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948A -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 - Google Patents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948A
KR20120022948A KR1020117027168A KR20117027168A KR20120022948A KR 20120022948 A KR20120022948 A KR 20120022948A KR 1020117027168 A KR1020117027168 A KR 1020117027168A KR 20117027168 A KR20117027168 A KR 20117027168A KR 20120022948 A KR20120022948 A KR 20120022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ignal
downlink
downlink signal
frequency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토 시모무라
나오토 오쿠보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22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9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91Modelling the propagation channel
    • H04B17/3912Simulation models, e.g. distribution of spectral power density or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RSSI] for a given geographic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2Traffic simulation tools or mod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20)는,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 { SIMULATION DEVICE AND SIMULATION METHOD }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의 무선통신방식에서는, LTE 방식에 대응 가능한 이동국(UE)의 동작이 3GPP의 규격 내용에 합치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는 목적으로, LTE 방식의 무선기지국(eNB)의 동작을 시뮬레이트(모의(模擬))하는 시뮬레이터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 상정되고 있다.
상기 시뮬레이터 장치는, 일반적으로, 셀 리셀렉션(Cell Reselection)시의 동작이나 핸드오버시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기 위해, 복수의 셀에 있어서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는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동국(UE)은, 셀 리셀렉션처(reselection target) 셀이나 핸드오버처(handover target) 셀을 결정하기 위해, 복수의 셀에 있어서의 하향신호의 수신전력에 대한 측정처리(Measurement)를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GPP에서는, 상술한 이동국(UE)의 측정처리에 있어서, 예를 들면, TS36.133의 Table9.1.2.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는 셀간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측정 정밀도(A)가 '±3dB'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측정 정밀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전제조건(B)으로서, 예를 들면, 'Es/Iot>?6dB'가 만족되는 것이 규정되어 있다. 여기서, 'Es'는, 해당 셀에 있어서의 리소스 엘리먼트당의 소망 수신전력이며, 'Iot'는, 단위 리소스 엘리먼트에 부여되는 간섭전력이다(잡음이나 타(他) 셀로부터의 간섭전력을 포함).
또한, 시뮬레이터 장치는, 복수의 셀을 동시에 시뮬레이트하는 경우, 셀간에 있어서의 상대 송신전력에 대해, 예를 들면, '±1dB'정도의 불확정성(C)을 갖는다.
따라서, 시뮬레이터 장치가, 복수의 셀을 동시에 시뮬레이트하는 경우, 이동국(UE)에 있어서의 핸드오버시의 동작 등을 확실히 검증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측정 정밀도(A) 및 불확실성(C)을 고려하여, 이동국(UE)에 있어서 측정된 셀간의 수신전력의 대소관계에 역전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전력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즉,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전력에 큰 차를 낼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동일 주파수가 사용되고 있는 셀간에 하향신호의 송신전력에 큰 차를 내면, 송신전력이 작은 쪽의 셀에서는 'Es<<Iot'가 되고, 상술한 전제조건(B)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워진다.
