5% CO2 및 포화 수증기 분위기하에서 24시간 배양되었다.
세포 장해의 정량
그 후, 형광강도는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서 측정되었다.
결과
도 5에 UV-B 25mJ/㎠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케라티노사이트의 세포 장해에 대한 시스테인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4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또한, 아스테리스크(**)는 스튜던트 t 검정에서 p가 1%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 UV-B 조사에 의한 세포 장해가 생긴 후의 alamarBlue(상표)의 형광강도는 D-알라닌이 첨가된 경우에는 약 570이며, D-알라닌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에는 약 550였다. D-세린이 첨가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490이며, D-세린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500이었다. D-히드록시프롤린이 첨가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550이며, D-히드록시프롤린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550이었다. D-아스파르트산이 첨가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600이며, D-아스파르트산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600이었다. D-시스테인이 첨가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700이며, D-시스테인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600이었다. L-시스테인이 첨가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700이며, L-시스테인이 첨가되지 않은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600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시스테인은 L-체 및 D-체 양쪽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포 장해를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실시예 5
XP 세포에서의 자외선 장해 경감 효과
방법
재단법인 휴먼 사이언스 신코 자이단으로부터 입수한 색소성 건피증(A군) 환자유래의 인간 진피섬유아세포(XP30S(SVT), 이하, 「XP세포」라고 한다)가 사용되며, 실시예 3에서 설명된 방법과 동일하게 배양되었다. 0.1μM의 L- 또는 D-의 글루탐산, 프롤린 및 시스테인 전처리와, 세포 장해의 정량은 실시예 3에서 설명된 방법에 따라서 행해졌다. 또한, UV-A 조사는 자외광 균일 노광 장치 UVE-502S+EL-160(산에이 덴키 세이사쿠쇼)을 사용하고, 배양 디시의 뚜껑을 제거한 상태로 상기 배양 디시의 대략 20cm 상부로부터 320nm 내지 400nm의 자외선을 1J/㎠로 조사해서 실시되었다. 자외선량은 UV RADIOMETER UVR-3036/S(가부시키가이샤 탑콘)을 사용해서 측정되었다.
L- 및 D-의 글루탐산의 결과
도 6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L- 및 D-의 글루탐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2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형광강도는 자외선 비조사 및 아미노산 비첨가의 조건(이하, 「자외선 비조사 조건」이라고 한다)에서는 약 690이며, 자외선 조사 및 아미노산 비첨가의 조건(이하, 「음성 대조」라고 한다)에서는 약 630이었다. 0.1μM의 L- 또는 D-글루탐산을 첨가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658 또는 약 675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및 D-글루탐산은 모두 XP 세포의 UV-A에 의한 세포 장해를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L- 및 D-의 프롤린의 결과
도 7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L- 및 D-의 프롤린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2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형광강도는 자외선 비조사 조건에서는 약 690이며, 음성대조에서는 약 630이었다. 0.1μM의 L- 또는 D-프롤린을 첨가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583 또는 약 664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D-프롤린은 XP 세포의 UV-A에 의한 세포 장해를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L- 및 D-의 시스테인의 결과
도 8에 자외선 조사에 의한 섬유아세포의 장해에 대한 L- 및 D-의 시스테인의 효과를 조사한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각 실험 조건의 오차막대는 동일조건으로 2회 반복한 실험 결과의 측정값의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형광강도는 자외선 비조사 조건에서는 약 690이며, 음성대조에서는 약 630이었다. 0.1μM의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한 경우의 형광강도는 약 688 또는 약 638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및 D-시스테인은 모두 XP세포의 UV-A에 의한 세포 장해를 경감시키는 것이 나타내어졌다.
