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500A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500A
KR20120025500A KR1020117028954A KR20117028954A KR20120025500A KR 20120025500 A KR20120025500 A KR 20120025500A KR 1020117028954 A KR1020117028954 A KR 1020117028954A KR 20117028954 A KR20117028954 A KR 20117028954A KR 20120025500 A KR20120025500 A KR 20120025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radio
wireless base
feed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하루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25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5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58Feedback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 단말(UE);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무선 신호(RS1)를 상기 무선 단말(UE)에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BS1); 및 상기 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RS1)가 송신되는 주파수 및 시간과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무선 신호(RS2)를 상기 무선 단말(UE)에 송신하는 무선 기지국(BS2)을 갖는다. 상기 무선 단말(UE)이 상기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실시하는 시간 간격은, 상기 무선 단말(UE)이 상기 무선 기지국(BS2)으로의 피드백을 실시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길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TERMINAL,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본 발명은,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그리고 또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MIMO(Multi-Input Multi-Output) 통신은, 종래에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 주파수 이용 효율을 향상 가능한 기술의 하나로서 알려져 왔다. MIMO 통신에서, 무선 신호의 송신 측 및 수신 측이 각각 복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면서,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복수의 신호 시퀀스가 송신된다.
MIMO 통신의 성능을 발휘시키기 위해, 무선 채널의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송신 제어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MIMO 통신이 도입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해서는, 폐루프 제어가 도입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신호의 수신 측이, 무선 채널의 특성(이하, "채널 특성"이라 함)에 따라 채널 정보를 생성해, 해당 채널 정보를 송신 측에 피드백한다. 특히, 업링크와 다운링크 사이의 채널 특성의 상관(correlation)이 없는 FDD 방식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채널 정보의 피드백이 필수가 된다.
근래에는, MIMO 통신을 발전시킨 기술로서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멀티 셀 협조 송수신"이라고도 함)이 주목받고 있다. 이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에서, 복수의 무선 기지국이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하나의 무선 단말과 통신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에 의하면, 복수의 무선 기지국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MIMO 통신에 사용 가능한 안테나의 개수를 증대시킬 수가 있어 종래의 MIMO 통신보다 송신 속도의 향상과 수신 품질의 개선을 또한 달성할 수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PCT 국제 출원 제 2008-523665호의 공개된 일본어 번역
그렇지만,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에 대해 폐루프 제어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무선 단말로부터 복수의 무선 기지국 모두에 피드백을 실시하게 되어, 종래의 MIMO 통신과 비교해, 피드백에 수반하는 오버헤드가 커진다. 구체적으로, 무선 단말과 복수의 무선 기지국 각각 사이에 피드백용의 제어 채널을 설정하는 경우, 업링크에서의 무선 자원의 소비량이 커져 버린다.
대신, 복수의 무선 기지국 중 하나의 무선 기지국과의 사이에만 피드백용의 제어 채널을 설정할 수 있고, 이 하나의 무선 기지국은 기지국 통신을 사용해 다른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피드백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이 하나의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다른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그러나, 전송 지연의 영향으로 인해 피드백이 제시간에 다른 무선 기지국에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이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은,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키면서, 피드백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은, 무선 단말(무선 단말(UE));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제1 무선 신호(무선 신호(RS1))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1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1));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무선 신호(RS2))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2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2))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이,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통신 시스템(무선 통신 시스템(1))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위상과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송신 안테나 가중치 1)를 갱신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갱신하며,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갱신하는 시간 간격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갱신하는 시간 간격보다 긴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이 생략되는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까지의 채널 특성에 따른 제1 채널 정보(채널 정보 1)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까지의 채널 특성에 따른 제2 채널 정보(채널 정보 2)에 근거하는 피드백을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제공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이 생략되는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제2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이 생략되는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상기 제1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서 사용하면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제2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의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 단말의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제2 채널 정보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의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 단말의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7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3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가,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송신 안테나 가중치 1) 또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며, 상기 제2 채널 정보가,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송신 안테나 가중치 2) 또는 상기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8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9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처리 성능이 더 높은 무선 기지국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처리 성능이 더 낮은 무선 기지국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상기 무선 단말과의 채널 변동이 더 작은 무선 기지국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의 특징은, 본 발명의 제1의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상기 무선 단말과의 채널 손실이 더 큰 무선 기지국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의 