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150A -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150A
KR20120022150A KR1020100085362A KR20100085362A KR20120022150A KR 20120022150 A KR20120022150 A KR 20120022150A KR 1020100085362 A KR1020100085362 A KR 1020100085362A KR 20100085362 A KR20100085362 A KR 20100085362A KR 20120022150 A KR20120022150 A KR 20120022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ngle
sheet
construction machin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478B1 (ko
Inventor
송진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5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647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2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3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with independent front and/or rear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specially constructed for use on tractors or like off-road vehicles
    • B60N2/39Seats tiltable to compensate for roll inclination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는 건설기계의 전후방향 축(X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롤 운동)과 좌우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피치 운동)이 가능하게 캐빈(10)의 내부에 설치된 시트(20); 건설기계의 경사각도(φ)(θ)를 측정하기 위한 각도감지센서(23);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과 피치 운동시키는 구동유닛(30); 및 상기 각도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된 경사각도(φ)(θ)를 근거로 상기 시트(20)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LEVEL OF SEAT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와 같은 건설기계는 다양한 환경의 건설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경사지와 같은 건설현장에서는 캐빈 내부의 운전자도 건설기계와 함께 기울어진 상태에서 건설기계를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 등을 조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경사지에서는 운전자가 중력에 의해 운전석으로부터 이탈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운전자가 조작 레버 등을 오조작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건설기계의 자세를 제어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주행 및 작업 등 본연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건설기계의 자세를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현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중량이 커서 자세유지를 위한 큰 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작업자가 경사지 등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로 구현된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는 건설기계의 캐빈(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축(X축) 및 좌우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롤 운동과 피치 운동이 가능하게 된 시트(20); 상기 시트의 경사각도 또는 건설기계의 경사각도(φ)(θ)를 측정하기 위한 각도감지센서(23);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과 피치 운동시키는 구동유닛(30); 및 상기 각도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된 경사각도(φ)(θ)를 근거로 상기 시트(20)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시트 수평유지장치는 상기 시트(20)를 상기 캐빈(10)에 롤 운동과 피치 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실린더(31); 상기 시트(20)를 피치 운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실린더(32);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에 공급될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33); 및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33)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 각각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제어밸브(34)(3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시트 수평유지장치는 수평유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2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선택 스위치(22)에 의해 수평유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도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된 경사각도(φ)(θ)로부터 상기 시트(2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를 산출하고, 산출된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만큼 상기 시트(20)가 롤 운동과 피치 운동하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시트만을 회전 운동시켜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간단한 구조로 작업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작 레버의 오조작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시트가 유니버셜 조인트를 통해 캐빈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건설기계의 구조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구동유닛을 유압식으로 구현함으로써 작업용 유압펌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건설기계의 구조를 더욱더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건설기계 조작장치를 시트에 설치하여 함께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건설기계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시트가 수평을 유지하더라도 작업자가 조작장치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택 스위치를 통해 수평유지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수평유지기능이 필요 없을 때는 불필요한 동력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 수평유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평유지장치의 수평유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장치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는 캐빈(10)의 내부에 유니버셜 조인트(21)를 통해 회전 운동가능하게 설치된 시트(20)와, 상기 시트(20)의 수평유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22)와, 상기 시트(20)의 경사각도(φ)(θ)를 감지하기 위한 각도감지센서(23)와, 상기 시트(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시트(20)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30)과, 상기 각도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된 시트(20)의 경사각도(φ)(θ)를 기초로 상기 시트(20)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시트(20)는 유니버셜 조인트(21)를 통해 캐빈(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축(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과, 건설기계의 좌우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후 방향 축(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롤 운동'이라고 하고, 좌우 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피치 운동'이라 한다.
