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732A - 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732A
KR20120018732A KR1020110083915A KR20110083915A KR20120018732A KR 20120018732 A KR20120018732 A KR 20120018732A KR 1020110083915 A KR1020110083915 A KR 1020110083915A KR 20110083915 A KR20110083915 A KR 20110083915A KR 20120018732 A KR20120018732 A KR 20120018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ood
food waste
processing space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9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18245B1 (en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김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운 filed Critical 김영운
Publication of KR2012001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from food waste and a total wastewater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rivers by lowering the content of organic materials in wastewater. CONSTITUTION: A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water from food waste includes a sealable housing(1), a partition part(2), and an interface part(3). An inlet(11) and an outlet(12) for wastewater are formed in the housing. The partition part is arranged in the housing and forms a first flow path. Introduced wastewater is filtered by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The interface part is separably combi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part. The interface part interfaces the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Overflown wastewater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is formed at the interface part.

Description

음식물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한 종합오수처리장치{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생활하수를 정화처리하여 배출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sewage treatment apparatus for purifying and discharging domestic sewage including food waste and a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통상 생활하수에는 유기화합물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일예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주로 배출되는 생활하수로는 싱크대에서 버려지는 설거지물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가 있다. Normally, the sewage contains a large amount of organic compounds. For example, household sewage discharged mainly from homes or restaurants includes food waste contained in dishes that are thrown out of the sink.

이와 같이 유기화합물이 다량 함유된 오수가 하천 등에 방수되는 경우에 물속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이 높아져서 하천의 자정능력을 크게 떨어뜨리게 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sewa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organic compounds is waterproofed in a river or the like, the biochemical oxygen demand in the water is increased, which causes the river to significantly reduce its self-cleaning ability.

가정의 싱크대를 살펴보면, 싱크대의 배수구에는 버려지는 음식물이 배수관으로 빠져나가지 아니하도록 하는 배수트랩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트랩은 음식물 건더기만을 분리하기 위하여 일정 크기의 체눈을 갖는 거름망으로 짜진 것이 일반적인데, 원활한 물 빠짐을 위하여 큰 체눈을 갖는다. Looking at the sink of the home, the drain of the sink is provided with a drain trap so that the food is not drained into the drain pipe. Such drain traps are generally woven with a sieve having a certain size to separate food wastes, and have a large size for smooth drainage.

따라서 고춧가루나 밥알과 같이 작은 체적의 음식물 쓰레기는 거름망을 통과하여 그대로 배출되며, 이로써 하수에 포함되는 작은 음식물 쓰레기는 천천히 분해가 이루어지므로 수질을 더욱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Therefore, a small volume of food waste, such as red pepper powder or rice grains, is discharged as it passes through the strainer, and thus, small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ewage is slowly decomposed, causing further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던 종래의 기술들은 하수가 수거되어 정화되는 하수처리장에 적용하기 위한 거대 시설장치에 집중된 것이었다. 따라서 하수처리장으로 수집되지 못하고 주변 하천, 강 등에 그대로 버려지는 생활하수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며,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는 과정 중에 부패가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는 것이다.Conventional techniques that have attempted to solve this problem have been concentrated on large facility equipment for application to sewage treatment plants where sewage is collected and purified. Therefore, it does not suggest effective measures for living sewage that are not collected in sewage treatment plants and discarded in nearby rivers, rivers, etc., and has limitations that do not solve various problems in which corruption occurs during transport to sewage treatment plants.

또 최근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전담하여 분쇄, 건조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미세하게 빠져나가는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으로는 미흡한 것이다.In addition, recently, an apparatus for crushing and drying food wastes exclusively developed a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has been developed, but it is insufficient as an active countermeasure against food waste that is finely escaped.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947263호, 공고일 : 2010.03.12, 발명의 명칭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권리자 ; 김영운[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947263, Announcement Date: 2010.03.12, Name of the invention: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the owner; Young Woon Kim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757401호, 공고일 2007.09.11, 발명의 명칭 : 음식물쓰레기 분해 건조장치, 권리자 : 이정국[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No. 757401, Announcement 2007.09.11, Name of the invention: food waste decomposition drying device, the owner: Lee Jung-guk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버려지는 음식물을 포함하는 오수가 배수구로 버려지기 전에 1차 여과처리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imary filtration process before the waste water containing food waste discarded in the home or restaurant, etc. to the drain.

상기 과제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밀폐 가능하여, 오수의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수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여과처리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격벽부 그리고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격벽부를 넘친 오수가 통과하는 제2유로를 경계하는 경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를 제시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apable of sealing, to form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a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while the filthy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housing and the outlet is formed there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partition portion and a boundary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borders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ewage overflowing the partition wall passes.

이때, 상기 경계부에는 제1유로와 제2유로를 연결하는 복수의 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과홀에 의하여 제2유로를 통과는 오수는 제1유로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connecting the first passage and the second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boundary portion. Sewage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ssage by the passage hole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passage.

또한, 상기 경계부에는 상기 입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될 수 있다. 경사면은 대량의 오수가 유입되었을 때에 오수의 흐름을 제2유로로 유도하며, 제1유로로 진입하는 오수의 량을 신속하게 늘리는데 주요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boundary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entrance. The inclined surface is important for inducing the flow of sewage into the second channel when a large amount of sewage is introduced, and rapidly increasing the amount of sewage entering the first channel.

더하여, 상기 경계부의 상면에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층류판이 형성되어 제2유로를 통과하는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면서, 경계부를 격벽부 상에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게 돕는다. In addition, a laminar flow plat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part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hereby facilitating the flow of the sewage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and stably coupling the boundary part on the partition wall part.

더하여, 상기 격벽부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하여 이격되게 세워지고 저부에는 오수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격벽과, 이웃하는 격벽 사이에 구비되며, 통과하는 오수를 여과하는 여과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격벽은 제1유로의 길이를 길게 확보하면서 복수의 여과물이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portion is provided so as to cross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ward the exit, and the bottom portion is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are formed with holes through which sewage, and neighboring partition walls, and the sewage passing through Filtrate may be filtered. The plurality of partitions provide a space in which a plurality of filtrates can be installed while securing the length of the first flow path.

다른 예로, 상기 격벽부는 하부에서 유입된 오수가 점차 차오르다가 월류되어 통과하는 처리공간부, 그리고 상기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키는 수위조절공간부가 구비된 정화모듈이 복수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수는 복수의 상기 정화모듈을 차례로 통과한 후 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partition wall is purified by the flow of the sewage flowed from the lower portion gradually passed through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and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to lower the level of the sewage flowed from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into another processing space portion A plurality of modules are connected, and the sewage may be configured to flow out af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in sequence.

이때, 상기 처리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러지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름판은 상승하는 오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름판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물리적 여과처리 효율을 증대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processing space is provided in the processing space further comprises a filter pl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lump contained in the sewage, the filter plate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so that the rising sewage passes through Can be installed. This filter plate increases the physical filtration efficiency of food waste and can store food waste.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유로에는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물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물은 규조토, 도토리, 활성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규조토, 도토리, 활성탄 등의 여과물은 생물학적, 화학적 또는 물리적 여과를 가능케 함으로써 오수의 종합적이고 효과적인 여과처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 first flow passage provided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 filthy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is zigzag, and the first flow passage has at least one filtrate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filthy water. Is provided, the filtrat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tomaceous earth, acorns, activated carbon and combinations thereof. Filtrates such as diatomaceous earth, acorns, activated carbon, etc. enable biological, chemical or physical filtration to allow comprehensive and effective filtration of sewage.

