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3439B1 -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439B1
KR101183439B1 KR1020100068093A KR20100068093A KR101183439B1 KR 101183439 B1 KR101183439 B1 KR 101183439B1 KR 1020100068093 A KR1020100068093 A KR 1020100068093A KR 20100068093 A KR20100068093 A KR 20100068093A KR 101183439 B1 KR101183439 B1 KR 101183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ain body
body portion
foreign mat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365A (ko
Inventor
이을호
Original Assignee
이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을호 filed Critical 이을호
Priority to KR1020100068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4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인 단부에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었을 때 상호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는 체결 개구부에 의해 일측이 열려있는 체결 고리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력이 강화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Trash Filter for Draining Hole}
본 발명은 배수구를 통해 배수로에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욕조의 바닥에 구성된 배수구 소켓에 투입/설치되어 욕조의 물에 혼입된 이물질을 걸러 이물질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름망에 관한 것이다.
욕조는 샤워 또는 목욕을 할 때 사용자의 머리 카락등의 이물질이 욕조의 배수구를 통해 배수로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욕조의 배수구 소켓의 저면은 물을 통과 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고, 머리 카락등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살창로 구성된 걸름부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욕조용 배수구는 욕조에 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고, 목욕을 마친 후 사용자가 욕조에 고인 물을 배수로를 통해 배출하기 위해 배수구용 마개를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욕조용 배수구의 걸름부는 사용자의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걸러 배수로가 막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는 있으나, 걸름부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로 인하여 배수기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빈번히 배수구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여 이물질을 배수구로부터 분리시켜주어야 한다.
이때, 배수구의 걸름부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기에는 위생상 좋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6229호(이하 "인용문헌 1"이라 함.) 및 인용문헌 1의 도 4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는 배수구 소켓에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플라스틱등으로 구성된 걸름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직접 파지하지 않고 걸름부상에 구비된 손잡이를 파지하여 이물질을 분리한 후 다시 걸름부를 배수구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인용문헌 1 및 종래기술에 의하면, 걸름부의 손잡이를 배수구 덮개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여야 하므로 걸름부의 손잡이의 높이가 낮고, 물 또는 비누등이 뭍어 있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인용문헌 1 및 종래기술에 의한 걸름부는 살창과 같은 그릴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머리카락등이 엉키게 되며 걸름부로부터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용이하지 않으므로 결국 사용자가 걸름부를 배수구 소켓으로부터 분리한 후 걸름부상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여 이물질을 걸름부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므로 위생상 좋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의 인용문헌 1 및 종래기술에 의한 걸름부는 재사용하여야 하므로 걸름부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한 후 세척하여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의 인용문헌 1 및 종래기술에 의한 걸름부를 재사용하지 않고 1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성형된 걸름부이기 때문에 비싼 단점이 있다.
상기 인용문헌 1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48716호(이하 "인용문헌 2"라고 함)에는 필름을 가공하여 이물질을 걸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된 파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파지부를 본체부에 대해 꺾어서 파지부에 포함된 체결부에 의해 상호 체결하여 사용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인용문헌 2에 도시 및 기재된 체결부에 의한 파지부의 체결은 외부의 하중에 의해 체결이 쉽게 풀릴 수 있으므로 더욱 강한 체결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인용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6229호 인용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871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구의 걸름부에 걸려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파지하지 않고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름형으로 구성된 배구수용 이물질 걸름망에 있어서, 체결부에 의한 파지부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은,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인 단부에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었을 때 상호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는 체결 개구부에 의해 일측이 열려있는 체결 고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결 개구부는 상기 체결 고리에 대해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 개구부는 상기 체결 고리에 대해 상기 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체결부에 체결 고리가 형성된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력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파지부를 체결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파지부를 체결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파지부를 다른 방법으로 체결한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파지부를 체결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파지부를 체결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의 파지부를 다른 방법으로 체결한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결합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욕조용 배수구의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하는 이물질 걸름망에 관한 것으로, 물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배수구의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한 후 배수구의 소켓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내측 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상기 본체부에 대해 절곡하여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필름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료로는 물의 침투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강도가 약해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PS(polystyrene), PE(polyethylene), 또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의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그 재료로 내부에 종이등의 수분이 침투하는 재질을 사용하되 외부를 코팅하여 수분이 내부 재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름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배수구에 의한 배수시 또는 수도꼭지등에서 낙하하는 물의 충격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두께는 이물질 걸름망에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각각 달라질 수 있다.