전제조건(B)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셀에 있어서의 이동국(UE)의 측정 정밀도(A)가 만족되는 것을 보증할 수 없기 때문에, 이동국(UE)이, 기대되고 있는 셀 리셀렉션시의 동작이나 핸드오버시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보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LTE 방식에 대응 가능한 이동국의 동작을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와, 상기 제2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동일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셀 및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리 셀 ID 할당부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 셀 ID 할당부는,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와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소스 할당부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소스 할당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 및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주파수방향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의 하나를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소스 할당부는,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는 그룹과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는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소정기간 내에서 제1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제2 소정기간 내에서 제2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과 상기 제2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타이밍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소정기간 내에서 제1 셀용 알림정보를 송신하고,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셀용 알림정보의 송신타이밍에서는,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7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을 통해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송신해야 할 상기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을 통한 하향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소스 할당부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소스 할당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 및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고,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와, 상기 제2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1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제1 셀 및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는 공정 A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와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2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 A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 및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주파수방향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의 하나를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고,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는 그룹과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는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3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소정기간 내에서 제1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제2 소정기간 내에서 제2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과 상기 제2 셀용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타이밍으로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4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소정기간 내에서 제1 셀용 알림정보를 송신하고,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알림정보의 송신타이밍에서는,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5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을 통해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송신해야 할 상기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물리 하향링크 데이터채널을 통한 하향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16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 A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 및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LTE 방식에 대응 가능한 이동국의 동작을 검증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2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4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5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6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기능 8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 기능 1 내지 8이 기동하고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에 있어서의 각 기능을 적용하는 물리 채널 또는 물리신호의 조합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20)는, LTE 방식의 무선기지국(eNB)의 동작(즉, 복수의 셀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기능 1 내지 8의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뮬레이터 장치(20)가 셀 1 내지 3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나, 시뮬레이터 장치(20)는, 보다 많은 셀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시뮬레이터 장치(20)는, 보다 적은 셀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시뮬레이터 장치(20)는,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시뮬레이트 신호)로서,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포함하는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시뮬레이터 장치(20)에 구비될 수 있는 기능 1 내지 8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능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1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와,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모의신호로서, 각각,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는,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의 송신타이밍을 조정하여 합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에 의해 합성된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포함하는 하향신호를,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 및 하향신호 출력부(22)는, 따로따로여도 좋으며, 일체가 되어 있어도 좋다.
또, 하향신호 출력부(22)(또는,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는,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셀 3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여기서, 하향신호 출력부(22)(또는, 하향신호 송신타이밍 조정부(21))는, 소정수(예를 들면, 1개)의 서브프레임분만큼,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소정수(예를 들면, 1개)의 OFDM 심볼분만큼,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에,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즉, 각 무선프레임의 경계)를, 각각 1개의 서브프레임분만큼 옮긴 경우의 예에 대해 나타낸다. 여기서, 서브프레임 0 내지 9가, 하나의 무선프레임을 구성하고 있으며, 서브프레임 0이, 각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이다.
또, 각 서브프레임은, 각각 2개의 슬롯으로부터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각 슬롯은, 각각 7개의 OFDM 심볼로부터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의 예에서는, 셀 1용 하향신호로서, 서브프레임 0 내의 전반 슬롯의 5번째의 OFDM 심볼로, S?SS(Secondary?Synchronization Signal)가 송신되고, 서브프레임 0 내의 전반 슬롯의 6번째의 OFDM 심볼 서브프레임 6에서, P?SS(Primary?Synchronization Signal)가 송신되고, 서브프레임 0 내의 후반 슬롯의 0 내지 3번째의 OFDM 심볼로,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용 신호가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셀 2용 하향신호로서, 서브프레임 0 내의 전반 슬롯의 5번째의 OFDM 심볼로, S?SS가 송신되고, 서브프레임 0 내의 전반 슬롯의 6번째의 OFDM 심볼로, P?SS가 송신되고, 서브프레임 0 내의 후반 슬롯의 0 내지 3번째의 OFDM 심볼로, PBCH용 신호가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P?SS 및 S?SS는, 5 서브프레임 주기로 송신되고, PBCH용 신호는 10 서브프레임 주기로 송신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서브프레임분만큼,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긴 경우, 셀 1과 셀 2와의 사이에, S?SS나 P?SS나 PB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이 벗어나기 때문에, 서로 간섭이 된다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기능 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1은, 타이밍 조정부(23)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타이밍 조정부(23)는, 각 셀 모의부 1 내지 3에 있어서의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조정부(23)는,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가 벗어나도록, 각 셀용 하향신호의 생성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타이밍 조정부(23)로부터 수신한 타이밍 조정정보에 의해 지정되는 타이밍에서,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생성하여, 하향신호 출력부(22)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모의부 1 내지 3에 의해 송신된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모의신호로서,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능 2〉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2는, 타이밍 조정부(23)와, OFDM 심볼수 지정부(24)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타이밍 조정부(23)는,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선두위치, 즉, 각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이밍 조정부(23)는,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선두위치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타이밍 조정부(23)는, 각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OFDM 심볼수 지정부(24)는, 각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용 신호(하향제어신호) 및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용 신호(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OFDM 심볼수 지정부(24)는, 각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가 동일해지도록 지정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E 방식에서는, 1개의 서브프레임이, 예를 들면, 14개의 OFDM 심볼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는,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는, 가변제어되어 있어도 좋으며, 고정값을 이용하고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PDCCH용 신호의 OFDM 심볼수는, 1, 2, 3의 값을 취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며, 이 경우, PDSCH용 신호의 OFDM 심볼수는, 각각, 13, 12, 11이 된다.
