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300A -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 Google Patents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300A
KR20120020300A KR1020100083839A KR20100083839A KR20120020300A KR 20120020300 A KR20120020300 A KR 20120020300A KR 1020100083839 A KR1020100083839 A KR 1020100083839A KR 20100083839 A KR20100083839 A KR 20100083839A KR 20120020300 A KR20120020300 A KR 20120020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power
motor
aircraf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7803B1 (ko
Inventor
최기동
최기남
Original Assignee
(주)선택이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택이앤티 filed Critical (주)선택이앤티
Priority to KR1020100083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7803B1/ko
Priority to PCT/KR2011/005702 priority patent/WO2012030076A2/ko
Publication of KR20120020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2Helicopters ; Flying 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64U10/13Fly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회전익기의 한 종류인 소형 하방 날개형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하방 날개형 비행체는 매 순간 로터의 피치를 조정하고, 비행조정을 위한 장치인 조정날개를 작동하기 위하여 서보, 조정판, 힌지 등의 여러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의 장치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중심축에 장착된 동력프로펠러의 축 하부에 조정프로펠러를 장착한 조정모터를 고정판에 장착한 구성으로, 동력프로펠러를 작동하여 비행체의 상승 및 하강비행을 하고, 3개의 조정모터에 각 각 장착한 조정프로펠러를 회전하게 하여 그 바람의 힘으로 비행체의 정지, 좌회전, 우회전, 전진, 후진, 좌측진 및 우측진 비행의 기능을 수행하며, 중심축 부근에 비행체의 무게중심이 되도록 구성요소를 배치한 구조와 장치로 이루어진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Bottom three-propeller control type vehicle}
본 발명은 소형 무인 회전익기의 한 종류인 소형 하방 날개형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펠러로서 비행체의 비행을 수행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 무인 회전익기의 한 종류인 하방 날개형 비행체는 비행체의 중앙 축을 중심으로 동력으로 회전하는 로터 또는 동력프로펠러, 동력부, 제어부, 고정판, 조정날개, 조정프로펠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력모터에 장착된 동력프로펠러를 회전하여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고 조정날개를 조정하거나 또는 조정프로펠러를 회전시켜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여 비행체의 상승 및 하강, 정지, 전진 및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 좌측진 및 우측진 등의 비행을 수행하는 비행체이다.
3쌍의 고정판 및 조정날개로 이루어진 종래의 하방 날개형 비행체는 조정날개를 조정하기 위한 서보, 힌지 등의 여러 요소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조정날개를 장착하기 위한 힌지가 노출되어 있으므로 구성 요소의 파손이 쉽고, 또한 조립과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하방 날개형 비행체는 4개의 고정판 및 보호판, 2개의 조정프로펠러로 구성된 구조로서, 조정프로펠러를 회전하여 비행체의 비행을 조정 하지만, 비행체의 좌측진 및 우측진 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오래전부터 종래의 하방 날개형 비행체보다 동력효율이 높고 체공시간이 긴 비행체와 비행체를 소형화하여 실외에서뿐만 아니라 협소한 장소에서 정찰 및 감시 등의 목적을 수행하는 하방 날개형 비행체를 꾸준히 필요로 하여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정날개를 작동하기 위한 서보, 힌지 등의 여러 요소의 조합으로 구성된 복잡한 구조의 장치가 필요하지않는 간단한 구성과 구조의 장치로 이루어진 비행체로서, 비행체의 상승 및 하강, 정지, 전진 및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 뿐 만아니라 좌측진 및 우측진 비행을 수행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정찰 및 감시 등의 목적을 수행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무인 회전익기인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인 동력원을 함유한 동력부;
외접기어가 장착되고,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프로펠러인 동력프로펠러;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동력프로펠러의 회전축인 중심축;
상기 동력원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외접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인 동력기어가 장착된 모터인 동력모터;
상기 비행체의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동력모터를 함유한 제어부;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프로펠러인 조정프로펠러가 장착되어, 동력원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인 조정모터;
상기 조정모터를 함유한 사각판형의 고정판;