다른 실시예로, 하부에서 유입된 오수가 점차 차오르다가 월류되어 통과하는 처리공간부와, 상기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키는 수위조절공간부가 구비된 정화모듈이 복수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수는 복수의 상기 정화모듈을 차례로 통과한 후 마지막 정화모듈을 통과한 오수는 다른 처리공간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승하는 오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리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판이 더 구비되고, 오수가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각 상기 처리공간부에 구비되는 거름판의 관통공이 점차 작게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를 제시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urific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space portion that is gradually filled with sewage flowed from the lower portion and passed through, and a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for lowering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overflowed from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into another processing space portion. The sewage is connected in plurality, and the sewage passes through a plurality of the purification modules in sequence, and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last purification modu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other processing space part, and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part so that the rising sewage passes through. Food wastewater is provided spaced apart, the filter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catching the food waste mass, the through holes of the filter plate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gradually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filthy water passing through Present a treatment device.

이때, 상기 처리공간부 또는 상기 수위조절공간부는 오수가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그 차지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제약된 공간의 활용도를 개선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or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is formed in a small charge area according to the order of filthy water can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limited space.

더하여, 상기 처리공간부 또는 수위조절공간부에는 상기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물은 규조토, 도토리, 활성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eatment space portion or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ltrate for purifying the sewage, the filtrate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tomaceous earth, acorns, activated carbon and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은 음식물오수처리장치와, 상기 음식물오수처리장치에 유입되는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덩어리를 잘게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포함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를 제시한다. 이러한 종합오수처리장치는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오수에 대한 종합 여과처리 솔루션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mprehensiv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and a pulverizing apparatus for finely crushing the food mas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flowing into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Such a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an be applied to a sink of a home or a restaurant, and is a comprehensive filtration treatment solution for sewage including food waste.

여기서, 상기 분쇄장치는 오수가 통과하는 통로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가 이격 배치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파쇄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crushing apparatus may include a screw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screw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eeth spaced apart in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filthy water passes, the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have.

나아가, 상기 분쇄장치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며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구에 결합되는 배수구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수구커버는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오수가 통과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1부재와, 상기 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장치는 상기 2부재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가 차단된 조건에서만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분쇄장치의 사용상에 따른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drainage cover is located higher than the crushing device and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is introduced, the drain cover is one member is coupled to the drain hole and the inlet through which the sewage is formed, the first member It is rotatably coupled to include two members for opening or blocking the inlet, the grind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operable only in the condition that the inlet is blocked by the two members to increase the safety in use of the grinding device You can.

또한, 상기 분쇄장치를 통과한 오수에서 일부 음식물 덩어리를 분리하여 건조배출하는 고형물분리배출장치를 더 포함하여,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에 대한 효과적인 제거가 가능하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olids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which separates and discharges some of the food masses from the filthy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grinder, thereby effectively removing the food waste masses.

또한, 음식물을 포함하는 오수가 낙하하는 통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분쇄를 위한 돌기가 솟은 적어 한 쌍의 나란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분쇄장치와, 상기 오수가 주입되는 통로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배수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은 상기 배수구커버가 상기 통로를 폐쇄시에만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lthy water containing food is installed in the passage, the crushing device including a pair of side-by-side screw and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screw, the crushing device is incli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jections for grinding It is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ssage, and includes a drain cove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passage,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a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drain cover is operable only when closing the passag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이나 식당 등지에서 버려지는 오수에서 음식물 쓰레기 등 유기물 덩어리의 함유율을 낮춤으로써 하수처리장에서의 유기물 처리의 부담을 덜고, 나아가 강이나 하천의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reducing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 such as food waste in the sewage that is discarded in homes and restaura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organic matter treatment in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to prevent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rivers and rivers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측면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실시예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를 일부 분해하여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실시예를 일부 분해하여 배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오수처리장치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분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배수구커버를 분해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AA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partially exploded,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5 in partial exploded view;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ayout relationship of the general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pparatus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0. FIG.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ain cover employe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종합오수처리장치의 구성, 기능 및 작용을 설명한다. 단, 실시예들에 걸쳐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번호는 통일하여 사용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function and operation of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the comprehensiv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similar or identical components are used throughout the embodiments.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는 음식물을 포함하는 오수가 배수되는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다.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 중 덩어리가 큰 것을 별도로 구비되는 거름망이나 후술되는 고형물분리배출장치 등에 의하여 1차 걸러질 수 있다. 거름망 등을 통과한 오수의 잔여 음식물 쓰레기는 오수와 함께 이동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는 이러한 잔여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 처리하여 최종 배출수에 음식물 쓰레기의 함유량을 낮추는 것이다.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in the place where the waste water containing food is drained. Larger chunks of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ewage may be first filtered by a sieve provided separately or a solid matter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described below. The residual food waste of the sewage,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net, is moved together with the sewage, and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lter the residual food waste to lower the content of food waste in the final discharged water.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그 내측에서 설치되는 구성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은 기밀 가능한 것으로 일측에서 오수가 주입되고, 타측에서 배출된다. 이로써 하우징의 내부 공간은 오수가 통과하는 유로가 되며, 내부에 구비되는 구성물에 의하여 단일한 유로가 형성되거나, 구획된 복수의 유로가 형성된다.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구성물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지그재그 타입의 유로는 제한된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서 오수가 머무는 시간을 증대시키며, 또한 여과처리되는 시간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nd a component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is airtight and sewage is injected from one side and discharged from the other side. As a result,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becomes a flow path through which wastewater passes, and a single flow path is formed by a component provided therein, or a plurality of partitioned flow paths are formed. The flow path formed inside the housing may have a zigzag shape by the component. This zigzag flow path increases the time for sewage in the limited space inside the housing and also increases the time for filt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는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유로를 통과하는 오수에 함유된 잔여 음식물 쓰레기 등 유기성 이물질을 흡착, 미생물에 의한 분해 등으로 여과처리하는 여과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여과물은 규조토, 활성탄, 도토리,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 염화칼슘, 마그네슘, 악취제거제 등이 있다. 또한, 여과물은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어느 하나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w path that forms a flow path therein, and filters the organic foreign substances such as residual food waste contained in the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flow path to be filtered by adsorption, decomposition by microorganisms, and the like. It includes. Such filtrates include diatomaceous earth, activated carbon, acorns, minerals that release anions, calcium chloride, magnesium, and odor removers. Further, the filtrate may be any one of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se.

도토리에 함유된 아콘산은 중금속 및 여러 유해물질을 흡수, 배출시키는 작용을 가지며, 중금속 정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onic acid contained in acorns is known to have a function of absorbing and releasing heavy metals and various harmful substances and having a heavy metal purification effect.

한편, 규조토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해저나 호수바닥에 퇴적한 후 화석화된 소재로, 나노미터 단위의 기공을 가지는 초다공질 구조를 가져 습도조절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탈취성, 내화성을 가져 다양한 분야에서 여과재, 탈지제, 흡수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규조토는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On the other hand, diatomaceous earth is a fossilized material after phytoplankton is deposited on the sea floor or lake bottom, and it is known to have excellent moisture control ability due to its ultra-porous structure with nanometer pores, and also has various deodorization and fire resistance properties. It is used as a filter medium, a degreaser, an absorbent, etc. Diatomaceous earth is also known to be harmless to the human body.

활성탄은 다공질의 탄소 덩어리로 습기, 악취 성분을 용이하게 흡착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오염된 공기와 물의 정확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미생물과 곰팡이의 발생을 방해하여 부패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음이온을 발산하여 양이온을 흡착하는 성질을 갖으며 오수의 유해물질을 분해하여 정화기능을 갖는다. 또한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물 분자를 나눠 산소량을 증대시키고, 물을 알카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tivated carbon is a porous carbon agglomerate that is known to easily adsorb and remove moisture and odor components. In addition, it shows an excellent effect on the accuracy of contaminated air and water, and has the effect of slowing the progress of decay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icroorganisms and mold. It also has the property of adsorbing cations by releasing anions and decomposing harmful substances of sewage and purifying them. In addition, it is known to diverge water molecules by emitting far infrared rays to increase the amount of oxygen and to alkalinize water.

