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5178A -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5178A
KR20120025178A KR1020100087393A KR20100087393A KR20120025178A KR 20120025178 A KR20120025178 A KR 20120025178A KR 1020100087393 A KR1020100087393 A KR 1020100087393A KR 20100087393 A KR20100087393 A KR 20100087393A KR 20120025178 A KR20120025178 A KR 20120025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boundary
stone
stones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수
Original Assignee
김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수 filed Critical 김범수
Priority to KR1020100087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5178A/ko
Publication of KR2012002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형성되고, 1개 이상 종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서로 밀착 배열되는 중간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제2관통부와 연속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중간 경계석의 양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단부 경계석과;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정착부에 의해 정착 고정되는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나열된 한 쌍의 단부 경계석과 1개 이상의 중간 경계석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긴장 정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지반의 침하나 가로수의 성장에 의한 외력이 장기간에 걸쳐 경계석에 작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설치된 경계석은 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세련된 미관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경계석의 설치구조, 그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경계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BOUNDARY STONE STRUCTURE INCLUDING TENSIONED WI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반의 침하나 가로수의 성장에 의한 외력이 장기간에 걸쳐 경계석에 작용하더라도 설치 상태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그 시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와 사람들이 통행하는 보도는 안전을 위하여 서로 다른 높이 단차를 갖는 도로로 구분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통행하는 차로(20)는 경계선(21)의 바깥쪽에 경계석(30)이 설치되고, 경계석(30)을 기준으로 차로(20)에 비하여 높은 단차를 갖는 보도(10)가 설치된다.
보도(10)에는 여러 사람들이 통행하더라도 바닥면이 패이지 않도록 보도 블록(11)이 평편하게 포장되고, 차도(20)에는 차량이 정해진 속도로 통행할 수 있도록 아스팔트 등으로 포장된다.
상기와 같은 경계석(30)은 지면에 굳지 않은 버팀 콘크리트를 적당한 양만큼 놓아두고, 그 위에 경계석(30)을 단순 거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경계석(30)이 버팀 콘크리트를 매개로 지면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경계석(3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지거나 화강암 등의 암석을 깎아 제작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경계석(30)은 버팀 콘크리트 상에 거치되어 버팀 콘크리트의 굳는 힘에 의해 지지될 뿐, 경계석(30)을 서로 연결시키는 힘이 전혀 작용하지 않음에 따라, 시공 당시의 경계석(30)의 배열 상태를 장기간 동안 유지하지 못하고, 지반의 침하 등의 작은 외력에도 정렬 정돈된 경계석(30)의 일부가 국부적으로 밀려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어 왔다. 이로 인하여, 보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경계석의 미관을 헤치기도 하고 각종 사고의 원인이 되며, 경계석을 다시 재시공해야 함에 따른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이 과도하게 소모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반의 침하나 외부의 충격 등의 외력이 설치된 경계석에 장기간에 걸쳐 작용하더라도 설치 상태의 정돈된 배열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기간에 걸쳐 외력에도 설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내구수명이 길고,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는 경계석을 콘크리트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높이 단차를 갖는 도로로 구분하는 경계석의 설치구조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형성되고, 1개 이상 종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서로 밀착 배열되는 중간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제2관통부와 연속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관통공의 일단에 설치되는 정착부가 끝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요입 형성된 정착 설치부가 구비되고,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중간 경계석의 양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단부 경계석과;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정착부에 의해 정착 고정되는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종방향으로 나열된 한 쌍의 단부 경계석과 1개 이상의 중간 경계석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긴장 정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지반의 침하나 외부의 충격 등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경계석은 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세련된 미관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경계석'이라는 용어는 긴장재의 끝단이 고정되는 단부 경계석과 긴장재가 관통하기만 하는 중간 경계석을 모두 통칭하는 용어로 정의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관통부' 및 이와 유사한 용어는 긴장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경계석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간을 지칭하는 것으로, 구멍 형상(hole shape)에 국한하지 않고 홈 형상(groove shape)도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단부 경계석의 중앙부에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중간 경계석의 중앙부에 관통하는 구멍으로 형성되어, 단부 경계석과 중간 경계석을 효과적으로 밀착시키면서 미리 프리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한편, 경계석의 중앙을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형성하는 것이 까다로우므로, 상기 제2관통부와 상기 제1관통부는 상기 중간 경계석과 상기 단부 경계석의 외측에 홈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는 지면을 향하는 면이나 보도에 묻히는 면에 형성되어, 경계석 자체의 외관이 세련된 상태로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단부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맞닿는 면은 서로 맞물리는 전단키가 형성된다. 이 때, 전단키는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가 관통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볼록하거나 오목하게 형성되는 전단키에는 인접한 경계석의 전단키가 서로 맞닿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긴장재를 잡아당기면, 인접한 경계석의 전단키의 경사면이 서로 맞물리면서 미리 예정된 상대 위치로 자동적으로 밀착 배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얻어진다. 따라서, 경사면을 갖는 전단키는 경계석의 배열을 보다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된 상태의 경계석에 전단력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지탱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로가 곡선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경계석도 도로의 형태에 부합하는 곡선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곡선을 이루는 상기 단부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사이에는 종방향으로 인접한 경계석의 사이 틈새를 매꾸는 신축패드, 심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음재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수단이 추가적으로 포함된다.
