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6179A -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6179A
KR20120026179A KR1020100088234A KR20100088234A KR20120026179A KR 20120026179 A KR20120026179 A KR 20120026179A KR 1020100088234 A KR1020100088234 A KR 1020100088234A KR 20100088234 A KR20100088234 A KR 20100088234A KR 20120026179 A KR20120026179 A KR 2012002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reign matter
fastening
body portion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이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을호 filed Critical 이을호
Priority to KR102010008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6179A/ko
Priority to PCT/KR2011/006545 priority patent/WO2012033314A2/ko
Publication of KR2012002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점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자유단측의 단부에 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까지의 파지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 몸체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만곡되도록 하여, 종래기술 보다 가공용 필름의 단위 면적당 생산 개수를 늘릴 수 있으며, 또한, 가공용 필름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FOREIGN SUBSTANCE FILTER FOR DRAINING HOLE}
본 발명은 배수구를 통해 배수로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의 바닥에 구성된 배수구 소켓에 투입/설치되어 욕조의 물에 혼입된 이물질을 걸러 이물질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에 관한 것이다.
욕조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때 사용자의 머리 카락등의 이물질이 욕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욕조의 배수구 소켓의 저면은 물을 통과 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머리 카락등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살창로 구성된 걸름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욕조용 배수구는 욕조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고, 목욕을 마친 후 사용자가 욕조에 고인 물을 배수로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 배수구용 마개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욕조용 배수구의 걸름부는 사용자의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걸러 배수로가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으나, 걸름부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배수기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빈번히 배수구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여 이물질을 배수구로부터 분리시켜주어야 한다.
이때, 배수구의 걸름부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기에는 위생상 좋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6229호(이하 "인용문헌 1"이라 함.)은 배수구 소켓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플라스틱등으로 구성된 걸름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직접 파지하지 않고 걸름부상에 구비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이물질을 분리한 후 다시 걸름부를 배수구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인용문헌 1에 의하면, 걸름부의 손잡이를 배수구 덮개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걸름부의 손잡이의 높이가 낮고, 물 또는 비누등이 뭍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인용문헌 1에 의한 걸름부는 살창과 같은 그릴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머리카락등이 엉키게 되며 걸름부로부터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결국 사용자가 걸름부를 배수구 소켓으로부터 분리한 후 걸름부상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여 이물질을 걸름부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위생상 좋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의 인용문헌 1에 의한 걸름부는 재사용하여야 하므로 걸름부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의 인용문헌 1에 의한 걸름부를 재사용하지 않고 1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성형된 걸름부이기 때문에 비싼 단점이 있다.
상기 인용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48716호(이하 "인용문헌 2"라고 함)에는 필름을 가공하여 이물질을 걸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파지부를 본체부에 대해 꺾어서 파지부에 포함된 체결부에 의해 상호 체결하여 사용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인용문헌 2에 도시 및 기재된 체결부에 의한 파지부의 체결은 외부의 하중에 의해 체결이 쉽게 풀릴 수 있으므로 더욱 강한 체결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인용문헌 2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을 공급되는 필름에 가공할 때 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필름영역이 많아 결과적으로 이물질 걸름망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인용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6229호 인용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87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의 걸름부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형으로 구성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에 있어서, 체결부에 의한 파지부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형으로 구성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에 있어서, 가공용 필름의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은,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점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자유단측의 단부에 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까지의 파지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 몸체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만곡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갈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파지부 포함된 상기 파지부 몸체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파지부 포함된 상기 파지부 몸체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은,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점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자유단측의 단부에 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까지의 파지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과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서 상기 파지부 몸체와 상기 체결부가 만나는 지점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은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에 체결 고리가 형성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지부가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되 만곡부를 포함하며, 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성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을 제공함으로써, 종래기술 보다 가공용 필름의 단위 면적당 생산 개수를 늘릴 수 있으며, 또한, 가공용 필름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의 체결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체결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을 가공함에 있어 가공용 필름에 배치하는 배치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욕조용 배수구의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이물질 걸름망에 관한 것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배수구의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한 후 배수구의 소켓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절곡하여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필름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료로는 물의 침투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그 재료로 내부에 종이등의 수분이 침투하는 재질을 사용하되 외부를 코팅하여 수분이 내부 재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배수구에 의한 배수시 또는 수도꼭지등에서 낙하하는 물의 충격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이물질 걸름망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이물질 걸름망의 재질은 PET 또는 P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두께는 1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mm이하이고 0.01mm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약 0.018mm 두께의 PS를 사용하였다.
또한, 이물질 걸름망은 욕조용 배수구 소켓에 삽입되어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PET 또는 PS필름을 제작할 때 파란색, 녹색, 붉은색 등의 유색 염료를 사용하거나, 필름에 인쇄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 및 그 체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과의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인용문헌 2에 의한 종래기술의 이물질 걸름망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의하면, 이물질 걸름망(10)은 실질적으로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살창으로 구성된 걸름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1)과 본체부(11)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에서 연장되되 본체부(11)의 중심으로부터 직선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된 파지부(12)를 포함하고, 파지부(12)의 끝단에는 한쌍의 파지부(12)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13)을 포함한다.
