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302A -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Google Patents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2302A KR20120022302A KR1020100085760A KR20100085760A KR20120022302A KR 20120022302 A KR20120022302 A KR 20120022302A KR 1020100085760 A KR1020100085760 A KR 1020100085760A KR 20100085760 A KR20100085760 A KR 20100085760A KR 20120022302 A KR20120022302 A KR 201200223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bubble
- toilet
- bubble generating
- foam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5—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for making foa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물과 거품 발생제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변기로 유입시켜 변기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되는 거품 발생 구조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아래쪽으로 혼합액이 유입되고 위쪽 부분이 폐쇄되어 내부에 거품이 수집될 수 있는 포집 관;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포집관의 하부로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관의 아래쪽에 연결되고 기체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 튜브; 및 유입 튜브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유입 튜브로 공급되는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물과 거품 발생제로부터 발생된 거품을 변기로 유입시켜 변기의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는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의 변기는 일반적으로 수세 방식으로 세척이 될 수 있지만 설치 장소에 따라 또는 다른 사정으로 인하여 물 세척이 어려울 수 있다. 특히 야외에 설치되는 간이 화장실 또는 공중 화장실의 경우 경제적인 이유와 시설 설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물로 세척이 되기 어렵다. 다른 한편으로 화장실의 청결 유지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세척이 되어야 하는 경우 물 세척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다. 변기의 물 세척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거품으로 세척이 되는 포세식 화장실이 개발되었다. 포세식 화장실은 거품을 이용하여 변기를 세척하는 한편 거품이 변기에 항상 흐르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변기의 청결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거품 세척은 물 세척에 비하여 복잡한 장치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종래의 포세식 화장실은 물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와 거품 발생을 위한 액제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고 이와 동시에 물과 액제가 적절한 양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장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이로 인하여 포세식 화장실은 수세식 화장실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제조 및 유지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종래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및 공급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유닛에서 거품 발생과 제공이 가능한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식 구조로 거품이 발생되고 변기로 유입되는 거품의 질과 양이 구조적으로 제어되어 제조 및 유지가 용이한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되는 거품 발생 구조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아래쪽으로 혼합액이 유입되고 위쪽 부분이 폐쇄되어 내부에 거품이 수집될 수 있는 포집 관;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포집관의 하부로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관의 아래쪽에 연결되고 기체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 튜브; 및 유입 튜브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유입 튜브로 공급되는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확산 장치는 포집관의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되는 거품 발생 구조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 제한 장치에 의하여 제한된 양의 혼합액을 수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집;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거품집의 하부로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어 거품집의 아래쪽에 연결되고 기체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 튜브; 및 유입 튜브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유입 튜브로 공급되는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는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되어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거품 발생 구조는 필요에 따라 소변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d는 도 2c의 수위 제한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가 적용된 화장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d는 도 2c의 수위 제한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가 적용된 화장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의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거품 발생 구조(10)는 물과 거품 발생제를 수용하는 거품 발생 하우징(11); 거품 발생 하우징(11)에 설치되는 거품 발생 수단(12); 거품 발생 수단(12)에서 발생된 거품을 포집하는 포집관(13); 및 포집관(13)의 거품을 변기로 배출하는 배출관(14)을 포함할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11)은 내부에 일정량의 액상 성분을 