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7702B1 -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 Google Patents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702B1
KR100597702B1 KR1020040024195A KR20040024195A KR100597702B1 KR 100597702 B1 KR100597702 B1 KR 100597702B1 KR 1020040024195 A KR1020040024195 A KR 1020040024195A KR 20040024195 A KR20040024195 A KR 20040024195A KR 100597702 B1 KR100597702 B1 KR 10059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mposition
mint
sanitary pad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105A (ko
Inventor
배수미
김용완
허승원
김상희
김순영
Original Assignee
(주)보성녹차테크
안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보성녹차테크, 안웅식 filed Critical (주)보성녹차테크
Priority to KR1020040024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7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9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8Baskets or like containers of skeleton or apertured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 패드;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위생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차, 박하, 소취, 위생 패드

Description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Deodorant composition and sanitary pad comprising the composition}
도 1은 다양한 비율의 녹차와 박하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위생 패드의 소취 효과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2은 소취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종래의 위생 패드, 녹차만 함유한 위생 패드, 및 녹차와 박하를 함께 함유한 위생 패드의 소취력을 평가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 이러한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 패드; 및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위생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리 시 발생하는 생리혈의 냄새 원인은 생리혈 내에 포함된 다종의 단백질 부패취,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황화수소, 메르캅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루어지며 물고기 부패취와 유사한 냄새로 더운 여름철 및 분비량이 많은 날 특히 문제가 될 수 있다.
소취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한 방법으로는 물리적 소취법(환기, 확산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물질을 사용하여 악취를 흡착하는 방법), 감각적 소취법(방향성 물질인 향료를 사용하여 악취를 차단하는 방법), 화학적 소취법(소취제를 악취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중화반응, 부가반응 등으로 무취화시키는 방법), 생물학적 소취법(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세균을 살균하거나 부패를 방지하는 등 악취 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막는 방법) 등이 있다.
종래, 식물 추출물인 플라보노이드를 사용하여 일회용 생리혈을 포함한 분비물의 냄새를 제거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 제86-8055호에서는 식물에서 추출한 플라보노이드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암모니아, 아민류, 메르캅탄류 등의 다양한 악취들을 소취하는 것에 대해 기술하고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2-0007645호에서도 후라보노이드를 첨가한 일회용 흡수제품 조성물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1993-0002265호에서는 소취 조성물로서 식물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와 파네졸을 함유시킨 소취 조성물에 관하여 기술하고 있고, 대한민국 특허 공보 제1993-2268호에서는 소취 조성물로서 식물추출물인 후라보노이드와 바이오세라믹을 함께 사용하는 소취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86-8743호 및 86-8744호는 무기산을 사용하거나 산 작용성 잔기를 함유시켜 pH를 조절함으로써 발진을 감소시킨다고 제안하고 있다.