도 7의 예에서는, OFDM 심볼수 지정부(24)는, 셀 모의부 1 내지 3에 대해, PDC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3개'로 지정하고,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11개'로 지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타이밍 조정부(23)로부터 수신한 타이밍 조정정보 및 OFDM 심볼수 지정부(24)로부터 수신한 OFDM 심볼수에 기초하여,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를 포함하는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셀 모의부 1 내지 3은, 타이밍 조정부(23)로부터 수신한 타이밍 조정정보에 기초하여,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조정하고, OFDM 심볼수 지정부(24)로부터 수신한 OFDM 심볼수에 기초하여, 각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으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를 맵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모의부 1 내지 3에 의해 송신된 셀 1용 하향신호 내지 셀 3용 하향신호를 합성하여, 모의신호로서, 이동국(UE)에 대해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능 2에 의하면, 셀 1용 PDC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과, 셀 2 내지 3용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이 벗어나기 때문에, 서로 간섭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기능 3〉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3은, PCI(Physical Cell ID, 물리 셀 ID) 할당부(25)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PCI 할당부(25)는, 각 셀에 대해 PCI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각 셀용 하향신호로서, 각 셀용 RS(Reference Signal, 레퍼런스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각 셀에 부여되어 있는 PCI에 의해 결정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각 셀용 RS(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CI 할당부(25)는, 각 셀용 RS의 송신에 이용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각 셀에 대해 PCI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 셀 모의부에 일련번호(1?6)를 부여해 두고, PCI 할당부(25)는, 각 셀 모의부에 대응하는 셀에 대해, (일련번호?1)의 번호를 PCI로서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능 3에 의하면, 각 셀용 RS의 송신에 이용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기 때문에, 각 셀용 RS끼리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기능 4〉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4는, 리소스 할당부(26)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소스 할당부(26)는,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리소스 블록(주파수방향 리소스)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소스 할당부(26)는,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주파수방향 리소스)을 주파수방향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을 하나를,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부(26)는, 셀 1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제1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는 그룹과, 셀 2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제2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는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의 예와 같이,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 리소스의 대역폭이 '5MHz'인 경우, 상기 대역폭 내에, 25개의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기 때문에, 시뮬레이터 장치(20)가, 6개의 셀의 동작을 시뮬레이트하는 경우에는, 리소스 할당부(26)는,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4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경우, 예를 들면, 각 셀 모의부에 일련번호(1?6)를 부여해 두고, 리소스 할당부(26)는, 각 셀 모의부에 대응하는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4×(일련번호?1)'의 리소스 블록 번호의 리소스 블록을 선두로 하는 4개의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리소스 할당부(26)는, 연속하고 있지 않는 리소스 블록을 할당해도 좋으며,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다른 사이즈의 리소스 블록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리소스 할당부(26)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능 4에 의하면,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리소스 블록이, 주파수방향으로 중복하지 않기 때문에, 각 셀용 하향신호끼리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셀용 하향신호에는, 하향링크의 공유채널(DL?SCH)용 신호나, 다이나믹 알림채널(D?BCH)용 신호나, SIB(System Information Block)나, SI(System Information)나, 페이징 채널용 신호나, 랜덤 액세스 응답신호(RA response)나, MBMS용 신호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기능 5〉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5는, SI 타이밍 조정부(27)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각 셀용 SI(System Information) 윈도우라 불리는 소정기간 내에서, 각 셀용 SI(알림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SI 윈도우(제1 소정기간) 내에서 셀 1용 SI(알림정보)를 송신하고, 제2 SI 