3개의 상기 고정판의 한쪽 끝단은 각 각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어부의 외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장착한 구성으로,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상기 동력프로펠러를 장착하고,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어부 장치의 배선은 상기 중심축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동력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동력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아래로 발생하는 바람과 상기 조정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조정프로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비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비행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동력프로펠러와 만나는 상기 중심축의 중앙부근에 오도록 비행체의 장치 및 부품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비행체의 반토크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판의 사각판 아랫부분을 휘어지도록 한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반지모양의 원형틀과 사각판 모양의 다리판이 상기 고정판의 옆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촬영과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정프로펠러를 장착한 3개의 조정모터를 작동하여 비행체의 정지, 좌회전 및 우회전, 전진 및 후진, 좌측진 및 우측진 비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비행체의 구성과 구조가 단순하게 되어 종래의 비행체의 여러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인한 고장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비행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정찰 및 감시 등의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판의 아랫부분을 휘게 하면 동력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아래로 향하는 바람이 휘어진 고정판의 아랫부분에 부딪히게 되어, 비행체의 반토크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동력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틀과 다리판을 설치하여 동력프로펠러에서 아래를 발생하는 바람을 잘 전달하고, 비행체의 이륙과 착륙시 비행체 아래에 장착된 구성요소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의 개념을 보이기 위한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행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를 위에서 본 개념도이다.
도 4는 휘어진 고정판이 장착된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무인 회전익기의 전체 구조에 대해 도 1 및 도 2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의 개념을 보이기 위한 도 1의 일부분을 제거하여 보인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무인 회전익기인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인 동력원(7)을 함유한 동력부(3), 외접기어(64)가 장착되고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프로펠러인 동력프로펠러(2),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동력프로펠러(2)의 회전축으로서 삽입되는 중심축(1), 상기 동력원(7)에 의해 작동하고, 모터의 축에 장착되는 기어인 동력기어(63)가 장착된 모터인 동력모터(62), 상기 외접기어(64)와 상기 동력기어(63)는 서로 맞물리게 설치하고, 상기 비행체의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장치(61) 및 상기 동력모터(62)를 함유한 제어부(4),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프로펠러인 조정프로펠러(30)가 장착되어, 동력원(7)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인 조정모터(21, 22, 23), 상기 조정모터를 함유한 사각판형의 고정판(10)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3개의 상기 고정판의 한쪽 끝단은 각 각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어부(4)의 외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장착하고, 상기 동력부(3)와 상기 제어부(4) 사이에 상기 동력프로펠러(2)를 장착하며, 상기 동력부(3)와 상기 제어부(4)에 함유한 장치의 배선은 상기 중심축(1)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을 하자면, 본 발명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형 파이프형상을 한 축인 중심축(1)의 외주에 다수의 날개를 가진 고정피치 프로펠러인 동력프로펠러(2)를 장착하고, 상기 중심축(1) 상부에는 동력부(3)를 설치하고, 상기 중심축(1) 하부에는 제어부(4)를 설치하고, 3개의 고정판(10)의 한쪽 끝단은 각 각 120도 간격으로 상기 제어부(4)의 외부에 세로로 부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동력부(3)는 동력원(7)을 함유하며, 상기 제어부(4)는 동력기어(63)를 장착한 동력모터(62), 카메라(6) 및 제어장치(61)를 함유한다.
또한, 상기 동력프로펠러(2)의 축 중심에는 외접기어(64)가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외접기어(64)는 상기 동력모터(62)에 장착된 기어인 상기 동력기어(63)와 맞물리도록 장착하고, 상기 동력부(3)와 상기 제어부(4)에 함유된 장치는 서로 연결선(8)으로 상기 중심축(1)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와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서 원형 파이프 모양을 한 중심축(1)의 외주는 중앙이 뚫려있는 외접기어(64)가 부착된 동력프로펠러(2)를 설치하는 축으로 사용되며, 또한 중심축(1)의 내부는 비어 있음으로 비행체의 동력부(3)와 제어부(4)의 장치를 연결하는 연결선(8)의 통로로 이용된다.
