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219A -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 Google Patents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219A
KR20120020219A KR1020100083306A KR20100083306A KR20120020219A KR 20120020219 A KR20120020219 A KR 20120020219A KR 1020100083306 A KR1020100083306 A KR 1020100083306A KR 20100083306 A KR20100083306 A KR 20100083306A KR 20120020219 A KR20120020219 A KR 2012002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ame
temporary
vent
welde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호
Original Assignee
이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호 filed Critical 이용호
Priority to KR102010008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0219A/ko
Publication of KR2012002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2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 바다 및 계곡과 같은 지형 구간의 제약조건에 관계없이 교량을 신설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다수의 벤트부와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여 임시로 차량 및 행인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A method of bridge construction work and guide frame}
본 발명은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천, 바다 및 계곡과 같은 지형 구간의 제약조건에 관계없이 교량을 신설 또는 보수를 하기 위하여, 다수의 벤트부와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교량을 설치하여 임시로 차량 및 행인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교를 시공하기 먼저 하부구조인 가설벤트를 설치하는데, 상기 가설벤트의 설치장소가 물이 있는 하천이나 바다인 경우에는 먼저 가도를 축조하거나 바지선을 시공하여 파일을 항타하여 가설벤트를 설치하고 상부주형을 거치하여 가교를 시공하고, 다시 가교를 시공의 역순으로 하여 해체를 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가교는 설치 및 해체에 있어서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적으로 시행함으로 필요이상의 가교 설치기간과 가교설치비용이 소요되어 가설교량 시공에 소요되는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교의 시공에는 가교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규모의 가설벤트를 강재를 조립하여 하천에 설치하는바, 상기한 바와 같은 가설벤트는 하천이 홍수시 하천수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하천의 통수단면을 축소시켜 하천이 범람하는 요인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한 가설벤트는 홍수시 상류에서 떠 내려오는 부유물이 가설벤트에 걸려 하천의 흐름을 막아서 하천의 물이 범람하는 요인을 부수적으로 제공하여 많은 인명과 재산상의 손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가설교량 시공은 비교적 수심이 얕거나 형하공간이 얕은 구간에 적용이 가능하나, 수심이 깊은 구간이나 형하공간이 깊은 계곡 등에 교통우회용 또는 공사용 가설교량을 건설할 경우에는 하부 제약조건으로 인해 별도의 바지선 또는 대형장비를 사용하여 가설교량을 건설해야 하나, 바지선 또는 대형장비의 진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가설벤트를 이용한 장경간 가교 시공은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장소에 관계없이 다수의 벤트부와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모든 가설교량의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가설교량의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천, 바다 및 계곡에서 교량의 신설 또는 보수를 위하여 임시로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시점에서 측방유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성토를 실시하고 충분하게 다짐 후 강관파일을 항타하는 공정과;
1번 벤트부 조립 후 복공판을 설치하는 공정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하부에 부력체가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을 1번벤트부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파일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하는 공정과;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2번벤트부의 강관파일을 정밀 항타시공하는 공정과;
가이드프레임을 탈거 후 2번벤트부를 조립하는 공정과;
2번벤트부의 조립시공 완료 후 복공판을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S30 내지 S60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설교량을 완성하는 공정(S70)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과
전진식 가설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에 있어서,
I형상의 수평앵글과 크로스앵글이 서로 용접되어 있으며, 수평앵글의 하부로는 수직앵글이 용접되어 있고, 상기 수직앵글의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어 있는 부력체가 용접되어 있는 한편, 수평앵글의 일측에는 1번벤트부와 2번벤트부를 포함하여 벤트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파일에 용접된 연결플레이트에 볼트로 체결되도록 연결플레이트가 구비된 중공체가 용접되어 있으며, 수평앵글의 타측에는 다수의 파일가이드원통이 구비된 체결플레이트가 수직으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진방식에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가설벤트 및 가이드프레임 위에서 모든 가설교량에 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떠한 지형 조건에서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하천 또는 바다의 수심이 깊거나 유속이 센 경우 및 깊은 계곡의 경우에도 아무런 제약조건 없이 가설교량의 시공이 가능하고, 가설교량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종류의 가설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가설벤트간 간격이 긴 장경간 가설교량에도 항타기의 시공능력에 따른 제약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장경간 가설교량의 건설이 가능함으로써, 특히 우기시 통수단면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은 작업시점에서 측방유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성토를 실시하고 충분하게 다짐 후 강관파일을 항타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2는 1번 벤트부 조립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3,도4는 1번 벤트부 조립 후 복공판을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5는 가이드 프레임을 이용하여 2번 벤트부의 강관 파일을 정밀 항타 시공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6은 2번벤트부의 조립시공 설치하는 공정을 도시한 도면.