윈도우(제2 소정기간) 내에서 셀 2용 SI를 송신하고, 제3 SI 윈도우(제3 소정기간) 내에서 셀 3용 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SI 타이밍 조정부(27)는, 각 셀용 SI의 송신타이밍(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SI 타이밍 조정부(27)는, 각 셀용 SI의 송신타이밍이 중복하지 않도록, 즉, 각 셀용 SI의 송신타이밍이 다른 타이밍이 되도록, 각 셀용 SI의 송신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셀용 SI 윈도우의 개시타이밍은, 일치하고 있어도 좋으며, 달라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각 셀 모의부에 일련번호(1?6)를 부여해 두고, 각 셀용 SI 윈도우의 개시타이밍이, 일치하고 있는 경우, SI 타이밍 조정부(27)는, 각 셀용 SI 윈도우 내의 '3×(일련번호?1)'번째의 서브프레임에서, 각 셀용 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SI 타이밍 조정부(27)에 의해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각 셀용 SI를 송신하도록, 각 셀용 하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능 5에 따르면, 그 결과, 다른 송신타이밍에서 각 셀용 SI를 송신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셀용 SI끼리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기능 6〉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6은, SI 타이밍 조정부(27)와, PDSCH 타이밍 조정부(28)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각 셀용 SI나 SI 이외의 PDSCH용 신호(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향신호 출력부(22)는, 각 셀용 SI 윈도우 내에서, PDSCH를 통해, 각 셀용 SI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PDSCH 타이밍 조정부(28)는, 상술한 SI 이외의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DSCH 타이밍 조정부(28)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에서는, 셀 1용 PDSCH용 신호 및 셀 2용 PDSCH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SI 타이밍 조정부(27)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과, 셀 1(또는 셀 2)용 SI 이외의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이 중복하는 경우에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을, 1개의 서브프레임분만큼 늦추도록 조정해도 좋다.
혹은, SI 타이밍 조정부(27)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과, 셀 1(또는 셀 2)용 SI 이외의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이 중복하는 경우에는, 셀 1(또는 셀 2)용 SI 이외의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을, 1개의 서브프레임분만큼 늦추도록 조정해도 좋다.
혹은, SI 타이밍 조정부(27)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과, 셀 1(또는 셀 2)용 SI 이외의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이 중복하는 경우에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을, 다음의 셀 1용 SI 윈도우까지 늦추도록 조정해도 좋다.
혹은, SI 타이밍 조정부(27)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과, 셀 1(또는 셀 2)용 SI 이외의 PDSCH용 신호의 송신타이밍이 중복하는 경우에는, 상기 셀 1용 SI의 송신을 수행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SI 타이밍 조정부(27)에 의해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각 셀용 SI를 송신하고, PDSCH 타이밍 조정부(28)에 의해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각 셀용 SI 이외의 PDSCH용 신호를 송신하도록, 각 셀용 하향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능 7〉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7은, 판단부(29)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판단부(29)는, 송신해야 할 각 셀용 하향데이터신호, 구체적으로는, 송신해야 할 각 셀용 PDSCH용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셀 모의부 1 내지 3은, 각각, 송신해야 할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셀 1용 PDSCH용 신호 내지 셀 3용 PDSCH용 신호를 생성하고, 송신해야 할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셀 1용 PDSCH용 신호 내지 셀 3용 PDSCH용 신호를 생성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송신해야 할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PDSCH 신호의 송신을 수행하고, 송신해야 할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PDSCH 신호의 송신을 정지한다.
기능 7에 의하면, 송신해야 할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PDSCH용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셀용 PDSCH 신호끼리의 간섭을 가능한 한 회피할 수 있다.
〈기능 8〉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능부 8은, 리소스 할당부(26)와, 리소스 제한부(30)와, 셀 모의부 1 내지 3과, 하향신호 출력부(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리소스 제한부(30)는,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리소스 할당부(26)는, 리소스 제한부(30)에 의한 제한상황을 고려하여,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리소스 할당부(26)에 의해 할당된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각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소스 할당부(26)는,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각 셀용 PDSCH용 신호(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에는, P?SS나, S?SS나, P?BCH(Physical BCH)용 신호가 송신된다.
