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3116A -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3116A
KR20120023116A KR1020117030485A KR20117030485A KR20120023116A KR 20120023116 A KR20120023116 A KR 20120023116A KR 1020117030485 A KR1020117030485 A KR 1020117030485A KR 20117030485 A KR20117030485 A KR 20117030485A KR 20120023116 A KR20120023116 A KR 20120023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cetic acid
evaporator
glycine
range
glut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3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랑크 므르체나
한스-위르겐 킨더
미하엘 쇤헤어
게르하르트 콕스
토마스 슈미트
폴커 휘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20023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31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227/40Separation; Purification
    • C07C227/42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2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9/0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07C229/24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sam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the carbon skeleton, e.g. aspartic aci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60 중량% 농도 범위로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결정화도가 30% 이상인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상기 수용액은 제1 단계에서 증발기 내벽에 대하여 증발기 직경의 1% 이하의 거리에 배치되는 회전하는 내부를 갖는 증발기에서 농축되어 결정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85 중량% 범위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결정 슬러리를 제공하고, 제2 공정 단계에서 결정 슬러리는 페이스트 벙커 및 이후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 정치되어 숙성되며, 페이스트 벙커 및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총 15분 이상이다.

Description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POWDER COMPRISING ONE OR MORE DERIVATIVES OF GLYCINE-N,N-DIACETIC ACID AND/OR ONE OR MORE DERIVATIVES OF GLUTAMINE-N,N-DIACETIC ACID AND METHYLGLYCINE-N,N-DIACETIC ACID TRISODIUM SALT POWDER}
본 발명은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유도체는 알칼리 토금속 이온 및 증금속 이온의 복합 특성을 가지며, 넓은 산업 분야에서, 예컨대 세제 및 클리너 산업에서 또는 금속면 등의 처리에서 사용된다. 많은 적용예에서, 이들 활성 성분은 고형분으로서 다른 고형분과 함께 예컨대 정제 형태로 전환된 혼합물로서, 식기세척기 정제로서 사용된다. 정제는 여기서 주로 수용액으로부터 제조되나, 이것은 비대칭적인 분자 형상이 결정화를 크게 방해하므로 복잡하고 비경제적인 매스 결정화 과정(증발 및 냉각 결정화)를 초래한다.
따라서, 무정질 분율이 높은 고형분을 유도할지라도, 이들 분말은 대부분의 경우 분무 건조 플랜트에서 공업적으로 생산된다. 이것은 예컨대 정제화 공정 등에서의 강한 흡습성 거동 및 불량한 저장능과 재가공능을 유도하는데, 이것은 예컨대 벤조상의 첨가를 위한 세제용 빌더에서의 후처리에 의하여 보상된다(US 3,932,316호 참조).
EP-A 08 45 456호는 결정화도가 증가된 상기 착화제 분말의 제조 공정을 개시하는데, 여기서는 특히 물분율이 10?30% 범위인 출발 물질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결정화 시드(seed)가 첨가된다. 이 공정은 주로 결정화 분말을 생성하나 제조동안 점성 페이스트 상을 고려하여 결정 변형으로의 전환을 보장하기 위하여 혼합기-혼련기 복합 장치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결정화도가 증가된 상기 착화제 분말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적으로 더 간단한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상기 해결 수단은 수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60% 농도 범위로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결정화도가 30% 이상인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의 제조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수용액은 제1 단계에서 증발기 내벽에 대하여 증발기 직경의 1% 이하의 거리에 배치되는 회전하는 내부를 갖는 증발기에서 농축되어 결정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85 중량% 범위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결정 슬러리를 제공하고, 제2 공정 단계에서 상기 결정 슬러리는 페이스트 벙커 및 이후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 정치되어 숙성되며, 페이스트 벙커 및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총 15분 이상이다.
상기 공정은 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20?60% 범위의 총 농도로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바람직하게는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이하 MGDA로서 약칭됨)의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출발한다.