한편, 상기 시트(20)에는 각종 레버나 페달 및 계기판을 포함하는 건설기계 조작장치(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건설기계 조작장치(24)는 상기 시트(20)와 함께 롤 운동 및 피치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선택 스위치(22)는 상기 시트(2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명유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선택 스위치(22)가 온(ON) 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시트(20)가 수평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구동시킨다. 반면, 상기 선택 스위치(22)가 오프(OFF)되면,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시트(20)는 항상 동일한 자세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각도감지센서(23)는 상기 시트(20)의 경사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20)의 전후방향 축(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도(φ)와, 좌우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도(θ)를 감지한다. 각도감지센서(23)로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자세 센서(Orientation Sensor)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20)에 각도감지센서(23)가 설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각도감지센서(23)는 건설기계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한 캐빈(10) 뿐만 아니라 건설기계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과 피치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와, 유압펌프(33)와, 제 1 및 제 2 제어밸브(34)(3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실린더(31)는 시트(20)를 롤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20)의 측방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구동실린더(31)의 일단은 캐빈(10)의 바닥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시트(2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구동실린더(32)는 시트(20)를 피치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20)의 후방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구동실린더(32)의 일단은 캐빈(10)의 바닥면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시트(20)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동실린더(31)가 시트(20)를 롤 운동시키는 것으로 예시하고, 상기 제 2 구동실린더(32)가 시트(20)를 피치 운동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과 피치 운동시킬 수 있는 한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는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33)는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에 공급될 작동유를 토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기계의 작업용 메인펌프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 시트 구동용으로 별도의 펌프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유압펌프(33)로 건설기계의 작업용 메인펌프가 이용될 경우, 건설기계의 구조를 더욱더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밸브(34)(35) 각각은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 및 흐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변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유닛(30)이 유압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구동유닛(30)은 전기모터 등의 다양한 구동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각도감지센서(23)와 선택 스위치(2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40)의 기능에 대해서는 수평유지방법을 설명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은 가지는 시트 수평유지장치의 수평유지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건설기계가, 도 4a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 등에 위치하여 기울어진 경우, 각도감지센서(23)로부터 전후방향 축(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도(φ)와 좌우 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도(θ)가 제어부(40)에 입력된다(S100). 그러면, 제어부(40)는 선택 스위치(22)에 의해 수평유지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1).
판단결과, 수평유지모드가 선택되었으면, 제어부(40)는 시트(20)를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를 산출한다(S102). 통상적으로,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는 상기 각 회전각도(φ)(θ)가 0이 되기 위한 각도로서, 각도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된 회전각도(φ)(θ)와 동일하게 된다.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가 산출되면, 제어부(40)는 제 1 및 제 2 제어밸브(34)(35)를 제어하여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를 신축 구동시키게 된다(S103).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도 4a 및 도 5a 상태의 시트(20)는 도 4b와 도 5b와 같은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구동실린더(31)(32)의 설치 위치는 도 1과 다른 것을 예시하였다.
10; 캐빈 20; 시트
21; 유니버셜 조인트 22; 선택 스위치
23; 각도감지센서 30; 구동유닛
31, 32;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 33; 유압펌프
34, 35; 제 1 및 제 2 제어밸브 40; 제어부
φ; 전후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도
θ; 좌우방향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도
φa; 롤링 각도 θa; 피칭 각도

Claims (4)

  1. 건설기계의 캐빈(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후방향 축(X축) 및 좌우방향 축(Y축)을 중심으로 롤 운동과 피치 운동이 가능하게 된 시트(20);
    상기 시트(20)의 경사각도(φ)(θ) 또는 건설기계의 경사각도(φ)(θ)를 측정하기 위한 각도감지센서(23);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과 피치 운동시키는 구동유닛(30); 및