수용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품 발생 하우징(11)은 벽면에 부착될 수 있고 유입 및 유출을 위한 통로를 제외한 부분들이 밀폐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11)은 합성수지 또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으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거품 발생제는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물과 혼합되어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천연 또는 화학제가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산 염, 술폰산 염 또는 인산염 구조를 가진 음이온 계면활성제, 친수기로 4급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 알킬설포베타인 또는 알킬카르복시베타인과 같은 양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글리콜과 같은 저분자 계열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폴리비닐알코올과 같은 고분자 계로 이루어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계면 활성제는 물과 함께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물과 혼합되어 수용되거나 또는 거품 발생 수단(12)이 설치되는 장치 내에 일정량으로 배출이 되도록 계면활성제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물과 거품 발생제가 혼합되어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면 일정량의 혼합물이 거품 발생 수단(12)의 내부로 유입되어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거품 발생제가 별도의 수용 박스 또는 거품 발생 수단(12)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거품 발생제가 일정 속도로 외부로 배출되어 물과 혼합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거품 발생제와 물의 혼합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품 발생 수단(12)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과 거품 발생제로부터 거품을 발생시킨다. 거품 발생 수단(12)은 기체를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 장치(12a)와 확산 장치(12a)에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기체 공급기(12b)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장치(12a)는 예를 들어 에어 스톤(air stone) 또는 라임우드와 같이 산소 또는 공기를 확산시킬 수 있는 공지된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 스톤은 탱크 내부로 산소를 점진적으로 확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다공성 돌(poros stone)을 말한다. 에어 스톤은 유리 비드(bonded glass beads) 또는 유리섬유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형상, 크기 또는 크기 비율(coarseness)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 스톤은 적절한 직경의 공기 호스를 가진 플라스틱 노즐에 연결된 푸른색을 띠는 세라믹 소재의 다공성 돌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크기 또는 색깔로 만들어질 수 있다. 에어 스톤은 미세한 틈을 가진 고형 집합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압축될 수 있고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만들어질 수 있다. 거품 발생 수단(12)은 또한 확산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수단 그리고 물과 거품발생세제를 유입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기체 공급기(12b)는 확산장치(12a)로 산소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산소 발생기와 같은 장치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체 공급기(12b)는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기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거품의 발생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확산 장치(12a)가 거품 발생제와 함께 용기에 수용되고 물의 유입에 따라 적정량의 거품 발생제가 유출되면서 물과 함께 혼합되어 확산 장치(12a)에 의하여 공급되는 기체에 의하여 거품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품은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품 발생 수단(12)은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수면의 바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거품 발생 수단(12)의 이러한 위치가 가지는 이점을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확산 장치(12a)는 소모품에 해당하므로 필요에 따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품 발생 하우징(11)에 개폐 가능한 밀폐 방식의 문을 설치하고 필요에 따라 확산 장치(12a)를 외부로 꺼내어 소모품이 교환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거품 발생 수단(12)에서 발생된 거품은 포집관(13)에 수집될 수 있다. 포집관(13)은 임의의 형상으로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지만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포집관(13)의 위쪽 끝 부분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위쪽 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서 밀폐된 형태로 될 수 있다. 그리고 포집 관(13)의 아래 쪽 끝 부분은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아래쪽 면에 부착되거나 또는 아래쪽 면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이격이 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포집관(13)은 내부로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위쪽 부분에 거품이 수용될 수 있는 수집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 필요에 따라 포집관(13)의 내부로 물과 거품 발생제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 홀(131)이 포집관(13)의 아래쪽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포집관(13)의 아래쪽 끝 부분이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아래쪽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만큼 이격될 수 있다.
