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415Y1 - 이물질 제거구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415Y1
KR200487415Y1 KR2020160003599U KR20160003599U KR200487415Y1 KR 200487415 Y1 KR200487415 Y1 KR 200487415Y1 KR 2020160003599 U KR2020160003599 U KR 2020160003599U KR 20160003599 U KR20160003599 U KR 20160003599U KR 200487415 Y1 KR200487415 Y1 KR 2004874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foreign matter
gripping member
removing tool
elas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5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027U (ko
Inventor
김미영
이승해
Original Assignee
김미영
이승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영, 이승해 filed Critical 김미영
Priority to KR20201600035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415Y1/ko
Publication of KR20180000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4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4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B08B1/00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30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 E03C1/302Devices to facilitate removing of obstructions in waste-pipes or sinks using devices moved through the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이물질 제거구가 개시된다. 이물질 제거구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파지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파지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메쉬(mesh) 타입의 탄성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파지부재는 비탄성 재질이고 탄성체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제거구{FOREIGN SUBSTANCE REMOVING TOOL}
본 고안은 하수구 덮개 또는 욕조 등에 잔존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 하수구 입구에는 하수의 배출 시 하수구의 막힘 원인이 되는 머리카락 또는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거름망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머리카락과 이물질들은 거름망의 상측에 걸러져 통과하지 못하게 되나 일부는 배수되는 물살에 실려 거름망을 통과하면서 거름망의 살 사이에 낀 상태로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거름망의 살 사이에 끼여져 있는 이물질의 경우 눈에 쉽게 띄기 때문에 바로 제거가 가능하나, 머리카락의 경우 거름망의 하측에 걸쳐져 있는 경우가 많아 눈에 쉽게 띄지 않아 바로 제거치 않게 됨으로써 점차 적체된다.
따라서 거름망에 끼여져 적체되어 있는 머리카락들로 인하여 배수가 원활치 않게 될 경우, 거름망을 하수구로부터 분리하여 거름망의 살 사이에 끼여져 있는 머리카락들을 손으로 일일이 잡아 뜯어내어 제거한다.
그러나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손으로 직접 잡아 뜯어 제거하는 것은, 머리카락을 제거하는 과정이 비위생적이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6-0010048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하수구 덮개 또는 욕조 등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파지부재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파지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메쉬(mesh) 타입의 탄성체를 포함한다.
파지부재는 비탄성 재질이고 탄성체는 탄성 재질일 수 있다.
탄성체는, 파지부재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며, 탄성 변형되는 폴리 우레탄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재에는 복수개의 파지홈이 형성되고. 탄성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파지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의 표면에는 접착부재가 도포될 수 있다.
파지부재의 단부에는 이물질이 걸리는 걸림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하수구 덮개 등에 위치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을 별도의 제거 수단 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거하지 않고, 이물질 제거구의 탄성체 표면에 부착시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위생적이고 간편한 제거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물질 제거구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이물질 제거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의 둘레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물질 제거구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10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재(10)와, 파지부재(1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파지부재(10)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21, 도 6 참조)이 표면에 접촉되는 메쉬(mesh) 타입의 탄성체(20)를 포함한다.
파지부재(10)는 사용자가 검지와 엄지 등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손가락을 함께 이용하여 잡은 상태로 사용하는 것으로, 용이한 사용을 위해 대략 성인 사용자의 손가락 정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파지부재(10)는 사용자의 손가락 길이 정도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한 길이로 가변 적용될 수 있다.
파지부재(1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파지부재(10)는 길이 방향의 일부분 또는 전체의 외표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지부재(10)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는 부분의 외표면에 걸림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1)은 사용자가 잡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파지부재(10)의 일측 단부 위치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인입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재(10)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견고한 내구성을 위해 비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파지부재(1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재질 등과 같이 경량이고 목재 재질 이상의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파지부재(10)에는 하수구 덮개 또는 욕조의 배수구 등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탄성체(20)가 고정된다.
탄성체(20)는 파지부재(10)의 단부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파지부재(10)의 단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거나 파지부재(10)의 일부분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탄성체(20)는,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메쉬(mesh)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체(20)는 폴리우레탄 폼 재질의 메쉬 타입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체(20)는 파지부재(10)의 두께 보다 큰 두께로 형성된 상태에서 파지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가 파지부재(10)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은 상태에서 하수구 덮개 등에 잔존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에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체(20)는 본 실시예에서 직육면체 형상을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은 적절한 크기와 형상을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이물질 제거구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의 둘레에 이물질이 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하수구 덮개(22) 또는 욕조의 배수구 등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과다하게 잔존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파지부재(10)를 잡은 상태로 탄성체(20)가 이물질에 접촉되도록 하는 바, 이물질이 탄성체(20)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이 탄성체(20)에 부착되는 것은 이물질과 탄성체(20) 사이의 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탄성체(20)는 이물질과 접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된 상태로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여, 이물질이 탄성체(20)에 부착되는 부착 작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100)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하수구 덮개 등에 위치한 경우, 별도의 제거 수단 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제거하지 않고, 본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100)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위생적인 제거가 가능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200)는, 탄성체(20)의 표면에는 접착부재(110)가 도포된다.
접착부재(110)는 탄성체(20)의 표면에 분사 방식 등에 의해 도포되는 바, 탄성체(2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작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이물질 제거구(100)는 보다 효과적인 이물질 제거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구(300)는, 파지부재(10)의 단부에 걸림 돌기(210)가 돌출된다.
걸림 돌기(210)는 파지부재(10)의 단부에 돌출되는 바, 탄성체(20)의 표면에 부착되지 못하는 큰 크기의 이물질을 걸어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탄성체(20)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걸림 돌기(210)를 이용하여 보다 큰 크기의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파지부재 11...걸림홈
20...탄성체 21...이물질
22...하수구 덮개 110..접착부재
210..걸림 돌기

