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989A -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989A
KR20120023989A KR1020100086473A KR20100086473A KR20120023989A KR 20120023989 A KR20120023989 A KR 20120023989A KR 1020100086473 A KR1020100086473 A KR 1020100086473A KR 20100086473 A KR20100086473 A KR 20100086473A KR 20120023989 A KR20120023989 A KR 20120023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sheet
concrete block
corrugated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414B1 (ko
Inventor
서상모
Original Assignee
서상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모 filed Critical 서상모
Priority to KR1020100086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04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23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5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8Details of element conn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길이방향으로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판(10)의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파형강판 거푸집(110)이 형성되고, 상기 파형강판 거푸집(110) 내부에 콘크리트(20)가 충진되어 상기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20)가 일체로 된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는 상부를 향해 고정공(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양측 측면부(220)에는 연결공(221)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Wave steel plate concrete block}
본 발명은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항만에서의 트럭 스토퍼, 출입통제용 바리케이드 및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분야 등에서 시공되는 다양한 구조물 중, 비교적 하중이 작은 구조물 등을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하는 경우, 거푸집, 배근, 콘크리트 타설 등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는 문제로, 파형강판을 이용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파형강판은 금속판을 파형으로 굴곡성형하여 형상강도를 높인 것으로서, 콘크리트 타설 등에 비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시공기간이 단축됨은 물론, 구조 자체가 연성구조물로서 부등침하 등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여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 용수 또는 배수용 암거 등의 다양한 구조물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하천을 횡단하는 소교량, 수조 및 건축용 건자재 등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파형강판을 이용한 구조물은 앞선 예에서와 같이 비교적 큰 구조물(지하통로, 용수, 배수용 암거 등)에만 적용되고 있고, 도로의 중앙분리대, 출입통제용 바리케이드 및 주차장의 트럭 스토퍼 등의 비교적 작은 구조물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어서 활용범위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트럭 스토퍼, 바리케이드 및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형강판과 콘크리트의 조합구성에 의해 파괴강도 및 연성을 향상시킨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길이방향으로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판(10)의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파형강판 거푸집(110)이 형성되고, 상기 파형강판 거푸집(110) 내부에 콘크리트(20)가 충진되어 상기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20)가 일체로 된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는 상부를 향해 고정공(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양측 측면부(220)에는 연결공(221)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Figure pat00001
형태로 형성된 파형강판거푸집(110)의 파형강판(10) 내측에는 2개 이상의 전단연결재(30)가 용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전단연결재(30)에는 이형철근(4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로 결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 2개 이상의 관통홈(212)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파형강판(10) 외측면(110)에 파형주름의 형태를 따라 안전표시부(5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상기 안전표시부(50)는 상기 고정공(211)의 위치에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 형성된 고정공(211)에 고정부재(60)의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바닥면에 매립되어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양측 측면부(220)에 형성된 연결공(211)에 연결부재(70)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상부 라운딩부(120)에는 하부를 향하여 결합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1)에 차광망(80)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은 트럭 스토퍼, 바리케이드 및 도로의 중앙분리대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함으로써 활용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또한, 파형강판과 콘크리트가 조합된 구성을 취함에 따라 강도향상 및 취성감소의 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충돌이 갖는 도로 중앙분리대로 활용될 경우 충돌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훼손율을 현저히 낮출 수 있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콘크리트만으로 이루어진 중앙분리대와는 달리 미려한 외관미를 가짐에 따라 환경미화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 오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연결 전 및 연결 후의 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거푸집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광망이 설치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연결 전 및 연결 후의 상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거푸집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다.
위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은 파형강판(10)을 절곡하여 형성되는 파형강판 거푸집(110) 및 상기 파형강판 거푸집(110)의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20)로 구성된다.
파형강판 거푸집(110)은 길이방향으로 파형구조를 가지며, 양쪽 측면과 하면은 개방된 형태를 취한다. 또한 파형강판 거푸집(110)을 측면에서 보게 되면
Figure pat00002
형태로 되며, 상면 중앙부에는 상부 라운딩부(120)가 형성된다.
파형강판 거푸집(110)의 내면에는 도 4에서와 같이 2개 이상의 전단연결재(30)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단연결재(30)는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20)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아울러, 상기 전단연결재(30)에는 이형철근(40)이 연결될 수 있다. 이형철근(40)은 파형철판(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전단연결재(30) 상에 설치되며, 와이어(w)와 같은 결속부재에 의해 전단연결재(30)와 견고하게 결속된다.
콘크리트(20)는 상기 파형강판 거푸집(110)의 내부 공간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그 하면 바닥부(210)에는 상부를 향해 고정공(211)이 형성된다. 고정공(211)에는 고정부재(60)의 일측이 끼워지고, 설치바닥면에는 상기 고정부재(60)의 타측이 매립되어 고정된다.
상기 고정공(211)과 관련하여, 고정공(211)은 콘크리트(20)의 하면 바닥부(210)에 형성되는 관계로 외부에서 고정공(211)의 위치를 가늠하기 어렵다. 하여, 고정부재(60)를 끼울 때 어려움이 예상되므로 상기 파형강판 거푸집(110)의 외측면에 고정공(211)의 위치를 표시해주는 안전표시부(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표시부(50)는 파형강판 거푸집(110)의 파형주름 형태를 따라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유색 페인트에 의해 도색될 수 있고, 유색 페인트에 야광물질이나 반사물질을 첨가하여 도색될 수 있다. 이 경우, 야간에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식별력을 높여 추돌사고의 위험성이 저하된다.