따라서, 바꿔말하면, 리소스 할당부(26)는,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P?SS나 S?SS나 알림정보가 송신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각 셀용 PDSCH용 신호(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의 대역폭 내에, 짝수개의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소스 할당부(26)는,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6개의 리소스 블록을, 각 셀용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편,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의 대역폭 내에, 홀수개의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리소스 할당부(26)는,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7개의 리소스 블록을, 각 셀용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의 대역폭이 '5MHz'인 경우, 상기 대역폭 내에, 25개의 리소스 블록이 포함되기 때문에, 리소스 할당부(26)는,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7개의 리소스 블록을, 각 셀용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능 8에 의하면, 각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P?SS나 S?SS 등의 송신에 사용되는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각 셀용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사용하는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기 때문에, PDSCH용 신호와 P?SS나 S?SS와의 사이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3개의 셀에 관해, 기능 1 내지 8이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냈으나, 대신에, 2개의 셀, 혹은, 4개 이상의 셀에 관해, 기능 1 내지 8이 적용되어도 좋다. 이 경우, 2개의 셀, 혹은, 4개 이상의 셀 간에,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술한 기능 1 내지 8이 적용된다.
(변경예)
도 19에,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20)의 변경예에 대해 나타낸다.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시뮬레이터 장치(20)는, 기능 1 내지 8의전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기능을 개별로 'ON' 또는 'OFF'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기능 1 내지 8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의 기능 1 내지 8의 동작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는, 기능 5의 출력은, 기능 6이 'ON'인 경우에는, 기능 6에 대해 송신되고, 기능 6이 'OFF'인 경우에는, 각 셀 모의부에 대해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기능 8의 출력은, 기능 4가 'ON'인 경우에는, 기능 4에 대해 송신되고, 기능 4가 'OFF'인 경우에는, 각 셀 모의부에 대해 송신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을 참조하여, 물리 채널 또는 물리신호의 조합과, 상기 조합에 대해 적용하는 것이 유효한 기능과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인 경우에는,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RS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HICH(Physical HARQ Indicator Channel)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셀 1용 하향신호가, P?SS 또는 S?S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는, 기능 8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셀 1용 하향신호가, R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RS인 경우에도, 기능 3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R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인 경우에도, 기능 5, 6, 7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저감할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RS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4, 5, 6, 7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저감할 수 있다.
셀 1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CFI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HI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B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8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CFI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CFI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3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CFI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인 경우에도, 기능 5, 6, 7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저감할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CFI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1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셀 1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5, 6, 7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HICH용 신호인 경우에도, 기능 5, 6, 7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는 아니지만 저감할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DC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2를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셀 1용 하향신호가, PHI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HI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3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또, 셀 1용 하향신호가, PHI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 기능 2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셀 1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이고, 셀 2용 하향신호가, PDSCH용 신호인 경우에도, 기능 4, 5, 6, 7을 'ON'으로 함으로써, 셀 1용 하향신호와 셀 2용 하향신호와의 사이의 간섭을 완전히 없앨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셀 1(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셀 2(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PDCCH용 신호(하향제어신호) 및 PDSCH용 신호(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를 포함하는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와, 제2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동일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셀 1(제1 셀) 및 셀 2(제2 셀)에 대해 PCI(물리 셀 ID)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PCI 할당부(25)와,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셀 1에 부여되어 있는 PCI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셀 2에 부여되어 있는 PCI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PCI 할당부(25)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와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셀 1 및 셀 2에 대해 PCI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리소스 블록(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리소스 블록(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을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소스 할당부(26)와,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리소스 블록에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제2 리소스 블록에서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리소스 할당부(26)는, 셀 1용 하향신호 및 셀 2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주파수방향 리소스)을 주파수방향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의 하나를 제1 리소스 블록 및 제2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리소스 할당부(26)는, 제1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는 그룹과 제2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는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5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SI 윈도우(제1 소정기간) 내에서 셀 1용 SI(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제2 SI 윈도우(제2 소정기간) 내에서 셀 2용 SI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1용 SI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과 셀 2용 