특징은, 제1 무선 신호(무선 신호(RS1))를 제1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1))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무선 신호(RS2))를 제2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2))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수신기(121)); 및 상기 제1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송신하는 송신기(송신기(122))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이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단말(무선 단말(UE))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의 특징은, 무선 단말(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제1 무선 신호(무선 신호(RS1))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1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1));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무선 신호(RS2))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2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 중 하나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을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길게 설정할 것을 상기 무선 단말에게 지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인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의 특징은, 무선 단말(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제1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1))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2))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이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통신 방법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키면서, 피드백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기지국(제1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기지국(제2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규화부에 의해 실행되는 정규화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규화부에 의해 실행되는 정규화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기지국(제2 무선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 그 외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의 도면의 기재에 대해, 동일 또는 유사한 요소와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기재하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2) 정규화 처리, (3) 기지국 선택 처리,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5)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우선, (1. 1) 전체 개략 구성, (1. 2) 무선 단말(UE)의 구성, (1. 3) 무선 기지국(BS1)의 구성, (1. 4) 무선 기지국(BS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1. 1) 전체 개략 구성
도 1은,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복수-셀 협조 송수신 또는 복수 지점 협조 송수신(CoMP))이 도입된 무선 통신 시스템(1)의 개략 구성도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예를 들면 제4세대(4G) 휴대전화 시스템으로서 자리매김해지고 있는 LTE-어드밴스드(Advanced)에 근거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듀플렉스 통신 시스템과 같은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을 사용한다. 이후, 다운링크에서의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에 대해 주로 설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1)은, 무선 기지국(BS1)(제1 무선 기지국), 무선 기지국(BS2)(제2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UE) 및 제어 장치(11)를 갖는다. 무선 단말(UE)은, 무선 기지국(BS1)에 의해 형성되는 셀(C1)과 무선 기지국(BS2)에 의해 형성되는 셀(C2)의 중복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은, 매크로셀(macrocell) 기지국 또는 펨토셀(femtocell) 기지국일 수 도 있다. 펨토셀 기지국이란, 주로 옥내에 설치되는 소형의 무선 기지국이다.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은, 유선 통신 네트워크인 백 홀(backhaul) 네트워크(10)를 개입시켜 서로 접속되고 있다. 제어 장치(11)는, 백 홀 네트워크(10)에 설치되어 백 홀 네트워크(10)를 개입시켜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을 제어한다. 다만,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은, 제어 장치(11)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기지국 통신을 실시할 수가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에서의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에는, 폐루프 제어가 도입되고 있다.
무선 기지국(BS1)은, 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무선 신호(RS1)( 제1 무선 신호)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BS2)은, 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무선 신호(RS1)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무선 신호(RS2)(제2 무선 신호)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BS1)은, 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송신 신호의 가중 처리(“프리-코딩”이라고 함)를 실시해, 가중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1)를 송신한다. 해당 가중 처리에 의해, 송신 신호(무선 신호(RS1))의 위상 및 진폭이 무선 기지국(BS1)의 송신 안테나마다 제어된다.
또한, 무선 기지국(BS2)은, 무선 단말(UE)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송신 신호의 가중 처리를 실시해, 가중된 송신 신호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RS2)를 송신한다. 해당 가중 처리에 의해, 송신 신호(무선 신호(RS2))의 위상 및 진폭이 무선 기지국(BS2)의 송신 안테나마다 제어된다.
여기서, 무선 기지국(BS1)이 송신하는 무선 신호(RS1)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 시퀀스(“스트림”이라고 함)와 무선 기지국(BS2)이 송신하는 무선 신호(RS2)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 시퀀스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무선 신호(RS1)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 시퀀스와 무선 신호(RS2)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 시퀀스가 동일한 경우(단일 스트림 송신 시)에는,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해 수신 품질이 개선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UE)이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의 셀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단일 스트림 송신에 의해 수신 품질을 개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신호(RS1)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 시퀀스와 무선 신호(RS2)에 포함되는 송신 신호 시퀀스가 서로 다른 경우(멀티-스트림 송신 시)에는, 송신 속도가 향상한다. 무선 기지국(BS1) 또는 무선 기지국(BS2)이 예를 들면 펨토셀 기지국인 경우에, 무선 단말(UE)이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의 근처에 위치하고 있어, 멀티-스트림 송신에 의해 송신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단말(UE)이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각각의 시간 간격(이하, 피드백 간격 1)은, 무선 단말(UE)이 무선 기지국(BS2)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이하, 피드백 간격 2)보다 길다. 피드백 간격 1은, 예를 들면, 피드백 간격 2의 정수 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례로서 무선 단말(UE)이, 각 프레임에서 무선 기지국(BS2)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한편, 복수 프레임 중 1회의 비율로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한다고 가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UE)은,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적절한 방식으로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이 적절한 방식으로 생략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지만, 적절한 방식의 피드백 생략 대상인 무선 기지국은 선택 가능하다. 적절한 방식의 피드백 생략 대상인 무선 기지국을 선택하는 방법을 후술할 것이다.