고순도의 글리신-N,N-디아세트산 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합성에서 유래하는 부산물은 가능한 최저 분율로 존재하여야 하며, 특히 2-(카르복시메틸아미노)프로피온산 이나트륨염의 분율은 2% 미만,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삼나트륨염의 분율은 0.5% 미만, 이미노디아세트산 이나트륨염의 분율은 2% 미만, 수산화나트륨의 분율은 2% 미만이어야 한다. 특히,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건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 경우 84% 이상의 순도로 글리신-N,N-디아세트산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이다.
해당 2-알킬- 또는 2-알케닐글리신 또는 2-알킬- 또는 2-알케닐글리신 니트릴 또는 하기 화학식의 이중 글리신
Figure pct00001
또는 하기 화학식의 이중 글리신 니트릴
Figure pct00002
을 포름알데히드 및 시안화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시안화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이미노디아세트산 또는 이미노디아세토니트릴을 화학식 OHC-A-CHO의 해당 모노알데히드 또는 디알데히드 및 시안화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시안화물과 반응시킨 다음 여전히 존재하는 임의의 니트릴기를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실기를 생성함으로써 제조되는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액은 바람직하게는 20?90℃ 범위의 온도에서 사용된다.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은 제1 공정 단계에서 회전 내부를 갖는 증발기 안으로 도입되고, 여기서 고형분 농도가 60?85 중량% 범위인 결정 슬러리로 농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하는 내벽은 증발기 직경의 1% 이하의 매우 작은 거리에서 증발기의 내벽에 스친다. 회전하는 내부 및 증발기의 내벽 사이의 매우 작은 거리는 증발기의 내벽 상의 액체 필름에서 고전단 속도를 초래한다. 따라서, 고유 액정 시드 형성이 개시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회전하는 내부는 증발기의 내벽을 스크래치하도록 배치된다.
제1 공정 단계에서 증발은 특히 50?140℃, 바람직하게는 80?110℃의 온도 범위 및 0.1?4 bar(절대), 바람직하게는 0.8?1.2 bar(절대)의 압력 범위에서 일어난다. 제1 공정 단계에서 승온은 특히 열전달제가 순환하는 재킷의 형성과 더불어 사용되는 증발 장치의 벽을 가열함으로써 보장된다.
제1 공정 단계에서 사용되는 증발기는 바람직하게는 Sambay? 증발기이다. Sambay? 증발기는 움직일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가 배치되는 중심 코어 파이프를 구비한 특별한 박막 증발기이다. 원심력의 결과로서, 이들은 증발기의 가열된 벽에 압착된다. 와이퍼 블레이드 유형 및 따라서 접촉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이 증발기는 많은 문제에 대하여 최적으로 적응될 수 있다. 낮은 로터 속도에서, 이것은 동시에 비교적 소량의 배출에 대하여 높은 증발율을 허용하여 주로 침착물을 형성하는 생성물의 가공에 적당하다. Sambay? 증발기는 약 35,000 mPas 이하의 점도에서 가동한다.
제1 공정 단계 후 생성되는 결정 슬러리는 15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15분 내지 1시간, 또는 15분 내지 3시간의 적절한 체류 시간을 제공하는 적합한 장치를 통과함으로써 숙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1 공정 단계에서 유래하는 결정 슬러리는 먼저 페이스트형 결정 슬러리의 철저한 혼합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교반 요소가 장착된 페이스트 벙커로 전달된다. 또한, 200 ㎛ 이하의 평균 입자 직경을 갖는 미세 분말 분획을 바람직하게는 페이스트 벙커로 도입되는 물질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이하의 분율로 페이스트 벙커로 도입하여 결정 슬러리와 혼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공정에서 생성되는 미세 분말 분획이 여기서 이용될 수 있다.
임의의 혼합 미세 분말을 갖는 결정 슬러리는 이후 박막 접촉 건조기로 전달되며, 여기서 약 0.5?20분, 특히 약 10분의 접촉 시간 동안 약 60?140℃ 범위의 온도에서 고형분 혼합물의 물 함량은 박막 접촉 건조기로부터의 생성물 출구에서 주로 MGDA의 일수화물 및 이수화물의 결정 변형을 갖는 분말이 수득되도록 조절된다.
