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324A -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 Google Patents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324A
KR20120026324A KR1020100088479A KR20100088479A KR20120026324A KR 20120026324 A KR20120026324 A KR 20120026324A KR 1020100088479 A KR1020100088479 A KR 1020100088479A KR 20100088479 A KR20100088479 A KR 20100088479A KR 20120026324 A KR20120026324 A KR 201200263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odor
deodorant composition
natural extract
poly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아
박재웅
박형환
김용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삼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to KR1020100088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324A/ko
Priority to JP2011197179A priority patent/JP5922894B2/ja
Publication of KR2012002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3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3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with other specific functional groups, e.g. aldehydes, ketones, phenols, quaternary phosphonium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252Polypeptides, proteins, e.g. glycoproteins, lipoproteins, cytokines
    • A61L2300/254Enzymes, pro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혈취에 소취 효능이 있는 소취제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과 폴리페놀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산화효소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이 혼합된 소취제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취제 조성물은 경혈취 주요성분인 트리메틸아민 등의 제거에 효과적이며, 지속적이며 강력한 경혈취 제거 효능을 가진다.

Description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Deodorant composition and sanatary napki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경혈취 소취에 효능이 있는 소취제 조성물과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위생용품 즉 생리대의 경우 대부분의 표면시트가 피부에 닿아 시트의 질감이나 흡수성 및 혈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이들 제품의 성능을 좌우하지만, 생리대 제품에 있어서의 또 하나의 중요한 성능은 생리대 사용 중에 흡수된 생리혈에 의해 발생하는 경혈취를 억제하는 것이다. 냄새나는 화합물은 땀, 생리 유체 및 생리혈 같은 유체 배설물의 성분 자체에 존재하거나 또는 이러한 유체 배설물의 성분이 열화되면서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냄새와 관련된 화합물은 광범위하게 존재할 수 있으며, 지방산, 암모니아, 아민, 황 함유 화합물, 케톤, 알데하이드 및 이들의 수많은 유도체를 포함한다.
생리대를 사용하는 사람의 정신적 고충 중의 하나는 생리대에 흡수된 생리혈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와 주위사람이 눈치를 채거나 불쾌하게 생각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 생기는 불안감이며, 이 불안감이 심한 사람들의 경우 생리기간 중 외출을 꺼려하거나 대인 기피증까지 생기기도 한다. 특히 여름철의 경우 생리혈의 부패로 인해 냄새가 더욱 심해져 이에 대한 문제점은 더욱 커지게 된다.
이러한 생리혈에 의한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 냄새 억제제가 사용되고는 있지만, 생리혈의 경우 냄새를 내는 다양한 성분의 화학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넓은 범위의 냄새에 대해서는 이를 효율적으로 억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냄새 억제제로 사용되고 있는 활성탄의 경우 황화수소류에는 소취 효과가 있으나 아민류에는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색상면에서 소비자에게 심미적으로 불쾌감을 준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쑥이나 허브의 추출물을 소취제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들은 약리 효과나 향에 의존하는 것으로 생리혈의 부패나 냄새를 근본적으로 제거하는데는 여전히 효과가 미미한 편이며, 냄새제거를 위해 천연물에서 유래한 다양한 한약재를 사용하기도 하나 냄새제거에 효능이 있다는 전통적인 문헌에 의존한 것일 뿐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따라서 생리혈 조성물에 대한 소취 효능이 우수한 직접적인 소취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경혈취에 대해 소취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소취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폴리페놀이 함유된 천연 추출물과 이 폴리페놀의 산화를 촉진시키는 효소가 함유된 천연 추출물과 더불어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혼합하는 경우 경혈취 성분에 우수한 소취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고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의 소취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취 범위 및 소취율이 우수한 소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취제 조성물은 폴리페놀, 이를 산화시키는 효소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고 있어 경혈취 주성분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 amine), 암모니아(ammonia) 등의 아민류와 메틸머캅단(Methyl mercaptane) 등의 황 화합물 등 광범위한 냄새원 제거에 효과적이고, 지속적이며 강력한 경혈취 제거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용이 가능한 천연 추출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경혈취 성분의 분석결과 나타난 성분(대조군 그래프)과 실시예에 의한 소취 후 남은 성분(실시예 그래프)을 나타낸 GC/MS 분석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여 경혈취 성분에 대한 소취 효능이 있는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폴리페놀은 식용 가능한 천연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로써 이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은 인체에 무해하며, 또한 암모니아, 아민류 및 알데히드 등의 악취 성분에 대하여도 강력한 소취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은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및 첨차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모든 추출물은 당업계에 널리 쓰이는 공지의 추출방법을 통해 쉽게 추출할 수 있으며, 그 추출방법에 제약을 두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페놀과 함께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사용한다. 