SI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타이밍으로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6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SI 윈도우 내에서 셀 1용 SI를 송신하고,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에서는,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7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PDSCH(물리 하향링크 데이터채널)를 통해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하향신호 출력부(22)는, 송신해야 할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PDSCH 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8 특징은, 시뮬레이터 장치(20)에 있어서, 셀 1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소스 할당부(26)와,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1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고,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2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22)를 구비하고, 리소스 할당부(26)는, 셀 1용 하향신호 및 셀 2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9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0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PDCCH용 신호(하향제어신호) 및 PDSCH용 신호(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를 포함하는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와,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고, 상기 공정에 있어서, 제1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와, 제2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PDCCH용 신호 및 PDSCH용 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1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셀 1 및 셀 2에 대해 PCI를 할당하는 공정 A와,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셀 1에 부여되어 있는 PCI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셀 2에 부여되어 있는 PCI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공정 A에 있어서,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와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셀 1 및 셀 2에 대해 PCI를 할당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2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리소스 블록(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리소스 블록(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을 할당하는 공정 A와,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리소스 블록에서 셀 1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제2 리소스 블록에서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공정 A에 있어서, 셀 1용 하향신호 및 셀 2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리소스 블록(주파수방향 리소스)을 주파수방향으로 복수의 그룹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그룹의 하나를 제1 리소스 블록 및 제2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고, 공정 A에 있어서, 제1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는 그룹과 제2 리소스 블록으로서 할당하는 그룹을 다른 그룹으로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3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SI 윈도우 내에서 셀 1용 SI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고, 제2 SI 윈도우 내에서 셀 2용 SI 알림정보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셀 1용 SI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과 셀 2용 SI 또는 동기신호의 적어도 하나의 송신타이밍을 다른 타이밍으로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4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SI 윈도우 내에서 셀 1용 SI를 송신하고,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공정에 있어서, 셀 1용 SI의 송신타이밍에서는, 셀 2용 하향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5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PDSCH를 통해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송신해야 할 특정 셀용 하향데이터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PDSCH를 통한 하향신호의 송신을 정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6 특징은, 시뮬레이트 방법에 있어서, 셀 1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셀 2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 A와, 이동국(UE)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1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고,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셀 2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공정 A에 있어서, 셀 1용 하향신호 및 셀 2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상술한 이동국(UE)이나 시뮬레이터 장치(20)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이동국(UE)이나 시뮬레이터 장치(2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이동국(UE)이나 시뮬레이터 장치(2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 장치.
  2.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향신호 출력부는, 상기 제1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와, 상기 제2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동일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 장치.
  3. 제1 셀 및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물리 셀 ID 할당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물리 셀 ID 할당부는,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와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 장치.
  4.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리소스 할당부;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향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소스 할당부는,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 및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터 장치.
  5.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프레임의 선두위치를 옮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트 방법.
  6.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하향제어신호 및 하향데이터신호를 포함하는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을 가지며,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1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와,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제2 무선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의 경계를 맞추고,
    상기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와, 상기 제2 무선프레임 내의 각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하향제어신호 및 상기 하향데이터신호의 송신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트 방법.
  7. 제1 셀 및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는 공정 A;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셀에 부여되어 있는 물리 셀 ID에 의해 결정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와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가 중복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에 대해 물리 셀 ID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트 방법.
  8.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할당하는 공정 A;
    이동국에 대해, 모의신호로서,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1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 상기 제2 셀용 하향데이터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가지며,
    상기 공정 A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용 하향신호 및 상기 제2 셀용 하향신호의 송신에 사용 가능한 주파수방향 리소스 중, 중앙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중심으로 한 소정수의 주파수방향 리소스를, 상기 제1 주파수방향 리소스 및 상기 제2 주파수방향 리소스로서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뮬레이트 방법.