도7은 1번벤트부와 2번벤트부를 복공판으로 연결시공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작업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장소에 관계없이 다수의 벤트부와 가이드프레임을 이용하여 모든 가설교량의 시공작업이 이루어지므로, 가설교량의 시공이 용이함과 동시에 경제적으로 시공이 가능한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작업시점에서 측방유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성토를 실시하고 충분하게 다짐 후 강관파일(100)을 항타하는 공정(S10)이 이루어 진다.
이어서, 1번 벤트부(200) 조립 후 복공판(300)을 설치하는 공정(S20)이 이루어 지게 된다.
그리고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하부에 부력체가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10)을 1번벤트부(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파일(100)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하는 공정(S30)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어서, 가이드프레임(10)을 이용하여 2번벤트부(400)의 강관파일(100)을 정밀 항타시공하는 공정(S40)이 수행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가이드프레임(10)을 탈거 후 2번벤트부(400)를 조립하는 공정(S50)이 이루어 지게 된다.
이어서, 2번벤트부(400)의 조립시공 완료 후 복공판(300)을 설치하는 공정(S60)이 이루어지게 된다.
끝으로, 상기 S30 내지 S60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설교량을 완성하는 공정(S70)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게 된다.
그리고 도8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전진식 가설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뗏목의 역활을 하게 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I형상의 수평앵글(11)과 크로스앵글(12)이 서로 용접되어 있으며, 수평앵글(11)의 하부로는 수직앵글(13)이 용접되어 있고, 상기 수직앵글(13)의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어 있는 부력체(14)가 용접되어 있는 구조이다.
그리고 수평앵글(11)의 일측에는 1번벤트부(200)와 2번벤트부(400)를 포함하여 벤트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파일(100)에 용접된 연결플레이트(101)에 볼트로 체결되도록 연결플레이트(151)가 구비된 중공체(15)가 용접되어 있다.
또한, 수평앵글(11)의 타측에는 다수의 파일가이드원통(161)이 구비된 체결플레이트(16)가 수직으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가이드프레임(10)은 부력체(14)가 하부에 용접되어 있어서 하천등에서 공사시에 유량의 변화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가설벤트 및 가이드프레임 위에서 모든 가설교량에 필요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떠한 지형 조건에서도 경제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장점과 더불어 하천 또는 바다의 수심이 깊거나 유속이 센 경우 및 깊은 계곡의 경우에도 아무런 제약조건 없이 가설교량의 시공이 가능하고, 가설교량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종류의 가설교량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10 : 가이드프레임 11 : 수평앵글
12 : 크로스앵글 13 : 수직앵글
14 : 부력체 15 : 중공체
16 : 체결플레이트 100 : 강관파일
101,151 : 연결플레이트 101a,151a : 홀
161 : 파일가이드원통 200 : 1번벤트부
300 : 복공판 400 : 2번벤트부

Claims (2)

  1. 하천, 바다 및 계곡에서 교량의 신설 또는 보수를 위하여 임시로 가설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시점에서 측방유도를 방지하기 위하여 성토를 실시하고 충분하게 다짐 후 강관파일(100)을 항타하는 공정(S10)과;
    1번 벤트부(200) 조립 후 복공판(300)을 설치하는 공정(S20)과;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하부에 부력체가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10)을 1번벤트부(2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파일(100)에 볼트체결 방식으로 고정하는 공정(S30)과;
    가이드프레임(10)을 이용하여 2번벤트부(400)의 강관파일(100)을 정밀 항타시공하는 공정(S40)과;
    가이드프레임(10)을 탈거 후 2번벤트부(400)를 조립하는 공정(S50)과;
    2번벤트부(400)의 조립시공 완료 후 복공판(300)을 설치하는 공정(S60)과;
    상기 S30 내지 S60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가설교량을 완성하는 공정(S70)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2. 전진식 가설교량을 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10)에 있어서,
    I형상의 수평앵글(11)과 크로스앵글(12)이 서로 용접되어 있으며, 수평앵글(11)의 하부로는 수직앵글(13)이 용접되어 있고, 상기 수직앵글(13)의 하단에는 내부가 중공부로 되어 있는 부력체(14)가 용접되어 있는 한편, 수평앵글(11)의 일측에는 1번벤트부(200)와 2번벤트부(400)를 포함하여 벤트부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는 강관파일(100)에 용접된 연결플레이트(101)에 볼트로 체결되도록 연결플레이트(151)가 구비된 중공체(15)가 용접되어 있으며, 수평앵글(11)의 타측에는 다수의 파일가이드원통(161)이 구비된 체결플레이트(16)가 수직으로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드프레임.