식물 추출물인 플라보노이드는 폴리페놀 계통으로서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시키는 우레아제의 활동을 정지 또는 억제시켜 암모니아 생성의 근본적인 요인을 제거하여 피부자극 및 염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하며, 체액 분비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냄새를 포함한 불쾌취를 플라보노이드의 부가, 중화 및 중합작용에 의한 화학적 작용으로 방취 및 소취시켜 주므로 사용성이 뛰어나고 위생적인 효과도 갖게 되며, 폴리페놀의 3차원적 구조의 내부 공간에 악취 분자들이 침투되어 포접 작용에 의한 탈취 효과가 수반됨과 아울러 함염증 효과도 있어 종합적으로 피부 발진 및 피부 염증의 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고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많은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리혈을 포함한 분비물에 의한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였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악취 발생을 방지하고 발생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조성물 및 이를 적용한 위생 패드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는 녹차와 박하를 포함하는 조성물에서 이들 각각의 성분들을 특정 비율로 혼합사용하는 경우 예기치 못한 상승효과가 발생하여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 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녹차 대 박하의 비율은 2 내지 2.5:1이며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녹차 대 박하의 비율은 2.3:1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를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흡수체에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녹차 대 박하의 비율은 2 내지 2.5,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2.3:1이며, 위생 패드는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및 팬티라이너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를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흡수체에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소취 조성물을 도포하고 고착시키거나 또는 상기 흡수체를 상기 조성물에 함침하고 건조시켜 위생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녹차 대 박하의 비율이 2 내지 2.5,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2.3:1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녹차 및 박하를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차는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전세계에서 경험적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질병치료 효과 때문에 귀한 약으로 사용되었고, 점차 재배 및 가공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건강 보건성 기호 음료로 정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의 여러 가지 기능성 즉, 동맥경화 및 고혈압, 충치예방, 노화 억제, 발암억제효과, 항산화 효과 등이 과학적으로 규명되어짐에 따라 현대인들의 건강 지향적인 욕구와 부합되어 소비량이 증가되고 있고 또한 단순히 마시는 기호음료 이외에 차를 이용한 생활 용품이나 요리, 의약품, 식품 등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도 그 이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녹차는 녹차잎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녹차잎으로부터의 추출물 형태로 사용한다. 녹차잎으로부터 녹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공정은 당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녹차 추출물을 추출하는 공정은 녹차잎의 침출 공정, 침출액 여과 및 농축 공정 및 농축액의 저장 공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추출 공정을 수행하기에 앞서, 녹차잎을 알코올로 전처리하여 미생물을 번식을 막고 녹차잎의 색상을 유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례로서, 녹차잎을 60 내지 70%의 알코올을 담길 정도로 가하여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20 내지 100분 동안 전처리하고, 탈이온수를 100℃ 이상으로 끊인 다음 적당 온도로 식힌 후 1중량%의 에리소르빈산과 6.5중량%의 사이클로덱스트린을 첨가한 40 내지 65℃의 물에 알코올로 전처리된 녹차를 30분 내지 60분 동안 침출한 후, 침출액을 평 균 입자경이 0.1 내지 1.0μm인 필터로 여과하여 가용성 고형분이 1.0 내지 5.0 brix가 되도록 하고, 이어서 상기 여과된 침출액을 역삼투에 의해 농축하고, 15 내지 16brix로 농축되었을 때 95% 주정을 가해 알코올 농도를 40 내지 70%로 조정하여 10 내지 60분 동안 유지하고 멸균수를 첨가하면서 계속 농축하여 20 내지 25 brix 까지 농축하고, 농축물에 탄네이즈(tannase) 0.005 내지 0.05%ffm을 처리할 수 있다. 녹차 추출물은 분말 형태로 또는 용제에 용해시켜 흡수체 내 또는 액체투과성 시트의 표면에 분무 또는 함침하여 적용할 수 있다.
녹차 추출물의 주요 성분을 살펴보면, 카테킨류, 카페인, 아미노산, 유기산, 비타민, 미량 무기원소 및 당류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성분인 카테킨류의 조성은 (+)-카테킨(Catechin)을 비롯하여 (+)-갈로카테킨(Gallocatechin),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함량은 품종 및 원산지, 수확시기에 따라 변화가 많지만 하기의 그림과 같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함량이 가장 많다.