KR1020117027168A 2009-05-14 2010-05-14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 KR201200229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118109A JP4806714B2 (ja) 2009-05-14 2009-05-14 シミュレータ装置及びシミュレート方法
JPJP-P-2009-118109 2009-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948A true KR20120022948A (ko) 2012-03-12

Family

ID=43085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168A KR20120022948A (ko) 2009-05-14 2010-05-14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120120917A1 (ko)
EP (2) EP2432272A1 (ko)
JP (1) JP4806714B2 (ko)
KR (1) KR20120022948A (ko)
CN (2) CN102422668A (ko)
AU (1) AU2010248381A1 (ko)
BR (1) BRPI1012110A2 (ko)
WO (2) WO20101317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4975B2 (en) * 2008-09-19 2013-12-24 Qualcomm Incorporated Synchroniz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037155B2 (en) * 2008-10-28 2015-05-19 Sven Fischer Time of arrival (TOA) estimation for position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982851B2 (en) * 2009-01-06 2015-03-17 Qualcomm Incorporated Hearability improvements for reference signals
US8688139B2 (en) 2009-09-10 2014-04-01 Qualcomm Incorporated Concurrent wireless transmitter mapping and mobile station positioning
US9091746B2 (en) 2010-07-01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of positions of wireless transceivers to be added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797170B1 (ko) * 2010-10-01 2017-11-15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불연속 수신(drx)을 조정하는 방법
WO2017033840A1 (ja) * 2015-08-21 2017-03-02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7309B2 (ja) * 1997-12-24 2002-07-24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端末用試験装置および無線端末用電波環境試験装置
JP4069540B2 (ja) * 1999-03-10 2008-04-02 Kddi株式会社 マルチセル伝搬環境模擬装置
US20020183054A1 (en) * 2001-04-09 2002-12-05 Yoram Rimoni Mobile system testing architecture
JP2004112163A (ja) * 2002-09-17 2004-04-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局試験装置
JP4071660B2 (ja) * 2003-03-28 2008-04-02 Kddi株式会社 伝搬環境模擬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352625A (ja) * 2005-06-17 2006-12-28 Nec Commun Syst Ltd 通信試験装置と通信試験システム,通信試験方法及び通信試験プログラム
JP4440895B2 (ja) * 2006-01-18 2010-03-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SI2095524T1 (sl) * 2006-11-01 2019-02-28 Qualcomm Incorporated Zasnova referenčnega signala za iskanje celice v ortogonalnem brezžičnem komunikacijskem sistemu
US8478263B1 (en) * 2008-04-09 2013-07-02 Clearwire Ip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ireless chipset performance
US8229416B2 (en) * 2008-09-23 2012-07-24 Ixia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tress testing mobile network equipment using a 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JP5392268B2 (ja) * 2009-01-05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移動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2394461A4 (en) * 2009-02-05 2016-06-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USER EQUIPMENT IN A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22667A (zh) 2012-04-18
JP2010268251A (ja) 2010-11-25
JP4806714B2 (ja) 2011-11-02
US20120106480A1 (en) 2012-05-03
EP2432272A1 (en) 2012-03-21
CN102422668A (zh) 2012-04-18
US20120120917A1 (en) 2012-05-17
WO2010131750A1 (ja) 2010-11-18
AU2010248381A1 (en) 2011-12-08
BRPI1012110A2 (pt) 2016-03-29
WO2010131749A1 (ja) 2010-11-18
EP2432271A1 (en) 2012-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7142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ES2925865T3 (es) Método, programa informático y aparato para seleccionar un haz para traspaso
KR20120022948A (ko) 시뮬레이터 장치 및 시뮬레이트 방법
US9621315B2 (en) Method for allocating multi-UEs'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uplink resources and eNB
EP3813446A1 (en) Transmission timing adjustment method and device
WO2010032847A1 (ja) 移動局、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5484396B2 (ja) 移動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US8750107B2 (en) Mobile communication method and mobile station
WO2016169046A1 (zh) 一种终端、基站和数据传输方法
JP2021503216A (ja) ランダムアクセスのための方法、デバイス、コンピュータ可読ストレージ、およびキャリア
JP7074143B2 (ja) 方法およびユーザ機器
EP4179354A1 (en) Radar signal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WO2010110285A1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6152253B2 (ja) 無線基地局
JP2010232743A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2010232741A (ja) 無線基地局及び移動通信方法
JP5947638B2 (ja)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JP2010268471A (ja) シミュレータ装置及びシミュレート方法
JP2011166712A (ja) 移動通信方法、無線基地局及び移動局
JP2022529566A (ja) V2x通信装置のためのリソースプールを軟分離する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EP3092857B1 (en) Method and access point for implementing timing sychronizaion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