종래에는 소취 효능을 위해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화합물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을 폴리페놀 산화효소(polyphenol oxidase)로 산화시키는 경우 반응성이 높은 퀴논(quinone)이 생성되고, 이때 생성된 퀴논이 악취 물질과 반응하여 뛰어난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점에 착안하여, 폴리페놀과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높은 소취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즉,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에 산화를 촉진하는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혼합함으로써 자동산화를 촉진시켜 단시간 내에 높은 소취율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로는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취제 조성물로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은 α형, β형 및 γ형 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사용한다. 싸이클로덱스트린은 링(ring)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링 구조는 고미, 잡미, 특이취, 악취 등의 마스킹에 효과가 있어 냄새탈취제나 방향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폴리페놀 및 폴리페놀 산화효소에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폴리페놀과 폴리페놀 산화효소로 생성된 퀴논과 반응하지 못하는 악취 물질 성분들이 싸이클로덱스트린의 구조적 특징인 링 구조에 포집됨으로써 이로 인해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소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기존 소취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넓은 소취 범위를 나타내며, 보다 높은 소취율을 나타낼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든 조성물은 식용이 가능한 천연 추출물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경혈취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10 ~ 50 중량%,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을 10 ~ 50 중량%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의 고형분 함량을 40 ~ 80 중량%로 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페놀 또는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의 경우 고형분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소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하면 폴리페놀 화합물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이취가 강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싸이클로덱스트린의 경우 고형분 함량이 40 중량% 미만인 경우 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인한 소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 있으며, 8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페놀과 폴리페놀 산화효소에 의한 소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여 생리대를 제조하는 경우 경혈취 억제 효과가 매우 우수한 생리대를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추출물 제조
폴리페놀을 포함하는 멜리사 100 g에 0.1 M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pH 7.0, 4 ℃) 200 ml을 가하여 믹서기(Waring blender)로 5 분간 균질화 시킨 후, 4 ℃에서 30 분간 원심분리(10,000×g)한 상등액을 얻어 덱스트린(dextrin) 20 중량%를 첨가하고 동결건조 후 분말화하여 얻은 멜리사 분말을 사용하였다.
제조예 2 :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추출물 제조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포함하는 쑥갓 100 g에 0.1 M 인산칼륨(Potassium phosphate) 완충용액(pH 7.0, 4 ℃) 200 ml을 가하여 믹서기(Waring blender)로 5 분간 균질화 시킨 후 모직천을 사용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4 ℃에서 30 분간 원심분리(10,000×g)한 상등액을 얻어 덱스트린(dextrin) 20 중량%를 첨가하고 동결건조 후 분말화하여 얻은 쑥갓 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 경혈취 억제 효능을 가지는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
경혈취 억제 효능을 가지는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기질로는 멜리사(melissa)를 사용하였으며, 폴리페놀 산화효소로는 쑥갓 추출물을 사용하였으며, 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는 α의 함량이 30 중량%, β 함량이 10 중량%, γ 함량이 10 중량%, 덱스트린 50 중량%인 것을 사용하였다.
최종 경혈취 억제 소취제는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얻어진 멜리사 분말 25 중량%과, 제조예 2를 통해 얻어진 쑥갓 분말 25 중량%와 싸이클로덱스트린 50 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1-3 : 경혈취 억제 효능을 가지는 소취제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의 소취제 조성물과 비교를 위하여, 활성탄(비교예 1), 멜리사 분말(비교예 2), 멜리사 분말과 쑥갓 분말(비교예 3) 조성물을 하기의 방법을 통해 각각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활성탄 0.1g 사용하였다.