포집관(13)의 내부로 유입된 물과 거품 발생제의 수위는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수위와 일치할 수 있다. 포집관(13)의 위쪽 부분에 거품이 수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야 하므로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내부에 수용되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만수위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수위 면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위쪽 면으로부터 일정거리만큼 아래쪽에 형성된 수위 제한면(L)으로 제한될 수 있다. 수위 제한면(L)은 임의의 표시 형태가 될 수 있고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용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거품이 발생하여 포집관(13)의 위쪽 부분에 채워지게 되고 그리고 변기로 배출되기 시작하면 거품 발생 하우징(11) 내부의 수위가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포집관(13) 내부의 수위도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와 같이 포집관(13) 내부의 거품이 채워지는 공간은 거품의 발생 및 배출과 함께 점점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거품이 채워지는 공간은 물의 수위에 따라 변화될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포집관(13)의 직경을 거품의 발생량과 외부로 배출되는 거품의 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11)에 물과 거품 발생제의 유입을 위한 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입구(111)는 거품 발생 하우징(11)의 위쪽 부분에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는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덮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포집관(13)의 위쪽 부분에 채워진 거품은 배출관(14)을 통하여 일정량씩 지속적으로 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관(14)의 한쪽 끝은 포집관(11)에 연결되고 다른 한 쪽 끝은 출구(142)를 통하여 변기로 연결될 수 있다. 거품 배출관(14)은 포집관(13)의 위쪽 부분에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수위 제한면(L)의 위쪽에 연결될 수 있다. 출구(142)는 변기의 설치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형성 위치가 결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출구(142)의 형성 위치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 제시된 거품 발생 구조의 실시 예를 참조하면, 거품 발생 구조는 벽면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면(211)을 가진 거품 발생 하우징(21), 발생된 거품을 수집하는 포집관(23);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포집관((23)에 연결된 유도 튜브(25), 유도 튜브(25)의 내부로 유도되는 확산 장치(33) 및 포집관(23)의 거품을 변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24)을 포함할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내부는 투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투입된 물과 거품 발생제는 수위 제한면(L)까지 채워질 수 있다. 도 2의 B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튜브(25)는 유입 튜브(22)의 끝 부분에 결합된 확산 장치(33)가 포집관(23)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유도 튜브(25)는 속이 빈 관 형상으로 한쪽 끝은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다른 한 쪽 끝은 포집관(23)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로 노출된 한 쪽 끝을 통하여 끝 부분에 확산 장치(33)가 설치된 유입 튜브(22)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도록 주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의 B로 표시된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확산 장치(33)가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약간 위쪽에 위치하도록 유입 튜브(32)는 유도 튜브(2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 튜브(32)는 내부로 기체가 이동될 수 있는 속이 빈 관 구조를 가지면서 도 1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설명한 기체 공급기(12b)에 연결될 수 있다. 기체 공급기(12b)에서 공급되는 기체는 유도 튜브(26)를 통하여 포집관(23)의 내부에 위치하는 확산 장치(33)를 통하여 거품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다.
유도 튜브(25)는 포집관(23)의 아래쪽 부분에 연결되고 유도 튜브(25)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 튜브(32)의 끝 부분에 설치된 확산 장치(33)는 포집관(23)의 아래쪽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포집관(23)은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속이 빈 원통 형상의 포집관(23)의 아래쪽 끝은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바닥면(112)로부터 일정 간격(t)만큼 이격되어 있고 그리고 이격 된 틈을 통하여 물과 거품 발생제가 포집관(2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포집관(23)의 내부로 물과 거품 발생제를 유입시키는 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2a에 제시된 유입 구조에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집 관(23)의 아래쪽 면 또는 측면의 아래쪽 부분에 유입 홀을 형성하여 물과 거품 발생제를 포집관(23)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포집관(23)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거품 발생제는 확산 장치(33)로부터 공급되는 기체에 의하여 거품 형태로 만들어져 포집관(23)에 채워지게 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만수위는 수위 제한면(L)이 될 수 있고 포집관(23)의 내부에서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으로 채워지게 된다. 이후 거품이 발생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이와 동시에 계속적으로 거품 발생이 되면서 거품 발생 하우징(21) 내부의 수위가 낮아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거품 발생 면(L1)도 점차로 낮아지게 되고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에 채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거품 발생 면(L1)은 거품 발생 하우징(21) 내부의 수위 변화에 따라 변하게 되고 거품은 거품 발생 면(L1)의 위쪽에 항상 채워지게 된다.