본 발명에 의거해서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액 제제, 첩부제, 정제, 소프트 캡슐, 과립, 드링크, 캔디, 쿠키, 된장, 프렌치 드레싱, 마요네즈, 프랑스빵, 간장, 요구르트, 후리카케, 조미료?낫토 소스, 낫토, 비정제 흑초, 크림, 바디용 크림, 젤제, 필오프 마스크, 함침 마스크, 유액, 화장수 및 에어로졸제의 배합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이들의 배합예는 예시를 목적으로 해서 열거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배합예 1(유액 제제)
(조성물) 배합량(중량%)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42
베헤닐알콜 0.2
세타놀 0.5
글리세린 모노 지방산 에스테르 1.8
경화 피마자유 POE(60) 1.0
백색 바셀린 2.0
유동 파라핀 10.0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3.0
메틸폴리실록산(6cs) 1.5
농글리세린 13.0
디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5
히알루론산 나트륨 0.005
수산화 칼륨 적량
락트산 적량
에데트산 나트륨 적량
에틸파라벤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0
배합예 2(첩부제)
(조성물) 배합량(중량%)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3
폴리아크릴산 3.0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2.5
젤라틴 0.5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4.0
폴리비닐알콜 0.3
농글리세린 14.0
1,3-부틸렌글리콜 12.0
수산화 알루미늄 0.1
에데트산 나트륨 0.03
메틸파라벤 0.1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3(정제)
(조성물) 배합량(mg/1정 중)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360.5
유당 102.4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칼슘 29.9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6.8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2
결정 셀룰로오스 10.2
515.0
배합예 4(정제)
(조성물) 배합량(mg/1정 중)
수크로오스에스테르 70
결정 셀룰로오스 74
메틸셀룰로오스 36
글리세린 25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475
N-아세틸글루코사민 200
히알루론산 150
비타민E 30
비타민B6 20
비타민B2 10
α-리포산 20
코엔자임Q10 40
세라미드(곤약 추출물) 50
L-프롤린 300
1500
배합예 5(소프트 캡슐)
(조성물) 배합량(mg/1캡슐 중)
식용 대두유 530
두충 엑기스 50
인삼 엑기스 50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00
로얄 젤리 50
마카 30
GABA 30
밀랍 60
젤라틴 375
글리세린 12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105
1500
배합예 6(소프트 캡슐)
(조성물) 배합량(mg/1캡슐 중)
현미배아유 659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500
레스베라트롤 1
연 배아 엑기스 100
엘라스틴 180
DNA 30
엽산 30
1500
배합예 7(과립)
(조성물) 배합량(mg/1포 중)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400
비타민C 100
대두 이소플라본 250
환원 유당 300
대두 올리고당 36
에리스리톨 36
덱스트린 30
향료 24
시트르산 24
1200
배합예 8(드링크)
(조성물) 배합량(g/60mL 중)
두충 엑기스 1.6
인삼 엑기스 1.6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6
환원 맥아당 물엿 28
에리스리톨 8
시트르산 2
향료 1.3
N-아세틸글루코사민 1
히알루론산 Na 0.5
비타민E 0.3
비타민B6 0.2
비타민B2 0.1
α-리포산 0.2
코엔자임Q10 1.2
세라미드(곤약 추출물) 0.4
L-프롤린 2
정제수 잔여
60
배합예 9(캔디)
(조성물) 배합량(중량%)
설탕 50
물엿 48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
향료 1
100
배합예 10(쿠키)
(조성물) 배합량(중량%)
박력분 45.0
버터 17.5
그래뉼러당 20.0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4.0
계란 12.5
향료 1.0
100.0
배합예 10(쿠키)의 제조 방법
버터를 교반하면서 그래뉼러당을 서서히 첨가하고, 계란 및 향료와,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해서 교반했다. 충분히 혼합한 후, 균일하게 반죽한 박력분을 첨가해서 저속으로 교반하고, 덩어리상으로 냉장고에서 숙성시켰다. 그 후, 성형해서 170℃ 15분간 소성하여 쿠키로 했다.