음이온은 수중에 존재하는 양이온 물질을 중화하는데 주요한 것으로, 일례로 포름알데히드, 다이옥신 등의 양이온을 띄는 유해 화합물을 정화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은 대표적으로 토르마린, 모자나이트 등이 있다. Anions are important for neutralizing cationic substances present in water, and are known to purify harmful compounds with cations such as formaldehyde and dioxins, for example. Minerals that emit negative ions are typically tourmaline and mordenite.

염화칼슘은 세정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그네슘은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에 공급되는 영양성분이다. 그 외에도 널리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여과물이 사용될 수 있다. Calcium chloride is known for its cleansing properties, and magnesium is a nutrient that is supplied to microorganisms that break down organic matter. In addition, various well-known filtrates may be used.

오수가 유로를 통과하면서 오수에 함유된 작은 음식물 덩어리는 여과물을 통과하면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여과처리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여과처리된 오수는 배수구로 배출된다. 따라서 하수처리장에 보내지기 전에 오수를 먼저 정화처리할 수 있으며, 설사 오수가 하수처리장으로 수집되지 못하고 주변 하천, 강 등에 그대로 버려지는 경우에도 하천이나 강의 부영양화 등의 환경 오염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수처리장까지 이송되는 과정 중에 오수에 잔여하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오수의 부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s the sewage passes through the flow path, small food masses contained in the sewage pass through the filtrate, and are subjected to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filtration, and the filtered sewage is discharged to the drain. Therefore, the sewage can be purified first before being sent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even if the sewage is not collected in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and is discarded as it is in the surrounding rivers and rivers, it is possible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eutrophication of the river or the riv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rruption of the sewage due to food waste remaining in the sewage during the process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한편, 종합오수처리장치는 주방이나 식당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출되는 오수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종합오수처리장치는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덩어리를 잘게 나누는 분쇄장치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is installed in a kitchen or a restaurant, etc., to effectively separate and remove food waste from the discharged sewage. The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device includes a pulverizing device for dividing the food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나아가, 잘게 나뉜 음식물 덩어리는 다시 체적에 따라 분류되어, 큰 체적의 덩어리는 고형물분리배출장치로 분리 이동되며, 건조된 후 고형물로 배출된다. 고형물분리배출장치에서 분리하지 못한 작은 체적은 덩어리는 오수와 함께 이동하여 음식물오수처리장치에서 여과처리된다. Furthermore, the food mass divided into pieces is agai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volume, so that the large volume mass is separated and moved to the solid separation and discharging apparatus, and dried and discharged as a solid. Small volumes that could not be separated in the solids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move with the sewage and are filtered out in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또한, 분쇄장치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분쇄장치의 상부에 배수구커버를 더 구비하고, 이 배수구커버가 배수구를 막을 때에만 분쇄장치가 작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는 분쇄장치의 작동 중에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기타 물건을 배수구에 넣어 발생 가능한 치명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Further, in order to safely protect the user from the grinding apparatus, a drain cov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grinding apparatus is configured to be operable only when the drain cover covers the drain port. This allows the user to put a finger or other object into the drain during operation of the grinder to prevent possible fatal accidents.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와 종합오수처리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the comprehensiv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1 to 4 schematically show a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에는 하우징(1), 격벽부(2) 및 경계부(3)가 포함된다.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 a partition 2, and a boundary 3.

먼저, 하우징(1)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육면체 박스의 형상이다. 그러나 하우징의 형상은 도면에 제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박스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상부는 뚜껑(13)으로 기밀되게 막을 수 있다. First, the housing 1 has a space formed therein and is approximately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box. However, the shape of the housing is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The top of the box is open, and the open top can be hermetically closed with a lid 13.

여기서 뚜껑과 박스 상단 사이에는 패킹(도시 생략)이 더 구비되어 오수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은 다양한 임시 고정수단에 의하여 박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일례로 임시 고정수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3)의 외측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가 구비되는 플랩(131)과, 박스의 둘레면 상단측에서 상기 플랩에 대응하도록 돌출된 걸림편(1a)일 수 있다. 이러한 임시 고정수단은 클램프, 벨트로 테이프 등 다양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Here, a packing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id and the top of the box to prevent leakage of sewage, and the li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ox by various temporary fixing means. For example, the temporary fixing means, as shown, a plurality of flaps 131 are provided along the outer edge of the lid 13, and the engaging piece (1a)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flap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x May be). Such temporary fixing means can be variously modified, such as a tape clamp or belt.

하우징(1)의 일면에는 오수가 유입되는 입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면에는 하우징 내부를 통과한 오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입구와 출구에는 배관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배관은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플렉시블관일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입구측에는 공기를 주입하는 배관이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별도의 브로워 장치에서 공급받는 것이다. An inlet 11 through which the sewage flows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housing 1, and an outlet 12 through which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hous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Pipes extend from each inlet and outlet, which may be flexible pipes, although not shown.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inlet side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pipe for injecting air. This air is supplied from a separate blower devic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입구(11)는 출구(12)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오수의 흐름은 중력 방향에 따른 것으로, 입구(11)가 출구(12)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서 자연스러운 오수의 흐름이 발생되며, 하우징 내부의 오수는 모두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 가능한 것이다. 이로써 하우징 내부에 정체하는 오수가 없게 됨으로써 정체한 오수에 의한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inlet 11 may be located higher than the outlet 12.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low of sewage is in the direction of gravity, and the inlet 11 is formed higher than the outlet 12 so that a natural flow of sewage is generated inside the housing, and all of the sewage inside the housing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t is possible. This prevents stagnant sewage in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corruption due to stagnant sewage.

한편, 격벽부(2)는 하우징(1)의 내부공간 구비되어 유입된 오수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여과처리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물과, 제1유로 상에 구비되는 여과물을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artition wall portion 2 includes a structure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 to form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sewage is sequentially filtered and the filtrate provided on the first flow path.

즉, 격벽부(2)는 입구에서 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따라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흐름 방향을 한정하여 유도하는 구조물들을 포함하여, 하우징의 내부에서 오수가 입구에서 출구까지 일직선이 아닌 복잡한 다양한 형상의 제1유로를 따라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partition wall portion 2 includes structures that block or direct the flow of sewage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induces a variety of complex shapes in which the sewage is not straigh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o flow along the first flow path.

이러한 구성물은 오수의 흐름을 방해하기 위한 블록, 벽으로 형성되거나, 오수의 흐름을 유도하는 벽의 구멍 등으로 제시된다. These constructs are presented as blocks to block the flow of sewage, formed into walls, or holes in the walls that lead to the flow of sewage.

구체적으로, 도 2에서, 격벽부(2)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하여 이격되게 세워지고 저부에는 오수가 통과하는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격벽(21)을 포함한다. Specifically, in FIG. 2, the partition walls 2 are erect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cross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a plurality of partitions 21 having holes 211 through which sewage passes. It includes.

이들 격벽(21)은 입구에서 출구를 향하는 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1격벽(21a), 제2격벽(21b), 제3격벽(21c), 제4격벽(21d)이라 칭하여 서로 구분하도록 한다. The partitions 21 are sequentially called the first partition 21a, the second partition 21b, the third partition 21c, and the fourth partition 21d according to the direction from the entrance to the exit.

각 격벽(21)은, 도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내부의 바닥에 세워지는 판부재로, 양단은 하우징(1) 내벽면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each partition wall 21 is a plate member which stands on the floor inside a housing, and both ends exten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1.