무선 단말(UE)이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생략하고 있는 기간(이하,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에, 무선 단말(UE)은 무선 기지국(BS1)으로부터 무선 단말(UE)까지의 채널 특성에 따른 채널 정보 1(제1 채널 정보)과 무선 기지국(BS2)으로부터 무선 단말(UE)까지의 채널 특성에 따른 채널 정보 2(제2 채널 정보)에 근거하는 피드백을 무선 기지국(BS2)에 제공한다. 채널 특성이란, 무선 신호가 무선 채널을 통과할 때 이 무선 신호에 의해 받는 감쇄량, 위상 회전량, 지연량 등의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1. 2) 무선 단말(UE)의 구성
도 2는, 무선 단말(U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또한, 이하에 대해서는, 본 발명과의 관련이 있는 부분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UE)은, 예시하지 않거나 설명을 생략한 구성(전원부 등)을 갖추는 경우가 있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UE)은, 복수의 안테나(111), 송수신기(120), 제어기(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도 2의 예에서는 무선 단말(UE)은, 복수의 안테나(111)를 가지고 있지만, 무선 단말(UE)은 항상 반드시 복수의 안테나를 가질 필요는 없고, 단 하나의 안테나(111)를 가질 수 도 있다.
송수신기(120)는, 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RF) 회로나 베이스밴드(BB) 회로 등을 사용해 구성된다. 제어기(130)는, 예를 들면 CPU를 사용해 구성되어 무선 단말(UE)이 구비하는 각종의 기능을 제어한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면 메모리를 사용해 구성되어 무선 단말(UE)의 제어 등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송수신기(120)는, 수신기(121) 및 송신기(122)를 가진다. 제어기(130)는, 채널 정보 생성부(131) 및 정규화부(132)를 가진다.
수신기(121)는, 무선 기지국(BS1)으로부터 무선 신호(RS1)를 수신함과 함께, 무선 기지국(BS2)으로부터 무선 신호(RS2)를 수신한다. 또한, 단일 스트림 송신 등인 경우에, 수신기(121)는, 무선 신호(RS1) 및 무선 신호(RS2)를 동위상으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 정보 생성부(131)는, 수신기(121)가 수신한 무선 신호(RS1)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파일럿 신호) 등을 사용해 채널 추정치를 산출하는 처리(소위, 채널 추정)를 실시한다. 여기서, 채널 추정치는, 무선 기지국(BS1)의 각 송신 안테나와 무선 단말(UE)의 각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낸다(이하, 채널 추정치 1).
채널 정보 생성부(131)는, 수신기(121)가 수신한 무선 신호(RS2)에 포함되는 참조 신호(파일럿 신호) 등을 사용해 채널 추정치를 산출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채널 추정치는, 무선 기지국(BS2)의 각 송신 안테나와 무선 단말(UE)의 각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낸다(이하, 채널 추정치 2).
채널 정보 생성부(131)는, 채널 추정치 1에 근거해, 무선 기지국(BS1)에 피드백하는 정보인 채널 정보 1을 생성한다. 채널 추정치 1은 항상 채널 정보 1일 필요는 없고, 채널 정보 1은, 무선 기지국(BS1)에서의 가중 처리(즉, 무선 신호(RS1)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가중치 1 또는 해당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나타내는 인덱스(“PMI(Pre-coding Matrix Index)”라고 함)일 수 도 있다.
채널 정보 생성부(131)는, 채널 추정치 2에 근거해,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하는 정보인 채널 정보 2를 생성한다. 채널 추정치 2는 항상 채널 정보 2일 필요는 없고, 채널 정보 2는, 무선 기지국(BS2)에서의 가중 처리(즉, 무선 신호(RS2)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의 제어)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가중치 2 또는 해당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나타내는 인덱스일 수 도 있다.
정규화부(132)는,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에, 채널 정보 1을 기준으로 사용하면서 채널 정보 2를 정규화한다. 정규화 처리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송신기(122)는, 피드백 간격 1에서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송신하고, 피드백 간격 2에서 무선 기지국(BS2)으로의 피드백을 또한 송신한다. 게다가, 송신기(122)는,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 정규화부(132)에 의해 정규화된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한다.
(1. 3) 무선 기지국(BS1)의 구성
도 3은, 무선 기지국(BS1)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BS1)은, 복수의 안테나(211), 송수신기(220), 제어기(230), 저장부(240), 및 유선 통신부(250)를 포함한다. 도 3의 예에서는 무선 기지국(BS1)은 복수의 안테나(211)를 가지고 있지만, 무선 기지국(BS1)은, 반드시 복수의 안테나를 가질 필요는 없고, 단 하나의 안테나(211)를 가질 수 도 있다.
