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672A -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672A
KR20120020672A KR1020100084425A KR20100084425A KR20120020672A KR 20120020672 A KR20120020672 A KR 20120020672A KR 1020100084425 A KR1020100084425 A KR 1020100084425A KR 20100084425 A KR20100084425 A KR 20100084425A KR 20120020672 A KR20120020672 A KR 2012002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ron plate
hole
drill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3043B1 (ko
Inventor
장일도
Original Assignee
장일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도 filed Critical 장일도
Priority to KR102010008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3043B1/ko
Publication of KR2012002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3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23B39/08Devices for programm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7/00Constructional features of components specially designed for boring or drilling machines; Accessories therefor
    • B23B47/26Liftable or lowerable drill heads or headstocks; Balanc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홀가공부를 통해 철판에 보다 정밀하게 홀을 일정간격으로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를 통해 철판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철판에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PLATE HOLE AND FACE FORMING DEVICE}
본 발명은 홀가공부를 통해 철판에 보다 정밀하게 홀을 일정간격으로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를 통해 철판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철판에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회사 등에서는 생산된 철판에 홀을 형성하거나 알맞은 크기로 절단하기 위해 상기 철판을 드릴머신과 커팅머신을 사용하여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작업자가 수동으로 상기 드릴머신과 커팅머신을 사용하여 직접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정밀하게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기가 어렵고, 또한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홀가공부를 통해 철판에 보다 정밀하게 홀을 일정간격으로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를 통해 철판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철판에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되고, 상부면에 철판이 안착고정되는 철판 고정부와; 상기 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부재와, 상기 좌우이동부재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와, 상기 상하이동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 좌우이동부재 및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전후좌우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철판 고정부에 안착고정된 철판에 홀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드릴부재로 구성되는 홀가공부와; 상기 홀가공부의 전후이동부재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에 안착고정된 철판을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철판 고정부는 상기 철판이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가이드공간과, 상기 제 1가이드공간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가이드공간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확장공간과, 상기 제 1가이드공간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가이드공간과, 상기 제 1확장공간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확장공간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철판 고정판과; 상기 철판 고정판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철판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되는 상부판과, 상기 철판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 사이에 수직형성되는 중간판과, 상기 하부판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1가이드공간 및 제 2가이드공간내에 각각 수용되는 고정볼트과, 상기 제 1확장공간 및 제 2확장공간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가이드공간 및 상기 제 2가이드공간내에 수용된 상기 고정볼트의 하단부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판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전후이동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판과; 상기 전후이동판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판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수직몸체와; 상기 수직몸체의 상부에 수평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좌우이동부재가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우이동부재는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전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좌우이동하고, 전면에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리드스크류와; 상기 리드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의 전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를 따라 상하이동하고, 전면에 상기 드릴부재가 구비되는 상하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드릴부재는 상기 상하이동부재의 전면에 구비되는 드릴몸체와; 상기 드릴몸체 내부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에 안착고정된 철판에 홀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드릴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드릴축은 코어드릴, 카운터보링용 드릴, 탭핑용 드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홀가공부의 원점을 설정하는 원점설정부와; 상기 홀가공부가 상기 철판 고정부에 안착고정된 철판에 가공형성할 홀의 가공점을 설정하는 가공점설정부와; 상기 원점설정부 및 가공점설정부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홀가공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하측 후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후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를 기준으로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축과; 상기 회전이동축의 전단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하측 전방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이동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에 안착고정된 철판을 커팅하는 커팅날과, 상기 커팅날과 축결합되어 상기 커팅날을 회전시키고 상기 커팅날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커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홀가공부를 통해 철판에 보다 정밀하게 홀을 일정간격으로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팅부를 통해 철판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철판에 홀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철판이 안착되는 철판 고정부가 철판 고정판과, 상기 철판 고정판에 안착된 상기 철판을 위치고정시키는 철판 고정부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철판 고정부에 안착된 상기 철판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리드스크류, 구동부재, 전후이동판, 수직몸체 및 수평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후이동부재를 따라 상기 철판에 홀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드릴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리드스크류, 구동부재 및 좌우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재를 따라 상기 철판에 홀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상기 드릴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리드스크류, 구동부재 및 상하이동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하이동부재를 따라 상기 철판에 홀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상기 드릴부재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철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드릴부재의 높이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드릴몸체, 회전축, 구동부재 및 드릴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드릴부재를 통해 상기 철판에 일정간격으로 홀을 자동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드릴축이 코어드릴, 카운터보링용 드릴, 탭핑용 드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철판에 일반 관통홀, 카운터 보링홀, 탭핑홀 중 어느 하나의 홀을 선택적으로 일정간격으로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제어부가 원점설정부와 가공점 설정부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홀가공부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철판에 원하는 위치에 홀을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 회전이동축 및 커팅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커팅부를 통해 상기 철판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더욱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측면도이고,
도 4는 철판 고정부에 철판이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철판에 홀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커팅부가 철판을 커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프레임(10), 철판 고정부(30), 홀가공부(50) 및 커팅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일측 프레임(10a)과, 상기 일측 프레임(10a)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타측 프레임(1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철판 고정부(3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프레임(10a)과 타측 프레임(10b)의 내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된다.