KR1020100083306A 2010-08-27 2010-08-27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KR20120020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06A KR20120020219A (ko) 2010-08-27 2010-08-27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306A KR20120020219A (ko) 2010-08-27 2010-08-27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219A true KR20120020219A (ko) 2012-03-08

Family

ID=46128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306A KR20120020219A (ko) 2010-08-27 2010-08-27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021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3863A (zh) * 2015-12-29 2016-05-25 大同煤矿集团有限责任公司 综采安全出口行人推拉折叠式过桥
CN106758849A (zh) * 2017-01-26 2017-05-31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低位安装对接的可拆卸式公路钢桥搬运架设车
CN106948252A (zh) * 2017-03-27 2017-07-14 陕西科技大学 同步带伸缩式进给应急桥及其使用方法
CN111021257A (zh) * 2019-12-19 2020-04-17 黄凤萍 一种用于道路桥梁预埋件的侧安装设备
CN111350121A (zh) * 2020-03-18 2020-06-30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箱梁桥的模块化拼装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03863A (zh) * 2015-12-29 2016-05-25 大同煤矿集团有限责任公司 综采安全出口行人推拉折叠式过桥
CN106758849A (zh) * 2017-01-26 2017-05-31 中国人民解放军国防科学技术大学 低位安装对接的可拆卸式公路钢桥搬运架设车
CN106948252A (zh) * 2017-03-27 2017-07-14 陕西科技大学 同步带伸缩式进给应急桥及其使用方法
CN106948252B (zh) * 2017-03-27 2019-04-05 陕西科技大学 同步带伸缩式进给应急桥及其使用方法
CN111021257A (zh) * 2019-12-19 2020-04-17 黄凤萍 一种用于道路桥梁预埋件的侧安装设备
CN111350121A (zh) * 2020-03-18 2020-06-30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一种钢箱梁桥的模块化拼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65577A (zh) 一种新的桩基托换的结构与方法
KR20120020219A (ko) 전진식 가설교량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가이드프레임
CN100535264C (zh) 一种钢套箱围堰及其回收方法
JP6454674B2 (ja) 止水作業空間の構築方法
CN101575858A (zh) 水下桥墩加固用钢围堰的施工方法
CN103938553B (zh) 预制混凝土面板快速拼装加固水下结构的施工方法
CN107489106B (zh) 一种岩石河床水中承台施工方法
CN203904853U (zh) 预制混凝土面板快速拼装加固水下结构
KR20110107888A (ko) 임시 물막이 공사를 생략하는 수중교각공사공법.
CN103122642B (zh) 一种竖向支柱换撑的施工方法
CN113774936A (zh) 一种先桩基后围堰的双壁钢围堰浮运定位下沉施工方法
CN113089687A (zh) 边坡防护方法及装置
JP6638785B2 (ja) 橋梁
JP2010261165A (ja) 沿岸工事の付帯設備仮設構造及び工法
KR20180128245A (ko) 임시교량을 사용한 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7372Y1 (ko) 수중 케이싱장치
CN107401142B (zh) 现役驳坎护岸墙加高施工方法
KR100555250B1 (ko) 전진방식에 의한 장경간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20100052A (ko) 유압잭을 이용한 측방유동교각 보정방법 및 세굴 보강구조
CN102587316A (zh) 沉箱式高桩海堤及其施工方法
JP6105044B2 (ja) 海上風力、橋および海上建造物用部分浮体式海上プラットホーム、および施工方法
CN211340818U (zh) 深水钢围堰混凝土封底
JP4504864B2 (ja) 消波機能付き堤体補強構造
JP6979642B2 (ja) 排水溝の容量拡大方法
KR100554398B1 (ko) 부유식 가설교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WITR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