송수신기(220)는, 예를 들면 RF회로나 BB회로 등을 사용해 구성된다. 제어기(230)는, 예를 들면 CPU를 사용해 구성되어 무선 기지국(BS1)이 구비하는 각종의 기능을 제어한다. 저장부(240)는, 예를 들면 메모리를 사용해 구성되어 무선 기지국(BS1)의 제어 등에 사용되는 각종의 정보를 저장한다. 유선 통신부(250)는, 백 홀 네트워크(10)를 개입시켜 무선 기지국(BS2) 및 제어 장치(11)와 통신한다.
송수신기(220)는, 수신기(221) 및 송신기(222)를 가진다. 제어기(230)는, 가중치 제어기(231)를 가진다.
수신기(221)는, 무선 단말(UE)로부터 채널 정보 1이 피드백되는 경우에, 해당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 1을 수신한다.
가중치 제어기(231)는, 무선 신호(RS1)의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제어한다. 수신기(221)가 채널 정보 1을 수신하는 경우, 가중치 제어기(231)는, 채널 정보 1에 따라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갱신해, 갱신한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송신기(222)에 통지한다.
수신기(221)가 채널 정보 1을 수신하지 않는 기간, 즉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 가중치 제어기(231)는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갱신하지 않고, 그 시점까지 가중치 제어기(231)가 이용하고 있던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송신기(222)에 통지한다.
송신기(222)는, 가중치 제어기(231)로부터 통지된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이용해 송신 신호를 가중(프리-코드)하고, 가중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1)를 송신한다.
(1. 4) 무선 기지국(BS2)의 구성
도 4는, 무선 기지국(BS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BS2)은, 복수의 안테나(311), 송수신기(320), 제어기(330), 저장부(340) 및 유선 통신부(350)를 가진다. 도 4의 예에서는 무선 기지국(BS2)이 복수의 안테나(211)를 가지고 있지만, 무선 기지국(BS2)은 항상 반드시 복수의 안테나를 가질 필요는 없고, 단 하나의 안테나(211)를 가질 수 도 있다.
송수신기(320)는, 예를 들면 RF회로나 BB회로 등을 사용해 구성된다. 제어기(330)는, 예를 들면 CPU를 사용해 구성되어 무선 기지국(BS2)이 구비하는 각종의 기능을 제어한다. 저장부(340)는, 예를 들면 메모리를 사용해 구성되어 무선 기지국(BS2)의 제어 등에 사용되는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유선 통신부(350)는, 백 홀 네트워크(10)를 개입시켜 무선 기지국(BS1) 및 제어 장치(11)와 통신한다.
송수신기(320)는, 수신기(321) 및 송신기(322)를 가진다. 제어기(330)는, 가중치 제어기(331)를 가진다.
수신기(321)는, 무선 단말(UE)로부터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 2를 수신한다. 수신기(321)가 수신하는 채널 정보 2는, 정규화되고 있는 경우와 정규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가중치 제어기(331)는, 무선 신호(RS2)의 송신에 사용되는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제어한다. 가중치 제어기(331)는 수신기(321)에 의해 수신한 채널 정보 2에 따라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갱신하고, 갱신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송신기(322)에 통지한다.
송신기(322)는, 가중치 제어기(331)로부터 통지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사용해 송신 신호를 가중(프리-코드)해, 가중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2)를 송신한다.
(2) 정규화 처리
다음에, 도 5 및 도 6을 참조해, 정규화부(132)에 의해 실행되는 정규화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채널 정보 1이 채널 추정치 1이며, 채널 정보 2가 채널 추정치 2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채널 추정치는, 각 안테나마다(송수신 안테나의 조합마다) 값을 가지지만, 값들의 그러한 상대 관계가 유지되면, 값 자체를 변화시켜도, 이 값은 수신 측에서 적절히 처리(신호 분리 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a)에 도시한 채널 추정치 1(a, b) 및 채널 추정치 2(c, d)에 대해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수 e를 모든 채널 추정치에 곱하여(a x e, b x e, c x e, d x e) 변환한다. 이 경우에도, 채널 추정치 1 및 채널 추정치 2의 위상의 관계가 유지되어 동위상의 관계가 유지되기 때문에, 이 경우에 특히 문제는 없다.
거기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피드백이 필요한 채널 추정치 1(a) 및 채널 추정치 2(b, c, d)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채널 추정치 1로 채널 추정치 2를 나눔으로써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나눔을 통해 채널 추정치 1(a / a) = (1) 및 채널 추정치 2 (b / a, c / a, d / a)로 정규화하는 것으로, 채널 추정치 1을 가상적으로 항상 (1)로 고정으로 할 수가 있어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의 필요성을 제거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채널 추정치 1로 채널 추정치 2를 나눔으로써 정규화를 실시하고 있지만, 채널 추정치 1 및 채널 추정치 2의 상대 관계를 유지하는 산출 방법에 의해 정규화가 실시되는 한, 다른 정규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추정치 2 각각으로부터 채널 추정치 1을 감산하는 것으로 정규화할 수 도 있다.
