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1510A -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510A
KR20120021510A KR1020100075438A KR20100075438A KR20120021510A KR 20120021510 A KR20120021510 A KR 20120021510A KR 1020100075438 A KR1020100075438 A KR 1020100075438A KR 20100075438 A KR20100075438 A KR 20100075438A KR 20120021510 A KR20120021510 A KR 20120021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hole
temporal
forming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영수
서보경
김대현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510A/ko
Publication of KR20120021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은 블록에서 해치가 설치되는 개구의 상측에 해치가 통과하기 위한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해치를 삽입하여 개구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와,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해치의 설치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작업에 소요되는 인원과 시간을 줄이며, 해치를 변형이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고, 작업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METHOD FOR INSTALLING HATCH OF VESSEL}
본 발명은 작업에 소요되는 인원과 시간을 줄이며, 해치를 변형이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사람의 출입이나, 물품 또는 장비의 반입 및 반출을 위해 해치(hatch)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선박의 해치는 출입 대상의 규모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선박의 해치 중에서 대형 장비 및 대형 부품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해서 이들을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대형 해치, 예를 들면 가로가 2 내지 3m, 세로가 4 내지 6m에 이르는 대형 해치는 단일 블록에 단독으로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블록의 크기는 제조공장의 크기에 따라 정해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대형 해치가 하나의 블록 내에 위치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록 제조시 대형 해치가 설치될 위치 주변에 탑재시켜 두고, 추후 각각의 블록들이 조립된 이후에 해치 상부의 데크에 설치된 가이드 라인(guide line)용 파이프(pipe)를 통해서 해치를 와이어(wire)로 연결해서 크레인(crane)으로 조정 설치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서 대형 해치의 설치 방법은 해치 이송용 장치 또는 별도의 적치 공간을 확보해야 함으로써 제한된 공간 이용에 따른 제약을 받게 되고, 고강도 체인블록, 해치 자세 전환용 슬링 와이어(sling wire)와 러그(lug)를 필요로 하며, 해치의 이송시 간섭되는 의장품을 철거함으로써 이러한 의장품의 재설치에 따른 번거로움과 작업 시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해치의 자중에 의한 변형과 선탑재된 해치 자체의 손상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해치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의 설치 및 철거를 필요로 하며, 작업에 많은 인원이 소요되고, 좁은 공간에서 대형 해치의 자세 전환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간 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작업 시간을 줄이도록 하고, 해치를 변형이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설치 작업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블록을 일체로 조립하여 제작되는 선박에 해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에서 상기 해치가 설치될 개구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데크에 상기 해치가 통과할 수 있는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상기 해치를 삽입하여 상기 개구에 상기 해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다수의 상기 블록들이 조립된 이후에 실시되며, 다수의 상기 블록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조립체의 상기 상부 데크에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다수의 상기 블록들이 조립되기 이전에 실시되며, 다수의 상기 블록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조립체의 상기 상부 데크에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템퍼러리 홀의 가로 폭이 상기 개구의 가로 폭보다 10?30%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템퍼러리 홀을 데크 심 라인(deck seam line)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해치를 삽입하는 단계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위쪽에서 상기 해치를 하강시켜 상기 템퍼러리 홀에 삽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절취해 낸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템퍼러리 홀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치의 설치시 공간 활용도를 증가시키고, 작업에 소요되는 인원과 시간을 줄이며, 해치를 변형이나 손상없이 설치할 수 있고, 작업시 작업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은, 블록의 상부에 해치의 통과를 위한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S11)와,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해치를 삽입시키는 단계(S12)와,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S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소형 해치뿐만 아니라, 가로가 2 내지 3m, 세로가 4 내지 6m 정도 혹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며 중량이 5톤 이상인 대형 해치의 설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S11)는, 블록(block; 11)에서 해치(hatch; 12)가 설치되는 개구(opening; 13)의 상측에 해치(12)를 통과시키기 위한 템퍼러리 홀(temporary hole; 14)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 단계는, 예를 들어 다수의 블록이 조립된 이후에 실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템퍼러리 홀(14)이 형성되는 블록(11)은 다수의 작은 블록들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하나의 조립체일 수 있다. 이때 템퍼러리 홀(14)은 블록(11), 예컨대 다수의 블록 조립체의 상부 데크(15)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S11)에 있어서, 템퍼러리 홀(14)은 다수의 블록이 조립되기 이전에 실시되도록 변형되어도 좋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퍼러리 홀(14)의 가로 폭(D1)이 개구(13)의 가로 폭(D2)보다 10?30% 크게 형성되도록 하며, 일례로 개구(13)의 가로 폭(D2)에 비하여 20%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와 함께 템퍼러리 홀의 세로 폭 역시 개구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템퍼러리 홀(14)이 해치(12)의 통과를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천공 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템퍼러리 홀(14)은 형성시 이중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11)간의 용접 부위인 데크 심 라인(deck seam line)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템퍼러리 홀(14)은 블록(11)이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 라인, 즉 블록(11)의 경계 부위에 형성됨으로써 천공의 작업량과 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2에는 해치(12)가 설치될 개구(13)의 바로 위쪽에 템퍼러리 홀(14)을 형성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템퍼러리 홀(14)이 형성되는 위치는 반드시 해치(12)가 설치될 개구(13)의 바로 위쪽에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3)의 상부 주위에 형성되어도 좋다.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해치를 삽입시키는 단계(S12)는, 템퍼러리 홀(14)을 통해서 해치(12)를 삽입하여 개구(13)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블록의 조립 이후에 해치(12)의 직접 탑재 및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해치(12) 자체의 손상이나 작업 시간의 과다 투입없이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대형 의장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해치(12)의 삽입은, 예를 들어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해치(12)를 템퍼러리 홀(14)에 삽입시켜 개구(13)의 위치까지 하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레인을 이용하는 경우 템퍼러리 홀(14)이 상부 데크(15)를 비롯하여 하나 이상의 데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S13)는 템퍼러리 홀(14)에 상응하는 면적과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된 부재(미도시)를 템퍼러리 홀(14)에 위치시키고서 용접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템퍼러리 홀(14)을 차단시키게 되며, 이에 한하지 않고 볼트나 리벳 등을 이용하여 템퍼러리 홀(14)을 차단부재 등으로 차단시킬 수 있다.
템퍼러리 홀을 차단하는 차단부재로서는 템퍼러리 홀(14)을 형성하기 위해 절취해 낸 부재가 그대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두 개 이상의 단위 블록을 조립하고, 이러한 단위 블록들의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립체에 해당하는 하나의 대형 블록(11)에서 해치(12)가 설치되고자 하는 상부의 데크(15)(이때, 데크(15)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에 템퍼러리 홀(14)을 시공하여, 블록 조립 이후의 후행 단계에서 해치(12)를 직접 탑재 및 설치함으로써 해치(12) 자체의 손상이나 작업 시간의 과다 투입없이 안전하면서도 효율적인 대형 의장의 설치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은 소형 해치의 설치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형 및 대중량의 장비 보수를 위한 이동에 사용되는 대형 해치, 예를 들면, 가로 2 내지 3m, 세로 4 내지 6m 혹은 그 이상의 크기를 가지면서 중량이 5톤 이상인 해치의 설치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해치(12)가 개구(13) 측으로 이동하는 경로가 단순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다른 의장품과의 간섭을 해소함으로써, 소요되는 작업 인원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도를 높여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템퍼러리 홀(14)의 형성시 데크 심 라인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이중 절단을 방지함과 아울러 템퍼러리 홀(14)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 : 블록
12 : 해치
13 : 개구
14 : 템퍼러리 홀
15 : 상부 데크