    상기 각도감지센서(23)로부터 감지된 경사각도(φ)(θ)를 근거로 상기 시트(20)를 수평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0)를 상기 캐빈(10)에 대하여 롤 운동과 피치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시트(20)와 상기 캐빈(10)을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30)은,
    상기 시트(20)를 롤 운동시키기 위한 제 1 구동실린더(31);
    상기 시트(20)를 피치 운동시키기 위한 제 2 구동실린더(32);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에 공급될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33); 및
    상기 제어부(4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33)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구동실린더(31)(32) 각각에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제어밸브(34)(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수평유지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선택 스위치(22)에 의해 수평유지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각도감지센서(23)에 의해 감지된 경사각도(φ)(θ)로부터 상기 시트(20)를 수평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를 산출하고, 산출된 롤링 각도(φa)와 피칭 각도(θa) 만큼 상기 시트(20)가 롤 운동과 피치 운동하도록 상기 구동유닛(3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KR1020100085362A 2010-09-01 2010-09-01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KR10169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62A KR101696478B1 (ko) 2010-09-01 2010-09-01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362A KR101696478B1 (ko) 2010-09-01 2010-09-01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150A true KR20120022150A (ko) 2012-03-12
KR101696478B1 KR101696478B1 (ko) 2017-01-13

Family

ID=4613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362A KR101696478B1 (ko) 2010-09-01 2010-09-01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64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1755A1 (en) * 2018-10-17 2020-04-23 Mtd Products Inc Adjustable seat assembly for a lawn maintenance vehicle
CN111376799A (zh) * 2020-05-08 2020-07-07 三一重机有限公司 座椅结构及工程机械
CN113110616A (zh) * 2021-04-30 2021-07-13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作业机械的座椅调节方法、装置及作业机械
WO2024082630A1 (zh) * 2022-10-19 2024-04-25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座椅调节装置、驾驶室和作业机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479A1 (ko) * 2017-02-09 2018-08-1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기계용 틸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85U (ja) * 1992-10-09 1994-05-06 東洋運搬機株式会社 作業用車両
JPH078340Y2 (ja) * 1987-07-10 1995-03-01 モノレール工業株式会社 乗用軌条車の安全座席機構
KR20070108593A (ko) * 2006-05-08 2007-11-13 강명도 골프연습기용 경사조절장치
KR20080113497A (ko) * 2007-06-25 2008-12-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병렬기구를 이용한 건설기계용 수평유지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340Y2 (ja) * 1987-07-10 1995-03-01 モノレール工業株式会社 乗用軌条車の安全座席機構
JPH0633785U (ja) * 1992-10-09 1994-05-06 東洋運搬機株式会社 作業用車両
KR20070108593A (ko) * 2006-05-08 2007-11-13 강명도 골프연습기용 경사조절장치
KR20080113497A (ko) * 2007-06-25 2008-12-31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병렬기구를 이용한 건설기계용 수평유지시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1755A1 (en) * 2018-10-17 2020-04-23 Mtd Products Inc Adjustable seat assembly for a lawn maintenance vehicle
US11503767B2 (en) 2018-10-17 2022-11-22 Mtd Products Inc Adjustable seat assembly for a lawn maintenance vehicle
CN111376799A (zh) * 2020-05-08 2020-07-07 三一重机有限公司 座椅结构及工程机械
CN113110616A (zh) * 2021-04-30 2021-07-13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作业机械的座椅调节方法、装置及作业机械
WO2024082630A1 (zh) * 2022-10-19 2024-04-25 上海三一重机股份有限公司 座椅调节装置、驾驶室和作业机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6478B1 (ko) 2017-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2993B1 (ja)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WO2014184978A1 (ja) 作業車両
KR100319569B1 (ko) 건설기계의제어방법및제어장치
US10934688B2 (en) Shovel
WO2014192475A1 (ja) 作業車両
KR20120022150A (ko) 건설기계의 시트 수평유지장치
JPH09268602A (ja) 掘削機の制御装置
WO2017047654A1 (ja) ショベル
WO2019151335A1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管理システム
JP6683620B2 (ja) 作業車両およびエンジン出力制御方法
US20080258889A1 (en) Vehicle with always forward system
US20220170233A1 (en) Shovel
JP6775602B2 (ja)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
JP7287829B2 (ja) ショベル
JP7412918B2 (ja) ショベル
JP2017186875A (ja) 作業車両の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作業車両
JP2017186875A5 (ko)
WO2019189589A1 (ja) ショベル
JP2017210729A (ja) ショベル
JP2011157751A (ja) 油圧作業機
US20220154426A1 (en) Excavator
JP2012188899A (ja) 建設機械
JP2019183382A (ja)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の管理装置
KR20170058125A (ko) 건설기계의 제어 방법
KR100335363B1 (ko) 굴삭기의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