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456A -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 Google Patents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456A
KR20120022456A KR1020100086062A KR20100086062A KR20120022456A KR 20120022456 A KR20120022456 A KR 20120022456A KR 1020100086062 A KR1020100086062 A KR 1020100086062A KR 20100086062 A KR20100086062 A KR 20100086062A KR 20120022456 A KR20120022456 A KR 20120022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buoyancy
support frame
cover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5253B1 (ko
Inventor
김철재
Original Assignee
김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철재 filed Critical 김철재
Priority to KR102010008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2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 구조의 망체 입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는 개폐구를 마련함과 동시에 개폐구 자체가 부력을 가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살림망 개폐구는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망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제공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Opening and shutting implement of fishing net having buoyancy and fishing net}
본 발명은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 구조의 망체 입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는 개폐구를 마련함과 동시에 개폐구 자체가 부력을 가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림망은 낚시에서 낚은 물고기를 살아있는 상태로 보관하는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이 즐기고 있는 취미로 자리 잡은 낚시는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단한 도구 그리고 호수와 강, 바다 등 낚시 장소가 많은 국내 실정과 맞물려 이용 인구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보통 낚시는 자리를 잡은 상태에서 낚시대 등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잡은 후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는데 이때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살림망이다.
종래의 살림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잡은 물고기를 넣어 둘 수 있도록 물고기가 유영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그물망 구조의 망체(1)와, 망체(1)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복수개의 링(2)이 망체(1)에 다단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망체(1)의 상부에는 입구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개폐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개폐부에 의해 넣어 둔 물고기가 외부로 도망갈 수 없다. 또한, 살림망(1)을 물에 던져놓았을 때 물에 가라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구들(4)이 망체(1)의 입구 주변에 설치된다. 이러한 살림망은 사용 중에는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좋고 사용 후에는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철되거나 수축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살림망에 적용된 개폐부는 망체(4)의 입구 둘레를 따라 끈(3)을 결합한 후 끈(3)의 양단부는 구슬이나 클립노브에 형성된 구멍에 꿰어 만들어졌다. 이러한 개폐부는 망체의 입구를 열기 위해 구슬이나 클립노브를 끈을 따라 뒤로 당겨 망체의 입구를 벌리고, 구슬이나 클립노브를 끈을 따라 앞으로 밀어 망체의 입구를 조여 망체의 입구를 닫는 구조이다.
하지만, 종래의 살림망의 경우 한손으로 끈의 단부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 구슬이나 클립노브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반드시 양손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고 닫을 때마다 구슬이나 클립노브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다. 또한, 양손을 사용하여 입구를 연 다음 잡은 한 손으로 물고기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입구를 잡은 상태에서 물고기를 넣어야 하므로 물고기를 망체에 넣는 과정 중에 물고기를 놓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입구를 한 손만으로 잡고 있으므로 입구가 쳐져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지 않아 물고기를 입구로 넣기가 어렵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번호 1976-0001434호에는 자동개폐식 살림망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살림망은 입구에 한쌍의 반원형 개폐판을 서로 대향시켜서 축수돌기에 각기 축으로 유착하되 축에는 탄지스프링을 권취하여 개폐판을 상향 탄지시킨 구조이다.
상기 살림망은 물고기를 넣는 경우 물고기의 중량에 의해 개폐판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입구가 개방되어 물고기의 주입시 편한 면은 있으나, 물고기를 살림망에는 꺼내는 경우 개폐판을 한 손으로 누르고 다른 한 손은 살림망 내부로 집어 넣어서 물고기를 꺼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살림망은 물에 던져 놓았을 때 물에 뜨질 못하고 수중으로 가라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망체 입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자체에 부력을 가져 별도의 부구를 설치하지 않고도 망체가 물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림망 개폐구는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망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제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제공수단으로 상기 덮개가 물과 접촉시 부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제공수단은 상기 중공부에 충진되며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제공수단으로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덮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형성된 웨이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덮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그물망의 코에 꿰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장착되는 링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링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살림망은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포획된 어류를 수용할 수 있는 그물망 구조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망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개폐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망체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를 설치하여 망체 입구를 용이하게 여닫을 수 있으며 개폐구 자체가 부력을 가져 망체가 물에 가라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부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살림망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살림망을 물에 던져 놓으면 부력에 의해 자동으로 덮개가 개구부를 폐쇄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살림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림망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적용된 개폐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에 망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의 저면을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개폐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덮개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된 지지프레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2에서 개폐구의 작동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살림망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살림망(10)은 크게 망체(20)와, 망체(20)의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를 구비한다.