상기 철판 고정부(30)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에 의해 철판(5)이 수평으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도 4 참조.)
다음으로, 상기 홀가공부(50)는 전후이동부재(510), 좌우이동부재(530), 상하이동부재(550) 및 드릴부재(57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510)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 프레임(10a)과 타측 프레임(10b)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좌우이동부재(53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5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드릴부재(57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50)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 좌우이동부재(530) 및 상하이동부재(550)를 따라 전후좌우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에 홀(도 6의 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550)는 후술할 제어부(도 7의 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드릴부재(570)가 상기 철판 고정부(30)를 드릴링하지 않도록 상기 드릴부재(570)를 상하이동시키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커팅부(70)는 상기 홀가공부(50)의 전후이동부재(5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을 커팅하게 된다.
도 4는 철판 고정부(30)에 철판(5)이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철판 고정부(30)는 철판 고정판(330)과 철판 고정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철판 고정판(330)의 상부면에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철판(5)이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철판 고정판(330)의 하부 각 모서리에는 상기 철판 고정판(330)을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다리부(331)가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철판 고정판(330)의 상부면에는 복수의 고정홈(310)이 직교상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고정홈(310)은 제 1가이드공간(311), 제 1확장공간(313), 제 2가이드공간(315) 및 제 2확장공간(317)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은 상기 철판 고정판(330)의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확장공간(313)은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가이드공간(315)은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확장공간(317)은 상기 제 1확장공간(313)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철판 고정부재(35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351), 하부판(353), 중간판(355), 고정볼트(357) 및 너트(35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351)은 상기 철판 고정판(3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철판(5)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353)은 상기 철판(5)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상기 중간판(355)은 상기 하부판(353)의 타측 상부와 상기 상부판(351)의 일측 하부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357)는 상기 하부판(353)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 및 제 2가이드공간(315)내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사각형, 육각형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너트(359)는 상기 제 1확장공간(313) 및 제 2확장공간(317)내에 각각 수평구비되어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 및 상기 제 2가이드공간(315)내에 수용된 상기 고정볼트(357)의 하단부와 각각 나사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고정볼트(357)를 정역회전시킬 시 상기 너트(359)는 상부방향으로 상승하여 상기 제 1확장공간(313) 및 제 2확장공간(317)의 상측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철판 고정부재(350)가 상기 철판 고정판(330)에 안착된 상기 철판(5)을 보다 견고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철판(5)이 안착되는 상기 철판 고정부(30)가 상기 철판 고정판(330)과, 상기 철판 고정판(330)에 안착된 상기 철판(5)을 위치고정시키는 상기 철판 고정부재(35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수평안착된 상기 철판(5)이 유동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는 리드스크류(511), 구동부재(513), 전후이동판(515), 수직몸체(517) 및 수평몸체(5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11)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11)는 일측 리드스크류(511a)와 타측 리드스크류(5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511a)는 상기 일측 프레임(10a)의 상부면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리드스크류(511b)는 상기 타측 프레임(10b)의 상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13)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511)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1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513a), 회전축(513b), 피니언기어(513c) 및 휠기어(513d)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13a)는 상기 일측 프레임(10a)의 후단부 일측면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13b)은 상기 구동모터(513)의 구동축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 프레임(10a)과 타측 프레임(10b)의 후방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513c)는 상기 회전축(513b)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기어(513d)는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511a)와 타측 리드스크류(511b)의 후단부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휠기어(513d)는 상기 피니언기어(513c)와 치합된 상태로 상기 피니언기어(513c)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513a)의 구동축이 상기 회전축(513b)을 회전시킬 시 상기 구동모터(513a)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회전축(513b)의 정역회전력은 상기 피니언기어(513c)와 휠기어(513d)를 통해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511a)와 타측 리드스크류(511b)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후이동판(515)은 상기 구동부재(513)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11)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후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레일(11)은 일측 가이드레일(11a)와 타측 가이드레일(1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11a)은 상기 일측 프레임(10a)의 상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가이드레일(11b)은 상기 타측 프레임(10b)의 상부면 타측에 전후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판(515)은 