이물질 걸름망(10)이 욕조용 배수구 소켓에 삽입되어 물의 유동 및 낙차에 의해 뒤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인용문헌 2에서는 파지부(12)의 길이가 적어도 본체부(11)의 반경보다 커야하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의 직경보다 크게 하였다.
상기 도 1의 이물질 걸름망(10)은 체결부(13)에 의해 체결되었을 때 단순히 체결부(13)에 의해 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의 사용전 평면도 및 사용시 체결된 체결 사시도로,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2)에서 연장되는 한쌍의 파지부(120, 130)를 포함하고, 한쌍의 파지부(120, 130)가 상호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한쌍의 파지부(120, 130)의 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체결부(123, 133)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본체부(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살창부(111)과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2)를 포함하고, 물을 통과시키기 위해 살창부(111, 112)에 의해 구획되는 관통홀(113)을 포함한다.
파지부(120, 130)는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2)로 부터 소정의 폭을 가지고 연장되는 파지부 몸체(121, 131)와 본체부(110)로부터 먼 방향의 단부에 갈고리 형상의 체결부(123, 133)을 포함한다.
한쌍의 체결부(123, 133)은 본체부(110)의 중심에 대해 상호 대칭적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한쌍의 체결부(123, 133)의 갈고리 모양의 개구방향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체결하기 위하여 파지부(120, 130)를 본체부(110)에 대해 절곡하였을 때 한쌍의 체결부(123, 133)의 갈고리 모양의 개구영역에 대한 내측면이 상호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쌍의 체결부(123, 133)가 체결될 때 개부영역에 대한 내측면이 상호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강제 체결하게 되는 경우 본체부(110)가 상기 체결부(123, 133)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여 휘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본체부(110)는 복원 탄성력을 갖게되며, 이러한 복원 탄성력에 의해 체결력은 더욱 높아진다.
체결력을 높이기 위한 한쌍의 체결부(123, 133)의 이격거리는 본체부(110)의 휘어지는 정도가 너무 심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파지부 몸체(121, 131)의 폭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100)을 사용시 파지부(120, 130)를 본체부(110)에 대해 절곡하여 한쌍의 체결부(123, 133)에 의해 체결하여 사용하므로, 파지부(120, 130)와 본체부(110)가 만나는 지점에 노치(notch : 125, 13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반원형의 노치를 도시하였으나, 다양한 형상의 노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20, 130))가 본체부(110)에 대해 절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노치(125, 135)가 형성된 지점에서의 파지부 몸체(121, 131)의 폭은 노치(125, 135)가 형성되지 않은 지점에서의 파지부 몸체(121, 131)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125, 135)가 형성된 지점부터 파지부(120, 130)는 본체부(110)에 대해 떨어져 있어야 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27, 137)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한쌍의 파지부(120, 130) 중 어느 일측에 대해 설명하나, 그 반대측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파지부(120)와 본체부(110)가 만나는 지점과 본체부(1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제1직선이라하고, 본체부(110)의 중심에서 상기 파지부 몸체(121)와 상기 체결부(123)이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제2직선이라 할때, 파지부 몸체(121)는 본체부(110)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본체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직선과 제2직선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된다.
제1직선과 제2직선이 이루는 각도를 약 90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도보다 크고 90도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일 실시예로 약 85도 정도로 하였다.
제1직선과 제2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 보다 크면, 체결 후 체결력이 한쌍의 체결부가 상호 밀착되지 아니하여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45도보다 작으면, 이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체결 후의 이물질 걸름망(100)이 물의 흐름에 의해 뒤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도 3에서의 대각 거리(L)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체결 후의 높이(H)를 높여야 하므로 결과적으로 도 2에서의 체결전 이물질 걸름망의 총 길이가 커지며, 이에 따라 이물질 걸름망(100)을 생산하기 위한 필름의 소모가 많이지고,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2에서 도시한 일 실시예와 같이 파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2)로부터 연장되되, 회전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0)는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2)로부터 일정 거리를 직선으로 연장된 후 해당 연장되는 직선방향에 대해 상기 제2직선을 향하여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120)는 본체부(110)와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본체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2직선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부를 갖는다.