또, 채널 정보 1이 송신 안테나 가중치 1 또는 그 인덱스이며, 채널 정보 2가 송신 안테나 가중치 2 또는 그 인덱스인 경우에는, 상기의 처리에 추가하여, 예를 들면, 송신 안테나 가중치 2의 후보(“코드 북(code book)”이라 함)중에서, 정규화된 채널 추정치 2에 대응하는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선택해, 선택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 또는 그 인덱스가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된다.
혹은, 송신 안테나 가중치 2의 인덱스(여기에서는, “PMI”라 함)의 리스트(코드 북) 중에서 최적인 PMI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채용할 수 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채널 추정치 1 및 채널 추정치 2에 근거해, 리스트 중의 PMI를 사용한 수신 SNR을 PMI마다 산출해, 산출된 수신 SNR 가운데로 최대의 수신 SNR에 대응하는 PMI를 최적인 PMI로서 선택한다. 리스트 중에 PMI가 적은 경우에는, 이러한 방법이 효과적이다. 이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정규화부(132)는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될 PMI를 선택(탐색)한다. 여기서, PMI는, 채널 추정치 1 및 채널 추정치 2에 근거해, 무선 기지국(BS1)이 고정 송신을 한다고 가정한 조건하에서, 수신 SNR가 최대가 되게 한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무선 기지국(BS1)이 하나의 송신 안테나를 사용하지만, 무선 기지국(BS1)의 송신 안테나의 개수가 둘 이상인 경우에도 동일한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3) 기지국 선택 처리
다음에, 적절한 방식의 피드백 생략의 대상이 되는 무선 기지국(무선 기지국(BS1))을 선택하는 처리인 기지국 선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 선택 처리는, 무선 단말(UE), 무선 기지국(BS1), 무선 기지국(BS2) 및 제어 장치(11) 중 어느 것에 의해 실행할 수 도 있다.
기지국 선택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다음의 선택 방법 1 내지 5 중 어느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선택 방법 1 내지 5 중 어느 것을 고정적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다. 무선 단말(UE), 무선 기지국(BS1) 및 무선 기지국(BS2)의 상황 등에 따라, 선택 방법 1 내지 5를 적절히 바꾸어 사용할 수 도 있다.
(선택 방법 1)
선택 방법 1에 대해서는, 무선 단말(UE)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1)으로서 선택하고, 무선 단말(UE) 근처에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2)으로서 선택한다. 그에 따라, 무선 단말(UE)은, 무선 단말(UE) 근처에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BS2)으로의 피드백을 항상 제공하고, 무선 단말(UE)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적절한 방식으로 생략하게 되어, 피드백용의 송신 전력을 저감할 수 있어 간섭량을 저감할 수 있다. 무선 단말(UE)의 배터리 잔량이 적은 경우 등에는 선택 방법 1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 방법 1에 대해서는, 무선 단말(UE)과 무선 기지국(BS1) 사이의 거리, 및 무선 단말(UE)과 무선 기지국(BS2) 사이의 거리의 정보가 필요하지만, 무선 단말(UE)에 설치되는 GPS 등을 사용해 거리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선택 방법 2)
선택 방법 2에 대해서는, 처리 성능이 높은 무선 기지국(구체적으로는, 매크로셀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1)으로서 선택하고, 처리 성능이 낮은 무선 기지국(구체적으로는, 펨토셀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2)으로서 선택한다. 통상, 펨토셀 기지국은, 무선 단말(UE)의 근처에 존재한다. 따라서 무선 단말(UE)은, 무선 단말(UE) 근처에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BS2)(펨토셀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항상 제공하고, 무선 단말(UE)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BS1)(매크로셀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생략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UE)에 GPS 등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선택 방법 2가 유효하다.
(선택 방법 3)
선택 방법 3에 대해서는, 처리 성능이 낮은 무선 기지국(구체적으로는, 펨토셀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1)으로서 선택하고, 처리 성능이 높은 무선 기지국(구체적으로는, 매크로셀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2)으로서 선택한다. 처리 성능이 낮은 무선 기지국에 가중치가 정해진 일정한 송신을 실행시키고, 처리 성능이 높은 무선 기지국에 복수 안테나를 사용한 멀티-스트림 송신을 시행시켜, 고속의 송신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선택 방법 3은, 고속의 송신 속도가 요구되는 경우나, 무선 단말(UE)의 배터리 잔량이 많은 경우에 유효하다.