일측 전후이동판(515a)과 타측 전후이동판(515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후이동판(515a)의 하부 일측은 상기 일측 가이드레일(11a)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전후이동판(515a)의 하부 타측은 상기 일측 리드스크류(511a)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후이동판(515b)의 하부 타측은 상기 타측 가이드레일(11b)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전후이동판(515b)의 하부 일측은 상기 타측 리드스크류(11b)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517)는 상기 전후이동판(515)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판(513)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517)는 일측 수직몸체(517a)와 타측 수직몸체(517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수직몸체(517a)는 상기 일측 전후이동판(515a)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일측 전후이동판(515a)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타측 수직몸체(517b)는 상기 타측 전후이동판(515b)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타측 전후이동판(515b)을 따라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519)는 상기 수직몸체(517)의 일측 수직몸체(517a)의 상부와 상기 타측 수직몸체(517b)의 상부 사이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519)의 전면에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30)가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11), 구동부재(513), 전후이동판(515), 수직몸체(517) 및 수평몸체(5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를 따라 상기 철판(5)에 홀(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상기 드릴부재(570)가 보다 용이하게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재(530)는 리드스크류(531), 구동부재(533) 및 좌우이동판(5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31)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수평몸체(519)의 전면 중심부에 좌우방향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33)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531)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33)는 구동모터(533a), 제 1풀리(533b)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 제 2풀리(533c)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 및 벨트(533d) 또는 체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3a)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수평몸체(519)의 타측 상부면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533b)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구동모터(533a)의 구동축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33c)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리드스크류(531)의 타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533d)의 경우 상기 제 1풀리(533b)와 제 2풀리(533c)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3a)의 구동축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리드스크류(53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체인(미도시)의 경우 상기 제 1스프로켓(미도시)과 제 2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3a)의 구동축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리드스크류(531)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535)은 상기 구동부재(533)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31)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전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좌우이동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535)의 후면 상하측은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수평몸체(519)의 전면 상하측에 각각 구비된 상기 가이드레일(512)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535)의 후면 중심부는 상기 리드스크류(531)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판(535)의 전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부재(55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31), 구동부재(533) 및 좌우이동판(5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30)를 따라 상기 철판(5)에 홀(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상기 드릴부재(570)가 보다 용이하게 좌우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하이동부재(550)는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드스크류(도 1의 551), 구동부재(도 3의 553) 및 상하이동판(도 3의 5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51)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의 좌우이동판(535)의 전면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53)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551)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53)는 상기 상하이동판(555)의 상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된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구동부재(553)의 구동축 하단부는 상기 리드스크류(551)의 상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555)은 상기 구동부재(553)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51)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의 좌우이동판(535)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된 상기 가이드레일(532)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555)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은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의 좌우이동판(535)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된 상기 가이드레일(53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555)의 후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의 좌우이동판(535)의 전면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된 상기 리드스크류(551)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555)의 전면에는 상기 드릴부재(5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551), 구동부재(553) 및 상하이동판(5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50)를 따라 상기 철판(5)에 홀(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상기 드릴부재(570)가 보다 용이하게 