사용되는 박막 접촉 건조기는 예컨대 다양한 제조자로부터 입수되는 고속 패들 건조기, 예컨대 Vomm의 터보 건조기, 3V Cogeim의 쇼트 패스 증발기 또는 VRV의 수평 원심 건조기 반응기이다.
박막 접촉 건조기로부터 수득되는 생성물은 공지된 건조 공정, 예컨대 분무 건조 또는 혼합기-혼련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분말에 비하여 더 양호한 유동성, 더 낮은 흡습성 및 더 양호한 저장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회절각 2 θ(°)에서 이하 제시된 d 값(Å)을 갖는 제1 결정 변형
Figure pct00003
및/또는 X-선 분말 회절도에서 각 회절각 2 θ(°)에서 이하의 표에 상응하는 d 값(Å)을 갖는 제2 결정 변형을 포함하는, 결정화도가 30% 이상인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예시된다.
실시예 1 (비교) 분무 건조
고형분 함량이 40%인 60 kg/h의 MGDA 수용액의 정량적 스트림을 플레이트 열교환기 증발기(가열 면적 1.7 m²)에서 고형분 함량 59%까지 증발시키고 분리 용기에서 분리시켰다. 분리기에서 2.5 bar(절대)의 압력 및 152℃(증기 가열)의 벽 온도에서 증발을 실시한다.
증발된 용액을 기어 펌프를 이용하여 약 128℃의 온도에서 다운스트림 피스톤 멤브레인 펌프 안으로 계량해 넣고 단일 물질 제트를 이용하여 분무탑으로 분무하였다.
분무탑은 직경이 800 mm이고 길이가 12 m였다. 분무탑은 1400 kg/h의 공기량 및 160℃의 가스 입구 온도로 운전되었다. 생성물 출구 온도는 127℃였고 건조 생성물의 고형분 함량은 94.1%였다. 2 포인트(다운스트림 필터에서 및 분무탑에서 직접) 배출을 통해 생성물을 분리하였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된 생성물은 부을 수 있는 분말이었다. 벌크 밀도는 529 kg/m³였다. X-선 구조 분석은 생성물이 무정질임을 나타낸다.
이 샘플의 저장 거동을 데시케이터 테스트에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3 g의 샘플을 144 시간에 걸쳐 76%의 상대 대기 습도 및 20℃에서 데시케이터 내의 열려 있는 계량 컵에 넣었다. 이후 샘플의 질량 증가를 확인하고 샘플을 부을 수 있는지를 평가한다. 질량 증가는 27.1%였고 샘플은 용해하기 시작하였다. 즉, 샘플이 축축하여 더 이상 부을 수 없었다.
실시예 2 (비교) 혼합기-혼련기 공정
고형분 함량이 40%인 20.5 kg/h의 MGDA 수용액의 정량적 스트림을 플레이트 열교환기(가열 면적 1.7 m²)에서 80℃의 용액 온도로 예열하고 기어 펌프를 이용하여 List 사의 CRP? 25 Conti 접촉 건조기 안으로 계량해 넣었다.
List 접촉 건조기는 내부 치수 170*280 mm, 부피 31 리터, 가열 면적 1.3 m²의 2축 장치이며 증기에 의하여 174℃의 벽 온도로 가열되었다. 축을 분당 30 및 24 회전의 속도로 운전하였다. 이 접촉 건조기에서 생성물은 고형분 함량 92%까지 건조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된 생성물은 부어넣기에 매우 용이한 과립이었다. 벌크 밀도는 약 650 kg/m³였다. X-선 분말 회절도는 생성물이 무정질 및 결정질 분획을 가짐을 나타낸다. 상기 개시된 분석에 상응하는 결정도는 30%이다.