비교예 2 : 멜리사 분말 0.1g을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제조예 1을 통해 제조한 멜리사 분말 0.05g과 제조예 2를 통해 제조한 쑥갓 분말 0.05g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 경혈취 주성분 (트리메틸아민) 억제 효과
폴리페놀, 폴리페놀 산화효소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소취제 조성물의 경혈취 주성분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가스검지관(Gastec)을 이용하여 그 냄새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의 조성물 0.1g 에 냄새 유발원 용액으로 30%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용액(15 % in water) 10 ㎕을 넣었다. 대조군으로는 50 ㎖ 암갈색병에 0.1 M 인산칼륨 완충용액(pH 7.0) 2 ㎖와 냄새 유발원 용액으로 30%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용액(15% in water) 10 ㎕를 넣었다. 비교예로는 상기 비교예 1 - 3의 조성물 각각 0.1g 과 냄새 유발원 용액으로 30%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용액(15% in water) 10 ㎕을 각각 사용하였다.
각 시험병은 37.5 ℃ 항온수욕조(water bath)에서 10 분간 진탕한 후, 가스검지관 No.180을 사용하여 용기 내 상부의 공간 부분(head space) 내에 잔존하는 악취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각각 3 회씩 반복하여 얻은 각 가스검지관 측정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경혈취 주성분 (트리메틸아민) 억제 효과 비교
대조군 비교예 1
(활성탄)
비교예 2
(멜리사)
비교예 3
(멜리사 + 쑥갓)
실시예
검지관(ppm) 120 113 120 60 12
소취율(%) 0 6 0 50 90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트리메틸아민의 소취율이 90 %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교예로 사용된 활성탄, 멜리사 또는 멜리사와 쑥갓을 혼합한 경우보다 월등히 높은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멜리사만 사용한 경우는 소취 효과가 전혀 없었으며, 멜리사와 쑥갓을 함께 사용한 경우 역시 소취율이 50 %에 그쳐 본 발명의 싸이클로덱스트린이 함께 쓰인 경우(소취율 90 %)보다 그 효과가 현저하게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경혈취 주성분 (암모니아) 억제 효과
폴리페놀, 폴리페놀 산화효소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소취제 조성물의 경혈취 주성분인 암모니아(Ammonia)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3La을 이용하여 그 냄새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25 % 암모니아(Ammonia) 용액(15 % in water)을 냄새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냄새 유발원 용액을 25 ㎕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냄새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경혈취 주성분 (암모니아) 억제 효과
대조군 비교예 1
(활성탄)
비교예 2
(멜리사)
비교예 3
(멜리사 + 쑥갓)
실시예
검지관(ppm) 100 100 90 20 0
소취율(%) 0 0 10 80 100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암모니아의 소취율이 100 %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교예로 사용된 활성탄, 멜리사 또는 멜리사와 쑥갓을 혼합한 경우보다 월등히 높은 결과이다. 구체적으로, 멜리사만 사용한 경우는 소취효과가 10 %에 그쳤으며, 멜리사와 쑥갓을 함께 사용한 경우 소취율이 80 %정도로 나타나, 본 발명의 싸이클로덱스트린이 함께 쓰인 경우(소취율 100 %)보다 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 경혈취 주성분 ( 메틸머캅탄 ) 억제 효과
폴리페놀, 폴리페놀 산화효소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소취제 조성물의 경혈취 주성분인 메틸머캅탄(Methylmercaptan)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Gastec(가스검지관) No. 71을 이용하여 그 냄새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메틸머캅탄 나트륨염(Methylmercaptan sodium salt) 용액(15 % in water)을 냄새 유발원 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냄새 유발원 용액 3 ㎕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냄새 성분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경혈취 주성분 ( 메틸머캅탄 ) 억제 효과 비교
대조군 비교예 1
(활성탄)
비교예 2
(멜리사)
비교예 3
(멜리사 + 쑥갓)
실시예
검지관(ppm) 85 0 80 0 0