상하이동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철판(5)의 두께에 따라 상기 드릴부재(570)의 높이 또한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드릴부재(570)는 공지된 드릴머신으로 이루어지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재(570)는 드릴몸체(571), 회전축(573), 구동부재(575) 및 드릴축(5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릴몸체(571)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50)의 상하이동판(555)의 전면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573)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상기 드릴몸체(571)의 상측외부와 하측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드릴몸체(571)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으로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75)는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축(573)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75)는 구동모터(575a), 상기 제 1풀리(575b)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 제 2풀리(575c)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 제 3풀리(575d) 또는 제 3스프로켓(미도시), 제 4풀리(575e) 또는 제 4스프로켓(미도시), 제 1벨트(575f) 또는 제 1체인(미도시) 및 제 2벨트(575g) 또는 제 2체인(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555)의 전면 상측에는 하측 지지판(555a)과, 상기 하측 지지판(555a)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는 상측 지지판(555b)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75a)는 상기 상측 지지판(555b)의 상부면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575b)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구동모터(575a)의 구동축의 하단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측 지지판(555a)과 상측 지지판(55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75c)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하측 지지판(555a)의 전단부 중심부에 수직으로 축결합된 수직축(555c)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풀리(575d) 또는 제 3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수직축(555c)의 하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4풀리(575e) 또는 제 4스프로켓(미도시)은 상기 회전축(573)의 상단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벨트(575f)의 경우 상기 제 1풀리(575b)와 제 2풀리(575c)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 1체인(미도시)의 경우 상기 제 1스프로켓(미도시)과 제 2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 2벨트(575g)이 경우 상기 제 3풀리(575d)와 제 4풀리(575e)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 2체인(미도시)의 경우 상기 제 3스프로켓(미도시)과 제 4스프로켓(미도시)의 외주연에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575b) 또는 제 1스프로켓(미도시), 제 2풀리(575c) 또는 제 2스프로켓(미도시), 제 3풀리(575d) 또는 제 3스프로켓(미도시), 제 4풀리(575e) 또는 제 4스프로켓(미도시), 제 1벨트(575f) 또는 제 1체인(미도시) 및 제 2벨트(575g) 또는 제 2체인(미도시)을 통해 상기 구동모터(575a)의 구동축의 정역회전력이 상기 회전축(573)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릴축(577)은 상기 구동부재(575)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상기 회전축(573)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에 홀(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릴축(577)의 상단부는 체결볼트(578a)와 너트(578b)로 구성될 수 있는 체결부재(578)를 통해 상기 회전축(573)의 하단부 내부에 분리가능하게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578a)는 상기 회전축(573)의 하단부와,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 내부에 삽입된 상기 드릴축(577)의 상단부를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578b)는 상기 체결볼트(578a)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철판(5)에 홀(5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드릴몸체(571), 회전축(573), 구동부재(575) 및 드릴축(5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드릴부재(570)를 통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철판(5)에 일정간격으로 홀(51)을 자동으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철판(5)에 상기 홀(51)을 보다 더더욱 간편하고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 작업자는 상기 회전축(573)의 하단부에 하단부 직경(도 3의 d)이 서로 상이한 제 1, 2, 3드릴축으로 구성될 수 있는 복수의 상기 드릴축(577)을 번갈아가면서 체결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2, 3드릴축 중 하단부 직경(d)이 제일 작은 상기 제 1드릴축을 상기 회전축(573)의 하단부에 체결고정시켜 1차적으로 상기 철판(5)에 내경(i1)이 작은 제 1홀(도 6의 51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철판(5)에 상기 제 1홀(51a)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후 작업자는 상기 제 1, 2, 3드릴축 중 하단부 직경(d)이 상기 제 1드릴축 보다 큰 상기 제 2드릴축을 상기 회전축(573)의 하단부에 체결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1홀(61a)을 다시 한번 드릴링 하여 2차적으로 상기 철판(5)에 내경(i2)크기가 상기 제 1홀(51a)의 내경(i1)크기보다 큰 제 2홀(도 6의 51b)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철판(5)에 상기 제 2홀(51b)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한 후 작업자는 상기 제 1, 2, 3드릴축 중 하단부 직경(d)이 상기 제 2드릴축 보다 큰 상기 제 3드릴축을 상기 회전축(573)의 하단부에 체결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 2홀(51b)을 다시 한번 드릴링 하여 3차적으로 상기 철판(5)에 내경(i3)크기가 상기 제 2홀(51b)의 내경(i2)크기보다 큰 제 3홀(도 6의 51c)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드릴축(577)은 공지된 코어드릴, 카운터보링용 드릴, 탭핑용 드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드릴축(577)이 공지된 코어드릴, 카운터보링용 드릴, 탭핑용 드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철판(5)에 일반 관통홀, 카운터 보링홀, 탭핑홀 중 어느 하나의 홀(51)을 선택적으로 일정간격으로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제어부(130)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점설정부(90), 가공점설정부(100) 및 상기 제어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원점설정부(90)를 조작하여 상기 홀가공부(50)의 원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원점설정부(90)는 상기 제어부(130)에 누름식 버튼방식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는 상기 가공점설정부(100)를 조작하여 상기 홀가공부(50)가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상기 