이물질 걸름망의 재질은 PET 또는 PS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두께는 1m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5mm이하이고 0.01mm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물질 걸름망은 욕조용 배수구 소켓에 삽입되어 사용할 때 사용자에게 가시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PET 또는 PS필름을 제작할 때 파란색, 녹색 등의 유색 염료를 사용하거나, 필름에 인쇄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물질 걸름망 및 그 체결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에 대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은 이물질을 거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본체부(110)와 이물질 걸름망(100)을 배수구 소켓에 삽입 또는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지부(120, 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상술한 재료로된 필름형태로 구성되며, 본체부(110)에 천공을 형성하여 액체를 통과시키는 관통홀(112)을 포함한다.
본체부의 뼈대를 유지하며, 관통홀(112)에 의해 정의되는 살창부(111,113)는 본 발명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100)을 사용할 때, 액체에 포함되어 있는 머리카락등의 이물질을 거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살창부(111, 113)는 관통홀(112)에 의해 정의된다고 하였으나, 관통홀(112)이 살창부(111, 113)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수도 있다.
한 쌍의 파지부(120, 130)는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3)의 서로 마주보는 영역에서 연장되어 본체부(110)의 중심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도출되어 구성된다.
또한, 본체부(110)의 관통홀(112)은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6개 이상으로 구성되며, 그 형상 또는 개수는 그 용도 또는 심미적인 목적등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본체부(110)의 형상 즉, 본체부(110)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3)는 배수구 소켓의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하고, 본체부(110)의 폭(Lb1)은 배수구 소켓에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하되, 이물질이 외주연에 위치하는 살창부(113)과 배수구 소켓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배수구 소켓의 내경, 즉 내부의 폭보다 조금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120, 130)는 본체부(110)에 대해 절곡되는 절곡부(122, 132)와 절곡부(122, 132)를 통해 절곡하였을 때 한 쌍의 파지부(120, 13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123, 133); 및 절곡부(122, 132)와 체결부(123, 133)를 각각 연결하는 길이영역(121, 13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곡부(122, 132)는 본체부(110)에 대해 절곡하기 용이하도록 노치, 홈 또는 홀등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0, 130)의 길이(Lw1_1, Lw1_2)는 체결부에 의해 상호 체결될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폭(Lb1)의 1/2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부(120, 130)의 길이 중 절곡부(122, 132)에서 체결부(123, 133)까지의 길이가 본체부(110)의 폭(Lb2)의 1/2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을 배수구 소켓에 삽입하여 사용할 때 배수시 또는 수도꼭지등에서 낙하하는 물의 충격 또는 물의 흐름에 의해 이물질 걸름망이 배수구 소켓에서 뒤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파지부(120, 130)의 길이(Lw1_1, Lw1_2)는 배수구 소켓의 내경보다 크거나, 본체부(210)의 폭(Lb2)보다 큰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은 필름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배수구 소켓의 덮개에 의해 파지부(120. 130)가 눌려서 휘어질 수 있으므로 파지부(120, 130)의 길이(Lw1_1, Lw1_2)는 배수구 소켓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으나, 배수구 소켓의 깊이와 배수구 소켓의 내경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큰 경우는 배수구 소켓의 덮개를 덮을 때 파지부(120, 130)가 꺾일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파지부(120, 130)의 길이(Lw1_1, Lw1_2)는 배수구 소켓의 깊이와 배수구 소켓의 내경의 길이를 합한 길이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배수구 소켓의 규격은 국가마다 상이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배수구 소켓의 깊이가 배수구 소켓의 내경의 길이와 유사하므로, 파지부의 길이(Lw1_1, Lw1_2)를 본체부(110)의 폭(Lb2)의 2배보다 작거나 같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파지부(120, 130)의 길이(Lw1_1, Lw1_2)는 본체부(110)의 폭(Lb2)의 1/2배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2배보다 작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파지부(120, 130)의 길이(Lw1_1, Lw1_2)를 본체부(110)의 폭(Lb2) 보다 크거나 같고, 또한 2배보다 작거나 같도록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3, 133)는 상호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 고리(127, 137)를 형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체결부(123, 133)는 체결 개구부(126, 136) 및 체결 고리(127, 137)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결 고리(127, 137)는 파지부(120, 13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열려있는 체결 개구부(126, 136)를 통하여 상호 체결되며, 이에 따라 및 체결부(123, 133)는 파지부(120, 13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또는 소정각도의 방향으로 체결이 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에 있어서, 체결 개구부(126, 136)는 파지부(120, 130)의 길이 방향 중 본체부(110)의 중심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사용자가 한 쌍의 파지부(120, 130)를 본체부(100)에 대해 절곡한 후 상호 교차시킨 후 체결 개구부(126, 136)를 통해 체결 고리(127, 137)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사용중 물의 흐름이나 낙차등에 의해 체결부가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체결 고리(127, 137)에 의해 구획되는 내경의 직경, 또는 파지부(120, 1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체결 고리(127, 137)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의 폭은 파지부(120, 1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영역(121, 131)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 개구부(126, 136)의 개구 폭은 체결 고리(127, 137)에 의해 구획되는 내경의 직경, 또는 파지부(120, 1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체결 고리(127, 137)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부(120, 1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영역(121, 131)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0)과 파지부(120, 130)는 그 기능적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필름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부(110)와 파지부(120, 130)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이를 체결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한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의 본체부(110)와는 동일하게 구성된 본체부(210)을 포함하며, 제 1 실시예에 대해 변형된 파지부(220, 230)를 포함한다.