한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단부 경계석 중 어느 하나의 제1단부 경계석의 제1관통공에 상기 긴장재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의 끝단을 고정 설치하고, 예정된 설치 위치에 단부 경계석을 고정하는 제1단부 경계석 설치단계와; 상기 긴장재가 상기 제2관통공에 통과하도록 1개 이상의 중간 경계석을 상기 단부 경계석과 종방향으로 연속하게 배열시키는 중간 경계석 설치 단계와; 한 쌍의 단부 경계석 중 다른 하나의 제2단부 경계석의 제1관통공에 상기 긴장재가 삽입되어 상기 긴장재의 끝단이 상기 정착 설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부 경계석을 상기 중간 경계석에 종방향으로 연속하게 배열시키는 제2단부 경계석 설치단계와; 상기 긴장재를 긴장시켜 정착하는 긴장정착단계와; 상기 제2단부 경계석 및 상기 중간 경계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경계석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단부 경계석을 설치함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제1단부 경계석에 미리 긴장재의 끝단을 고정 설치한 상태로 설치한 후, 중간 경계석 및 제2단부 경계석을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긴장재를 긴장, 정착함으로써, 먼저 설치되는 제1단부 경계석의 위치를 중심으로 경계석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므로, 인접한 다른 경계석에 간섭받지 않고 경계석의 설치 공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나열된 한 쌍의 단부 경계석과 1개 이상의 중간 경계석을 관통하는 긴장재가 긴장 정착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지반의 침하나 가로수의 성장에 의한 외력이 장기간에 걸쳐 경계석에 작용하더라도, 상기와 같이 설치된 경계석은 제 위치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세련된 미관을 장기간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경계석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도1는 종래의 경계석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경계석의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전단키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도2의 정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6은 도5의 경계석의 사이에 삽입 가능한 또 다른 형태의 이음재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8은 도7의 정면도
도9는 도2의 경계석의 설치 구조를 시공하는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100)를 상술한다. 다만,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100)는,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과, 단부 경계석(110)의 사이에 1개 이상의 수(n)로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중간 경계석(120)과,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의 제1관통공(110a)과 중간 경계석(120)의 제2관통공(120a)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긴장재(130)와, 정착기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긴장재(130)를 잡아당겨 종방향으로 배열된 경계석(110, 120)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하도록 긴장재를 고정하는 정착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단부 경계석(110)은 긴장재(130)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는 수의 경계석(110, 120)의 양 단부에 하나씩 배치되며, 중간 경계석(120)과 접하지 않는 일단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140)가 끝단면의 바깥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도록 요입 형성된 정착 설치부(111)가 구비된다.
그리고, 중간 경계석(120)과 맞닿는 단부 경계석(110)의 타단면에는 횡방향으로 간섭되도록 서로 끼워지는 전단키(112)가 설치된다. 도3에는 단부 경계석(110)의 타단면에 볼록한 전단키(112)가 형성되고, 이와 맞닿는 중간 경계석(120)의 일단면에 오목한 전단키(122)가 형성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단부 경계석(110)의 타단면에 오목한 전단키가 형성되고, 이와 맞닿는 중간 경계석(120)의 일단면에 볼록한 전단키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종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중간 경계석(120)의 서로 맞닿는 면에도 이와 같은 요철이 맞물리는 전단키(122)가 형성된다.