상기 고정판(10)은 각 각 같은 형상을 한 사각판 모양으로, 상기 고정판(10)에는 조정모터(21, 22, 23)를 각 각 장착하고, 상기 조정모터(21, 22, 23)의 축에는 조정프로펠러(30)가 각 각 장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조정모터(21, 22, 23)와 조정프로펠러(30)는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상기 고정판(10)은 조정모터(21, 22, 23)와 상기 조정프로펠러(30)를 보호하여 비행체의 외부로부터 파손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상기 고정판(10)은 동력프로펠러(2)의 회전으로 인하여 아래로 발생하는 바람을 분할하여 와류의 발생을 감소시켜 비행체의 평형안정을 최소화하는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정모터(21, 22, 23)는 상기 제어부(4)의 상기 제어장치(61)에 의해 각 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장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안정바와 가변피치 로터를 사용하지 않고, 고정피치 프로펠러로서 비행체의 평형안정화를 용이하게 이루기 위한 방법으로, 도 1과 같이 고정피치 동력프로펠러(2)의 중심축(1) 부근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비행체의 무게가 동등하게 되도록 장치의 무게를 분산하여 설치함으로써, 비행체가 평형안정을 이루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정피치 동력프로펠러(2)는 회전체로서, 동력프로펠러(2)가 회전하는 동안 항상 수평 평형을 유지하려는 힘을 가지고 있는데,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그와 같은 수평 평형을 유지하려는 힘인 복원력을 이용하여 비행체 평형안정을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동력프로펠러(2)의 수평중심 부근에 비행체의 무게중심이 오도록 비행체의 무게를 상부와 하부에 분산하여 설치하면, 적은 복원력으로도 비행체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고정피치 프로펠러를 사용할 수 있음으로, 복잡한 구조와 항시 평형을 유지하기 위한 조정이 필요한 가변피치 프로펠러에 비해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동력프로펠러(2)와 중심축(1) 부근에 비행체의 무게중심이 오도록, 동력부(3)와 제어부(4)는 무게의 균형과 설계에 따라 위치를 바꾸어 설치하거나, 구성요소의 무게와 설계에 따라 상기 동력부(3)와 상기 제어부(4)를 상기 동력프로펠러(2)의 상부에 함께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동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동력원(7)에 연결된 연결선(8)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은 동력모터(62)를 제어장치(61)가 제어하고, 동력모터(62)의 축에 고정된 동력기어(63)가 회전하면 동력기어(63)에 맞물려있는 외접기어(64)가 동시에 회전함으로써 고정피치인 동력프로펠러(2)가 회전하게 되어 비행체가 비행하게 되고, 각 각의 조정모터(21, 22, 23)를 작동하여 각 각의 조정프로펠러(3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여 비행체의 정지,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좌측진 및 우측진 등의 비행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비행체의 정지, 전진, 후진, 좌회전, 우회전, 좌측진 및 우측진 등의 비행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로서, 대표도인 도 1의 동력프로펠러(2)를 포함한 상부의 장치를 제거하고, 제어부(4)와 제 1조정모터(21)와 제 2조정모터(22)와 제 3조정모터(23)와 조정프로펠러(30)와 고정판(10)의 구조를 위에서 아래로 본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비행원리를 도 2와 도 3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동력부(3)에 함유한 배터리와 같은 동력원(7)과 제어부(4)에 함유된 제어장치(61)에 배선으로 연결된 동력모터(62)를 작동시켜 동력프로펠러(2)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동력프로펠러(2)의 회전으로 아래로 발생하는 바람의 추력으로 비행체는 상승하게 되어 비행체의 상승비행이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동력프로펠러(2)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반 토크(Torque) 작용으로 비행체는 시계방향으로 우회전하면서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제 1조정모터(21)를 작동하여 조정프로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의 힘의 세기를 ①이라 하고, 제 2조정모터(22)를 작동하여 조정프로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의 힘의 세기를 ②라 하고, 제 3조정모터(23)를 작동하여 조정프로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의 힘의 세기를 ③이라 전제할 때, ①과 ②와 ③의 