샘플의 저장 거동은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확인되었다. 질량 증가는 22.7%였고 샘플은 다소 덩어리져서, 즉 더 이상 부을 수 없었으나 계량 컵을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부을 수 있는 상태로 다시 전환될 수 있었다.
실시예 3 (비교) 혼합기-혼련기 공정
고형분 함량이 40%인 32 kg/h의 MGDA 수용액의 정량적 스트림을 플레이트 열교환기 증발기(가열 면적 1.7 m²)에서 고형분 함량 61.8%까지 증발시키고 압력 유지 밸브를 통해 기어 펌프를 이용하여 List 사의 DTB? 25 Conti 접촉 건조기 안으로 계량해 넣었다. 분리기에서 2.5 bar(절대)의 압력 및 증발기에서 142℃의 벽 온도에서 증발을 실시하였다.
List DTB 25 Conti 접촉 건조기는 내부 치수 170 mm, 부피 30 리터, 가열 면적 1.2 m²의 1축 장치이다. 이것은 증기에 의하여 186℃의 벽 온도로 가열되었다. 축을 분당 16 회전의 속도로 운전하였다. 이 접촉 건조기에서 생성물은 고형분 함량 88.1%까지 건조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된 생성물은 매우 용이하게 부을 수 있는 과립이었다. 벌크 밀도는 약 600 kg/m³였다. X-선 분말 회절도는 생성물이 무정질 및 결정질 분획을 가짐을 나타낸다. 상기 개시된 분석에 상응하는 결정도는 27%이다.
샘플의 저장 거동은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확인되었다. 질량 증가는 21.7%였고 샘플은 다소 덩어리져서, 즉 더 이상 부을 수 없었으나 계량 컵을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부을 수 있는 상태로 다시 전환될 수 있었다.
실시예 4 (본 발명)
고형분 함량이 45.8%인 3.3 kg/h의 MGDA 수용액의 정량적 스트림을 실험실 Sambay? 증발기(가열 면적 0.046 m²)에서 고형분 함량 65.9%까지 증발시켰다. 대기압에서 205℃의 벽 온도에서 증발을 실시하였다.
증발된 용액을 용량 8 리터의 계량 벙커에서 약 100℃의 온도에서 수거하고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계량 스크류에 의하여 이 계량 벙커로부터 빠르게 회전하는 접촉 건조기 안으로 운반하였다.
접촉 건조기는 직경이 134 mm, 가열 면적이 0.166 m²였고, 증기에 의하여 184℃의 벽 온도로 가열되었다. 이것은 분단 276 회전의 속도로 운전되었다. 이 접촉 건조기에서 생성물은 고형분 함량 65.9%로부터 고형분 함량 91.6%까지 건조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된 생성물은 매우 용이하게 부을 수 있는 과립이었다. 벌크 밀도는 548 kg/m³였다. X-선 분말 회절도는 생성물이 결정질임을 나타낸다. 상기 개시된 분석에 상응하는 결정도는 39%이다.
샘플의 저장 거동은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확인되었다. 질량 증가는 20.3%였고 샘플은 초기 계량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부을 수 있었다.
실시예 5 (본 발명)
고형분 함량이 45.5%인 3.2 kg/h의 MGDA 수용액의 정량적 스트림을 실험실 Sambay? 증발기(가열 면적 0.046 m²)에서 고형분 함량 약 69%까지 증발시켰다. 증발은 0.5 bar의 감압에서 120℃의 벽 온도에서 실시하였다.
증발된 용액을 용량 8 리터의 계량 벙커에서 약 780℃의 온도에서 수거하고 교반하면서 냉각하였다. 생성물을 계량 스크류에 의하여 이 계량 벙커로부터 빠르게 회전하는 접촉 건조기 안으로 운반하였다.