도 1 및 도 3을 비교하여,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100)의 길이가 종래기술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의 길이보다 작으면서도 이물질 걸름망이 물의 흐름에 의해 뒤집히지 않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110)의 반경(R)과 체결후 높이(H) 및 파지부(120)의 본체부(110)에대한 절곡지점과 체결후 높이 지점간의 대각 거리(L)로 이루어지는 이등변 삼각형에 있어서, 이물질 걸름망(100)이 뒤집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대각 거리(L)이 본체부(110)의 폭, 즉 반경(R)의 두 배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후 높이(H)는 도 2에서 본체부(110)의 중심으로부터 체결부 끝단까지의 거리에 대응하므로, 체결 후 높이(H)를 계산함으로써 이물질 걸름망(100)의 총 길이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수학식 1]은 대각 거리(L)이 본체부(110)의 반경의 두배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나타내며, [수학식 2]는 R, H, L이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에 대한 함수이므로 [수학식 3]은 [수학식 1]과 [수학식 2]을 연산함으로써 체결 후 높이(H)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의 총 길이를 H의 두 배이므로
Figure pat00004
보다 크거나 같게 설계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은 물의 흐름에 뒤집히지 않도록 파지부(12)의 길이가 본체부(11)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Figure pat00005
이 되므로, 이물질 걸름망(10)의 총 길이는 6R보다 크거나 같게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과 종래기술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을 체결후의 동일한 높이(H)로 설계할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의 총 길이는 종래기술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의 총 길이보다
Figure pat00006
배 작게 제작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물질 걸름망을 제작하기 위한 필름의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최소화하여 제조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에 비해 제작시 이물질 걸름망의 패턴을 교차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필름의 사용하지 않는 영역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세한 설명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은 본체부(110)의 외주연과 체결부(123)사이가 이격된 공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100)을 제작하기 위한 패턴의 배열시 전 가공 패턴의 상기 공간부에 후 가공 패턴의 체결부(123)의 영역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의 반복 피치(P)를 종래기술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에 비해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물질 걸름망, 110 : 본체부,
111, 112 : 살창부, 113 : 관통홀,
120, 130 : 파지부, 121, 131 : 파지부 몸체,
123, 133 : 체결부, 125, 135 : 노치,
127, 137 : 슬릿.

Claims (5)

  1.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점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자유단측의 단부에 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까지의 파지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 몸체는 적어도 일부분에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수용 이물질 걸름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 포함된 상기 파지부 몸체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름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지부 포함된 상기 파지부 몸체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걸름망.
  5.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는 지점의 반대측 단부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자유단측의 단부에 체결부; 및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에서 상기 체결부까지의 파지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서 상기 파지부가 상기 본체부와 만나는 지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제1직선과 상기 본체부의 중심에서 상기 파지부 몸체와 상기 체결부가 만나는 지점를 연결하는 가상의 제2직선은 소정의 각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KR1020100088234A 2010-09-09 2010-09-09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KR20120026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34A KR20120026179A (ko) 2010-09-09 2010-09-09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PCT/KR2011/006545 WO2012033314A2 (ko) 2010-09-09 2011-09-05 배수구용 이물질 거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234A KR20120026179A (ko) 2010-09-09 2010-09-09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179A true KR20120026179A (ko) 2012-03-19

Family

ID=4581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234A KR20120026179A (ko) 2010-09-09 2010-09-09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26179A (ko)
WO (1) WO201203331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77B1 (ko) * 2016-01-15 2016-08-30 정순원 기능성 배수구 매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2289A (en) * 1975-04-10 1976-09-28 David Robbins Disposable sink strainer
JPH07300889A (ja) * 1994-03-07 1995-11-14 Daizo Kotaki 排水口用プラスチックフィルター
KR970018157U (ko) * 1995-10-04 1997-05-23 이광복 씽크대 찌꺼기의 일회용 수거구
JP2008025105A (ja) * 2006-07-18 2008-02-07 Hitachi Housetec Co Ltd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KR20100087510A (ko) * 2009-01-28 2010-08-05 이을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277B1 (ko) * 2016-01-15 2016-08-30 정순원 기능성 배수구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3314A3 (ko) 2012-05-24
WO2012033314A2 (ko)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2083B (zh) 柔性的水槽过滤器
KR10094871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US9226621B1 (en) Sink splash guard
JP6371951B2 (ja) ヘアキャッチャー
KR101392490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거름망
KR101859376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20120026179A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US20220341139A1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KR101793505B1 (ko) 배수구 여과장치
US20110089099A1 (en) Foreign substance filtering film for drain and me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183439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CA3116267C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US6061841A (en) Sanitary toilet seat cover
KR20100087510A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WO2009116736A2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JP5101911B2 (ja) ドレン蓋
AU2006100475A4 (en) Protective Insert for Paint Tin Rim
KR20190065526A (ko) 오물홈 볼록 돌기 배수구
JP4351564B2 (ja)
KR20170137378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20190109896A (ko) 배수관 막힘 방지용 배수구 필터
JP6215073B2 (ja) 排水口用フィルタ
KR200192603Y1 (ko) 생수 이물질 제거 필터
JP3082168U (ja) ゴミ受け用目皿
KR20150114805A (ko) 세면기의 머리카락 걸름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