소취율(%) 0 100 6 100 100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경우 메틸머캅탄의 소취율이 100 %로 나타났으며, 이는 비교예로 사용된 활성탄이나 멜리사와 쑥갓을 혼합한 경우와 유사한 결과였다. 그러나 멜리사만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는 소취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1 내지 3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혈취의 주성분인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 및 메틸머캅탄과 같은 경혈취 주요 성분에 대하여 소취 효과가 있었으며, 소취율 또한 다른 조성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을 생리대 등에 사용하는 경우 기존 조성보다 그 소취 범위나 소취 효과적인 면에 있어 매우 우수한 소취제 조성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실험예 4 : 경혈취 조성물 억제효과
폴리페놀, 폴리페놀 산화효소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함유한 소취제 조성물의 경혈취 조성물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경혈취 유사 조성물을 일본특허(花王株式會社, JP2007-198829)를 참고, 조제하여 GC/MS로 측정하였으며, 조제한 경혈취 유사 조성물 성분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GC/MS 분석 조건 >
GC/MS : GC 6890, MSD 5973i (Agilent社)
Column : DB-WAX(60M*0.25um*0.25um), Agilent社
Inlet : 250℃, splitless
Column gas : He
Column flow : 1.0ml/min
SPME Fiber : 75um Carboxen TM-PDMS(Black) Supelco社
상기 실시예의 소취제 조성물 0.1 g과 경혈취 유사 조성물 1 ml를 15 ml vial에 넣고 10 분간 반응시킨 후, SPME로 60 ℃에서 30 분간 흡착시켜 GC/MS로 분석하였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경혈취 유사 성분 8 개 중 분석되어 피크로 나타난 성분은 6개로 각각 1 :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 2 : 디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 3 : 3-메틸 부탄알(3-Methyl butanal), 4 : 디아세틸(Diacethyl), 5 : 디메틸 디설파이드(Dimethyl disulfide), 6 : 아세토인(Acetoin)을 나타낸다.
성분 비율(%)
Acetoin 2
Diacethyl 1.5
Trimethylamine 1.5
3-methyl butanol 0.4
Dimethyl sulfide 0.05
Dimethyl disulfide 0.005
Methyl mercaptane 0.002
Prophyl mercaptane 0.001
Water 94.542
도 1의 결과를 살펴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경혈취의 주성분인 트리메틸아민에 대해 탁월한 소취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타 모든 범위의 경혈취 조성물에 대해서도 소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예 3: 소취제 조성물이 적용된 생리대의 제조
가로 70 mm, 세로 35 mm의 부직포에 SAP(Super Absorbent polymer)과 멜리사(Melissa) 분말 0.025 g, 상기 제조예 1에서 얻은 쑥갓 분말 0.025 g, 싸이클로덱스트린 0.05 g을 넣는다. 소취제 조성물이 함유된 부직포를 피부 대면 외피 및 방수 외피로 구성된 생리대의 사이에 위치시켜 생리대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5: 소취제 조성물이 적용된 생리대의 경혈취 억제효과 확인실험
19 세에서 50 세까지의 여성 200 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생리대 샘플을 사용하게 하여 경혈취의 냄새 억제 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실험의 대상 여성들은 모두 평소에 생리시 냄새를 느낀 바 있고 특별한 신체 이상은 없는 사람들이었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소취효능 정도 피험자 수
소취 효과가 매우 좋음 114
소취 효과가 약간 있음 76
미미한 소취 효과가 있는 듯하나 확실하지는 않음 7
소취효과도 체취의 악화도 없음 2
소취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체취가 악화됨 1
측정 결과, 전 피험자 중 95 % 이상의 피험자가 소취 효과가 우수하다고 응답하였고 그 중 60 %는 소취 효과가 매우 좋다고 응답하였다. 상기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을 생리대에 이용하는 경우 우수한 소취 기능을 가진 생리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6)

  1.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은 타임(Thyme), 멜리사(Melissa), 커피, 녹차 및 첨차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은 쑥갓, 미나리, 감자, 및 바나나의 천연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이클로덱스트린은 α형, β형 및 γ형 싸이클로덱스트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을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10 ~ 50 중량%, 폴리페놀 산화효소를 함유하는 천연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 10 ~ 50 중량% 및 싸이클로덱스트린의 고형분 함량 40 ~ 80 중량%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취제 조성물.