접촉 건조기는 직경이 134 mm, 가열 면적이 0.166 m²였고, 증기에 의하여 120℃의 벽 온도로 가열되었다. 이것은 분단 275 회전의 속도로 운전되었다. 이 접촉 건조기에서 생성물은 고형분 함량 69%로부터 고형분 함량 88%까지 건조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제조된 생성물은 매우 용이하게 부을 수 있는 과립이었다. 벌크 밀도는 555 kg/m³였다. X-선 분말 회절도는 생성물이 결정질임을 나타낸다. 상기 개시된 분석에 상응하는 결정도는 변형 1의 58%이다.
샘플의 저장 거동은 실시예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확인되었다. 질량 증가는 18%였고 샘플은 초기 계량때와 마찬가지로 여전히 부을 수 있었다.
도 1 내지 5는 실시예 1?5에 따라 수득되는 분말의 X-선 분말 회절도를 나타내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수득되는 분말의 증가된 결정도를 나타낸다(도 4 및 5).
도면에서, 회절각 2-θ(°)는 가로축에 주어지고 측정된 강도는 카운트(펄스)(무차원)로 세포축에 주어진다.
X-선 분말 회절계 측정은 Bruker AXS(Karlsruhe)의 D8 Advance? 회절계에서 실시하였다. 반사에서 Cu-Kα 방사선을 제1면 및 제2면에서 다양한 조리개로 조절하면서 측정하였다. 측정 범위는 2°내지 80°2-θ, 스텝 폭은 0.01°, 앵글 스텝당 측정 시간은 3.6초였다.
결정도는 통상적으로 결정질 상의 표면 마찰 및 무정질 상의 표면 마찰을 측정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결정도(CD)를 무정질 상의 면적(Ia) 및 결정질 상의 면적(Ic)으로 이루어지는 전체 면적에 대한 결정질 상의 면적(Ic)의 비로서 계산함으로써 공지된 방식으로 X-선 분말 회절도로부터 확인하였다:
CD = Ic/(Ic+Ia).
결정도의 측정은 특히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예컨대 Bruker AXS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TOPAS?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무정질 샘플을 측정하고 선형 코스를 6 개의 개개의 선의 도움으로 프로필 피트에서 피팅한다. 이들 선 및 이들의 반폭의 선 위치를 고정하고 이들 값을 "무정질 상"으로 저장한다.
결정화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샘플을 측정하기 위하여, 결정질 상의 표면 마찰 및 무정질 상의 표면 마찰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결정도(CD)를 상기 주어진 식에 따라 계산한다.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무정질 상이 이용된다.
결정질 상은 마찬가지로 무정질 상과 유사하게 그 개개의 선 위치를 통해 또는 이하의 격자 상수를 참조하여 소위 (hkl) 상(a = 33.63, b = 11.36 및 c = 6.20 및 공간 그룹 Pbcm)으로서 정의될 수 있는데, 여기서 격자 매개변수는 자유롭게 보정될 수 있는 변수이다. 배경은 제1 결정도의 다항식과 같이 피팅된다.
프로그램 TOPAS?는 무정질 및 결정질 상으로 이루어지는 측정된 회절도 및 이론적 회절도 사이에 최적의 피트를 계산한다.