철판(5)에 가공형성할 홀(51)의 가공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가공점설정부(100)는 상기 제어부(130)에 누름식 버튼방식 또는 다이얼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프레임(10)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홀가공부(50)와 상기 커팅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원점설정부(90) 및 가공점설정부(100)의 설정값에 따라 전원공급부(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홀가공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홀형성모드와 커팅모드가 누름식 버튼방식 또는 다이얼버튼 버튼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홀형성모드를 ON상태로 조작하고, 상기 커팅모드를 OFF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원점설정부(90) 및 가공점설정부(100)의 설정값에 따라 전원공급부(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홀가공부(50)의 전후이동부재(510), 좌우이동부재(530), 상하이동부재(550) 및 드릴부재(570)를 제어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홀형성모드를 OFF상태로 조작하고, 상기 커팅모드를 ON상태로 조작한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전원공급부(1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후이동부재(510)와 상기 커팅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원점설정부(90)와 상기 가공점설정부(100)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홀가공부(5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철판(5)에 원하는 위치에 홀(51)을 보다 용이하게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은 커팅부(70)가 철판(5)을 커팅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팅부(70)는 구동모터(710), 회전이동축(730) 및 커팅부재(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수직몸체(517)의 타측 수직몸체(517b)의 하측 후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후단부는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의 구동축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정역회전할 시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전단부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팅부재(750)는 커팅날(751)과 구동모터(75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날(751)은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전단부에 수직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수직몸체(517)의 타측 수직몸체(517b)의 하측 전방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전단부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을 전후로 커팅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53)는 상기 커팅날(751)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전단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커팅날(751)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53)는 상기 커팅날(75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710), 회전이동축(730) 및 상기 커팅부재(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커팅부(70)를 통해 상기 철판(5)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더욱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홀가공부(50)를 통해 상기 철판(5)에 보다 정밀하게 홀(51)을 일정간격으로 자동으로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커팅부(70)를 통해 상기 철판(5)을 원하는 크기로 보다 정밀하게 자동으로 커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보다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철판(5)에 홀(51)을 형성하거나 절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프레임, 30; 철판 고정부,
50; 홀가공부, 70; 커팅부.

Claims (9)

  1.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일정높이로 구비되고, 상부면에 철판(5)이 안착고정되는 철판 고정부(30)와;
    상기 프레임(10)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후이동부재(51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에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부재(530)와,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상하이동부재(550)와, 상기 상하이동부재(550)에 구비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 좌우이동부재(530) 및 상하이동부재(550)를 따라 전후좌우상하이동하면서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에 홀(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드릴부재(570)로 구성되는 홀가공부(50)와;
    상기 홀가공부(50)의 전후이동부재(5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을 커팅하는 커팅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 고정부(30)는 상기 철판(5)이 상부면에 안착되고, 상부면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가이드공간(311)과,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의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확장공간(313)과,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가이드공간(315)과, 상기 제 1확장공간(313)과 직교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확장공간(317)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홈(3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철판 고정판(330)과;
    상기 철판 고정판(33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기 철판(5)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되는 상부판(351)과, 상기 철판(5)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되는 하부판(353)과, 상기 하부판(353)과 상부판(351) 사이에 수직형성되는 중간판(355)과, 상기 하부판(353)을 수직으로 관통한 상태로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 및 제 2가이드공간(315)내에 각각 수용되는 고정볼트(357)과, 상기 제 1확장공간(313) 및 제 2확장공간(317)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가이드공간(311) 및 상기 제 2가이드공간(315)내에 수용된 상기 고정볼트(357)의 하단부와 각각 나사결합되는 너트(35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철판 고정부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이동부재(51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리드스크류(511)와;
    상기 리드스크류(51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13)와;
    상기 구동부재(513)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11)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판(515)과;
    상기 전후이동판(515)의 상부면에 수직형성되어 상기 전후이동판(513)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수직몸체(517)와;