콘크리트(20)의 양쪽 측면부(220)에는 연결공(221)이 형성된다. 연결공(221)에는 연결부재(70)의 일측이 끼워지고, 연결부재(70)의 타측에는 연결하고자 하는 인접 콘크리트의 연결공에 끼워져 콘크리트 간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콘크리트(20)의 하면 바닥부(210)에는 2개 이상의 관통홈(212)이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관통홈(212)은 예컨대,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을 도로의 중앙분리대로 활용할 경우, 이쪽 도로와 반대편 도로 간에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빗물배수통로의 역할을 한다.
이때, 별도로 도면부호를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관통홈(212)에 대한 파형강판 거푸집(110)의 상응하는 부분도 관통홈(212)의 크기에 맞게 절개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상부 라운딩부(120)에는 하부를 향하여 결합공(1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결합공(121)에는 차광망(80)의 지주(81) 하단이 끼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전면부 중앙에는 후면부를 향해 관통되는 관통공(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13)은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강도가 약화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크기 및 개수가 설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통공(213)은 파형강판 거푸집(110) 및 콘크리트(20)를 양적으로 절감하는 효과와 유사시 관통공(213)을 통해 반대편 도로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는 관찰구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을 도로의 중앙분리대로 사용되는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는 다르게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의 측면형상을
Figure pat00003
형으로 하여 항만에서의 트럭 스토퍼로 활용할 수도 있고, 또 이와는 다르게
Figure pat00004
형으로 하여 출입통제용 바이케이드로도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 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파형강판 20 : 콘크리트
30 : 전단단열재 40 : 이형철근
50 : 안전표시부 60 : 고정부재
70 : 연결부재 80 : 차광망
110 : 파형강판 거푸집 210 : 하면 바닥부
211 : 고정공 220 : 양쪽 측면부
221 : 연결공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판(10)의 중앙부가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파형강판 거푸집(110)이 형성되고, 상기 파형강판 거푸집(110) 내부에 콘크리트(20)가 충진되어 상기 파형강판(10)과 콘크리트(20)가 일체로 된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는 상부를 향해 고정공(21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양측 측면부(220)에는 연결공(221)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pat00005
    형태로 형성된 파형강판거푸집(110)의 파형강판(10) 내측에는 2개 이상의 전단연결재(30)가 용접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연결재(30)에는 이형철근(40)이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와이어로 결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는 2개 이상의 관통홈(212)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파형강판(10) 외측면(110)에는 파형주름의 형태를 따라 안전표시부(50)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표시부(50)는 상기 고정공(211)의 위치에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저면 바닥부(210)에 형성된 고정공(211)에는 고정부재(60)의 일측이 끼워지고, 타측이 바닥면에 매립되어 고정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양측 측면부(220)에 형성된 연결공(211)에는 연결부재(70)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B)의 상부 라운딩부(120)에는 하부를 향하여 결합공(1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121)에 차광망(80)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KR1020100086473A 2010-09-03 2010-09-03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KR10124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473A KR101240414B1 (ko) 2010-09-03 2010-09-03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473A KR101240414B1 (ko) 2010-09-03 2010-09-03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989A true KR20120023989A (ko) 2012-03-14
KR101240414B1 KR101240414B1 (ko) 2013-03-11

Family

ID=4613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473A KR101240414B1 (ko) 2010-09-03 2010-09-03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0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5969A (zh) * 2018-11-02 2019-02-26 上海兰德公路工程咨询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拼装绿化、风力发电的高速公路中央隔离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31B1 (ko) 2016-12-01 2017-04-13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카 스토퍼
KR20210001055U (ko) 2019-11-06 2021-05-14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카 스토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804B1 (ko) * 2004-04-23 2007-01-10 유니온코리아프리캐스트(주)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100673306B1 (ko) * 2005-03-02 2007-01-24 채종술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00356Y1 (ko) * 2005-08-11 2005-11-04 김해영 주차 안내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5969A (zh) * 2018-11-02 2019-02-26 上海兰德公路工程咨询设计有限公司 一种新型拼装绿化、风力发电的高速公路中央隔离带
CN109385969B (zh) * 2018-11-02 2024-05-24 上海兰德公路工程咨询设计有限公司 一种拼装绿化、风力发电的高速公路中央隔离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414B1 (ko) 201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88214U (zh) 一种波形梁组合式护栏与混凝土护栏过渡结构
KR101240414B1 (ko) 파형강판 콘크리트블록
KR102568976B1 (ko) 전단면 pc 슬래브용 방호벽 구조체
KR101599811B1 (ko) 파형강판 결합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205712204U (zh) 一种多重止水带及其防水结构
CN105821908A (zh) 一种多重止水带、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10131633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205530332U (zh) 预制组合拼装混凝土面板锚碇式加筋土挡土墙结构
CN104314104B (zh) 一种与地下箱涵斜交的变形缝设置方法
CN205369299U (zh) 一种拼装式预制钢筋混凝土管廊
IT201900016088A1 (it) Barriera di sicurezza stradale
CN201785715U (zh) 一种防撞活动护栏
CN205444565U (zh) 一种墙板连接节点
CN204435203U (zh) 咬合桩与现浇顶板刚接结构
CN204185769U (zh) 预应力混凝土斜拉桥梁顶组合式索梁锚固结构
CN103758021B (zh) 用于张拉横向预应力的预制箱梁
KR101886744B1 (ko) 도로용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CN208280414U (zh) 一种钢骨架空心预制板
CN207469460U (zh) 装配式外墙体系
KR20120134677A (ko) 전단연결재가 보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및 암거의 시공방법
KR100887389B1 (ko) 층고 절감형 합성 슬래브 거더
CN217399487U (zh) 一种合流段的隔离设施
CN219710065U (zh) 高速公路桥梁混凝土护栏
CN109881935A (zh) 一种类工字地下车库汽车防水淹车位地面
KR101361666B1 (ko) 경량 방호구조물, 그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