힘이 같은 힘의 세기이면서 그 세 힘의 세기의 합이 반 토크의 힘과 같게 되면, 비행체는 공중에서 회전하지 않게 되어 정지비행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정지비행상태에서 각 각의 조정모터(21, 22, 23)를 작동하여 ①과 ②와 ③의 힘을 조절하여 ①과 ②와 ③의 합이 반 토크의 힘 보다 크게 되면 비행체는 제자리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좌회전을 하면서 돌게 되며, 그 반대인 경우에는 비행체는 우회전을 하면서 돌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도면의 아래 방향인 화살표 A 방향을 비행체의 전진방향으로, 그 반대편인 화살표 B 방향을 후진방향으로, 왼쪽방향인 화살표 C 방향을 비행체의 좌측진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반대편인 화살표 D 방향을 우측진 방향으로 전제할 때, 비행체가 정지비행상태이고 ②=③인 상태에서, ①<(②+③)이면 비행체는 전진비행을 하고, 그 반대의 경우인 ①>(②+③)이면 비행체는 후진비행을 하게 된다.
그리고 ①이 ②와 ③의 합의 반 일 때, 즉 ①=(②+③)÷2 일 때, ③>② 이면 비행체는 좌측진비행을 하게 되고, 그 반대의 경우인 ③<② 이면 비행체는 우측진비행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조정모터(21, 22, 23)를 작동하여 조정프로펠러(30)의 회전속도를 각 각 독립적으로 조절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하면, 비행체는 자이로프리세션(Gyro Precession) 효과와 조정프로펠러(3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힘에 의해 비행체는 전진 및 후진, 좌회전 및 우회전, 좌측진 및 우측진비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프로펠러(2)를 회전하여 발생하는 그 바람의 힘과, 3개의 조정프로펠러(30)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비행을 수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의 비행체의 서보, 조정판, 힌지 등의 여러 구성요소를 장착하지 않고도 비행체의 비행과 조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여러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인한 고장 및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화살표는 조정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표시한 것이다.
도 4는 휘어진 고정판이 장착된 본 발명의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사각판 모양인 본 발명의 상기 고정판(10)의 하부를 휘게 하여 동력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아래로 발생하는 바람이 고정판의 휘어진 부분에 부딪히게 함으로서, 비행체의 반 토크를 일부분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정판(10a)을 보여 준다.
따라서 고정판(10)의 아랫부분을 휘게 하면 동력프로펠러에서 발생하는 아래로 향하는 바람이 휘어진 고정판(10a)의 아랫부분에 부딪히게 되어, 비행체의 반 토크의 일부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동력원의 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4의 비행체에 원형틀(5)과 다리판(40)을 상기 고정판(10a)의 끝단에 고정하여 설치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응용을 보여준다.
상기 원형틀(5)은 상기 동력프로펠러(2)의 회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바람이 아래로 잘 전달되도록 원형반지 모양을 한 비행체의 틀로서 설치하며, 상기 다리판(40)은 비행체의 이륙과 착륙 시, 각 각의 고정판(10a), 조정모터(21, 22, 23) 및 조정프로펠러(30)를 보호하고, 또한 동력프로펠러(2)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의 흐름이 아래로 잘 통과하도록 원형틀(5) 아랫부분에 설치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원형틀과 다리판은 동력프로펠러에서 아래를 발생하는 바람을 잘 전달하고, 비행체의 이륙과 착륙시 비행체 아래에 장착된 구성요소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 카메라(6)를 상기 제어부(4)에 설치하여 상기 제어장치(61)에 의해 촬영과 송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서, 비행 중 정찰 및 감시활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그려진 것으로, 상기 원형틀(5) 윗부분의 표면과 상기 고정판(10, 10a) 윗부분의 표면은 바람의 저항을 가장 작게 받도록 유선형으로 제작되어 진다
각 부품 및 구성요소와의 상세한 배선은 일반적인 배선방법에 따라 비행장치가 작동하도록 한 배선을 따르며, 상세하게 연결한 배선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부품과 장치의 재질은 플라스틱, 철판, EPP 폼 등의 여러 가지 재질로서 만들어 질 수 있음으로, 각 부품과 장치의 장착 및 고정방법은 설명하지 않고 각 재질에 따라 용접, 끼워맞춤, 접착제 등으로 장착 및 고정한다.