(선택 방법 4)
선택 방법 4에 대해서는, 무선 단말(UE)과의 사이의 채널 변동이 작은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1)으로서 선택하고, 무선 단말(UE)과의 사이의 채널 변동이 큰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2)으로서 선택한다. 이것은, 무선 기지국(BS1)이 가중치가 정해진 일정한 송신을 실행함으로 인해 무선 기지국(BS1)의 채널 변동이 바람직하게는 작기 때문이다. 무선 단말(UE)과 각 무선 기지국 사이의 채널 변동에 큰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선택 방법 4가 유효하다.
(선택 방법 5)
선택 방법 5에 대해서는, 무선 단말(UE)과의 사이의 채널 손실이 큰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1)으로서 선택하고, 무선 단말(UE)과의 사이의 채널 손실이 작은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2)으로서 선택한다. 채널 손실은, 무선 기지국에서의 송신 전력과 무선 단말(UE)에서의 수신 전력 사이의 차이로서 계산되어 단말과 기지국간의 거리를 반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무선 단말(UE)은, 무선 단말(UE) 근처에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BS2)으로의 피드백을 항상 제공하고, 무선 단말(UE)로부터 멀리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적절한 방식으로 생략할 수가 있다. 채널 손실은, 송신 전력 제어 등의 다른 용도에 사용되어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선택 방법 5에 의하면 기존의 시스템 구성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4)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해,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이 개시되면, 단계(S11)에서, 상기한 (3) 기지국 선택 처리로 설명한 처리에 의해, 적절한 방식의 피드백 생략의 대상이 되는 무선 기지국(BS1)이 선택된다. 적절한 방식의 피드백 생략의 대상이 되는 무선 기지국(BS1)을 무선 단말(UE) 이외의 장치(무선 기지국(BS1), 무선 기지국(BS2) 또는 제어 장치(11))가 선택하는 경우, 해당 장치는,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채널 정보 1의 피드백을 적절한 방식으로 생략하도록 무선 단말(UE)에 지시한다.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이 타이밍에 제공하게 될 경우(단계(S12);YES), 단계(S13)에서 무선 단말(UE)의 송신기(122)는, 채널 정보 1을 무선 기지국(BS1)에 피드백하고,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한다. 무선 기지국(BS1)의 수신기(221)는, 채널 정보 1을 수신한다. 무선 기지국(BS2)의 수신기(321)는, 채널 정보 2를 수신한다.
단계(S14)에서, 무선 기지국(BS1)의 송신기(222)는, 수신기(221)가 수신한 채널 정보 1에 따라 가중치 제어기(231)가 갱신한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사용해 무선 신호(RS1)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무선 기지국(BS2)의 송신기(322)는, 수신기(321)가 수신한 채널 정보 2에 따라 가중치 제어기(331)가 갱신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사용해 무선 신호(RS2)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한편,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이 타이밍에 생략하는 경우(단계 S12;NO), 단계(S15)에서 무선 단말(UE)의 정규화부(132)가, 상기 (2) 정규화 처리로 설명한 처리에 의해, 채널 정보 1을 기준으로 사용하면서 채널 정보 2를 정규화한다.
단계(S16)에서, 무선 단말(UE)의 송신기(122)는,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채널 정보 1의 피드백을 생략하지만, 정규화부(132)에 의해 정규화된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한다. 무선 기지국(BS2)의 수신기(321)는, 정규화된 채널 정보 2를 수신한다. 무선 기지국(BS2)의 가중치 제어기(331)는, 수신기(321)가 수신한 채널 정보 2에 따라 갱신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송신기(322)에 통지한다.
단계(S17)에서, 무선 기지국(BS2)의 송신기(322)는, 가중치 제어기(331)로부터 통지된 갱신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사용해 송신 신호를 가중하고, 가중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2)를 송신한다. 또, 무선 기지국(BS1)의 송신기(222)는, 갱신되어 있지 않은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사용해 송신 신호를 가중해, 가중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1)를 송신한다.
(5)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무선 단말(UE)은, 적절한 방식으로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생략한다. 그에 따라, 피드백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 무선 단말(UE)은, 무선 기지국(BS2)과의 사이에서만 피드백용의 제어 채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업링크에서의 무선 자원의 소비량이 삭감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UE)은, 채널 정보 1을 기준으로 사용하면서 채널 정보 2를 정규화해,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에 정규화된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한다. 그에 따라, 무선 기지국(BS2)은, 채널 정보 1과의 상대 관계가 유지된 채널 정보 2에 따라 무선 신호(RS2)를 송신한다. 따라서,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에도,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킬 수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UE)이 채널 정보를 정규화하는데 반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기지국(BS2)이 채널 정보를 정규화한다. 이후에는,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2)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3) 제2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제1 실시 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1)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
도 8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단말(U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기지국(BS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UE)은,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정규화부(132)를 가지지 않는다. 한편,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기지국(BS2)은, 제1 실시 형태에 설명한 정규화부(132)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정규화부(332)를 가지고 있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2)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
다음에, 도 10을 참조해,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단계(S21 및 S24)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단계(S25 내지 S27)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S25)에서, 무선 단말(UE)의 채널 정보 생성부(131)는, 채널 정보 1 및 채널 정보 2를 생성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UE)의 송신기(122)는,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채널 정보 1의 피드백을 생략하지만, 채널 정보 생성부(131)에 의해 생성된 채널 정보 1 및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한다. 무선 기지국(BS2)의 수신기(321)는, 피드백된 채널 정보 1 및 채널 정보 2를 수신한다.