이 때, 전단키(112, 122)에는 경사면(112s, 122s)이 형성되고, 제1관통공(110a)과 제2관통공(120a)은 전단키(112, 122)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위치에 배열된다. 이에 따라, 제1관통공(110a)과 제2관통공(120a)을 관통하는 긴장재(130)를 잡아당기면, 인접한 경계석(110, 120)의 전단키(112, 122)의 경사면(112s, 122s)이 서로 맞닿으면서, 예정된 끼움 위치로 인접한 경계석(110, 120)들이 서로 밀착하게 되어, 제작 당시에 예정된 상태로 쉽게 정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관통공(110a)과 제2관통공(120a)의 끝단은 정착부(1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정착 설치부(111)와 연통된다.
상기 중간 경계석(120)은 단부 경계석의 제1관통공(110a)과 연속하는 직선이 되도록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 제2관통공(120a)을 구비한다. 단부 경계석(1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경계석(120)은 현장 상황에 따라 그 수(n)가 조절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중간 경계석(120)이 사용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경계석(110, 120)의 형상이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보다 세련된 미감을 유발하는 외관을 갖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석(110, 120)은 화강암 등의 암석이나 건식 콘크리트, 습식 콘크리트 중 어느 것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긴장재(130)는 소선이 꼬인 스트랜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직경 5mm인 강재 소선 1가닥이 대략 4tonf의 하중에도 견딜 수 있으므로, 하나의 강재 소선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다만, 경계석(110, 120)이 설치되는 장소의 지반 여건이나 가로수 등의 환경을 고려하여, 긴장재(130)는 보다 큰 인장력에 견딜 수 있도록 2가닥 내지 3가닥 등의 복수의 소선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소선으로 이루어진 긴장재(130)를 긴장시킬 때에 소선의 늘어난 길이를 크게 하여, 원하는 인장력을 낮은 오차로 정확하게 도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경계석(110, 120)에 과도한 힘이 도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경계석의 설치 구조(100)에 사용되는 긴장재(130)에 의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이 거의 증가하지 않으면서,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의하여 경계석(110, 120)이 설치 당시의 위치로부터 밀려나 붕괴되어 미관을 해치거나 파손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긴장재(130)의 끝단에는 정착을 위하여 원추형 쐐기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정착부(140)는 단부 경계석(110)의 정착 설치부(111)로 튀어나온 긴장재(130)의 끝단(130a)이 관통하는 설치공이 상기 쐐기와 맞물리게 형성된 베어링 플레이트로, 정착 기구로 긴장재(130)의 끝단(130a)을 잡아당긴 후, 긴장재(130)의 끝단(130a)에 설치된 쐐기를 설치공에 끼우는 것에 의해 긴장재(130)의 긴장된 상태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모듈(110-140)의 양 끝단에 위치한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에서 긴장재(130)를 긴장, 정착할 수도 있지만, 어느 한쪽 단부 경계석(110)의 긴장재(130)의 끝단을 미리 고정한 상태로 단부 경계석(110)을 설치하고, 이에 대하여 다수의 중간 경계석(120)을 종방향으로 배열한 후, 마지막으로 설치한 단부 경계석(110)의 정착 설치부(111)에 노출된 긴장재(130)의 끝단(130a)을 긴장 정착할 수도 있다.
경계석(110, 120)의 관통공(110a, 120a) 내에 설치된 긴장재(130)가 부식되지 않도록, 긴장재(130)의 부식방지수단으로서 긴장재(130)의 표면에는 에폭시 소재의 코팅층이나 기타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로 도금막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긴장재(130)의 부식방지수단으로서 상기 관통공(110a, 120a) 내에 공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몰탈로 그라우팅될 수도 있고, 그리스가 채워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100)는, 다수의 경계석(110, 120)의 정중앙부를 연속한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관통하는 긴장재(130)를 긴장 정착시킴으로써,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경계석(110, 120)들을 밀착시킴과 동시에 미리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경계석에 도입되어, 종래와 달리 지반 침하 등의 외력에 저항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 동안 설치 상태의 세련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200)를 상술한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와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200)는 경계석(210, 220)이 곡선 형태로 배열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이를 위하여,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룸에 따라 종방향으로 인접한 경계석(210, 220)의 사이에는 곡률 반경의 내측에는 보다 얇은 두께(t1)로 형성되고 곡률 반경의 외측에는 보다 두꺼운 두께(t2)로 형성된 이음재(250)가 삽입 설치된다. 이 때, 이음재(250)의 중앙에는 긴장재(230)가 관통하는 구멍(250a)이 형성된다.