본 발명의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는, 도시하고 설명한 것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 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1 : 중심축 2 : 동력프로펠러
3 : 동력부 4 : 제어부
5 : 원형틀 6 : 카메라
7 : 동력원 8 : 연결선
10, 10a : 고정판 21 : 제 1조정모터
22 : 제 2조정모터 23 : 제 3조정모터
30 : 조정프로펠러 40 : 다리판
61 : 제어장치 62 : 동력모터
63 : 동력기어 64 : 외접기어

Claims (6)

  1. 소형 무인 회전익기의 비행체에 있어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인 동력원을 함유한 동력부;
    외접기어가 장착되고,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프로펠러인 동력프로펠러;
    그 내부가 비어 있고, 상기 동력프로펠러의 회전축인 중심축;
    상기 동력원에 의해 작동하고, 상기 외접기어와 맞물리는 기어인 동력기어가 장착된 모터인 동력모터;
    상기 비행체의 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동력모터를 함유한 제어부;
    다수의 날개를 구비한 프로펠러인 조정프로펠러가 장착되어, 동력원에 의해 작동하는 모터인 조정모터;
    상기 조정모터를 함유한 사각판형의 고정판;
    3개의 상기 고정판의 한쪽 끝단은 각 각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제어부의 외부에 수직으로 고정하여 장착한 구성으로,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어부 사이에 상기 동력프로펠러를 장착하고, 상기 동력부와 상기 제어부 장치의 배선은 상기 중심축의 내부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동력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동력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아래로 발생하는 바람과 상기 조정모터를 작동하여 상기 조정프로펠러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바람의 세기를 이용하여 비행체의 비행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2. 제 1항에 있어서,
    비행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동력프로펠러와 만나는 상기 중심축의 중앙부근에 오도록 비행체의 장치 및 부품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프로펠러의 회전으로 인하여 아래로 발생하는 바람을 분할하여 통과하고, 상기 조정프로펠러를 장착한 조정모터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상기 고정판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4. 제 3항에 있어서,
    반 토크의 일부를 제거하도록 휘어진 고정판을 설치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5. 제 1항에 있어서,
    비행체의 이륙과 착륙 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조정프로펠러를 보호하고, 상기 고정판에 바람의 흐름이 잘 전달되도록 상기 다리판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촬영과 송신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와 카메라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KR1020100083839A 2010-08-30 2010-08-30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KR10121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39A KR101217803B1 (ko) 2010-08-30 2010-08-30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PCT/KR2011/005702 WO2012030076A2 (ko) 2010-08-30 2011-08-03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839A KR101217803B1 (ko) 2010-08-30 2010-08-30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300A true KR20120020300A (ko) 2012-03-08
KR101217803B1 KR101217803B1 (ko) 2013-01-22

Family

ID=45773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839A KR101217803B1 (ko) 2010-08-30 2010-08-30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17803B1 (ko)