배합예 11(된장)
(조성물) 배합량(g)
대두 1000
쌀누룩 1000
소금 420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58
물 잔여
4000
배합예 11(된장)의 제조 방법
쌀누룩과 소금을 잘 혼합한다. 세정한 대두를 3배량의 물에 하룻밤 담근 후 물을 빼고, 새로운 물을 첨가하면서 끓이고, 소쿠리에 쏟는다. 국물(종수)을 모으고,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10%w/v가 되도록 용해한다. 삶아진 콩을 즉시 갈아서 으깨고, 소금을 섞은 쌀누룩을 첨가해서 상기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용해한 종수를 첨가하면서 점토 정도의 단단함이 될 때까지 균일하게 혼합한다. 경단모양으로 둥글게 한 것을 통에 간극이 없도록 구석구석까지 확실히 채워 넣고, 표면을 평평하게 해서 랩으로 밀봉한다. 3개월후에 용기를 옮기고, 표면을 평평하게 해서 랩으로 덮는다. 또한,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종수에 첨가하는 대신에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많이 산생하는 쌀누룩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쌀누룩을 얻기 위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8-185558에 기재된 방법으로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정량함으로써 선발할 수 있다. 또한, 시판의 된장에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나, 이들의 염을 첨가해도 좋다.
배합예 12(프렌치 드레싱)
(조성물) 배합량(g)
샐러드유 27.0
식초 30.0
염화나트륨 0.9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1
후추 1.0
60.0
배합예 12(프렌치 드레싱)의 제조 방법
식초에 염화나트륨과,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한 후에 잘 교반해서 용해한다. 샐러드유를 첨가해서 잘 교반하고 후추를 첨가한다.
배합예 13(마요네즈)
(조성물) 배합량(g)
샐러드유 134.0
식초 5
염화나트륨 0.9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
난황 18
설탕 0.2
후추 0.9
160.0
배합예 13(마요네즈)의 제조 방법
난황(실온)에 식초, 염화나트륨 및 후추와,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해서 거품기로 충분히 교반한다. 샐러드유를 조금씩 첨가하면서 교반을 계속해서 에멀션으로 한다. 마지막에 설탕을 첨가해서 교반한다.
배합예 14(프랑스빵)
(조성물) 배합량(g)
강력분 140
박력분 60
염화나트륨 3
설탕 6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2
드라이 이스트 4
미지근한 물 128
343
배합예 14(프랑스빵)의 제조 방법
미지근한 물에 설탕 1g 및 드라이 이스트를 넣어서 예비 발효시킨다. 강력분, 박력분, 염화나트륨 및 설탕 5g과,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볼에 넣고, 그 안에 예비 발효시킨 이스트를 넣는다. 충분히 반죽한 후에 구상으로 해서 30℃에서 1차 발효시킨다. 생지를 다시 반죽하고 나서 휴지시킨 후에 적당한 형태로 정형해서 전자 발효기를 사용해서 최종 발효시킨다. 쿠프를 넣어서 220℃의 오븐에서 30분간 굽는다.
배합예 15(간장)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간장 990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0
1000
배합예 16(간장)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간장 900
D-프롤린 100
1000
배합예 15 및 16(간장)의 제조 방법
시판의 간장에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해서 잘 교반한다. 또한,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이나 그 염을 첨가하는 대신에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많이 산생하는 누룩을 사용해서 간장을 양조해도 좋다. 상기 누룩을 얻기 위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8-185558에 기재된 방법으로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정량함으로써 선발할 수 있다. 또한, 시판 간장에 D-글루탐산 Na, L-글루탐산 Na, D-프롤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나, 이들의 염을 첨가해도 좋다.
배합예 17(요구르트)
(조성물) 배합량(g)
우유 880
L. 불가리쿠스균 50
S. 서모필스균 50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20
1000
배합예 17(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40℃?45℃에서 발효시킨다. 다른 시판의 종균을 사용해도 좋고, 시판의 요구르트에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해도 좋다. 또한,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그 염을 첨가하는 대신에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많이 산생하는 균을 사용해도 좋다. 상기 균을 얻기 위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8-185558에 기재된 방법으로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정량함으로써 선발할 수 있다. 또한, 시판의 요구르트에 D-글루탐산 Na, L-글루탐산 Na, D-프롤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나, 이들의 염을 첨가해도 좋다.