또한, 각 격벽(21)의 저부의 일측 또는 타측에는 오수가 통과하는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어느 한 격벽의 구멍은 이웃하는 격벽과 반대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제1격벽(21a)과 제3격벽(21c)은 동일하게 일측 가장자리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격벽(21b)과 제4격벽(21d)에는 동일하게 타측 가장자리에 구멍(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오수가 각 격벽들 사이를 순차적으로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제1유로(실선 화살표 방향)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 hole 211 through which filthy water passes is formed at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of each partition wall 21. In particular, the hole of one of the partition walls is formed in the opposite side to the neighboring partition wall, the first partition 21a and the third partition wall (21c) is the same as the hole formed on one side edge, the second partition wall 21b ) And the fourth partition 21d are formed with holes 211 at the other edge. 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a first flow path (solid arrow direction) is formed in which the introduced sewage flows through each partition wall in a zigzag order.

이때, 각 격벽(21)의 구멍(2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가 밀집되게 형성되거나, 이와 달리 직경을 크게 하여 개방된 하나의 공간을 이루고 있을 수 있다.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경우에는 음식물 덩어리를 거를 수 있게 되므로, 제1유로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는 오수에 함유되는 음식물 덩어리의 크기를 한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후술되는 여과물에 따라 정화효과를 유지시키거나 증대시키는 데 주요한 것이다. In this case, the holes 211 of each partition wall 21 may be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densities as shown, or may form a single open space by increasing the diameter. When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food mass, thereby limiting the size of the food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that is moved to the rear side of the first flow path. This is important for maintaining or increasing the purifying effect depending on the filtrate described below.

더하여, 제1격벽(21a)에서 제4격벽(21d)으로 갈수록 구멍(211)의 크기를 점차 작게 함으로써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덩어리를 순차적으로 거를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각 격벽을 통과하면서 순차적으로 작은 음식물 덩어리를 거르게 함으로써, 구멍의 막힘을 저감하면서 최종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덩어리의 크기를 매우 작게 할 수도 있게 된다. 즉, 막힘의 우려를 덜면서 필터링 기능이 향상되는 것이다. In addition, by gradually decreasing the size of the hole 211 from the first partition 21a to the fourth partition 21d, the food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can be sequentially filtered. As described above, the small food masses are filtered out sequentially while passing through each partition wall, thereby reducing the blockage of the pore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food mass contained in the final sewage very little. That is, the filtering function is improved while reducing the risk of clogging.

한편, 하나의 구멍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오수가 원활하게 흐르게 하는데 주요한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f formed in one hole is a major to smoothly flow the sewage.

또한, 격벽(21)의 구멍(211)은 격벽의 저부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1유로의 내부에 오수가 고여 썩는 일이 없게 하면서, 오수가 여과물을 거쳐 통과하도록 하는데 주요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hole 211 of the partition 21 is formed near the bottom of the partition. This is important to allow the sewage to pass through the filtrate while preventing the sewage from accumulating inside the first channel.

여과물이 그물망체에 담겨진 경우에 여과물의 최대 높이는 격벽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보통이다. 만일 구멍이 격벽의 상단에까지 형성되어 있다면 여과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격벽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으로 통과할 우려가 있게 된다. 따라서 격벽의 저부에 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오수가 가능한 여과물을 통과하도록 유도하고, 이로써 여과처리 효율이 증대되는 것이다. If the filtrate is embedded in the mesh, the maximum height of the filtrate is usually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ulkhead. If the hole is formed at the top of the partition, there is a risk of passing through the hole formed at the top of the partition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rate. As a result, holes are formed in the bottom of the partition to allow sewage to pass through the filtrate where possible, thereby increas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한편, 격벽의 이격 간격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는 여과물의 투수성에 따라 투수성이 낮은 여과물이 구비된 유로는 넓게 형성하여 오수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하고, 상대적으로 투수성이 큰 여과물이 구비된 유로는 좁게 형성하여, 오수의 흐름은 원활하게 하면서 제한된 면적을 가지는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집약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pacing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ermeability of the filtrate, a flow path having a low permeability filtrate is formed wide to allow the sewage to pass smoothly, and a flow path having a relatively permeable filtrate is narrowly formed, so that the flow of sewage It is possible to us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having a limited area while smoothly.

한편, 격벽들 사이의 공간에는 여과물이 구비되어 있다. 각 여과물은 규조토, 활성탄, 도토리, 음이온을 방출하는 광물질, 염화칼슘, 마그네슘, 악취제거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또한, 격벽으로 구획된 공간마다 여과물은 서로 종류를 달리할 수도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rate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partitions. Each filtrate consists of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tomaceous earth, activated carbon, acorns, minerals emitting anions, calcium chloride, magnesium, deodorants and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 filtrate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spac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일례로, 도 4에서는 제1격벽(21a) 내지 제4격벽(21d)에 의하여 제1유로 내에는 여과물이 구비될 3군데의 공간이 형성되며, 각 공간에는 여과물(22)이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다. For example, in FIG. 4, three spaces in which the filtrate is provided are formed in the first flow path by the first partition 21a to the fourth partition 21d, and at least one filtrate 22 is formed in each space. It is provided.

이때, 일례로 제1격벽(21a)과 제2격벽(21b) 사이의 공간에 들어가는 여과물은 규조토이고, 제2격벽(21b)과 제3격벽(21c) 사이의 공간의 여과물은 도토리이며, 제3격벽(21c)과 제4격벽(21d) 사이의 공간의 여과물은 활성탄이다. 이러한 여과물의 종류는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At this time, for example, the filtrate enteri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artition 21a and the second partition 21b is diatomaceous earth, and the filtrate in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partition 21b and the third partition 21c is an acorn. The filtrate in the spac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partitions 21c and 21d is activated carbon. The type of such filtrate may vary.

여기서 규조토나 분쇄된 도토리는 고운 그물망체에 담아져, 격벽들 사이에 넣어질 수 있다. 이로써, 규조토나 분쇄된 도토리가 오수와 함께 쉽게 휩쓸려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명이 종료한 규조토 등을 하우징을 덮지 아니하고도 분리 배출하여 여과물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게 된다. Here, diatomaceous earth or crushed acorns can be contained in fine mesh and put between partition walls. As a result, diatomaceous earth or pulverized acorn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swept away with the sewage, and the diatomaceous earth, which has expired life,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without covering the housing, thereby easily replacing the filtrate.

규조토로 이루어진 여과물에는 유기물를 생물학적 여과처리하는 미생물이 정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규조토의 공극에서 유기물 덩어리를 필터링하게 되므로 물리적인 여과처리가 병행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규조토에 의하여 활성화된 음이온은 주변을 통과하는 양이온을 띠는 화합물을 당겨 중화시킬 수 있게 된다.Filtrate made of diatomaceous earth can be settled by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filtration of organic matter. In addition, since the organic matter mass is filtered in the pores of diatomaceous earth, the physical filtration treatment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In addition, the anion activated by diatomaceous earth can attract and neutralize the cationized compounds passing through the surroundings.

한편, 제2격벽과 제3격벽 사이에 구비되는 도토리는 규조토를 통과한 오수에 잔여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처리하고, 제3격벽과 제4격벽 사이에 구비되는 활성탄은 오수의 악취성분이나 잔여물을 흡착하여 오수를 정화한다.
On the other hand, the acorn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bulkhead and the third bulkhead filter the food waste remaining in the sew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atomaceous earth, and the activated carbon provided between the third partition and the fourth bulkhead is the odor component or residue of the sewage. To purify sewage.

한편, 격벽(21)의 높이는 하우징(1) 내부 공간의 상하 높이보다 낮은 것이다. 즉, 격벽부(2)의 전체 높이는 하우징(1) 전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 격벽부(2)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과 격벽부(2)를 구획하는 경계부(3)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21 is lower than the vertical height of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1. That is, the overall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part 2 is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whole housing 1. The space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2 and the boundary part 3 which partitions the partition part 2 are provided.