그리고, 각 경계석(210, 220)이 설치된 상태에서 이음재를 추가로 삽입 설치하기 위하여,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장재(230)를 관통할 수 있는 슬롯(250a')이 설치된 이음재(25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이음재(250, 250')는 탄성이 있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음재는 각 경계석(210, 220)의 사이에 삽입되는 다수의 쉼(shim)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곡률이 있는 위치에서 긴장재(230)를 긴장, 정착하더라도 각 경계석(210, 220)의 이음부에서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충분한 외력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300)를 상술한다. 다만,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와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300)는 경계석(310, 320)의 관통부가 구멍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경계석(310, 320)의 저면이나 측면에 홈 형태로 형성된 관통홈(310a, 320a)이라는 점에서 전술한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긴장재(330)가 경계석(310, 320)의 관통홈(310a, 320a)에 설치되도록 함에 따라, 긴장재(330)가 설치되는 관통부의 형성이 보다 용이해지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홈(310a, 320a)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지면과 접하는 저면이나 보도를 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관통홈(310a, 320a)에 긴장재(330)가 설치되고 긴장된 이후에, 긴장재(330)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리스나 몰탈이 그라우팅될 수 있다.
경계석(310, 320)의 하부에 위치하는 관통홈(310a, 320a)에 긴장재(330)가 설치되고, 긴장재(330)의 끝단에 쐐기(350)를 설치한 후, 정착기구로 긴장재(330)를 잡아당겨, 정착부(340)의 구멍에 쐐기(350)를 안착시키는 것에 의하여, 긴장재(330)는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따라, 긴장재(330)가 인장되기 이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힘에 의하여 다수의 경계석(310, 320)은 종방향으로 상호 밀착되고,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견고하게 그 배열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경계석(310, 320)의 종방향으로 맞닿는 면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키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전단키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계석(310, 320)의 맞닿는 끝단면이 서로 밀착되는 것에 의하여 예정된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미리 정해진 배열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100)의 시공 방법(S100)을 상술한다.
먼저, 콘크리트나 화강암 등의 암석으로 경계석(110, 120)을 제작하여(S110), 제작된 경계석(110, 120)을 설치 현장으로 운반한다(S120). 이 때, 경계석(110, 120)의 중앙부에 관통공(110a, 120a)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면서 신속하게 콘크리트로 제작하기 위하여, 경계석(110, 120)의 길이는 대략 30cm 내지 60cm정도로 작게 제한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계석(110, 120)은 화강암 등의 암석을 가공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 중 어느 하나의 제1단부 경계석의 제1관통공(110a)에 긴장재(130)를 삽입하여 제1단부 경계석의 정착 설치부(111)에 정착부(140)를 고정하여 상기 긴장재의 끝단을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정착부(140)가 위치한 제1단부 경계석의 일면이 방금전에 설치하였던 단부 경계석(110)과 밀착되도록 위치를 정하여, 예정된 설치 위치에 제1단부 경계석(110)을 버팀 콘크리트로 고정한다(S130).
그리고 나서,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 중 먼저 설치된 제1단부 경계석(110)에 인접하도록 다수의 중간 경계석(120)을 설치한다(S140). 이 때, 제1단부 경계석(111)에 일단이 고정된 긴장재(130)가 중간 경계석(120)의 제2관통공(120a)을 하나씩 모두 관통하도록 한다. 이 때, 중간 경계석(120)은 버팀 콘크리트로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있는다.
그리고 나서, 설치된 중간 경계석(120)들 중 맨 끝단에 위치한 중간 경계석(120)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들 중 다른 하나인 제2단부 경계석을 위치시킨다(S140). 마찬가지로, 중간 경계석(120)의 제2관통공(120a)을 통과한 긴장재(130)는 제2단부 경계석(120)의 제1관통공(110a)을 지나 그 끝단(130a)이 정착 설치부(111)에 노출된다.