Claims (12)

  1. 수용액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60 중량% 농도 범위로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부터 출발하여 결정화도가 30% 이상인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여기서 상기 수용액은 제1 단계에서 증발기 내벽에 대하여 증발기 직경의 1% 이하의 거리에 배치되는 회전하는 내부를 갖는 증발기에서 농축되어 결정 슬러리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60?85 중량% 범위의 고형분 농도를 갖는 결정 슬러리를 제공하고, 제2 공정 단계에서 결정 슬러리는 페이스트 벙커 및 이후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 정치되어 숙성되며, 페이스트 벙커 및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의 체류 시간은 총 15분 이상인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하는 내부는 회전 증발기의 내벽을 스크래치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알칼리 금속염은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유도체로서 사용되는 것인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액은 건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각 경우 84% 이상의 순도로 글리신-N,N-디아세트산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글리신-N,N-디아세트산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는 해당 2-알킬- 또는 2-알케닐글리신 또는 2-알킬- 또는 2-알케닐글리신 니트릴 또는 하기 화학식의 이중 글리신
    Figure pct00005

    또는 하기 화학식의 이중 글리신 니트릴
    Figure pct00006

    을 포름알데히드 및 시안화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시안화물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이미노디아세트산 또는 이미노디아세토니트릴을 화학식 OHC-A-CHO의 해당 모노알데히드 또는 디알데히드 및 시안화수소 또는 알칼리 금속 시안화물과 반응시킨 다음 여전히 존재하는 임의의 니트릴기를 가수분해하여 카르복실기를 생성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인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글리신-N,N-디아세트산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을 20?90℃ 범위의 온도에서 회전하는 내부를 갖는 증발기 안으로 도입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내부를 갖는 증발기는 Sambay? 증발기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페이스트 벙커 및 박막 접촉 건조기에서 체류 시간의 합은 총 15 분 내지 1 시간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분 내지 3 시간 범위인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내부를 갖는 증발기는 50?140℃ 범위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80?110℃ 범위의 온도에서 및 0.1?4 bar(절대) 범위의 압력, 바람직하게는 0.8?1.2 bar(절대)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것인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공정 단계로부터의 결정 슬러리 외에, 평균 입도가 200 ㎛ 이하인 미세 분말을 결정 슬러리 및 미세 분말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중량%까지 페이스트 벙커에 첨가하는 것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박막 접촉 건조기는 60?140℃ 범위의 온도에서 작동되는 것인 방법.
  12. 회절각 2 θ(°)에서 이하 제시된 d 값(Å)을 갖는 제1 결정 변형
    Figure pct00007

    및/또는 X-선 분말 회절도에서 각 회절각 2 θ(°)에서 이하의 표에 상응하는 d 값(Å)을 갖는 제2 결정 변형을 포함하는, 결정화도가 30% 이상인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
    Figure pct00008
KR1020117030485A 2009-05-20 2010-05-19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 KR201200231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60718 2009-05-20
EP09160718.4 2009-05-20
US25390809P 2009-10-22 2009-10-22
US61/253,908 2009-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3116A true KR20120023116A (ko) 2012-03-12

Family

ID=4312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485A KR20120023116A (ko) 2009-05-20 2010-05-19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628684B2 (ko)
EP (1) EP2432759B9 (ko)
JP (1) JP5745507B2 (ko)
KR (1) KR20120023116A (ko)
BR (1) BRPI1010933A2 (ko)
CA (1) CA2762507C (ko)
DK (1) DK2432759T3 (ko)
ES (1) ES2396957T3 (ko)
MX (1) MX2011011599A (ko)
PL (1) PL2432759T3 (ko)
SG (1) SG175760A1 (ko)
WO (1) WO2010133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8951A1 (de) * 2009-08-26 2011-03-03 Inprotec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istallinen Feststoffes aus Glycin-N,N-diessigsäure-Derivaten mit hinreichend geringer Hygroskopizität
MX2013012811A (es) 2011-05-03 2014-02-10 Basf Se Procedimiento para preparar una sal trialcalinometalica cristalina de l-mgda.