거품 발생면(L1)의 위쪽에 채워진 거품은 거품 유출구(231)로 포집관(23)에 연결되고 외부 배출구(232)를 통하여 외부로 연결된 배출관(2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거품 발생 면(L1)은 수위에 따라 변하지만 확산 장치(33)는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확산 장치(33)의 위치가 고정되는 경우 수위에 따른 압력의 변화로 인하여 확산 장치(33)에서 배출되는 기체의 양이 달라지고 이로 인하여 거품의 발생 정도 또는 거품의 질이 변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확산 장치(33)의 위치가 수위에 따라 변하도록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아래에서 확산 장치(33)의 위치가 수위에 따라 변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확산 장치(33a)는 부유 이동구(31)에 고정되어 포집관(23)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부유 이동구(31)는 물과 거품 발생제의 비중을 고려하여 일부가 수면 위로 노출되고 포집관(23)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부유 이동구(31)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 빈 공간을 가져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물의 비중보다 약간 작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부유 이동구(31)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확산 장치(33a)는 부유 이동구(31)에 고정되어 부유 이동구(31)의 상하 이동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확산 장치(33a)는 수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부유 이동구(31)에 고정될 수 있고 유입 튜브(32)의 끝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유입 튜브(32)는 유도 튜브(25)를 통하여 포집관(23)의 내부로 유입되고 포집관(23)의 내부에서 포집관(23)의 높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연장될 수 있다. 부유 이동구(31)의 상하 방향(H)의 이동에 따라 확산 장치(33a)가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포집관(23)의 내부에서 연장된 유입 튜브(32)의 형태도 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만수위에서 유입 튜브(32)는 직선 형태로 연장되지만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구부러진 형상이 된다. 그러므로 유입 튜브(32)는 고무와 같이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유리하고 필요에 따라 구부러져 겹쳐질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수위에 따른 유입 튜브(32)의 형상 변화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소재 또는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부유 이동구(31)는 확산 장치(33a)의 이동을 위한 실시 예로 제시된 것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확산 장치(33a)가 포집관(23)의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포집관(23)의 내부로 아래쪽에 형성되는 이격 틈(G)을 통하여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입되고 유입 튜브(32)를 통하여 유입된 기체가 확산 장치(33a)를 통하여 확산되면서 거품이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거품은 포집관(23)의 위쪽에 채워지게 되고 일정량으로 지속적으로 배출관(24)을 통하여 변기로 배출된다.
거품 발생 구조는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내부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압력이 확산장치(33a)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확산 장치(33a)가 아래쪽에 위치하는 경우 물과 거품 발생제에 의하여 발생하는 압력이 확산 장치(33a)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하여 수위에 따라 거품 발생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2b에 제시된 실시 예의 경우 부유 이동구(31)로 인하여 확산장치에 압력이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수위에 변화에 따른 거품의 변화가 최소로 된다. 이와 같은 압력 변화에 따른 거품 발생 정도를 완화시킬 수 있는 다른 실시 예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2d는 수위 제한 장치에 대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거품 발생 하우징(21) 내부의 아래쪽에 거품집(34)이 설치될 수 있다. 거품집(34)은 내부에 일정량의 물과 거품 세정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외벽(34a)으로 둘러싸인 속인 빈 구조가 될 수 있고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바닥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위쪽으로 연장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일정 높이는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전체 높이에 비하여 충분히 낮은 높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전체 높이의 1/2 내지 1/10의 높이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거품집(34)은 내부로 연결된 유도 튜브(25)와 물과 세정제로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수위 제한 장치(35)를 통해서 외부와 연결되고 나머지 부분은 거품 발생 하우징(21)으로부터 밀폐된다. 유도 튜브(25)는 거품집(34)의 아래쪽 부분에 밀폐 수단(36)에 의하여 거품집(34)의 내부로 연결될 수 있고 수위 제한 장치(35)는 거품집(34)의 적절한 높이에 설치되어 제한된 양을 거품집(34)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밀폐 수단(36)은 예를 들어 수지 접착제와 같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것이 될 수 있고 수위 제한 장치(35)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이 된다.
수위 제한 장치(35)를 이용하여 정해진 양의 물을 거품집(34)의 내부로 유입시키고 확산장치에 의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은 거품의 질이 향상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거품집(34)의 수위는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므로 압력이 일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거품의 질이 일정하게 된다. 또한 거품집(34)의 부피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에 의하여 거품이 거품집(34) 내에 유지되는 시간을 적당하게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거품이 발생된 형태로 유지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거품집(34)에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수위 제한 장치(35)는 볼탑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2d는 수위 제한 장치(35)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d를 참조하면, 거품집(34) 내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입구(IN)를 통하여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입되고 유도 튜브(25)의 내부로 유도된 유입 튜브(32)의 끝 부분에 부착된 확산 장치(33)는 거품집(34)의 바닥 면에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도관(351)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수위(W1)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부구(352)가 꺾인 상태에서 수평 상태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 조절 장치(353)가 서서히 이동하면서 물의 유입량을 제한하게 된다. 부구(352)가 완전히 수평 상태가 되도록 수위(W1)가 상승하면 개폐 조절 장치(353)는 유도관(351)을 차단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과 거품 발생제의 유입이 중단된다. 물의 유입 과정에서 확산 장치(33)를 통하여 유입되는 기체에 의하여 거품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거품집(34)의 위쪽을 채우게 된다. 물과 거품 발생제의 유입이 중단되어도 거품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되므로 수위(W1)가 다시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부구(352)가 꺾인 상태로 되면서 물과 거품 발생제가 유입된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거품집(34)의 위쪽 공간(P)은 지속적으로 거품이 채워지게 되고 거품집(34) 내부의 물과 거품 발생제는 일정 수위로 유지될 수 있다. 거품집(34)의 위쪽 공간(P)에 채워진 거품은 배출관(24, 도 2a 참조)을 통하여 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d에 제시된 수위 제한 장치(35)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양한 형태가 본 발명에 따른 거품집(34)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수위 제한 장치(35)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가 적용된 화장실에 대하여 설명을 한다.