망체(20)는 내부에 포획된 어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에 입구가 형성된 자루 구조를 갖는다. 망체(20)는 통상적인 그물망으로 형성된다. 망체(20)는 나일론 소재 등의 실을 이용하여 엮어 만든다. 망체(20)는 입구보다 하부쪽이 공간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구는 망체(20)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폐구는 지지프레임(40)과, 덮개(50)와, 부력제공수단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40)은 타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원형의 개구부(41)가 마련된다. 지지프레임(40)은 도시된 바와 달리 타원형 외에도 정원형, 사각형 또는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프레임(40)에 형성된 개구부(41)를 통해 망체(20)의 내부로 어류를 넣거나 망체(20)의 내부로부터 어류를 꺼낸다.
지지프레임(40)에는 걸이용 끈(5)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편(43)이 2개 형성된다. 고정편(7)은 지지프레임(40)의 외측면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고정편(43)에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걸이용 끈(5)의 단부를 각 고정편(43)의 관통홀로 통과시킨 후 걸이용 끈(5)의 단부에 관통홀의 직경보다 더 큰 매듭을 형성하여 고정편(43)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편 외에도 지지프레임(40)을 관통하는 체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에 걸이용 끈(5)을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프레임(40)은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가볍고 부식에 강한 수지를 이용하여 블로어 성형 또는 사출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망체(20)와 별도로 제작되는 지지프레임(40)을 망체(20)와 결합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결합수단으로 망체(20)의 코에 꿰어지며 지지프레임(40)의 하부에 마련된 결합홈(45)에 장착되는 링부재(7)와, 지지프레임(4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삽입홀(46)에 삽입되어 링부재(7)를 지지프레임(4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90)를 구비한다.
링부재(7)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리스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링부재(7)를 망체(20)에 결합하기 위해서 망체(20)의 입구 둘레를 따라 망체(20)의 코에 꿰서 결합시킨다. 링부재(7)를 망체(20)에 결합시킨 후 링부재(7)의 양단부를 결합시킨다.
망체(20)의 입구에 결합된 링부재(7)는 고정부재(90)에 의해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지지프레임(40)의 하면에는 링부재(7)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결합홈(45)이 마련된다. 결합홈(45)은 단면이 반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45)은 지지프레임(40)의 저면을 따라 360도 형성된다. 고정부재(90)에 의해 링부재(7)의 고정시 링부재(7)는 결합홈(45)에 안착된다.
고정부재(90)를 이용하여 링부재(7)를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40)에는 다수의 삽입홀(4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각 삽입홀(46)의 하부는 결합홈(45)과 연결되도록 지지프레임(40)에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삽입홀(46)은 제 1통로(47) 및 제 1통로(47)의 하부에 형성된 제 2통로(49)로 이루어진다. 제 1통로(47)와 제 2통로(49)는 직경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즉, 제 1통로(47)의 직경은 제 2통로(49)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에 의해 삽입홀(46)의 중간에는 턱이 형성된다.
망체(20)와 결합된 링부재(7)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부재(90)의 일단을 삽입홀(46)의 상부에서 하부로 통과시킨 다음 링부재(20)를 걸고 다시 삽입홀(46)을 통과시킨다. 이 상태에서 지지프레임(40)의 상부로 노출된 고정부재(90)를 상방으로 당겨 링부재(7)가 결합홈(45)에 안착되도록 한 후 고정부재(90)의 양단을 서로 결합하면 링부재(7)가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된다. 고정부재(90)의 양단은 서로 묶어서 매듭을 짓거나,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90)로 통상적인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면 고정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케이블 타이의 헤드(91)에 형성된 고정홀에 밴드(93)를 통과시켜 밴드(93)로 링부재(7)를 조인 다음 헤드(91)를 삽입홀의 제 1통로부(47)에 끼워 넣는다. 이때 삽입홀(46)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밴드(93)는 잘라낸다.
덮개(50)는 지지프레임(40)에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구부(41)를 개폐한다.