Claims (7)

  1. 복수의 블록을 일체로 조립하여 제작되는 선박에 해치를 설치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블록에서 상기 해치가 설치될 개구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부 데크에 상기 해치가 통과할 수 있는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상기 해치를 삽입하여 상기 개구에 상기 해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다수의 상기 블록들이 조립된 이후에 실시되며, 다수의 상기 블록이 조립되어 이루어진 조립체의 상기 상부 데크에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다수의 상기 블록들이 조립되기 이전에 실시되며, 다수의 상기 블록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조립체의 상기 상부 데크에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템퍼러리 홀의 가로 폭이 상기 개구의 가로 폭보다 10?30%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상기 템퍼러리 홀을 데크 심 라인(deck seam line)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템퍼러리 홀을 통해서 해치를 삽입하는 단계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상기 블록의 위쪽에서 상기 해치를 하강시켜 상기 템퍼러리 홀에 삽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템퍼러리 홀을 차단시키는 단계는 상기 템퍼러리 홀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절취해 낸 부재를 사용하여 상기 템퍼러리 홀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KR1020100075438A 2010-08-05 2010-08-05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KR20120021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38A KR20120021510A (ko) 2010-08-05 2010-08-05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438A KR20120021510A (ko) 2010-08-05 2010-08-05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510A true KR20120021510A (ko) 2012-03-09

Family

ID=46129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438A KR20120021510A (ko) 2010-08-05 2010-08-05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151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7870A (zh) * 2012-07-06 2012-10-10 天津新河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漂浮船上大型舱口围板安装方法
KR20160046423A (ko) * 2014-10-20 2016-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조인트 부분에 설치되는 의장품 유닛 및 그 유닛화 설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17870A (zh) * 2012-07-06 2012-10-10 天津新河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漂浮船上大型舱口围板安装方法
CN102717870B (zh) * 2012-07-06 2014-10-15 天津新河船舶重工有限责任公司 漂浮船上大型舱口围板安装方法
KR20160046423A (ko) * 2014-10-20 2016-04-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조인트 부분에 설치되는 의장품 유닛 및 그 유닛화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1801B1 (ko) 대형 실린더 운반용 지그
CN105416508A (zh) 提高舾装先行率的方法
KR20120021510A (ko) 선박의 해치 설치 방법
US9587446B2 (en) Subsea removable flex joint laydown tool
US20130042570A1 (en) Safety system
JP4795224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位置合わせ治具及びこれを用いた組み立て方法
KR20140003753U (ko) 케이블 트레이용 커버
KR102123769B1 (ko) 공기구동용 밸브 액추에이터 취외 후 고정장치
KR101544891B1 (ko) 선미블록 조기탑재 건조공법
KR101895785B1 (ko) 절단 부재를 위한 자동 브리지 모델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05555U (ko) 컨테이너 선박 블록 이동용 러그 설치구조
KR101607942B1 (ko) 라이저 가이드관 탑재 방법
KR20160083545A (ko) 선박용 엔진 리프팅 장치
AU2016247042B2 (en) A workbench desktop
KR20110021133A (ko) 추락방지 안전고리
KR20180120529A (ko) 푸싱 빔을 이용한 잠수함의 탄성 플랫폼 탑재용 슬라이딩 지그
KR20140139222A (ko) 볼스터 설치 방법
KR101422158B1 (ko) 고정물 기움 방지용 장치
KR101280713B1 (ko) 이탈 추락 방지용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자동용접장치
KR20210001818U (ko) 리프팅용 러그장치
KR20140002541U (ko) 선박용 철재 구조물의 취부기
KR20130006772U (ko) 판계판 턴오버 장치
KR20170023342A (ko) 리프팅 지그
KR20240062272A (ko) 선박의 터렛구조물
KR101268330B1 (ko) 수중 물막이 구조물용 바지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