    상기 수직몸체(517)의 상부에 수평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좌우이동부재(530)가 좌우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몸체(5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재(53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구비되는 리드스크류(531)와;
    상기 리드스크류(53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33)와;
    상기 구동부재(533)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31)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전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12)을 따라 좌우이동하고, 전면에 상기 상하이동부재(550)가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좌우이동판(5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이동부재(550)는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리드스크류(551)와;
    상기 리드스크류(551)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53)와;
    상기 구동부재(553)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리드스크류(551)에 의해 상기 좌우이동부재(530)의 전면에 구비된 가이드레일(532)를 따라 상하이동하고, 전면에 상기 드릴부재(570)가 구비되는 상하이동판(55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부재(57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550)의 전면에 구비되는 드릴몸체(571)와;
    상기 드릴몸체(571) 내부에 수직으로 축결합되는 회전축(573)과;
    상기 회전축(573)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575)와;
    상기 구동부재(575)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회전축(573)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에 홀(51)을 일정간격으로 가공형성하는 드릴축(57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드릴축(577)은 코어드릴, 카운터보링용 드릴, 탭핑용 드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가공부(50)의 원점을 설정하는 원점설정부(90)와;
    상기 홀가공부(50)가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에 가공형성할 홀(51)의 가공점을 설정하는 가공점설정부(100)와;
    상기 원점설정부(90) 및 가공점설정부(100)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홀가공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7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하측 후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710)와;
    상기 구동모터(710)에 후단부가 축결합된 상태에서 후단부를 기준으로 전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회전이동축(730)과;
    상기 회전이동축(730)의 전단부에 축결합되어 상기 전후이동부재(510)의 하측 전방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이동축(7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철판 고정부(30)에 안착고정된 철판(5)을 커팅하는 커팅날(751)과, 상기 커팅날(751)과 축결합되어 상기 커팅날(751)을 회전시키고 상기 커팅날(75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구동모터(753)로 구성되는 커팅부재(7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KR1020100084425A 2010-08-30 2010-08-30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KR10131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25A KR101313043B1 (ko) 2010-08-30 2010-08-30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4425A KR101313043B1 (ko) 2010-08-30 2010-08-30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672A true KR20120020672A (ko) 2012-03-08
KR101313043B1 KR101313043B1 (ko) 2013-10-14

Family

ID=4612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4425A KR101313043B1 (ko) 2010-08-30 2010-08-30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30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69B1 (ko) * 2013-03-08 2014-04-09 강운공업주식회사 드릴 칩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천공 장치
KR101658780B1 (ko) * 2015-12-08 2016-10-04 배인식 목형 금형 5축 제어용 밀링
WO2017095169A1 (ko) * 2015-12-03 2017-06-08 전희승 가공물 가공장치
CN108500315A (zh) * 2018-06-04 2018-09-07 丹阳市博尔瑞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观光列车外壳的钻孔工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9164B1 (ko) * 2015-03-27 2015-12-22 (주)새한나노텍 실리콘 캐소드용 미세 드릴링 장치
KR102131098B1 (ko) 2020-03-01 2020-07-07 박수언 철판 트리밍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7124A (ja) * 1991-09-20 1993-03-30 Amada Co Ltd 型鋼加工機
JPH09178429A (ja) * 1995-12-27 1997-07-11 Daido Kikai Seisakusho:Kk ワーク確認方法
KR200444504Y1 (ko) * 2007-06-01 2009-05-15 양기선 드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3169B1 (ko) * 2013-03-08 2014-04-09 강운공업주식회사 드릴 칩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천공 장치
WO2017095169A1 (ko) * 2015-12-03 2017-06-08 전희승 가공물 가공장치
KR101658780B1 (ko) * 2015-12-08 2016-10-04 배인식 목형 금형 5축 제어용 밀링
CN108500315A (zh) * 2018-06-04 2018-09-07 丹阳市博尔瑞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观光列车外壳的钻孔工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3043B1 (ko) 201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3043B1 (ko) 철판 홀 및 면가공장치
KR200458715Y1 (ko) 배관설비용 대형 강관 절단기
WO2021189969A1 (zh) 一种机械设备加工用废屑收集装置
KR20140008967A (ko)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CN105058140A (zh) 现场长条孔加工机
CN211661229U (zh) 一种锯床设备
CN211438193U (zh) 一种电力安装用工件打孔装置
KR20170104284A (ko) 이동식 제재 장치
CN108620614B (zh) 一种数控机床刀台
CN104400133A (zh) 半自动去毛刺机
CN212885745U (zh) 一种钣金件切割定位装置
CN112976339B (zh) 一种水电施工工艺
CN212217312U (zh) 一种钕铁硼薄片高效切割装置
CN214322045U (zh) 一种钢板销轴圆钢下料机
KR101604955B1 (ko) 생산성을 향상시킨 서까래 가공장치
CN214489577U (zh) 一种双工位数控钻床
CN106925806A (zh) 一种自动连杆加工机
CN111015382B (zh) 一种负倒棱磨制机床
CN211516311U (zh) 齿轮加工用滚齿装置
CN204339048U (zh) 半自动去毛刺机
CN104353876B (zh) 一种底座及使用该底座的铣床
KR20140013281A (ko) 목조 건물용 목재 멀티 가공장치
CN219725411U (zh) 一种自动钻孔攻丝机
CN203228097U (zh) 自动化抛光设备
KR100813675B1 (ko) 홀 현장 절삭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