배합예 18(후리카케)
(조성물) 배합량(g)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50
김 15
L-글루탐산 Na 10
염화나트륨 2
볶은 참깨 10
고등어 가다랭이 포 10
설탕 1
간장 2
100
배합예 19(조미료?낫토 소스)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낫토 소스 9.9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1
10
배합예 20(조미료?낫토 소스)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낫토 소스 9
D-프롤린 1
10
배합예 21(낫토)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낫토 19.9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1
20
배합예 21(낫토)의 제조 방법
시판의 낫토에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해서 잘 교반한다.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또는 그 염을 첨가하는 대신에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많이 산생하는 균을 사용해서 낫토를 만들어도 좋다. 상기 균을 얻기 위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8-185558에 기재된 방법으로 L- 또는 D-글루탐산 Na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정량함으로써 선발할 수 있다. 또한, 시판의 낫토에 D-글루탐산 Na, L-글루탐산 Na, D-프롤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나, 이들의 염을 첨가해도 좋다.
배합예 22(비정제 흑초)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비정제 흑초 950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50
1000
배합예 23(비정제 흑초)
(조성물) 배합량(g)
시판의 비정제 흑초 900
D-프롤린 100
1000
배합예 22 및 23(비정제 흑초)의 제조 방법
시판의 비정제 흑초에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첨가해서 잘 교반한다.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또는 그 염을 첨가하는 대신에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많이 산생하는 균을 사용해서 식초, 흑초, 전국을 만들어도 좋다. 상기 균을 얻기 위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2008-185558에 기재된 방법으로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을 정량함으로써 선발할 수 있다. 또한, 시판의 비정제 흑초에 D-글루탐산, L-글루탐산 Na, D-프롤린, D-시스테인 또는 L-시스테인이나, 이들의 염을 첨가해도 좋다.
배합예 24(크림)
(조성물) 배합량(%)
유동 파라핀 3
바셀린 1
디메틸폴리실록산 1
스테아릴알콜 1.8
베헤닐알콜 1.6
글리세린 8
디프로필렌글리콜 5
마카다미아너트유 2
경화유 3
스쿠알란 6
스테아린산 2
히드록시스테아린산 콜레스테릴 0.5
2-에틸헥산산 세틸 4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3
수산화 칼륨 0.15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05
트리메틸글리신 2
α-토코페롤2-L-아스코르브산 인산 디에스테르칼륨
1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4
파라벤 적량
에데트산 3나트륨 0.05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05
디파라메톡시 계피산 모노-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0.05
색제 적량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05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25(바디용 크림)
(조성물) 배합량(%)
디메틸폴리실록산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산실록산 1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1
에탄올 2
이소프로판올 1
글리세린 3
디프로필렌글리콜 5
폴리에틸렌글리콜6000 5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05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5
회향 엑기스 0.1
하마메리스 엑기스 0.1
인삼 엑기스 0.1
L-멘솔 적량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량
에데트산 3나트륨 0.05
디모르폴리노피리다지논 0.01
트리메톡시 계피산 메틸비스(트리메틸실록시)실릴이소펜틸
0.1
황산화철 적량
티타늄산 코발트 적량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헥토라이트 1.5
폴리비닐알콜 0.1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1
트리메틸실록시규산 2
향료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26(젤제)
(조성물) 배합량(%)
디메틸폴리실록산 5
글리세린 2
1,3-부틸렌글리콜 5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3
폴리에틸렌글리콜20000 3
옥탄산 세틸 3
시트르산 0.01
시트르산 나트륨 0.1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1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2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황금 엑기스 0.1
범의귀 엑기스 0.1
에데트산 3나트륨 0.1
크산탄검 0.3
아크릴산?메타크릴산 알킬 공중합체(페뮬렌TR-2)
0.05
한천말 1.5
페녹시에탄올 적량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27(필오프 마스크)
(조성물) 배합량(%)
에탄올 10
1,3-부틸렌글리콜 6