구체적으로, 경계부(3)는 격벽부(2)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제1유로와 격벽부(2)를 넘친 오수가 통과하는 제2유로를 경계하는 것이다. In detail, the boundary part 3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part 2 and borders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sewage overflowing the partition wall part 2 passes.

도 2와 도 3에서 경계부(3)는 격벽부(2)의 상부를 덮는 판 부재로 도시되어 있다. In FIGS. 2 and 3 the boundary part 3 is shown as a plate member covering the top of the partition wall part 2.

경계부(3)는 격벽부(2)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경계부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는 하우징의 내측면에 경계부가 물리는 고정용 단턱(1b)을 돌출성형하는 것이다. 다른 수단은 뚜껑을 닫았을 때에 경계부를 누르도록 경계부의 상부로 연장되는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The boundary part 3 can be detachably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2. One of the means for fixing the boundary part is to protrude the fixing step 1b which the boundary part bites on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Another means is to have a member that extends above the boundary to press the boundary when the lid is closed.

이러한 고정용 단턱이나 경계부를 누르는 부재는 함께 사용될 수 있으나, 경계부를 격벽부의 상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fixing step or the member for pressing the boundary may be used together, but various configurations for detachably fixing the boundary at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may be applied.

경계부(3)에 의하여 격벽부(2) 내부의 제1유로와 구획되는 제2유로는 오수가 신속하게 배출되도록 하우징(1)의 입구(11)에서 출구(12)를 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즉, 제2유로 상에는 오수의 흐름에 저항되는 구조물이 없거나, 최소화되어 있는 것이다. The second flow passage partitioned from the first flow passage inside the partition wall portion 2 by the boundary portion 3 is formed to open in a direction from the inlet 11 to the outlet 12 of the housing 1 so that the sewage is quickly discharged. do. That is, there is no structure on the second flow path that is resistant to the flow of sewage or is minimized.

또한, 경계부(3)는 격벽부(2)의 개방된 상부 공간을 덮는 것으로 비중이 작거나 비중이 크더라도 오수의 흐름에 휩쓸려 부상하는 여과물이 격벽부(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boundary part 3 covers the open upper space of the partition part 2 and prevents the filtrate, which is swept away by the flow of sewage from the partition wall part 2 even if the specific gravity is small or the specific gravity is large.

격벽부(2)를 구성하는 격벽들과 여과물(22)에 의하여 흐름 저항이 있게 되므로, 한꺼번에 오수가 들어온 경우에는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주방의 싱크대를 오수의 유입원으로 볼 때에 대량의 오수가 유입되는 상황은 식자재의 세척 등 음식물 쓰레기의 함유량이 적은 경우가 많다. 이런 대량의 오수는 격벽부를 바이패스(by-pass)하여 제2유로를 타고 신속하게 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Since there is a flow resistance by the partitions constituting the partition 2 and the filtrate 22, when filthy water enters at once, the drainage is not made smoothly. When the kitchen sink is viewed as an inflow source of wastewater, a large amount of wastewater flows in many cases where the amount of food waste is low, such as washing food materials. This large amount of wastewater bypasses the bulkhead to allow the second channel to be discharged quickly to the exit.

도 3에서 한꺼번에 대량의 오수가 유입되는 때의 주된 오수의 흐름을 흰색 블록 화살표로 표시하였다. 대량의 오수가 하우징(1)의 내부로 들어온 초기에는 입구(11)가 형성된 하우징(1)의 내벽과 제1격벽(21a)과의 사이에 오수가 모인다. 이때, 오수의 일부는 제1격벽(21a)의 구멍을 통과하여 격벽부(2)의 안으로 유입되고, 이후 제1유로를 따라 흐르게 된다. 도 3에서 제1유로를 통과하는 오수의 흐름을 실선 화살표 또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도면을 기준으로 전선 화살표는 오수가 격벽의 타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In FIG. 3, the main flow of sewage when a large amount of sewage flows at one time is indicated by a white block arrow. In the initial stage when a large amount of sewage enter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 the sewage collects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housing 1 in which the inlet 11 is formed and the first partition 21 a. At this time, a part of the sewage is introduced into the partition wall part 2 through the hole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1a, and then flows along the first flow path. In FIG. 3, the flow of sewage through the first channel is indicated by a solid arrow or a dotted arrow. Here, the wire arrows indicat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wage passes through the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한편, 많은 오수가 하우징(1)의 내부로 들어오면서 오수의 수위는 격벽부(2)를 넘고 결국 격벽부(2)의 상부에 형성된 제2유로에 따라 흘러 출구로 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as a large amount of sewage enters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exceeds the partition 2 and eventually flows along the second flow path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2 to the outlet.

격벽부(2)에 형성된 제1유로보다 제2유로의 흐름 저항이 낮기 때문에 대량으로 유입된 오수의 대부분은 제2유로를 거쳐 신속하게 출구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로써, 오수의 유입량이 변동적인 경우에도 오수의 원활한 배수가 보장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Since the flow resistance of the second flow path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flow path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part 2, most of the large amount of sewage flowed into the outlet flows quickly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Thus, even if the inflow of sewage is variab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smooth drainage of sewage is guaranteed.

더하여,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경계부(3)에는 복수의 통과홀(31)이 더 형성된다. 통과홀(31)은 경계부(3)를 이루는 판에 복수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다. 이 통과홀(31)은 제2유로를 통과하는 오수가 격벽부(2)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에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3에서 제2유로에서 제1유로로 유입되는 흐름 방향을 검은색 블록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대량의 오수가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초기와, 하우징 내의 오수 수위가 내려가는 종기에, 오수가 여과물이 구비된 제1유로의 내부로 가능한 유입되게 하여 여과처리가 유도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necessarily required,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31 are further formed in the boundary portion 3. Passing holes 31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intervals on the plate forming the boundary (3). The passage hole 31 allows the wastewa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ssage to flow into the first passag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2. In FIG. 3, the flow direction flowing into the first channel from the second channel is indicated by a black block arrow. In the initial stage when a large amount of sewage flows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in a boil in which the sewage level in the housing falls, the filtration treatment is induced by allowing the sewage to flow into the first flow path provided with the filtrate.

한편, 경계부(3)에는 하우징(1)의 입구(1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3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경계부(3)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제1격벽(21a)의 높이는 다른 격벽들보다 낮게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oundary part 3 is provided with the inclined surface 32 which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let 11 of the housing 1. The height of the first partition 21a is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partitions so that the boundary portion 3 can be installed.

경사면(32)은 제2유로를 향하는 오수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데 주요하다. 즉, 한꺼번에 대량으로 유입된 오수는 낮은 높이의 제1격벽을 쉽게 넘고 경사면(32)을 따라 제2유로로 신속하게 넘어가게 하는 것이다. The inclined surface 32 is important for the smooth flow of sewage toward the second flow path. That is, the sewage introduced in large quantities at one time is to easily cross the first partition of low height and to quickly cross the second flow path along the inclined surface 32.

더하여, 경사면(32)에 통과홀(31)이 더 형성되어 있다면, 제1격벽(21a)보다 수위가 올라간 오수는 제1격벽(21a)의 저부에 구비된 구멍과 경사면(32)의 통과홀(31)에 의하여 격벽부(2)의 내부로 신속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량으로 유입된 오수는 신속하게 격리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가능한 여과물이 구비된 격리부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유도된다. In addition, if the through hole 31 is further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32, the sewage having the water level higher than the first partition wall 21a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first partition wall 21a and the through hole of the inclined surface 32. It is possible to quickly flow into the partition wall portion 2 by the (31). Thus, large amounts of sewage are introduced into the sequesters quickly and pass through the sequesters with possible filtrate.