WO (1) WO2012030076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16B1 (ko) * 2015-10-26 2016-03-31 이진우 바람안내부를 구비하는 무인비행기
CN112607003A (zh) * 2020-11-25 2021-04-06 常州市长昊机械有限公司 一种易收纳式航空叶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4344813B2 (en) * 2013-11-01 2018-09-13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A rotorcraft
DE102013225304B4 (de) * 2013-12-09 2021-06-24 Meteomatics Gmbh Fluggerät
KR20160097399A (ko) 2015-02-06 2016-08-18 주식회사 공간정보 시료채취용 무인비행시스템
KR101720565B1 (ko) 2015-02-24 2017-03-30 주식회사 공간정보 조난수색 및 위급안내 방송용 무인비행시스템
KR20160104761A (ko) 2015-02-26 2016-09-06 주식회사 공간정보 측설용 무인비행시스템
KR20170045525A (ko) * 2015-10-19 2017-04-2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헬리콥터의 자유회전을 이용한 자유낙하 방식의 공중촬영장치
FR3077267B1 (fr) 2018-01-30 2020-03-06 Guillaume Emmanuel Marie Nicolle Aerodyne sans pilote
KR102221381B1 (ko) 2019-07-29 2021-03-02 주식회사 아소아 멀티 어댑터를 구비하는 드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7759A (en) 1992-04-06 1994-03-29 Neil Tilbor Rotary aircraft passively stable in hover
US5295643A (en) * 1992-12-28 1994-03-22 Hughes Missile Systems Company Unmanne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horizontal cruise, air vehicle
US6502787B1 (en) * 2002-02-22 2003-01-07 Micro Autonomous Systems Llc Convertibl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miniature aerial vehicle
US6811460B1 (en) * 2003-08-05 2004-11-02 Leynian Ltd. Co. Flying toy vehicle
KR20080058188A (ko) * 2006-12-20 2008-06-25 헨패어 리모트 콘트럴 테크놀로지 리서치 앤드 디벨롭먼트 엘티디 하방 날개형 비행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16B1 (ko) * 2015-10-26 2016-03-31 이진우 바람안내부를 구비하는 무인비행기
CN112607003A (zh) * 2020-11-25 2021-04-06 常州市长昊机械有限公司 一种易收纳式航空叶片
CN112607003B (zh) * 2020-11-25 2023-06-20 常州市长昊机械有限公司 一种易收纳式航空叶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7803B1 (ko) 2013-01-22
WO2012030076A2 (ko) 2012-03-08
WO2012030076A3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7803B1 (ko) 하방 3-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KR101217804B1 (ko) 하방 조정프로펠러형 비행체
US9616994B2 (en) Asymmetric multirotor helicopter
JP6478080B2 (ja) 垂直離着陸機
CN104787317B (zh) 飞行器及其控制方法
US9889925B2 (en) Single blade propeller with variable pitch
WO2006006311A1 (ja) 急速風量発生風向変更装置及びそれを機体側面に取り付けた航空機
CN104787327B (zh) 一种可变轴距的多旋翼飞行器
CN204223182U (zh) 民用无人直升机旋翼控制倾斜盘驱动装置
JP2011527263A (ja) 三葉下方羽根飛行体
CN102119102A (zh) 旋转式下部机翼型飞行体
WO2016054863A1 (zh) 一种多旋翼飞行器
CN103072690A (zh) 单涵道共轴旋翼/螺旋桨碟形飞行器
CN205574276U (zh) 一种凸轮式扑翼飞行器
JP5023330B2 (ja) 回転翼機構、該回転翼機構を用いた発電装置、並びに移動装置
KR20100094056A (ko) 쌍회전 날개식 수직이착륙기
RU2539679C1 (ru) Скоростной винтокрыл
KR20080058188A (ko) 하방 날개형 비행체
JP2012011990A (ja) 2重反転プロペラモーター
CN204124363U (zh) 一种多旋翼飞行器
CN207450253U (zh) 空潜无人机及空潜无人机系统
CN209274885U (zh) 一种变距螺旋桨及无人机
CN206345005U (zh) 一种用于四轴飞机机翼自变攻角的装置
EP2873612B1 (en) Counter-rotating rotor system with fairing
CN210437406U (zh) 无人机定点应急监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