Claims (5)

  1. 사용자가 파지하는 파지부재(10);
    상기 파지부재(10)의 두께보다 큰 두께로 형성되어 파지부재(10)의 외부로 돌출되게 파지부재(10)의 일측에 고정되며, 제거하고자 하는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는 메쉬(mesh) 타입의 탄성체(20)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재(10)는 비탄성 재질이고, 상기 탄성체(20)는 탄성 재질이며,
    사용자가 잡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파지부재(10)의 일측 단부 위치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로 인입된 상태로 걸림홈(1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체(20)의 표면에는 접착부재(110)가 분사 방식에 의해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60003599U 2016-06-24 2016-06-24 이물질 제거구 KR2004874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599U KR200487415Y1 (ko) 2016-06-24 2016-06-24 이물질 제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599U KR200487415Y1 (ko) 2016-06-24 2016-06-24 이물질 제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27U KR20180000027U (ko) 2018-01-04
KR200487415Y1 true KR200487415Y1 (ko) 2018-09-13

Family

ID=61275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599U KR200487415Y1 (ko) 2016-06-24 2016-06-24 이물질 제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41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152B1 (ko) * 2004-10-21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테스트가 용이한 반도체 칩 패키지 검사용 소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08A (ja) * 1999-11-11 2003-09-09 ケー アンド アール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洗浄器具
JP2006043407A (ja) * 2004-06-29 2006-02-16 Sankoo:Kk 清浄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395A (ja) * 1998-03-31 1999-10-12 Lion Corp 洗浄具
KR100643190B1 (ko) 2004-07-27 2006-11-15 김성곤 세면대 오물 제거기
KR20150089613A (ko) * 2014-01-28 2015-08-05 김동중 먼지 리무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08A (ja) * 1999-11-11 2003-09-09 ケー アンド アール インダス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洗浄器具
JP2006043407A (ja) * 2004-06-29 2006-02-16 Sankoo:Kk 清浄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4152B1 (ko) * 2004-10-21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테스트가 용이한 반도체 칩 패키지 검사용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027U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645B2 (en) Surgical scrub brush and cleaner apparatus
US7951292B1 (en) Sink filter device
KR200487415Y1 (ko) 이물질 제거구
US201800280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ir and lint remover
US11851863B2 (en) Hair capture device
US20150068371A1 (en) Cleaning implement
US9370293B2 (en) Handheld cleaning device with elongated handle for use with disposable cleaning towel
KR10094871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막 및 그 제조장치
KR200482650Y1 (ko) 듀얼 브러쉬
KR200353535Y1 (ko) 장갑형 수세미
US20160262591A1 (en) Cleaning Mitt
KR200482876Y1 (ko) 실리콘으로 형성된 세정용 솔
JP6284246B2 (ja) スポンジホルダー
US20200078835A1 (en) Integrated Scraper-sponge
KR20150004639U (ko) 클리너가 내장된 휴대형 거울
US10548458B1 (en) Tethered cleaning tool for a kitchen sink
JP3185730U (ja) 洗米水切り器具
US9730567B2 (en) Cleaning glove
US11857124B1 (en) Hair discard device
JP2014158564A (ja) 清掃具
US11317693B2 (en) Nail polish removing device
KR200361031Y1 (ko) 양면 수세미
JP2006320699A (ja) 汚れ防止使い捨て指サック
KR200352605Y1 (ko) 좌ㆍ우 비대칭의 세척용 고무장갑
KR200283180Y1 (ko) 수세미가 부착되어진 고무장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138;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13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501

Effective date: 201808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