거품 발생 구조는 이동식 화장실을 포함하는 모든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이동식 화장실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는 적절한 변형을 통하여 소변기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가 적용된 이동식 화장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동식 화장실은 외부 하우징(41), 외부 하우징(41)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기(42), 변기에 거품을 공급하기 위한 거품 발생 하우징(21), 외부 하우징(41)을 지지하면서 변기(42)에서 배출되는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물 수거 통이 설치되는 받침대(44), 오물 수거 통에 수거된 오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물 배출구(43), 출입을 위한 계단(45), 안전을 위한 난간(46) 및 지붕(4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식 화장실은 야외에 임시 화장실의 용도로 설치될 수 있고 주로 세척을 위한 물의 공급이 어려운 곳에 설치될 수 있다. 기체 공급기(12b)는 건전기와 같은 자체 전력 공급원에 의하여 작동할 수 있고 산소 또는 공기를 기체 공급 관(123)을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거품 발생 하우징(21)으로 공급되는 기체의 양은 공급 양 조절기(122)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고 물과 거품 발생제는 미리 투입구(C)를 통하여 거품 발생 하우징(21)의 내부에 정해진 수준으로 채워질 수 있다. 거품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거품 발생 하우징(21)으로부터 변기(42)로 일정 양으로 배출되어 변기(42)의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만약 물과 거품 발생제가 모두 소비되면 다시 투입구(C)를 통하여 투입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는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되어 화장실의 청결이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작동 구조로 인하여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거품 발생 구조는 모든 형태의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적절한 구조의 변형을 통하여 소변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는 이동식 화장실에 적용되어 이동식 화장실의 구조를 간단히 하면서 제조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면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거품 발생 구조 11, 21: 거품 발생 하우징
12: 거품 발생 수단 13, 23: 포집관
14, 24: 배출관 12a, 33: 확산 장치
12b, 22b: 기체 공급기 L: 수위 제한면
211: 부착면 111: 입구
142: 출구 23: 포집관
231: 거품 유출구 232: 외부 배출구
25: 유도 튜브 32: 유입 튜브
212: 바닥면 L1: 거품 발생 면
34: 거품집 34a: 외벽
35: 수위 제한 장치 351: 유도관
41: 외부 하우징 42: 변기
43: 오물 배출구 44: 받침대
45: 계단 46: 난간
47: 지붕 C: 투입구
123: 공급 양 조절기
12: 거품 발생 수단 13, 23: 포집관
14, 24: 배출관 12a, 33: 확산 장치
12b, 22b: 기체 공급기 L: 수위 제한면
211: 부착면 111: 입구
142: 출구 23: 포집관
231: 거품 유출구 232: 외부 배출구
25: 유도 튜브 32: 유입 튜브
212: 바닥면 L1: 거품 발생 면
34: 거품집 34a: 외벽
35: 수위 제한 장치 351: 유도관
41: 외부 하우징 42: 변기
43: 오물 배출구 44: 받침대
45: 계단 46: 난간
47: 지붕 C: 투입구
123: 공급 양 조절기
Claims (3)
-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되는 거품 발생 구조에 있어서,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의 바닥면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연장되고 아래쪽으로 혼합액이 유입되고 위쪽 부분이 폐쇄되어 내부에 거품이 수집될 수 있는 포집 관;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포집관의 하부로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어 포집관의 아래쪽에 연결되고 기체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 튜브; 및