체결부(223, 233)는 상호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 고리(227, 237)를 형성한다.
체결부(223, 233)는 체결 개구부(226, 236) 및 체결 고리(227, 237)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결 고리(227, 237)는 파지부(220, 23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열려있는 체결 개구부(226, 236)를 통하여 상호 체결되며, 이에 따라 및 체결부(223, 233)는 파지부(220, 230)의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방향 또는 소정각도의 방향으로 체결이 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에 있어서, 체결 개구부(226, 236)는 파지부(220, 230)의 길이 방향 중 본체부(110)의 중심에 대해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 고리(227, 237)에 의해 구획되는 내경의 직경, 또는 파지부(220, 2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체결 고리(227, 237)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의 폭은 파지부(220, 2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영역(221, 231)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결 개구부(226, 236)의 개구 폭은 체결 고리(227, 237)에 의해 구획되는 내경의 직경, 또는 파지부(220, 2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한 체결 고리(227, 237)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공간의 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파지부(220, 23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길이영역(221, 231)의 폭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한 쌍의 파지부(220, 230)를 본체부(200)에 대해 절곡한 후 어느 한쪽의 파지부(220, 230)를 약간 비틀어서 체결 개구부(226, 236)에 삽입하여 채결할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948716호(인용문헌 2)에서와 같이 체결부에 형성된 턱을 이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은 도 5에서 체결하는 방법과 유사하게 한쌍의 체결 고리(227, 237)을 서로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체결을 함에 따라, 사용자는 이물질 걸름망(200)의 체결부(223, 233)를 상호 체결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사용중 물의 흐름이나 낙차등에 의해 체결부가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10)과 파지부(220, 230)는 그 기능적 특징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각 구성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필름을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본체부(210)와 파지부(220, 230)가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는 파지부가 본체부에 대해 본체부의 외주연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시 이물질 걸름망 제조용 필름 원판에 있어서, 사용되지 않는 영역이 많이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의한 이물질 걸름망은 파지부가 본체부의 외주연에 대해 내부에 포함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제조공정에 있어서 이물질 걸름망 제조 필름원판의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줄일 수 있어 또 다른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300) 및 그 체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부(310)는 액체를 통과시키는 관통홀(312)과 본체부의 뼈대를 유지하는 살창부(311)로 구성되고, 한 쌍의 파지부(320, 330)는 본체부(310)의 중심부분의 소정의 살창부(311)에서 연장되어 외주연(313)과 이격되도록, 본체부(310)의 중심으로부터 서로 반대방향의 본체부(310)의 외주연(313)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파지부(320, 330)는 본체부(310)의 중심으로부터 본체부(310)의 반경에 대한 1/2의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살창부(311)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320, 330)는 본체부(310)에 대해 절곡되는 절곡부(322, 332)와 절곡부(322, 332)를 통해 절곡하였을 때 한 쌍의 파지부(320, 330)를 서로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323, 333); 및 절곡부(322, 332)와 체결부(323, 333)를 각각 연결하는 길이영역(321, 33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곡부(322, 332)는 본체부(310)에 대해 절곡하기 용이하도록 노치, 홈 또는 홀등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320, 330)의 길이는 본체부(310)의 폭, 즉 본체부(310)의 직경에 대한 1/2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310)와 연결된 파지부(320, 330)의 반대측 끝단은 본체부(310)의 외주연(313)에 대응하는 살창부(311)과 이격되며, 또한, 파지부(320, 330)는 절곡부(322, 332)의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부(310)와의 연결부를 제외하고 나머지 파지영역(321, 331)은 본체부(310)의 살창부(311)와는 이격되어 있다.