US9227915B2 (en) * 2011-05-03 2016-01-05 Basf Se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crystalline L-MGDA trialkali metal salt
GB2491619B (en) * 2011-06-09 2014-10-01 Pq Silicas Bv Builder granul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US9815773B2 (en) 2012-12-14 2017-11-14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Crystalline particles of glutamic acid N,N-diacetic acid
US9738594B2 (en) 2012-12-14 2017-08-22 Akzo Nobel Chemicals International B.V. Crystalline particles of salts of glutamic acid N,N-diacetic acid
CN106458851B (zh) * 2014-05-13 2019-01-11 阿克苏诺贝尔化学品国际有限公司 将螯合剂结晶的方法
US10975334B2 (en) 2015-12-11 2021-04-13 Basf Se Process for manufacturing granules
CA3006791A1 (en) * 2015-12-17 2017-06-22 Basf Se Process for making a crystalline alkali metal salt of a complexing agent, and crystalline complexing agent
BR112019017127A2 (pt) 2017-02-24 2020-04-14 Basf Se processo para produção de sal de metal alcalino de diacetato de metilglicina sólido, partículas sólidas de sal de metal alcalino de diacetato de metilglici-na, e, uso de partículas sólidas
CN110869345B (zh) * 2017-07-07 2021-04-30 诺力昂化学品国际有限公司 甲基甘氨酸-n,n-二乙酸钠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用途
CN110891930B (zh) * 2017-07-07 2021-09-03 诺力昂化学品国际有限公司 制备氨基酸二乙酸的固体组合物的方法
CN113382980A (zh) 2018-12-21 2021-09-10 诺力昂化学品国际有限公司 甲基甘氨酸n,n-二乙酸的易碎相组合物
US20230391713A1 (en) 2020-06-19 2023-12-07 Nouryon Chemicals International B.V. Process to prepare a co granule of methylglycine n,n diacetic acid salts employing a crumbly phase composition of methylglycine n,n diacetic acid salts
CN116323551A (zh) * 2020-12-17 2023-06-23 巴斯夫欧洲公司 制备氨基羧酸盐络合剂的固体碱金属盐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2316A (en) 1974-11-13 1976-0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ree flowing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benzoate salts
DE3829829A1 (de) * 1988-09-02 1990-03-22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trinatriumsalzes von isoserin-n,n-diessigsaeure
JP3035837B2 (ja) * 1991-06-06 2000-04-24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粉末糖質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DE4319935A1 (de) 1993-06-16 1994-12-22 Basf Ag Verwendung von Glycin-N,N-diessigsäure-Derivaten als Komplexbildner für Erdalkali- und Schwermetallionen
DE19546533C2 (de) * 1995-12-13 2000-04-27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cetyl-D,L-alpha-aminocarbonsäuren
DE19649681A1 (de) * 1996-11-29 1998-06-04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ristallinen Feststoffes aus Glycin-N,N-diessigsäure-Derivaten mit hinreichend geringer Hygroskopizität
EP2185280A1 (de) 2007-08-24 2010-05-19 Basf Se Katalysator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75760A1 (en) 2011-12-29
JP5745507B2 (ja) 2015-07-08
US20140155646A1 (en) 2014-06-05
US8628684B2 (en) 2014-01-14
WO2010133618A1 (de) 2010-11-25
EP2432759A1 (de) 2012-03-28
JP2012527426A (ja) 2012-11-08
PL2432759T3 (pl) 2013-05-31
EP2432759B9 (de) 2014-04-16
CA2762507C (en) 2018-08-21
US20120046491A1 (en) 2012-02-23
BRPI1010933A2 (pt) 2016-04-05
MX2011011599A (es) 2011-11-18
CA2762507A1 (en) 2010-11-25
EP2432759B1 (de) 2012-12-12
ES2396957T3 (es) 2013-03-01
DK2432759T3 (da) 2013-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3116A (ko) 글리신-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 및/또는 글루타민-n,n-디아세트산의 하나 이상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분말 및 메틸글리신-n,n-디아세트산 삼나트륨염 분말의 제조 방법
JP6426758B2 (ja) キレート剤を結晶化するプロセス
EP3061744B1 (en) Preparation of free flowing granules of methylglycine diacetic acid
US9540597B2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owder comprising one or more complexing agent salts
US20150353475A1 (en) Crystalline particles of salts of glutamic acid N,N-diacetic acid
US10829719B2 (en) Sodium methyl glycine-N,N-diacetic acid compound, process to prepare it and use thereof
US20150321995A1 (en) Crystalline particles of glutamic acid N,N-diacetic acid
CA2917252A1 (en) New salts, crystals, complexes, and derivatives of threonine diacetic acid, a process to prepare threonine diacetic acid, and the use thereof
EP3649103B1 (en) Process to prepare a solid composition of an amino acid diacetic acid
WO2020127349A1 (en) Crumbly phase composition of methylglycine n,n diacet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