폴리에틸렌글리콜4000 2
올리브유 1
마카다미아너트유 1
히드록시스테아린산 피토스테릴 0.05
락트산 0.05
락트산 나트륨 0.1
L-아스코르브산 황산 에스테르2나트륨 0.1
α-토코페롤2-L-아스코르브산 인산 디에스테르칼륨
0.1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0
물고기 콜라겐 0.1
콘드로이틴황산 토륨 0.1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0.2
폴리비닐알콜 12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28(함침 마스크)
(조성물) 배합량(%)
글리세린 1
1,3-부틸렌글리콜 8
크실리톨 2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
로즈마리유 0.01
세이지유 0.1
시트르산 0.02
시트르산 나트륨 0.08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01
히드록시프로필-β-시클로덱스트린 0.1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5
버치 엑기스 0.1
라벤더유 0.01
크산탄검 0.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파라옥시벤조산 에스테르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29(유액)
(조성물) 배합량(%)
유동 파라핀 7
바셀린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
베헤닐알콜 1.5
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리콜 7
폴리에틸렌글리콜1500 2
호호바유 1
이소스테아린산 0.5
스테아린산 0.5
베헤닌산 0.5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트 3
2-에틸헥산산 세틸 3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1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수산화 칼륨 0.1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05
글리시르레틴산 스테아릴 0.05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1
로얄 젤리 엑기스 0.1
효모 엑기스 0.1
아세트산 토코페롤 0.1
아세틸화 히알루론산 나트륨 0.1
에데트산 3나트륨 0.05
4-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0.1
파라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0.1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5
파라벤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30(유액)
(조성물) 배합량(%)
디메틸폴리실록산 2
베헤닐알콜 1
바틸알콜 0.5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7
에리스리톨 2
경화유 3
스쿠알란 6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3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트 2
이소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릴
1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1
수산화 칼륨 적량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05
페녹시에탄올 적량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1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31(화장수)
(조성물) 배합량(%)
에틸알콜 5
글리세린 1
1,3-부틸렌글리콜 5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0.2
헥사메타 인산 나트륨 0.03
트리메틸글리신 1
폴리아스파르트산 나트륨 0.1
α-토코페롤2-L-아스코르브산 인산 디에스테르칼륨
0.1
티오타우린 0.1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8
EDTA 3나트륨 0.1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05
수산화 칼륨 0.02
페녹시에탄올 적량
향료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32(화장수)
(조성물) 배합량(%)
에탄올 10
디프로필렌글리콜 1
폴리에틸렌글리콜1000 1
폴리옥시에틸렌메틸글리코시드 1
호호바유 0.01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0.1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0.2
디이소스테아린산 폴리글리세릴 0.15
N-스테아로일-L-글루탐산 나트륨 0.1
시트르산 0.05
시트르산 나트륨 0.2
수산화 칼륨 0.4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염산 아르기닌 0.1
L-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2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5
에데트산 3나트륨 0.05
파라메톡시 계피산 2-에틸헥실 0.01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적량
파라벤 적량
해양심층수 3
향료 적량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33(에어로졸 요소 외용제 원액)
(조성물) 배합량(중량%)
에탄올 15.0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50 1.5
디펜히드라민 1.0
디부카인 2.0
아세트산 토코페롤 0.5
L- 또는 D-글루탐산이나, D-프롤린이나, 또는 L- 또는 D-시스테인
0.1
이소스테아린산 0.1
1,3-부틸렌글리콜 3.0
폴리에틸렌글리콜400 3.0
캠퍼 0.05
요소 20.0
정제수 잔여
100.00
배합예 34(에어로졸 요소 분사제)
(조성물) 배합량(중량%)
에어로졸 요소 외용제 원액 65.0
디메틸에테르 35.0
100.00
배합예 34(에어로졸 요소 분사제)의 충전 방법
에어로졸 요소 외용제 원액 및 디메틸에테르를 내면 테플론(등록상표) 코팅 처리 내압 에어로졸 알루미늄캔에 충전해서 에어로졸제를 조제한다.