이와 같이, 경계부에 형성된 통과홀과 경사면에 의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가능한 여과물이 구비된 제1유로를 통과하도록 유도되어, 최대한 오수의 여과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In this way,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y the passage hole and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boundary portion is guided to pass through the first flow passage provided with the possible filtrate, so that the filtration of sewage is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더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부(3)의 상면에는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층류판(33)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a laminar flow plate 33 parallel to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ward the outlet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part 3.

이러한 층류판(33)은 경계부(3)의 상면에 세워지는 것으로, 복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서로 평행되게 이격되어 있다. 도 2에는 경계부(3)의 양단과 중앙측에 하나씩 총 3장의 층류판(33)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These laminar flow plates 33 are erec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portion 3, and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laminar flow plates are provided,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parallel. In FIG. 2, a total of three laminar flow plates 33, one at each end and the center of the boundary part 3, are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층류판(33)은 제2유로를 통과하는 오수의 흐름 방향과 평행함으로써 오수가 하우징의 내부에서 와류를 일으키지 아니하고 신속하게 빠져 나가도록 돕는다. The laminar flow plate 33 is parallel to the flow direction of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thereby helping the sewage flow out quickly without causing vortex inside the housing.

또한, 층류판(33)의 상단 높이는 경계부가 격벽부 상에 안치되었을 때에, 하우징(1)의 상단에 이른다. 따라서 하우징(1)에 뚜껑(13)을 덮으면 층류판(33)의 상단은 뚜껑(13)에 접하고, 층류판(33)이 경계부(3)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경계부는 격벽에 고정되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격벽부의 상부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end height of the laminar flow plate 33 reaches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 when the boundary part is settled on the partition wall part. Therefore, when the lid 13 is covered with the housing 1, the upper end of the laminar flow plate 33 is in contact with the lid 13, and the laminar flow plate 33 presses the boundary 3. In this case, the boundary portion may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even when a separate fixing means for fixing the partition wall is not provided.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는 유입된 오수가 월류되어 통과하는 처리공간부 그리고 상기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키는 수위조절공간부가 구비된 정화모듈이 복수로 연결되어 있고, 오수는 복수의 정화모듈을 차례로 통과한 후 유출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ing space portion that flows through the introduced sewage and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to lower the level of the sewage overflowed from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into another processing space portion The purification module provided is connected in plurality, and the sewage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in sequence.

여기서, 정화모듈은 오수가 통과되면서 그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처리하며, 여과처리가 이루어진 제거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배출하는 단위 정화수단이다. Here, the purification module is a unit purifying means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contained therein while passing the sewage, lowering the water level of the removed sewage filtration is discharged.

이러한 정화모듈은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으로 기밀 가능한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복수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입구로 유입된 오수는 복수의 정화모듈을 차례로 거치면서 다수 회에 걸쳐 여과처리된 후 출구로 배출된다.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정화모듈의 수는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a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ar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hich can be sealed with a lid, and the sewage flowing into the inlet of the housing is filtered through a plurality of times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let. do. The number of purification modules provided in the housing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gn.

정화모듈에는 처리공간부, 거름부, 수위조절공간부가 포함된다.The purification module includes a treatment space part, a filter part, and a water level control space part.

처리공간부의 바닥과 가까운 낮은 높이에서 오수가 유입되고, 오수는 점차 처리공간부에 차오르게 되어, 처리공간부에서 오수는 바닥면에서부터 상승하는 상승 흐름을 형성하게 된다.Sewage flows in at a low height close to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and the sewage gradually fills the processing space, so that the sewage in the processing space forms an upward flow from the bottom surface.

또한, 처리공간부에는 오수가 차올라 일정 수위를 초과하면, 수위조절공간부로 오수가 월류되게 하는 월류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월류부는 처리공간부의 측면벽 중 일부가 낮은 높이로 형성되거나, 낮은 높이가 되도록 월류홈이나, 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입된 오수는 처리공간부를 채우며 점차 상승하다가, 월류부를 통하여 배출되어 수위조절공간부로 떨어진다.Further, in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when the sewage rises above a certain level, the overflow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ewage flows into the water level adjusting space portion. The overflow portion may be formed of a overflow groove, a hole, or the like so that a part of the side walls of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is formed at a low height or has a low height. Therefore, the introduced sewage gradually rises while filling the processing space part,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verflow part and falls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art.

이 과정 중에 비중이 크거나 체적이 커서 유동성이 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공간부에 침전된다. During this process, food waste, which has a high specific gravity or a large volume, has low liquidity and is deposited in the processing space.

한편, 거름부는 오수가 통과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거르는 판 부재이다. 거름부는 오수의 상승 흐름에 따라 오수가 통과하도록 처리공간부의 내부에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part is a plate member which filters food waste while the wastewater passes. The manure part is provided inside the processing space so that the sewage passes as the sewage flows up.

구체적으로 거름부는 상승하는 오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리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거름판은 상승하는 오수가 통과하도록 일정한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거름판의 하부로 유입된 오수에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 중 관통공의 면적보다 큰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걸러내는 것이다. 이렇게 걸러진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는 추후 사용자가 수거함으로써 지속적인 거름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ure par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reatment space so that the rising sewage may pass, and may be formed of a manure plate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food waste mass is caught. That is, the filtering plate is formed of a plate formed with a through hole of a constant size so that the rising sewage passes, and filters out the food waste mass larger than the area of the through hole among the food waste masses included in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ing plate. This filtered food waste can be collected later by the user to maintain continuous manure performance.

또한, 거름부는 처리공간부의 중간 높이에 설치됨에 따라 처리공간부의 바닥부분에서 유입된 오수가, 유입부와 가까운 거름부의 일부분에만 중점적으로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거름부 전체를 비교적 균일한 유속으로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거름부 전체 면적에서 오수의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거를 수 있어, 물리적 여과 성능이 좋아지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manure is installed at the middle height of the treatment space, the sewage introduced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treatment space does not mainly pass through a portion of the manure close to the inlet but instead passes the whole manure at a relatively uniform flow rate.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waste of food waste from the entire area of the filter part, thereby improving physical filtration performance.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거름부를 처리공간부의 중간부분에 설치하기 위하여, 처리공간부의 바닥면에는 결합홈을 갖는 결합부를 세우고, 이에 대응하여 거름판의 배면에는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order to install the manure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treatment space, the 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groov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eatment space portion is established,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fitted to the coupling groove on the back of the filter plat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나아가, 거름부의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처리공간부의 내측벽에는 거름부의 설치높이에 맞추어 지지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treatment space part in accordance with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filter part so that the manure part is more stably combined.

또한, 거름부는 거름판 이외에도, 오수를 통과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걸러내는 다양한 스펀지 등의 거름 수단으로 전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ure portion may be converted to a manure means such as various sponges for filtering food waste mass while passing the sewage in addition to the manure plate.

여과물은 처리공간부에 담겨질 수 있다. 이러한 여과물은 전술된 바와 같이 고운 그물망체에 담아지거나, 거름부의 하부에 투입될 수 있다. 여과물이 거름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오수가 상승하더라도 거름부에 막혀 다른 수위조절공간부나 다른 처리공간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나아가, 수위조절부에도 처리공간부에서와 같은 구성의 거름부 또는 여과물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ltrate may be contained in the processing space. Such filtrate may be contained in a fine mesh as described above, or may be introduced at the bottom of the manure. When the filtrate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nure, even if the sewage rises, it is blocked by the manure and prevented from moving to another water level control space or another treatment space. Furthermore, the water level adjusting part may be provided with a filtering part or a filtrate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in the processing space part.