녹차 추출물 성분인 카테킨류는 암세포에 작용하여 폐암을 비롯한 대장암, 간암, 위암 등의 암 발생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뇌속에 알츠하이머형 치매를 유발하는 베타 아밀로이드 펩티드 단백질의 축적을 억제하여 치매를 예방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카테킨류 성분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의 농도를 감소시켜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고혈압을 유발하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작용을 저해하여 고혈압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고, 체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는 유리 라디칼 소거(free radical scarvenging) 효과로 인하여 노화 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카테킨류 성분은 탁월한 항균효과로 인하여 O-157균을 비롯한 식중독균의 예방 및 살균효과가 있으며 충치 세균의 발육을 억제시키며, 치석 형성의 원인인 GTase의 활성을 억제 시켜 치아를 보호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녹차에 들어있는 카테킨과 비타민 A, C, E 등은 피부 노화의 원인인 유해산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억제하여 기미나 주근깨의 형성을 막아준다고 보고되었다. 이 외에도 녹차의 당뇨병 억제, 신장 질환 개선, 알코올과 담배 해독작용, 중금속 제거효과 등에 대한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녹차 추출물은 체액 성분에 포함된 요소를 암모니아로 분해하는 피부상재균의 활성을 정지 또는 억제시켜 암모니아 생성량을 저하시킴으로써 피부자극 및 피부염증을 예방하고 뇨 또는 체액분비물로부터 발생되는 불쾌를 방취 및 소취시켜줌으로써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물질이다.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의 또 다른 성분인 박하(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MALINVAUD)는 야식향, 번하채, 인단초, 구박하라고도 불리우며, 습기가 있는 들에서 자란다. 높이가 60 내지 100cm로 줄기는 단면이 사각형이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잎은 자루가 있는 홑잎으로 마주나고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 특징적이다. 잎 표면에 기름샘이 있어 여기서 기름을 분비하는데, 정유의 대부분은 이 기름샘에서 저장된다. 박하는 특이한 냄새가 있고 입에 넣으면 시원한 느낌을 남긴다(대한약전 2부). 박하의 맛은 매운맛이며 상당히 시원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두통, 눈의 충혈, 인후의 종창등에 적합하고 인후의 점막의 혈관을 수축시켜 팽창해 있는 부기나 통증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며, 박하유는 지각신경의 말초에 작용하여 신경을 마비시키므로 외용으로 바르면 통증이나 가려움을 해소시키는 작용 및 껌의 향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동양의학에서는 풍사를 막고 산열, 해표의 효과가 있다고 하고 가벼운 중풍에도 쓰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박하는 멘톨, 탄닌질, 유기산 고미소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가려움증을 진정시켜주고 혈액순환을 촉진시키며 수렴작용을 하며, 특히 모공이 큰 피부, 지성피부, 민감성피부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박하는 박하 전체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추출물 형태로 사용한다. 박하로부터 박하 추출물을 추출하는 공정은 당 분야에 알려진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박하에서 추출되어 나오는 성분인 멘톨은, 박하를 증류하여 얻은 박하유를 냉각시켜 얻거나 합성하여 얻어질 수 있으며, 분말 형태로 또는 용제에 용해시켜 흡수체 내 또는 액체투과성 시트의 표면에 분무 또는 함침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소취 조성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녹차를 박하를 함께 사용함으로서 녹차가 갖는 소취 효과를 상승작용적으로 증가시켰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녹차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녹차와 박하를 함께 사용한 결과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상승작용적 효과는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사용하였을 때 더욱 효과적이었다(도 1).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위생 패드"란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체액을 흡수 또는 처리하는 것으로서, 뇨 및 변의 분비물, 생리혈 및 질분비물을 흡수하여 처리하는 수단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유아 또는 성인이 사용하는 일회용 기저귀(diaper), 생리대(sanitary napkin) 또는 팬티라이너(pantyliner)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와 관련하여 사용된 용어 "소취용", "소취력", "소취 효과"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된 위생 패드가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일컫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되는 뇨 및 변의 분비물, 생리혈 및 질분비물의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분비물들의 악취원으로는 일반적으로 H2S, MeSH, NH3, TMA(trimethylamine), 스티렌, 아세트알데히드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 효과를 분석하였다(표 1).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를 포함하는 위생 패드에 적용된다.
