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581B1 -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581B1
KR101307581B1 KR1020120099067A KR20120099067A KR101307581B1 KR 101307581 B1 KR101307581 B1 KR 101307581B1 KR 1020120099067 A KR1020120099067 A KR 1020120099067A KR 20120099067 A KR20120099067 A KR 20120099067A KR 101307581 B1 KR101307581 B1 KR 101307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drain
assembly
drainag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진
조은혜
이지민
이동규
김기봉
Original Assignee
이경진
조은혜
김기봉
이동규
이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진, 조은혜, 김기봉, 이동규, 이지민 filed Critical 이경진
Priority to KR102012009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종래의 거름망과는 달리 거름부재의 바닥면을 원뿔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물의 적층을 바닥면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거름부재의 상면에 폭을 갖는 고리모양의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거름망이 배수구 안으로 빠져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는 거름부재 및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부재는 상면으로 향해있는 원뿔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 및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 및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름부재의 상면 둘레에 대응하는 내경, 상기 내경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경, 상기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재의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수용하는 걸림턱 및 상기 내경과 상기 내경을 따라 연장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는 오물안에 포함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배수의 용이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폭을 갖는 배수구에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높힐 수 있으며, 세균이 번식해 있는 거름망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이식 손잡이를 장착함으로써 거름망의 배수구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FILTERING MESH ASSEMBLY FOR DRAINHOLE}
본 발명은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름부재의 바닥면을 원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물을 바닥면의 중앙부로부터 미끄러지게 하여 오물이 외측둘레에 적층되게 하여 바닥면의 중심부는 항상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하고, 거름부재의 상면에 고정부재를 형성함으로써 폭이 좁거나 넓은 다양한 배수구의 폭에 본 발명에 의한 거름부재를 적용할 수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하며, 거름부재 및 고정부재에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를 설치함으로써 오물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구용 거름망은 플라스틱이나 스테인레스와 같은 반영구적인 재질로 형성되며, 거름망의 측면과 바닥면은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거름망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의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는 배수구의 형상 안으로 거름망이 삽입되기 위함이지만 거름망의 형상이 일정하게 미리 정해져 있기 때문에, 배수구의 폭이 거름망보다 넓을 경우에는 거름망이 배수구 안으로 빠져들게 되므로 다양한 크기의 배수구에 거름망을 적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또한, 거름망에는 오물이 투입되어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데, 거름망의 오물에 대한 신체접촉을 최소화하고자 등록실용신안 20-0301758에서는 거름망의 재질을 불투수층이 형성된 종이 또는 비닐로 형성한 거름망을 개시하면서, 음식물찌꺼기와 거름망을 함께 버릴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라고 하지만, 이는 거름망 구조가 원통형에 불과하여 거름망을 버리고자할 때에도 거름망 본체를 손으로 잡아야 버릴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므로,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부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공개특허 10-2007-0121939에서도 거름망을 개시하고 있으나, 종래의 거름망 형상 하단에 배출캡만 부가해 놓은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과 같이 배수를 용이하게 한다던지, 오물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개시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거름망과는 달리 거름부재의 바닥면을 원뿔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오물의 적층을 바닥면 가장자리로 유도하여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면서도, 다양한 폭을 갖는 배수구에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이 적용 가능하도록, 거름부재의 상면에 폭을 갖는 고리모양의 고정부재를 형성하여 거름망이 배수구 안으로 빠져들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균이 번식해 있는 거름망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이식 손잡이가 거름부재 및 고정부재에 다수 형성되어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종이재질로 형성함으로써 1회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는 거름부재 및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름부재는 상면으로 향해있는 원뿔형의 바닥부, 상기 바닥부 및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 및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거름부재의 상면 둘레에 대응하는 내경, 상기 내경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경, 상기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재의 상기 접이식 손잡이를 수용하는 걸림턱 및 상기 내경과 상기 내경을 따라 연장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상기 거름부재의 바닥부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상기 거름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일회용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는 오물안에 포함된 수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배수의 용이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폭을 갖는 배수구에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성을 높힐 수 있으며, 세균이 번식해 있는 거름망의 신체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접이식 손잡이를 장착함으로써 거름망의 배수구로부터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기능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종래의 거름망처럼 오물이 거름망 바닥에 차곡차곡 쌓이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상면으로 향하는 원뿔형상의 바닥부를 채용함으로써 오물을 바닥면의 가장자리로 유도하게 되므로, 바닥면의 중앙부가 오물로 인한 막힘이 없이 오물이 함유한 수분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또한, 위생적인 면에서 검토해보면, 본 발명에서 채택한 거름부재 및 고정부재는 각각 접이식 손잡이를 장착함으로써 거름망을 배수구에서 분리할 경우에 신체접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이며, 손잡이부를 들어올리기만 하면 되는 구조이므로 간편하기까지하다.
또한, 활용도면에서 검토해보면, 종래의 거름망은 일정둘레를 갖는 거름망으로 규격이 정해져 있는 관계로 폭이 넓은 배수구에 거름망을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이 채택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에 의한 고정부재의 폭을 좁게 또는 넓게 형성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 배수구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극대화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편리성면에서 검토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일회용 재질인 종이재질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함으로써 거름부재 및 고정부재의 세척을 불필요하게 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는 크게 거름부재(10) 및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진다.
거름부재(10)의 바닥부(12)는 바람직하게는 상면으로 향해있는 원뿔형의 형상을 한다. 상면으로 돌출되는 원뿔형의 형상을 통하여 거름부재 내부에 투척되는 오물을 바닥부(12)의 가장자리로 유도하고, 바닥부(12)의 중앙부로부터 가장자리 방향으로 오물이 미끄러져 내려가게 함으로써, 바닥부(12) 중앙부를 통한 수분배출이 막힘없이 일어나도록 한다. 수분 배출을 위한 다수의 배수공(14)은 상기 바닥부(12) 및 상기 거름부재(10)의 측면에 형성되며, 접이식 손잡이(16)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거름부재(10)의 상면에 다수 형성한다.
고정부재(20)는 일정 폭을 수용하는 고리형상을 이루며, 내경(I)은 상기 거름부재(10)의 상면 둘레에 대응하고, 외경(O)은 상기 내경(I)으로부터 바깥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걸림턱(24)은 상기 접이식 손잡이(16)를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내경(I)에 형성되며, 상기 접이식 손잡이(16)의 갯수에 상응하도록 상기 걸림턱(24)의 갯수도 정해진다. 고정부재(20)의 접이식 손잡이(26)는 상기 내경(I)과 상기 외경(O)을 따라 연장되는 면의 상면에 다수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인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상기 거름부재(10)의 바닥부는 도 3에서와 같이 평면 형상일 수도 있으나, 접이식 손잡이(16, 26)를 채용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에 의하여 신체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배수구로부터 거름망을 분리할 수 있으며, 폭(w)이 다양한 고정부재(20)를 상기 거름부재(10) 상부에 채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즉,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도 5a와 같이 배수구의 폭(d1)이 좁은 곳에서는 고정부재(20)의 폭(w)이 좁은 것(w1)을 거름부재(10)에 결합하여 사용하고, 도 5b와 같이 배수구의 폭(d2)이 넓은 곳에서는 고정부재(20)의 폭(w)이 넓은 것(w2)을 거름부재(10)에 결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구성에 의하여, 싱크대의 배수구 뿐만 아니라, 하수구, 수영장, 샤워장, 목욕탕, 화장실, 정원연못 등의 배수구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의 상기 거름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는 일회용 재질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일회용 재질로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기존에 사용하던 거름망(30) 위에 안착시켜 사용한 후에, 내부에 적재된 오물과 본 발명에 의한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를 함께 폐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거름망 조립체만을 배수구에 설치하여 오물의 거름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거름부재 12 : 바닥부
14 : 배수공 16, 26 : 접이식 손잡이
20 : 고정부재 I : 내경
O : 외경 24 : 걸림턱