단계(S26)에서, 무선 기지국(BS2)의 정규화부(332)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2) 정규화 처리로 설명한 처리와 동일한 처리에 의해, 채널 정보 1을 기준으로 사용하면서 채널 정보 2를 정규화한다. 무선 기지국(BS2)의 가중치 제어부(331)는, 정규화부(332)에 의해 정규화된 채널 정보 2에 따라 갱신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송신기(322)에 통지한다.
단계(S27)에서, 무선 기지국(BS2)의 송신기(322)는, 가중치 제어기(331)로부터 통지된 갱신된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사용해 송신 신호를 가중해, 가중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2)를 송신한다. 또, 무선 기지국(BS1)의 송신기(222)는, 갱신되어 있지 않은 송신 안테나 가중치 1을 사용해 송신 신호를 가중해, 가중된 송신 신호를 포함한 무선 신호(RS1)를 일정하게 송신한다.
(3)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단말(UE)은, 무선 기지국(BS1)으로의 피드백을 생략하지만,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 채널 정보 1 및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에 피드백한다. 게다가, 무선 기지국(BS2)은, 무선 단말(UE)로부터 또한 피드백된 채널 정보 1을 기준으로 사용하면서 무선 단말(UE)로부터 피드백된 채널 정보 2를 정규화해, 정규화된 채널 정보 2에 따라 송신 안테나 가중치 2를 갱신한다.
그에 따라, 무선 단말(UE)은,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 무선 기지국(BS2)과의 사이에서만 피드백용의 제어 채널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업링크에서의 무선 자원의 소비량이 삭감된다. 또, 무선 기지국(BS2)은, 채널 정보 1과의 상대 관계가 유지된 채널 정보 2에 따라 무선 신호(RS2)를 송신한다. 그에 따라, 피드백 생략 기간 동안에도,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킬 수가 있다.
[그 외의 실시 형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사용해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설명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대체 실시 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쉽게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피드백되는 채널 정보가 채널 추정치, 송신 안테나 가중치, 또는 그 인덱스였지만, 채널 정보는 이것들에 한정하지 않고, 채널 추정치에 근거해 계산되는, 미래의 채널 특성을 나타내는 채널 예측치일 수 도 있다.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무선 기지국(BS2)에 채널 정보 1 및 채널 정보 2가 피드백된다. 그에 따라, 채널 정보 1 및 채널 정보 2를 무선 기지국(BS2)으로부터 무선 기지국(BS1)에 전송한 다음, 적절한 방식의 피드백 생략의 대상이 되는 무선 기지국을 무선 기지국(BS1)으로부터 무선 기지국(BS2)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에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은 여러 가지 실시 형태 등을 포함한다고 하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이 개시를 근거로 타당한 청구범위로 발명을 한정하는 특정 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또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9-128169호(2009년 5월 27일 출원)의 전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 명세서에 병합되어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간 협조 MIMO 통신을 정상적으로 기능시키면서, 피드백에 수반하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은 이동 통신 등의 무선 통신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15)

  1. 무선 단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제1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1 무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2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은,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통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위상과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갱신하고,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갱신하며,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갱신하는 시간 간격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이 상기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갱신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통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이 생략되는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까지의 채널 특성에 따른 제1 채널 정보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까지의 채널 특성에 따른 제2 채널 정보에 근거하는 피드백을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이 생략되는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제1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제2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이 생략되는 기간 동안,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제1 채널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에 피드백하며,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상기 제1 채널 정보를 기준으로서 사용하면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피드백된 상기 제2 채널 정보를 정규화하고, 정규화된 제2 채널 정보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의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 단말의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의 각 송신 안테나와 상기 무선 단말의 대응하는 수신 안테나 사이의 채널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인, 무선 통신 시스템.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정보는, 상기 제1 무선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 또는 상기 제1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이며,
    상기 제2 채널 정보는, 상기 제2 무선 신호의 위상 및 진폭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 또는 상기 제2 송신 안테나 가중치를 나타내는 인덱스인, 무선 통신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더 멀리 위치하는 무선 기지국인, 무선 통신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처리 성능이 더 높은 무선 기지국인, 무선 통신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처리 성능이 더 낮은 무선 기지국인, 무선 통신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상기 무선 단말과의 채널 변동이 더 작은 무선 기지국인, 무선 통신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보다 상기 무선 단말과의 채널 손실이 더 큰 무선 기지국인,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1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기; 및
    상기 제1 무선 기지국 및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이 상기 송신기가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단말.