Claims (13)

  1. D-글루탐산, L-글루탐산, D-프롤린, D-시스테인 및 L-시스테인과, 이들의 유도체 및/또는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피부외용제로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주름 억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6.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질환용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은 홍반, 일광피부염, 만성 광선피부증, 광선각화증, 광선구순염, Favre-Racouchot병, 광선과민증, 광접촉피부염, 벨록 피부염, 광선과민성 약진, 다형 일광진, 종두상 수포증, 일광담마진, 만성 광선과민성 피부염, 색소성 건피증, 작란반, 포르피린증, 펠라그라, 하트넙병, 일광각화증, 피부근염, 편평태선, 다리어병, 모공성 홍색 비강진, 주사, 아토피성 피부염, 간반, 단순성 포진, 홍반성 낭창, 편평상피암, 기저세포암 및 보웬병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용 의약품은 피부질환용 치료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질환용 의약품은 피부질환용 예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백내장용 의약품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내장용 의약품은 백내장용 치료제 또는 백내장용 예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점안약으로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KR1020117024676A 2009-03-30 2010-03-30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KR201200271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83078 2009-03-30
JPJP-P-2009-083077 2009-03-30
JPJP-P-2009-083078 2009-03-30
JP2009083077 2009-03-30
JP2009220983 2009-09-25
JPJP-P-2009-220983 2009-09-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156A true KR20120027156A (ko) 2012-03-21

Family

ID=4282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4676A KR20120027156A (ko) 2009-03-30 2010-03-30 자외선 장해 경감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735442B2 (ko)
EP (1) EP2415468B1 (ko)
JP (2) JP5727364B2 (ko)
KR (1) KR20120027156A (ko)
CN (1) CN102365086A (ko)
AU (1) AU2010231598A1 (ko)
BR (1) BRPI1009796A2 (ko)
ES (1) ES2638046T3 (ko)
RU (1) RU2519206C2 (ko)
TW (1) TWI527584B (ko)
WO (1) WO20101139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084A1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감마올리고펩타이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084A1 (ja) * 2010-10-25 2012-05-03 キリン協和フーズ株式会社 風味改良剤
CN104363772B (zh) * 2012-05-01 2019-02-12 Mc食品科技株式会社 风味改良剂
JP6346596B2 (ja) * 2015-08-31 2018-06-20 株式会社ミルボン 毛髪変形用第1剤、及び毛髪変形処理方法
WO2018114745A1 (en) 2016-12-21 2018-06-28 Unilever Pl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poorly soluble compounds
CN110121330B (zh) 2016-12-21 2022-04-29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具有包含4-取代的间苯二酚和氨基酸的谷胱甘肽前体的个人护理组合物
EA201991185A1 (ru) 2016-12-21 2020-01-13 Юнилевер Н.В.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личной гигиены, содержащие цистин
CA3047495A1 (en) 2016-12-21 2018-06-28 Unilever Plc Topical skin lightening additive and composition with amino acids and nicotinamide compounds
EP3603612A4 (en) * 2017-03-24 2020-08-12 Ajinomoto Co., Inc. AGENT IMPROVING THE FUNCTIONS OF THE CORNEAL LAYER
JP6493703B1 (ja) * 2017-09-28 2019-04-03 ウシオ電機株式会社 殺菌方法、殺菌装置
JP7467138B2 (ja) 2020-01-30 2024-04-15 株式会社 資生堂 腸管バリア改善剤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22591B (ko) 1991-08-30 1994-04-21 Procter & Gamble