Claims (3)

  1. 거름부재(10) 및 고정부재(20)로 이루어진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10)는
    상면으로 향해있는 원뿔형의 바닥부(12);
    상기 바닥부(12) 및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배수공(14); 및
    상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16)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거름부재(10)의 상면 둘레에 대응하는 내경(I);
    상기 내경(I)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외경(O);
    상기 내경(I)에 형성되어 상기 거름부재(10)의 상기 접이식 손잡이(16)를 수용하는 걸림턱(24); 및
    상기 내경(I)과 상기 외경(O)을 따라 연장되는 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이식 손잡이(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10)의 바닥부는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는
    종이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KR1020120099067A 2012-09-07 2012-09-07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KR101307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67A KR101307581B1 (ko) 2012-09-07 2012-09-07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67A KR101307581B1 (ko) 2012-09-07 2012-09-07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581B1 true KR101307581B1 (ko) 2013-09-12

Family

ID=4945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67A KR101307581B1 (ko) 2012-09-07 2012-09-07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6778A (zh) * 2020-08-20 2020-12-01 广州大学 一种用于清理血栓的旋切机器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79Y1 (ko) * 1991-08-12 1993-07-26 한양화학 주식회사 배수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79Y1 (ko) * 1991-08-12 1993-07-26 한양화학 주식회사 배수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06778A (zh) * 2020-08-20 2020-12-01 广州大学 一种用于清理血栓的旋切机器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1292B1 (en) Sink filter device
US9752306B2 (en) Waste strainer
USD574673S1 (en) Collapsible colander with a stainless steel mesh strainer base
AU2010273582A1 (en) Animal waste disposal system
US6173455B1 (en) Shower drain hair trap
JP2008025105A (ja) ヘアキャッチャー及びこのヘアキャッチャーを備えた浴室ユニット
US2015007489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KR101420001B1 (ko)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변기
US20160108609A1 (en) Toilet Overspray Shield and Method for Manufacture
KR101307581B1 (ko) 배수구용 거름망 조립체
US20110094021A1 (en) Single-use sink strainer
KR100705299B1 (ko) 배수구용 배수전
JP2005264576A (ja) 排水口フィルター
KR100654576B1 (ko) 배수구용 이물질 걸름장치
US20040107489A1 (en) Sink drainer system
US20110089099A1 (en) Foreign substance filtering film for drain and me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03119863A (ja) 排水口の髪の毛除去具
KR20190077142A (ko) 배수구용 거름망
KR20080057911A (ko) 배수구의 머리카락 수거판
TWM437348U (en) A multi-function and movable draining lid for preventing uncleanness and odor
KR20080024632A (ko) 배수구 캡시트
USD598246S1 (en) Collapsible salad spinner strainer basket
JP3082168U (ja) ゴミ受け用目皿
KR200311257Y1 (ko) 손잡이가 설치된 배수구 걸림 망
KR200257152Y1 (ko) 배수구용 접착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