  14.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제1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1 무선 기지국;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제2 무선 기지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무선 기지국과 상기 제2 무선 기지국 중 하나는,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을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길게 설정할 것을 상기 무선 단말에게 지시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5.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제1 무선 신호를 제1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피드백에 따라, 상기 제1 무선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및 시간에, 제2 무선 신호를 제2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1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이 상기 무선 단말이 상기 제2 무선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시간 간격보다 더 긴, 무선 통신 방법.
KR1020117028954A 2009-05-27 2010-05-27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20120025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28169A JP5319398B2 (ja) 2009-05-27 2009-05-27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JP-P-2009-128169 2009-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500A true KR20120025500A (ko) 2012-03-15

Family

ID=43222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8954A KR20120025500A (ko) 2009-05-27 2010-05-27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818447B2 (ko)
EP (1) EP2437535A4 (ko)
JP (1) JP5319398B2 (ko)
KR (1) KR20120025500A (ko)
CN (1) CN102450049A (ko)
WO (1) WO2010137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194B1 (ko) * 2010-03-19 2016-02-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멀티-셀 mimo 송신을 위한 셀 선택
JP5720283B2 (ja) * 2011-02-10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フィードバック制御方法、基地局、ペアリング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720284B2 (ja) * 2011-02-10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端末装置、フィードバック制御方法、基地局、ペアリング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5703057B2 (ja) * 2011-02-17 2015-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
KR101407103B1 (ko) * 2012-12-04 2014-06-1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협력적 전송 방법
JP6108082B2 (ja) * 2013-03-01 2017-04-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及び送信方法
KR20180009776A (ko) * 2015-06-23 2018-01-29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제어 방법, 무선 통신 시스템, 수신 장치 및 송신 장치
KR102493234B1 (ko) * 2016-08-11 2023-01-30 프라운호퍼 게젤샤프트 쭈르 푀르데룽 데어 안겐반텐 포르슝 에. 베. 단축된 프레임 구조들을 이용한 사운딩 피드백
JP2022186062A (ja) * 2021-06-04 2022-12-15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同期システム、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同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6153B1 (en) 2004-12-07 2013-03-12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US7428268B2 (en) 2004-12-07 2008-09-23 Adaptix, Inc. Cooperative MIMO in multicell wireless networks
KR101023274B1 (ko) 2005-04-20 2011-03-18 더 보드 오브 리전츠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텍사스 시스템 셀룰러 통신을 위한 채널 정보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JP2009128169A (ja) 2007-11-22 2009-06-11 Canon Inc 標的物質の検出方法、検出カートリッジ、検出キット
KR101387532B1 (ko) * 2007-12-26 2014-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적 mimo 수행을 위한 피드백 정보 전송방법
CN101651880B (zh) * 2008-08-11 2013-12-25 株式会社Ntt都科摩 多小区协作发送方法
WO2012134334A1 (en) * 2011-04-01 2012-10-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flexible rank adap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363002B2 (en) * 2012-03-08 2016-06-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recoding with partially stale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7535A1 (en) 2012-04-04
JP5319398B2 (ja) 2013-10-16
US9191085B2 (en) 2015-11-17
JP2010278674A (ja) 2010-12-09
US8818447B2 (en) 2014-08-26
WO2010137666A1 (ja) 2010-12-02
CN102450049A (zh) 2012-05-09
EP2437535A4 (en) 2014-12-03
US20120071199A1 (en) 2012-03-22
US20140328424A1 (en)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1085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100991793B1 (ko) 셀간 간섭 감소 방법
JP5270648B2 (ja) 分散アンテナシステム、基地局装置、アンテナ選択制御方法
US8619641B2 (en) Single-user beamforming method and apparatus suitable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system
JP2011520338A (ja) 多重セル環境でサウンディングチャネルを用いる協力的mimo
US10868599B2 (en) Radio node and method therein for determining precoders
WO2009147958A1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1052329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reception device, and transmission device
JPWO2009157513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US20160043839A1 (en) Communic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serving base station
JP5315130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1042977A1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並びに協調通信方法
US11223412B2 (en) Radio node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JP5449602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端末
US8885452B2 (en) Method and system of communication over channels of diverse channel characteristics
Peng et al. A novel CSI feedback method for dynamic SU/MU MIMO adaptation
Xiong et al. Feedback and scheduling for coordinated beamforming of CoMP in LTE-advanced system
Jiang et al. Design aspects of closed loop beamforming transmit diversity in HSU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