그 다음, 제2단부 경계석(120)의 정착 설치부(111)에 노출된 긴장재(130)의 끝단(130a)을 잡아당기고 정착한다(S150). 이를 통해, 제1단부 경계석으로부터 제2단부 경계석에 이르는 경계석(110, 120)들을 밀착시키면서, 이들 경계석(110, 120)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어, 설치된 경계석(110, 120)에 횡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설치된 배열이 흐트러지지 않고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설치된 경계석에 인접하여 또 다른 경계석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설치된 제2단부 경계석에 밀착되도록 한 쌍의 단부 경계석(110) 중 제1단부 경계석을 S110단계에서와 같이 설치하여(S230), S150단계까지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를 연속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200, 300: 경계석의 설치 구조 110, 210, 310: 단부 경계석
120, 220, 320: 중간 경계석 130, 230, 330: 긴장재
140, 240, 340: 정착부

Claims (7)

  1. 서로 다른 높이 단차를 갖는 도로로 구분하는 경계석의 설치구조로서,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제2관통부가 형성되고, 1개 이상 종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서로 밀착 배열되는 중간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제2관통부와 연속하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관통부가 형성되고, 종방향으로 연속하는 상기 중간 경계석의 양단부에 밀착되도록 배열되는 한 쌍의 단부 경계석과;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인장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정착부에 의해 정착 고정되는 긴장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중간 경계석과 상기 단부 경계석의 외측에 홈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는 상기 단부 경계석의 중앙부와 상기 중간 경계석의 중앙부를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끝단면은 서로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 전단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경계석과 상기 중간 경계석의 사이에는 신축패드, 심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이음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부식방지수단이 추가적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설치 구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계석의 설치 구조의 시공 방법으로서,
    한 쌍의 단부 경계석 중 어느 하나의 제1단부 경계석의 제1관통공에 상기 긴장재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긴장재의 끝단을 고정 설치하고, 예정된 설치 위치에 단부 경계석을 고정하는 제1단부 경계석 설치단계와;
    상기 긴장재가 상기 제2관통공에 통과하도록 1개 이상의 중간 경계석을 상기 단부 경계석과 종방향으로 연속하게 배열시키는 중간 경계석 설치 단계와;
    한 쌍의 단부 경계석 중 다른 하나의 제2단부 경계석의 제1관통공에 상기 긴장재가 삽입되어 상기 긴장재의 끝단이 상기 정착 설치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단부 경계석을 상기 중간 경계석에 종방향으로 연속하게 배열시키는 제2단부 경계석 설치단계와;
    상기 긴장재를 긴장시켜 정착하는 긴장정착단계와;
    상기 제2단부 경계석 및 상기 중간 경계석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경계석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의 시공 방법.
KR1020100087393A 2010-09-07 2010-09-07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KR20120025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393A KR20120025178A (ko) 2010-09-07 2010-09-07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393A KR20120025178A (ko) 2010-09-07 2010-09-07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178A true KR20120025178A (ko) 2012-03-15

Family

ID=4613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393A KR20120025178A (ko) 2010-09-07 2010-09-07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51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39B1 (ko) * 2012-07-20 2015-03-17 정희봉 다수의 솔라셀 모듈 지지용 블록 시스템 및 그의 축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139B1 (ko) * 2012-07-20 2015-03-17 정희봉 다수의 솔라셀 모듈 지지용 블록 시스템 및 그의 축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49379T3 (es) Soporte de vía de ferrocarril o metro
KR100799358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PT1246972E (pt) Método e sistema de parede de retenção modular prétensionada
KR101594470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및 이들의 결합구조
KR100817901B1 (ko) 절취사면 보강토옹벽 구조물
JP2007002557A (ja) 張出し道路
KR101185468B1 (ko)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과속방지턱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시공방법
KR101278326B1 (ko) 조형석 및 그를 이용한 조형석 옹벽
KR20180020476A (ko) 사면 보강용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
JP4192255B2 (ja) 拡幅盛土構造
KR20120025178A (ko) 인장력이 도입되는 긴장재가 설치된 보차도 경계석의 설치 구조 및 그 설치 방법
KR102087726B1 (ko) 프리캐스트 연속철근 콘크리트 도로포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4772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포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RU2692735C2 (ru) Система плит сборного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её укладки
KR101196343B1 (ko) 석재외장 콘크리트 아치형 슬래브 교량
KR20030044940A (ko)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2033381B1 (ko) 지지모듈을 이용한 아스팔트 도로 시공방법
KR101241400B1 (ko) 아치형구조물
JP4222447B2 (ja) 伸縮継手の構造及び該伸縮継手工法
US2296756A (en) Load transfer device
CN210086291U (zh) 一种加筋土挡墙面板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KR100975673B1 (ko) 도로 변에 시공되는 확장 자전거 도로 및 이 시공 방법
KR101223268B1 (ko) 교량의 보수 및 보강 방법
JP3475906B2 (ja) 自由勾配型函渠側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