상기한 위생 패드에서, "흡수체"란 액체투과성 시트와 액체불투과성 시트를 제외한 구성물로서 흡수 기능을 갖는 티슈, 부직포 분쇄된 펄프,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한 얇은 시트 등을 포함하며, 흡수체의 위층 또는 이들의 중간층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분말 또는 액체 상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생 패드에 적용함에 있어, 분말 상태의 조성물은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에 모두 적용시킬 수 있으나, 소취 효과적인 면을 고려할 때 액체투과성 시트 또는 흡수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에 적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흡수체의 상부에 분무하여 도포한 후 히터의 열융착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액체 상태의 조성물은 흡수체에 함침시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액체 상태의 추출 조성물을 감압 농축한 겔 상태의 조성물은 흡수체에 분무 도포한 후 건조 고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를 포함하는 위생패드의 흡수체에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녹차 대 박하의 비율은 2 내지 2.5:1, 보다 바람직하게는 2.3:1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위생 패드는 녹차 및 박하를 함유함으로써 분비물에 의해 발생되는 악취 발생 방지 효과와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는 소취 효과 뿐만 아니라 살균 작용을 동시에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본 발명의 녹차 및 박하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소취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암모니아를 이용하였다. 녹차 패드(울드라 슬림형)와 SAP 시트 (16 X 6.2Cm)를 테들라 백(Tedlar bag)에 넣고 질소 가스 2 L를 주입한 후 암모니아 용액을 주입하였다.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실리카 튜브에 펌프를 이용하여 전량을 포집하였다. 포집된 실리카 튜브를 시험관에 옮겨 10㎖의 증류수로 용출하였다. 용출된 용액 중 5㎖을 취하여 시험관에 옮겨 담아 암모니아 및 암모늄이온의 검출과 비색분석에 쓰이는 고감도 시약인 네슬러 시약을 200㎕ 첨가하였다. 흡광계를 이용하여 44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표준 시료의 흡광도로 검량선을 작성하고 시료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소취력은 샘플이 들어있지 않은 테들라 백에서 암모니아를 반응시킨 후 농도를 측정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감소되는 농도로부터 소취력을 계산하였다.
소취율(%)=[ (처음 넣어준 암모니아 농도 - 시료가 들어있는 테들라 백에서 검출된 암모니아의 농도) / 처음 넣어준 암모니아 농도 ] X 100
녹차 분말과 박하 분말의 양을 SAP 시트 1m2 당 각 15:0, 12.5:2.5, 10:5, 7.5:7.5, 5:10, 2.5:12.5, 0:15g으로 혼합하여, 소취효과를 분석한 결과 녹차 대 박하 비율이 1:2 일때 소취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녹차 대 박하의 비율이 1:1일 때도 소취 효과나 높게 나타났으나 이러한 고농도의 박하 함유량은 피부와 접촉 시 발진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농도이므로, 2 내지 5:1의 비율로 녹차 대 박하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부작용 없이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었다(도 1).
녹차 대 박하를 2.3:1(SAF 시트 1m2 당 녹차10.5g, 박하 4.5g)의 비율로 함유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위생패드와 소취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거나 녹차만을 사용하여 제조된 위생패드에 대한 소취능 평가 결과가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No 시료명 abs ug 희석보정(*5) 흡착전(ug) 흡착률(%)
1 대조군 패드 0.103 31.94 157.71 250.00 36.11
2 녹차 패드 0.075 22.77 113.87 250.00 54.45
3 녹차+박하 패드 0.061 18.19 90.95 250.00 63.62
4 테들라 백 0.162 51.26 256.32 250.00 0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지 기존의 위생 패드(대조군)는 약 36.11%의 소취율을 보인 반면, 녹차만을 함유한 일회용 생리대는 약 54.45%의 소취율을 보였으며, 녹차와 박하가 함유된 일회용 생리대에서는 63.62%의 소취율을 보였다(도 2).