덮개(50)는 지지프레임(40)의 내경보다 더 작은 판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덮개(50)는 지지프레임(40)과 대응되는 형상인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데, 이와 같이 폭은 좁고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큰 물고기를 쉽게 넣을 수 있다. 덮개(50)는 지지프레임(40)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된다. 덮개(50)의 외주면에는 2개의 고정핀(51)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2개의 고정핀(51)은 각각 지지프레임(40)의 내측면에 형성된 회동홈(44)에 삽입된다. 2개의 고정핀(51)을 잇는 가상의 선이 덮개(50)의 회전중심이 된다. 바람직하게 회전중심은 덮개(50)의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으로부터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50)는 지지프레임(4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지지프레임(40)의 소재가 탄성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50)를 지지프레임(40)에 결합시 회동홈(44)을 사이에 두고 지지프레임(40)의 양측을 가압하게 되면 지지프레임(40)이 변형되어 회동홈(44)이 형성된 방향으로 직경이 커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덮개(50)를 지지프레임(40)의 내측에 삽입한 후 고정핀(51)을 회동홈(44)에 삽입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40)의 내측면에 회동홈(60)이 형성되고, 회동홈(60)에서부터 지지프레임(40)의 하단까지 고정핀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65)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65)은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를 갖는다. 가이드홈(65)의 하부 폭은 고정핀의 직경보다 더 크고, 가이드홈(65)의 상부 폭은 고정핀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핀을 가이드홈(65)의 하부에 정렬시킨 후 가이드홈(65)을 따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가이드홈(65)의 상부가 억지로 벌어지면서 회동홈(60)에 고정핀이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핀(51)에 의해 지지프레임(40)에 힌지결합된 덮개(50)는 고정핀(51)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면서 개구부(41)를 개폐하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50)는 고정핀(51)을 중심으로 지지프레임(40)의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구부(41)를 개방하게 되고, 개방상태에서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구부(41)를 폐쇄하게 된다. 개구부(41)의 폐쇄시 덮개(50)가 지지프레임(40)의 하단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덮개(50)의 일측에 스토퍼(53)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50)는 고정핀(51)이 편심되어 설치되므로 자중에 의해 고정핀(51)을 중심으로 덮개(50)의 좌측부분이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개구부(41)를 개방시킨다. 그리고 이와 달리 외력이 덮개(50)의 좌측부분에 가해져 덮개(50)가 회전하게 되어 개구부(41)를 개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개방된 개구부(41)는 덮개(50)의 좌측부분이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구부(41)의 하단에 걸림으로써 폐쇄된다. 이때 개구부(41)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덮개(50)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은 부력제공수단이다.
본 발명에서 부력제공수단은 망체(20)에 부력을 제공하여 망체(20)가 물 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바람직하게 덮개(50)에 부력을 제공하여 덮개(50)가 개구부(41)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부력제공수단은 지지프레임(40) 또는 덮개(50)에 마련된다.
도시된 부력제공수단의 일 예로 덮개(50)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부(54)를 구비한다. 이러한 중공부(54)는 망체(20)에 부력을 제공하여 살림망을 물에 던져 놓는 경우 살림망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부력은 중공부(54)의 크기를 적절히 변형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지지프레임(40)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망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 및 덮개 모두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중공부를 형성하기 위해 블로어 성형방식으로 지지프레임 및 덮개를 제작할 수 있다. 사출성형방식으로 상하부를 별개로 성형하여 상하부를 조립하여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제공수단으로 덮개(50)의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중공부에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55)가 채워질 수 있다. 부력부재(55)는 비중이 물보다 낮기만 하면 특별히 소재의 제한이 없다. 따라서 부력부재(55)로 물보다 비중이 낮은 유체, 발포물질 등과 같은 다공성 물질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부력부재(55)는 덮개(50)의 일측에 치우쳐 충진될 수 있다. 즉, 고정핀(51)을 중심으로 덮개(50)의 좌측 내부에만 부력부재(55)가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50)의 우측보다 덮개(50)의 좌측에 더 큰 부력이 작용하므로 덮개(50)의 회전력을 증대시킬 수 있어 개구부의 폐쇄가 용이하고 빠르다.
도 2와 같이 상술한 부력제공수단을 갖는 살림망(10)은 물에 던져지게 되면 부력제공수단에 의해 개폐구에 부력이 작용하여 살림망이 물속으로 가라앉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덮개(50)에 부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때의 부력에 의해 덮개(50)는 상방으로 힘을 받게 되어 고정핀(51)을 중심으로 덮개(50)의 좌측부분이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개구부(41)를 폐쇄하게 된다. 개폐구가 물과 접촉하는 동안에는 덮개(50)에 부력이 계속 작용하게 되므로 개구부(41)는 폐쇄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잡은 물고기를 살림망(10)에 넣기 위해 살림망(10)을 물 밖으로 꺼내면 덮개(5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아 덮개(50)의 자중에 의해 덮개(50)가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구부(41)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덮개(50)를 열기 위한 별도의 행동을 취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잡은 물고기를 살림망(10) 내부에 넣을 수 있고, 이 상태에서 다시 살림망(10)을 물에 던져 놓으면 부력에 의해 덮개(50)가 개구부(41)를 폐쇄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덮개(50)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이 더 구비된다. 가압수단은 물 밖에서도 덮개(50)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가압수단의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50)의 고정핀을 기준으로 덮개(50)의 우측에 웨이트부재(70)가 형성된다. 웨이트부재(70)로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추가 설치된다. 웨이트부재(70)는 물보다 비중이 더 큰 소재를 이용한다. 웨이트부재(7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압수단의 다른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덮개(5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75)가 구비된다. 탄성부재(75)로 토션스프링이 적용된다. 탄성부재(75)는 고정핀(51)에 설치되어 일단은 지지프레임(40)에 형성된 고정돌기(77)에 지지되고, 타단은 덮개(50)의 저면에 지지된다.