한편, 수위조절공간부는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부를 넘어 유입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정화모듈의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킨다. 이를 위하여 수위조절공간부에는 이웃하는 정화모듈의 처리공간부의 바닥부분과 연통되는 유통부가 구비된다. 즉, 유통부의 높이는 오수가 새로운 처리공간부의 바닥부분에서 유입되도록 가능한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월류부를 통과하여 수위조절공간부로 낙하되는 오수는 수위조절공간부에 구비된 낮은 높이의 유통부를 통하여 새로운 처리공간부의 바닥부분에서 유입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lowers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flowed into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of the other purification module beyond the overflow portion in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To this end,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of the neighboring purification module. That is, the height of the distribution portion is formed as low as possible so that sewage flows in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new processing space portion. Therefore, the sewage falling through the overflow portion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can be introduced from the bottom of the new processing space through the low height distribution provided in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는 두 정화모듈이 차례로 연결되어 있고, 마지막 정화모듈에는 다시 처리공간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구를 기준으로 첫 번째 정화모듈을 제1정화모듈(2A)이라 하고, 두 번째 정화모듈을 제2정화모듈(2B)이라고 칭한다. 또한, 각 정화모듈의 내부 구성요소도 그러하다. 더하여, 제2정화모듈의 출구측에 구비된 처리공간부는 제3처리공간부(29)라 한다. 5 to 8, in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wo purification modules are connected in sequence, and the last purific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processing space part again.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purification modul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purification module 2A and the second purification modul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purification module 2B based on the inlet. The same also applies to the internal components of each purif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provid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econd purification module is referred to as the third processing space portion 29.

한정된 하우징(1)의 내부 공간 안에 정화모듈을 복수로 구비하여야 하는 조건 하에서 각 정화모듈에 더하여 오수의 최종 배출 전에 제3처리공간부(29)를 더 둠으로써 최종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여과처리가 한 번 더 이루질 수 있게 된다.Under the condition that a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should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limited housing 1, in addition to each purification module, a third treatment space portion 29 is added before the final discharge of the wastewater. It can be done more times.

하우징(1)은 대략 육면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측벽을 통하여 전술된 처리공간부와 수위조절공간부를 갖는 정화모듈이 형성된다. 하우징(1)의 일측에 형성된 오수의 입구(11)는 제1처리공간부(23)의 바닥부분과 유통되도록 낮게 형성되어 있다. The housing 1 may be made of a substantially hexahedron, and a purification module hav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ing space portion and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is formed through sidewalls that divide the internal space. The inlet 11 of sewag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 is formed to be low so as to flow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first processing space 23.

제1처리공간부(23)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점차 제1처리공간부(23)에서 차오르면서 제1거름부(25)를 통과하고, 이에 제1거름부(25)에 형성된 제1관통공(251)보다 큰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는 제1거름부(25)의 하부에 수집된다. 제1거름부(25)를 통과한 오수는 제1월류부(231)를 통과하여 제1수위조절공간부(24)로 이동된다.The sewage flowing into the first treatment space 23 is gradually filled up in the first treatment space 23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manure 25, and thus the first wastewater 25 is formed in the first manure 25. The food waste mass larger than the first through hole 251 is collec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anure portion 25. Sewa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manure 25 is moved to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space 24 through the first moon current portion 231.

제1수위조절공간부(2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통부(241)가 바닥부분의 낮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월류부(231)를 넘어온 오수는 제1유통부(241)를 통과하여 제2처리공간부(26)의 바닥부분으로 유입된다. In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space 24, as shown in Figure 7, the first flow portion 241 is formed at a low height of the bottom portion. Therefore, the sewage that has passed over the first overflow portion 231 passes through the first flow portion 241 and flows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second processing space portion 26.

이때, 제1월류부(231)와 제1유통부(241)의 사이에는 역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간이벽(23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간이벽(232)은 제1처리공간부(23)에서 1차 걸러진 오수가 머무는 제1공간(233)과, 제2처리공간부(26)와 유통되는 제2공간(234)을 서로 분리 구획하고 있다. 제1공간(233)은 짧은 시간 동안 다량의 오수가 유입될 때에 제1처리공간부(23)를 통과한 오수의 유속을 낮추는 댐퍼의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제1공간(233)에서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의 침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간이벽(232)은 제2처리공간부(26)에서 오수가 역으로 유입되는 특정 상황에서 오수가 제1처리공간부(23)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차단 기능을 갖는다. In this case, a simple wall 232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monthly flow part 231 and the first distribution part 241 to prevent reverse flow. The simple wall 232 separates the first space 233 in which the first filtered wastewater from the first processing space part 23 stays, and the second space 234 flowing through the second processing space part 26. It is partitioned. The first space 233 has a function of a damper to lower the flow rate of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first treatment space 23 when a large amount of sewage flows in for a short time. Therefore, the sedimentation of the food waste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in the first space 233 is more effectively made. On the other hand, the simple wall 232 has a blocking function to prevent the sewage from flowing into the first processing space 23 in a specific situation in which the sewage flows back from the second processing space 26.

한편, 제2처리공간부(26)로 유입된 오수는 그 내부를 채우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2거름부(28)를 통하여 다시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러진다. 제2거름부(28)에 형성된 제2관통공(281)은 제1거름부(25)에 형성된 제1관통공(251)보다 그 지름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거름부(25)를 통과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 중 제2관통공(28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wage flowing into the second processing space 26 is raised while filling the inside. At this time, the food waste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is again filtered through the second manure 28. The second through hole 281 formed in the second manure portion 28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hrough hole 251 formed in the first manure portion 25, thereby passing through the first manure portion 25. One food waste mass can be separated from the food waste mass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second through hole 281.

제2거름부(28)를 통과하여 상승한 오수는 제2월류부(261)를 넘어 제2수위조절공간부(27)로 유입된다.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는 제2수위조절공간부(27)의 하부에 형성된 제2유통부(271)를 통하여 제3처리공간부(29)의 바닥부분으로 유입된다. Sewage that rises through the second manure 28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space 27 over the second overflow portion 261. Thereafter, as shown in FIG. 6, the sewage flows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third processing space portion 29 through the second flow portion 271 formed under the second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27.

이후, 제3처리공간부(29)의 내부를 채우며 상승하는 오수는 제3거름부(291)에 구비된 제3관통공(292)을 통과하면서 다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러진 후 유출부(27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3관통공(292)은 제2관통공(281)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제2거름부(28)에서 거르지 못한 작은 음식물 쓰레기를 오수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sewage rising while filling the interior of the third processing space part 29 passes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292 provided in the third manure part 291, and again, after filtering the food waste mass, the outlet part 272.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t this time, the third through hole 292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through hole 281 so that small food wastes not filtered by the second manure 28 may be separated from the sewage.

이러한 일련의 오수의 흐름을 위하여 제1월류부(231)의 높이, 간이벽(232)의 높이, 제2월류부(261)의 높이 및 유출부(272)의 높이는 순차적으로 낮게 형성된다. The height of the first overflow portion 231, the height of the simple wall 232, the height of the second overflow portion 261, and the height of the outlet portion 272 are sequentially lowered for the series of sewage flow.

이와 같이, 오수가 통과하는 각 처리공간부에 구비되는 거름판의 관통공이 점차 작게 형성됨으로써,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는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원활한 오수의 흐름을 유지하면서 작은 음식물 덩어리까지 오수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way, the through hole of the filter plate provided in each processing space portion through which the sewage is gradually formed,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ewage is sequentially filtered by size. Therefore, even a small amount of food can be separated from the sewage while maintaining a smooth flow of sewage.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공간부 또는 수위조절공간부은 오수가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그 면적이 점차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큰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함유한 오수가 걸러지는 선행되는 제1정화모듈(2A)은 그만큼 유속의 흐름이 저해되기 쉽기 때문에 오수가 걸러지는 면적을 증대시켜 오수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8, the treatment space portion or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may be formed to be gradually smaller in area in the order of filthy water passes. In other words, the first purification module 2A, in which the sewage containing the large food waste mass is filtered, tends to inhibit the flow of the flow rate, thereby increasing the area in which the sewage is filtered to smoothly flow the sewage. .