US5296500A (en) 1991-08-30 1994-03-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N-acetyl-cysteine and derivatives for regulating skin wrinkles and/or skin atrophy
AU675778B2 (en) * 1991-11-27 1997-02-20 Bioresearch Inc. Specific eatable taste modifiers
US6197317B1 (en) * 1997-08-11 2001-03-06 Marvin E. Kle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skin
JPH11286442A (ja) 1998-04-01 1999-10-19 Ajinomoto Co Inc 炎症因子活性化抑制剤
EP1120407B1 (en) 1998-10-09 2013-02-20 Ajinomoto Co., Inc. Cystine derivatives
JP2001097888A (ja) * 1999-09-28 2001-04-10 Hiroshi Ikeno 外用組成物
JP2002047178A (ja) * 2000-08-03 2002-02-12 Noevir Co Ltd I型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産生阻害剤
JP3983003B2 (ja) * 2001-03-15 2007-09-2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グルタチオン増強用組成物
EP1521735A2 (en) 2001-05-25 2005-04-13 Ceremedix, Inc Single amino acid based compounds for counteracting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free radicals
WO2003088909A2 (en) 2002-04-19 2003-10-30 University Of Arizona Methods for modulating phototoxicity
JP2005343880A (ja) * 2004-06-02 2005-12-15 Ito:Kk レドックス制御組成物
EP1815245B1 (en) 2004-11-15 2010-04-21 Erasmus MC Prematurely ageing mouse models for the role of dna damage in ageing and intervention in ageing-related pathology
KR100628413B1 (ko) * 2005-12-29 2006-09-26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폴리감마글루탐산―비타민c 복합체를 함유하는 콜라게나제저해제 및 그 용도
US20080070993A1 (en) * 2006-09-07 2008-03-20 Janos Borbely Additives for cosmetic products and the like
JP4980740B2 (ja) 2007-01-31 2012-07-18 株式会社 資生堂 2次元液体クロマトグラフィー分析方法および分取用流路切り替えユニット
JP2008285472A (ja) * 2007-04-16 2008-11-27 Sapporo Breweries Ltd 細胞外マトリックス分解酵素阻害剤
DE102007038413A1 (de) * 2007-08-09 2009-02-12 Beiersdorf Ag Kosmetische Emulgatorkombin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58084A1 (ko) * 2012-10-09 2014-04-1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감마올리고펩타이드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5468A1 (en) 2012-02-08
WO2010113925A1 (ja) 2010-10-07
CN102365086A (zh) 2012-02-29
US20120142941A1 (en) 2012-06-07
US8735442B2 (en) 2014-05-27
EP2415468A4 (en) 2014-08-20
JP2015134790A (ja) 2015-07-27
BRPI1009796A2 (pt) 2016-08-23
TWI527584B (zh) 2016-04-01
JP5727364B2 (ja) 2015-06-03
ES2638046T3 (es) 2017-10-18
RU2011143736A (ru) 2013-05-10
AU2010231598A1 (en) 2011-11-10
JP5934405B2 (ja) 2016-06-15
RU2519206C2 (ru) 2014-06-10
EP2415468B1 (en) 2017-07-05
JPWO2010113925A1 (ja) 2012-10-11
TW201039858A (en)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4405B2 (ja) 紫外線障害軽減組成物
JP5795960B2 (ja) 紫外線障害軽減組成物
WO2011040363A1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組成物
WO2011040082A1 (ja) ラミニン332産生促進組成物
KR101740353B1 (ko) 항산화 조성물
KR20120044993A (ko) 자외선 장해 경감 경구 조성물
WO2010113590A1 (ja) 美白剤及び皮膚を美白にする美容方法
WO2012043185A1 (ja) Il-8発現抑制組成物
WO2013128736A1 (ja) 紫外線曝露によって促進される血管新生を抑制するための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