유입 튜브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유입 튜브로 공급되는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장치를 포함하는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기체 확산 장치는 포집관의 내부에서 수위에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포세식 화장실에 적용되는 거품 발생 구조에 있어서,
물과 거품 발생제의 혼합액을 수용하는 거품 발생 하우징;
거품 발생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위 제한 장치에 의하여 제한된 양의 혼합액을 수용하여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집;
거품 발생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거품집의 하부로 연결된 유도 튜브;
유도 튜브의 내부로 유입되어 거품집의 아래쪽에 연결되고 기체의 유입이 가능한 유입 튜브; 및
유입 튜브의 끝 부분에 부착되어 유입 튜브로 공급되는 기체를 확산시키는 확산 장치를 포함하는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5760A KR20120022302A (ko) | 2010-09-02 | 2010-09-02 |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5760A KR20120022302A (ko) | 2010-09-02 | 2010-09-02 |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2302A true KR20120022302A (ko) | 2012-03-12 |
Family
ID=46130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5760A Abandoned KR20120022302A (ko) | 2010-09-02 | 2010-09-02 |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2230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536B1 (ko) | 2015-09-11 | 2016-02-16 | 주식회사 선일 | 오수 재이용 고효율 무방류 이동식 화장실 |
CN106368276A (zh) * | 2016-10-28 | 2017-02-01 | 谢家福 | 连续发泡装置 |
KR20190000243U (ko) * | 2017-07-19 | 2019-01-29 | 송기풍 | 포세식변기용 세정액탱크 |
-
2010
- 2010-09-02 KR KR1020100085760A patent/KR20120022302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536B1 (ko) | 2015-09-11 | 2016-02-16 | 주식회사 선일 | 오수 재이용 고효율 무방류 이동식 화장실 |
CN106368276A (zh) * | 2016-10-28 | 2017-02-01 | 谢家福 | 连续发泡装置 |
KR20190000243U (ko) * | 2017-07-19 | 2019-01-29 | 송기풍 | 포세식변기용 세정액탱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728432U (zh) | 一种便座装置 | |
KR20120022302A (ko) | 포세식 화장실의 거품 발생 구조 | |
US20180044902A1 (en) | Liquid Chemical Dispensing Apparatus for Toilet Bowls with Remote Liquid Reservoir | |
CA2138705A1 (en) | Cleaning mechanism of a stool | |
US7862225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ixing a cleaning solution for a vehicle washing system | |
WO2016107376A1 (zh) | 一种防水、防臭、防漏集成卫生间 | |
JP2008138378A (ja) | 薬液混入水吐出装置および水洗便器装置 | |
KR100755747B1 (ko) | 포세식 좌변기 | |
CN2799701Y (zh) | 附泡沫发生装置的座便器 | |
CN105587137A (zh) | 一种内装整体卫生间 | |
CN204728431U (zh) | 一种泡沫发生装置 | |
KR20040043627A (ko) | 욕조 및 세면기의 폐수를 재활용 한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 | |
CN211774291U (zh) | 一种发泡装置以及安装有发泡装置的马桶盖 | |
KR20120057843A (ko) | 포세 방식 변기를 위한 거품 발생기 구조 | |
KR101577681B1 (ko) | 거품공급장치 | |
KR101534112B1 (ko) |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 |
JP2011069127A (ja) | 便器装置 | |
KR20120023228A (ko) | 포세 방식의 소변기 | |
KR101614271B1 (ko) | 수세식 겸용 포세식 화장실 | |
CN205653865U (zh) | 蹲便器 | |
KR20120005144A (ko) | 포세식 에프알피 화장실의 변기 구조 | |
CN211800098U (zh) | 一种泡沫发生装置 | |
KR200360137Y1 (ko) | 포세식 화장실용 거품 발생장치 | |
JPH11343654A (ja) | 瞬間泡封印便器 | |
KR102730470B1 (ko) | 좌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05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