  6. 청구항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소취제 조성물을 함유하여 경혈취의 발생을 억제하는 생리대.
KR1020100088479A 2010-09-09 2010-09-09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KR2012002632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479A KR20120026324A (ko) 2010-09-09 2010-09-09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JP2011197179A JP5922894B2 (ja) 2010-09-09 2011-09-09 消臭剤組成物、当該消臭剤組成物を含有する生理用ナプキンおよび消臭剤組成物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479A KR20120026324A (ko) 2010-09-09 2010-09-09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324A true KR20120026324A (ko) 2012-03-19

Family

ID=46053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479A KR20120026324A (ko) 2010-09-09 2010-09-09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922894B2 (ko)
KR (1) KR2012002632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010B1 (ko) * 2012-07-16 2013-06-10 박삼문 커피가 도포된 패드
WO2017204412A1 (ko)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벤스랩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13960B (zh) * 2012-08-17 2014-11-05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吸收性制品用除臭组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7002864A1 (ja) * 2015-06-30 2017-01-0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シート
CN110692652A (zh) * 2019-10-21 2020-01-17 上海洒家宠物用品有限公司 一种宠物家用的祛味除臭留香型消毒液及其制备方法
JP2024077862A (ja) * 2022-11-29 2024-06-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7573A (ja) * 1988-11-04 1990-05-16 Wool Dev Internatl Ltd 消臭機能を有する羊毛の加工法
JP4298380B2 (ja) * 2002-06-06 2009-07-15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剤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体および吸収性物品
JP2004154359A (ja) * 2002-11-06 2004-06-03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方法および消臭剤組成物
JP2004344240A (ja) * 2003-05-20 2004-12-09 Takasago Internatl Corp 消臭方法
JP4336272B2 (ja) * 2004-08-19 2009-09-30 株式会社ロッテ タバコ臭気消臭剤及びこれを含む飲食品並びに消臭組成物そしてその製造方法並びに使用方法
SG170753A1 (en) * 2006-03-22 2011-05-30 Takasago Perfumery Co Ltd Deodorant composi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010B1 (ko) * 2012-07-16 2013-06-10 박삼문 커피가 도포된 패드
WO2014014244A1 (ko) * 2012-07-16 2014-01-23 Park Sam Mun 커피가 도포된 패드
US9427363B2 (en) 2012-07-16 2016-08-30 Sam Mun Park Pad coated with coffee
WO2017204412A1 (ko) * 2016-05-27 2017-11-30 주식회사 벤스랩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55698A (ja) 2012-03-22
JP5922894B2 (ja)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6324A (ko) 소취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리대
CN108014045A (zh) 一种男士护肤组合物及其应用
JPH0520405B2 (ko)
CN110664711B (zh) 一种皮肤调理型女士止汗香体露及其制备方法
KR101068997B1 (ko) 소취제 조성물
CN108158913A (zh) 一种杀菌除臭中药牙膏及其制备方法
JP2011515327A (ja) 植物性粉末含有染毛用組成物
CN101703679A (zh) 一种治疗灰指甲的药物
KR102234375B1 (ko) 천연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탈취제 조성물
KR20190074663A (ko) 천연 비누 조성물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KR101858804B1 (ko) 율피 및 약용식물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JP2011001326A (ja) エンドセリン−1mRNA発現抑制剤
KR100918518B1 (ko) 피부용 팩 조성물
KR101075413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KR102191929B1 (ko) 코끼리마늘을 이용한 피부미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0597702B1 (ko)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KR20030043302A (ko) 체취 감소용 소취제 조성물
KR102151305B1 (ko) 죽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0156660B1 (ko) 녹두분말, 적두분말 및 숯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비누 조성물
KR20050100473A (ko) 금은화, 상백피 및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완화능을갖는 항 자외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9172489A (zh) 一种防治蚊虫叮咬的婴幼儿用湿纸巾及其制备方法
JP4914538B2 (ja) 消臭剤とその用途
CN108159165A (zh) 一种复方中药提取物及其在制备口腔护理产品中的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