또한, 체결부(323, 333)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의 체결부(123, 133)와 동일한 모양을 갖는다.
즉, 체결부(323, 333)는 상호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 고리(327, 337)를 형성한다.
체결하는 방법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이 체결방법과 동일하며, 체결 후의 모습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4 및 도 9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400) 및 그 체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400)은 상술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300)의 본체부(310)와는 동일하게 구성된 본체부(410)을 포함하며, 제 3 실시예에 대해 변형된 파지부(420, 430)를 포함한다.
체결부(423, 433)는 상호 체결된 후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 고리(427, 437)를 형성하며, 그 형상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의 체결부(223, 233)과 동일하다.
또한, 체결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도 6 및 도 7일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200)의 체결방법과 동일하며,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400)의 체결 후의 모습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걸름망(100, 200, 300, 400)은 체결부에 체결고리를 형성하고 있어서, 체결 후 물의 낙차등에 의해 체결이 풀리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300, 400 : 걸름망,
110, 210, 310, 410 : 본체부,
120, 130, 220, 230, 320, 330, 420, 430 : 파지부,
123, 133, 223, 233, 323, 333, 423, 432 : 체결부,
126, 136, 226, 236, 326, 336, 426, 436 : 체결 개구부,
127, 137, 227, 237, 327, 337, 427, 437 : 체결 고리.

Claims (5)

  1.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인 단부에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었을 때 상호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는 체결 개구부에 의해 일측이 열려있는 체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개구부는 상기 체결 고리에 대해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수용 이물질 걸름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개구부는 상기 체결 고리에 대해 상기 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수용 이물질 걸름망.
  4. 살창부 및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외주연에 위치하는 상기 살창부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 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먼 방향에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를 상대로 접었을 때 상호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는 체결 개구부에 의해 일측이 열려있는 체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구수용 이물질 걸름망.
  5. 살창부;
    상기 살창부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관통홀; 및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가 상기 살창부에서 연장되고, 타 단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이며, 상기 살창부를 상대로 접거나 펼 수 있는 한쌍의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파지부는 상기 살창부에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인 단부에 체결부를 각각 포함하여, 상기 살창부를 상대로 접었을 때 상호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체결부는 체결 개구부에 의해 일측이 열려있는 체결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KR1020100068093A 2010-07-14 2010-07-14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KR101183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93A KR101183439B1 (ko) 2010-07-14 2010-07-14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93A KR101183439B1 (ko) 2010-07-14 2010-07-14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65A KR20120007365A (ko) 2012-01-20
KR101183439B1 true KR101183439B1 (ko) 2012-09-14

Family

ID=45612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093A KR101183439B1 (ko) 2010-07-14 2010-07-14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88836B (zh) * 2020-09-10 2023-08-15 台嘉成都玻纤有限公司 一种过滤水中杂质的旁滤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84Y1 (ko) 2003-03-10 2003-06-25 이윤일 줄넘기 겸 지압 마사지 운동기구
KR100948716B1 (ko) 2008-03-17 2010-03-22 이을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584Y1 (ko) 2003-03-10 2003-06-25 이윤일 줄넘기 겸 지압 마사지 운동기구
KR100948716B1 (ko) 2008-03-17 2010-03-22 이을호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65A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871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KR101392490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거름망
KR101859376B1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101183439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망
US20220341139A1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US20110089099A1 (en) Foreign substance filtering film for drain and mehod for manufacturing same
KR20170075463A (ko) 배수구 여과장치
CA3116267C (en) Hair entrapment filter system
WO2013002515A1 (ko) 배수구용 보조 거름망 조립체
KR20100087510A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WO2009116736A2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KR102264471B1 (ko) 욕실 바닥 배수구용 거름망
KR101496285B1 (ko) 배수구의 마개 장치
JP5101911B2 (ja) ドレン蓋
WO2012033314A2 (ko) 배수구용 이물질 거름망
KR20190077142A (ko) 배수구용 거름망
KR20170137378A (ko) 배수구용 머리카락 제거기
KR20090006487U (ko) 트랜치형 배수구
KR101742296B1 (ko) 머리카락 거름용 배수구 필터
KR102318834B1 (ko) 배수구 커버
KR20190109896A (ko) 배수관 막힘 방지용 배수구 필터
KR101307581B1 (ko)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KR20240026270A (ko) 세면대 배수관 청소 도구
KR200462721Y1 (ko) 볼록 수채통
JP4650618B2 (ja) 排水トラ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