상술한 가압수단에 의해 덮개(50)가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물밖에서도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살림망은 물에 던져 놓는 경우 가압수단의 가압력과 함께 부력이 작용하므로 개구부의 폐쇄가 신속하고 빠르게 이루어진다. 또한, 개구부의 폐쇄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망체(2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형태유지부가 구비될 수 있는 데, 형태유지부는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망체(20)의 둘레를 따라 망체(20)에 결합된 다수의 지지링들(3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지링들(30)은 망체(20)를 횡방향으로 확장시켜 망체(20)의 형태를 유지시킴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망체(20)를 종방향으로 확장시킨다. 또한, 망체(20)의 하부에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추(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않은 구성요소는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살림망 20: 망체
30: 지지링 40: 지지프레임
41: 개구부 44: 회동홈
50: 덮개 51: 고정핀
54: 중공부 55: 부력부재

Claims (9)

  1. 내부에 포획된 어류를 수용할 수 있는 그물망 구조의 망체 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망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제공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제공수단으로 상기 덮개가 물과 접촉시 부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개구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제공수단은 상기 중공부에 충진되며 물보다 비중이 낮은 부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제공수단으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일정한 크기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중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덮개를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덮개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어느 일측에 형성된 웨이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덮개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그물망의 코에 꿰어지며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마련된 결합홈에 장착되는 링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삽입홀에 삽입되어 상기 링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결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9.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포획된 어류를 수용할 수 있는 그물망 구조의 망체와;
    상기 망체의 입구 둘레를 따라 설치되며 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에 지지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상기 덮개에 마련되어 상기 망체에 부력을 제공할 수 있는 부력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개폐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림망.

KR1020100086062A 2010-09-02 2010-09-02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KR101315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062A KR101315253B1 (ko) 2010-09-02 2010-09-02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062A KR101315253B1 (ko) 2010-09-02 2010-09-02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456A true KR20120022456A (ko) 2012-03-12
KR101315253B1 KR101315253B1 (ko) 2013-10-08

Family

ID=4613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062A KR101315253B1 (ko) 2010-09-02 2010-09-02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2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289B1 (ko) * 2014-12-12 2015-03-18 김태심 유인구 자동 차단 통발
KR20180043545A (ko) * 2016-10-20 2018-04-30 유성옥 그물망의 강도를 높여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살림망
KR200490774Y1 (ko) * 2019-04-04 2019-12-31 송영철 어획물 보관기구
US20210105990A1 (en) * 2019-10-09 2021-04-15 Daniel Lee Davidson Scallop harvesting ba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340Y1 (ko) * 2004-11-18 2005-03-11 남창희 가방형 살림망.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289B1 (ko) * 2014-12-12 2015-03-18 김태심 유인구 자동 차단 통발
KR20180043545A (ko) * 2016-10-20 2018-04-30 유성옥 그물망의 강도를 높여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살림망
KR200490774Y1 (ko) * 2019-04-04 2019-12-31 송영철 어획물 보관기구
US20210105990A1 (en) * 2019-10-09 2021-04-15 Daniel Lee Davidson Scallop harvesting bag
US11779002B2 (en) * 2019-10-09 2023-10-10 Pluck Em Dive Sports Llc Scallop harvesting b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253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253B1 (ko) 부력을 갖는 살림망의 개폐구 및 이를 이용한 살림망
US8806803B1 (en) Combination bait bucket and tackle box
AU2002301546B2 (en) Case Structure for Housing Fishing Hook and its Fixing Method
US3559329A (en) Bag with one-way entrance
US8516737B2 (en) Coverable fish net apparatus
US10595518B1 (en) Netting apparatus
US20120246994A1 (en) Ice hole cover
US2734305A (en) Live bait bucket
US20100180489A1 (en) Fish hook enclosure
KR200467070Y1 (ko) 낚시바늘이 없는 두족류 주낙용 어구
JP6313396B1 (ja) ルアーの釣針カバー装置
US11140886B1 (en) Livewell
KR100860492B1 (ko) 낚시용 뜰채 걸이장치
JP2008212129A (ja) イカ釣り用疑似餌
CN108703117B (zh) 一种钓鱼竿
US2739409A (en) Angling bag
GB2449649A (en) Angling hair rig preparation jig
KR100403961B1 (ko) 조립식 로프장대
JP3191007B2 (ja) フィッシング用寄せえさかご
JP5834047B2 (ja) 小動物捕獲用の罠
KR20050002761A (ko) 권취식 낚시용 순간 포획장치
CN213153557U (zh) 捕鱼装置
WO2017146688A1 (en) The chum dumpster
JP3114441U (ja) 魚類捕獲具
KR200386977Y1 (ko) 낚시용 활어보관 망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