이와 같이, 녹차와 박하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위생 패드는 소취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는 위생 패드 뿐만 아니라 녹차만을 포함하는 소취 조성물을 포 함하는 위생 패드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소취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함유한 위생용 패드는 인체에 안전성이 높으며, 항균성이나 항부패성으로 인하여 2차 감염의 우려 없이 뇨 및 변의 분비물, 월경분비액 및 질 분비물의 특유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항상 기분 좋은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소취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녹차 대 박하의 중량비율이 2 내지 2.5:1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녹차 대 박하의 중량비율이 2.3:1인 조성물.
  4.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를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흡수체에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위생 패드.
  5. 제4항에 있어서, 녹차 대 박하의 중량비율이 2 내지 2.5:1인 위생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녹차 대 박하의 중량비율이 2.3:1인 위생 패드.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위생 패드가 일회용 기저귀(diaper), 생리대(sanitary napkin) 및 팬티라이너(pantyliner)인 위생 패드.
  8. 액체투과성 시트, 액체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를 포함하는 위생 패드의 흡수체에 녹차 대 박하를 2 내지 3:1의 중량비율로 포함하는 소취 조성물을 도포하고 고착시키거나 또는 상기 흡수체를 상기 조성물에 함침하고 건조시켜 위생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조성물중 녹차 대 박하의 중량비율이 2 내지 2.5:1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녹차 대 박하의 중량비율이 2.3:1인 방법.
KR1020040024195A 2004-04-08 2004-04-08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KR100597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195A KR100597702B1 (ko) 2004-04-08 2004-04-08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195A KR100597702B1 (ko) 2004-04-08 2004-04-08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703U Division KR200356319Y1 (ko) 2004-04-08 2004-04-08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05A KR20050099105A (ko) 2005-10-13
KR100597702B1 true KR100597702B1 (ko) 2006-07-07

Family

ID=37278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195A KR100597702B1 (ko) 2004-04-08 2004-04-08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014B1 (ko) * 2006-09-15 2006-12-26 그린텍이십일 주식회사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용 조성물
KR101380554B1 (ko) * 2007-04-30 2014-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천연 방향제 및/또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배면 시트를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용품
US10653571B2 (en) 2015-12-10 2020-05-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le comprising odor control composition
KR101749525B1 (ko) * 2016-05-27 2017-06-22 주식회사 벤스랩 항균, 항염증 활성을 갖는 소취조성물을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105A (ko)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8658B (zh) 用于卫生巾的泡腾制剂组合物和制备方法及应用
WO2015034252A1 (ko)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KR101653534B1 (ko) 원적외선 방사 및 한방성분을 함유한 여성용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3358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복합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용 흡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1022B1 (ko) 인삼꽃 정유를 함유하는 피부용 외용제 조성물
KR102377359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JP4450355B2 (ja) ウレアーゼ阻害剤、アンモニア臭抑制剤およびおむつかぶれ防止剤
CN1241409A (zh) 一种脚癣洗液
KR100597702B1 (ko)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US699529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sanitary materials for infants
KR200356319Y1 (ko) 소취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위생 패드
BE1022338B1 (nl) Hygiene artikel bestaand uit een effectief geurcontrole systeem
KR101571371B1 (ko) 기능성 흡착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저귀
KR19980082895A (ko) 생리대
KR20100090533A (ko) 보령산 머드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0473A (ko) 금은화, 상백피 및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여 염증완화능을갖는 항 자외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6412A (ko) 오배자를 포함하는 항균소취성 조성물
CN110403891A (zh) 一种具有口腔保健作用的中草药牙膏
KR20030090322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조성물, 및 일회용 흡수제품
KR20030008048A (ko) 항균소취제를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2664140B1 (ko) 원적외선 방사 발효를 이용한 체취 제거 개선효과를 갖는 감압농축발효액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감압농축발효액
KR20020069388A (ko) 질위생구
KR102641072B1 (ko) 립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제조된 립밤
CN109303718A (zh) 一种用于防治婴儿红臀的纯中药复方湿巾及其制备方法
KR19990030383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일회용 패드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