각 처리공간부에는 화학적 여과 또는 생물학적 여과가 이루어지게 하는 여과물(2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여과물은 규조토, 도토리, 활성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다양한 여과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Each treatment spac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ltrate 22 for chemical or biological filtration. At this time, the filtrate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tomaceous earth, acorns, activated carbon, and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various filtrates may be used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오수의 역류가 적극 방지되면서, 오수는 다단으로 나뉘어 다수 회에 걸쳐 여과처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단의 여과처리는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여과와 화학적 여과가 서로 떨어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화학적 여과물에 의한 미생물의 영향을 가능한 저감하여 여과효율을 개선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backflow of sewage is actively prevented, the sewage is divided into multiple stages and is filtered through a plurality of times. This multi-stage filtration treatmen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filtration efficiency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microorganisms by chemical filtrate as possible by making biological filtration and chemical filtration by microorganisms apart from each other.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9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제3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는 하우징(1), 격벽부(2) 및 경계부(3)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은 전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 a partition 2, and a boundary 3. Here, the housing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격벽부(2)는 유입된 오수가 점차 차오르다가 월류되어 통과하는 처리공간부, 그리고 상기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키는 수위조절공간부가 구비된 정화모듈이 복수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오수는 복수의 정화모듈을 차례로 통과한 후 출구로 유출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part 2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has a treatment space part in which the introduced sewage gradually fills up and flows through the water, and the water level control lowers the level of the sewage overflowed from the treatment space part and flows it into another treatment space part. Purification module having a space portion is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Thus, the sewag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in sequence and then flow out to the outlet.

제3실시예에 따른 격벽부(2)는 전술된 제2실시예의 음식물오수처리장치와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처리공간부, 수위조절공간부를 포함하는 단위 정화수단이 정화모듈이 복수로 구비되는 특징 외에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기술적 특징들이 제3실시예에 따른 격벽부에 그대로 적용 가능한 것이다. The partition 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at is, in addition to the feature of the purific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unit purifying means including a processing space part and a water level control space, the technical features shown in FIGS. 5 to 8 are applicable to the partition par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s it is.

다만, 제3실시예의 격벽부(2) 중 하우징(1)의 입구(11)와 가까운 측벽의 하부는 크게 개방되어 오수가 격벽부(2)의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개방된 측벽의 하부는 거름부의 높이보다는 낮은 것이다. However, the lower part of the side wall close to the inlet 11 of the housing 1 of the partition part 2 of the third embodiment is largely open so that the sewage flows smoothly into the partition part 2. At this time, the lower part of the open side wall i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ilter part.

격벽부(2)의 상부에는 경계부(3)가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경계부는 격벽부의 상부에 오수가 통과할 수 있는 제2유로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경계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실시예에 설명된 구성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다만, 경계부는 단일한 평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boundary part 3 is provided i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art 2 so that removal is possible. The boundary portion forms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sewage can pass.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is boundary may be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the boundary portion is formed of a single flat plate.

이러한 제3실시예는 제2유로에 의하여 한꺼번에 대량으로 유입된 오수가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는 특징과 복수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덩어리를 효율적으로 거르며 여과처리할 수 있는 특징을 모두 가지는 것이다.
This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age introduced in a large amount at a time by the second flow path can be quickly discharged, and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filter and filter the food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through a plurality of steps sequentially. It has all the features.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오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10 to Figure 12 shows a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종합오수처리장치는 분쇄장치(20)를 포함하고, 더하여 배수구 커버(40)나 고형물분리배출장치(30)를 더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ushing device 20, and further includes a drain cover 40 or a solid material separation and discharging device (30).

구체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의 싱크대(S)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 함유된 오수가 배출된다. 분쇄장치(20)는 이러한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잘게 부수어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 또는 고형물분리배출장치(30)에서 효과적인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나 여과처리가 이루어지게 돕는다. Specifically, sewa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sink (S) of the home or restaurant. The crusher 20 breaks down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ewage finely to help the food waste treatment device 10 or the solid waste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30 to effectively separate or filter the food waste.

구체적으로 분쇄장치(20)에는 오수가 통과하는 통로(S1) 안에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가 이격 배치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음시물 쓰레기 덩어리를 파쇄하는 복수의 톱니(220)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210)와, 상기 스크류(21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230)이 포함된다.Specifically, in the crushing apparatus 20, a plurality of teeth are dispos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in a passage S1 through which filthy water passes, and a screw 210 having a plurality of teeth 220 for crushing the trash of the garbag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driving means 230 for rotating the screw 210.

스크류(210)는 통로의 폭에 따라 다양한 수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이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통로(S1)에서 떨어지는 오수 및 그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와 만나게 배치되어 있다.Screw 21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numbers depending on the width of the passage. Preferably, two or more are install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disposed to meet the sewage falling from the passage S1 and the food waste contained therein.

구동수단(230)에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240)와, 모터의 회전력을 받아 토크를 증대시키고, 이웃하는 스크류(210)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공지된 구성의 기어박스(250)가 구비된다. 이로써, 모터(240)의 작동시 이웃하는 스크류(21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게 되고, 이웃하는 스크류 사이를 통과하는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는 빠르게 교차하는 톱니(220)에 의하여 잘게 부수어지게 된다. The drive means 230 is provided with a motor 240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a gearbox 250 of a known configuration to increase the torque in respons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nd to rotate the neighboring screw 2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do. As a result, the neighboring screw 210 rotates rapidly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the motor 240 operates, and the food waste mass passing between the neighboring screws is crushed by the teeth 220 crossing quickly.

이 경우, 분쇄장치(20)를 통하여 잘게 나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들은 전술된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에서 분리됨으로써, 최종 배출되는 오수에 음식물 쓰레기 함유량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food waste masses finely divided through the crushing device 20 are separated from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10 described above, thereby lowering the food waste content in the final discharged sewage.

한편, 분쇄장치(20)와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 사이에는 고형물분리배출장치(30)가 더 구비되는 경우에는, 싱크대(S)에서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다량인 경우에도 일부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배출함으로써 음식물오수처리장치(10)의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음식물오수처리장치에서 분리되는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의 양을 줄여 음식물오수처리장치에서 분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는 기간을 늘이는 효과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olid separation and discharging device 30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crusher 20 and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10, even if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introduced from the sink (S), some food waste masses By discharg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10 becomes more stable, and ha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period of collecting food waste separated from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by reducing the amount of food waste mass separated from the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do.

이때, 오수가 음식물오수처리장치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고형물분리배출장치의 오수 배출구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보다 높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the sewage outlet of the solid matter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is preferably located higher than the foo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so that the sewage can pass smoothly through the food waste water treatment device.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이러한 고형물분리배출장치에는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테이퍼진 압착스크류와, 상기 압착스크류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스크류를 이격되게 감싸 내부 공간부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어 전방에는 압착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배출하고, 하부로는 오수를 배출하는 구성의 분리부와, 분리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열풍 등의 열원으로 건조시키는 건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분리부는 공지된 구성의 원심력을 이용한 고액분리기 등 다양한 구성으로 전용될 수 있으며, 건조부도 다양한 열원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전용될 수 있는 것이다. Although not shown, the solid separation and discharg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tapered compression screws arranged side by side, a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compression screws in opposite directions, and an inner space part surrounded by the screws. The fron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ion unit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mpressed food waste mass in front of the space and discharge the sewage into the lower portion, and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separated food waste mass with a heat source such as hot air. . Alternatively, the separation unit may be dedicated to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solid-liquid separator using a centrifugal force of a known configuration, and the drying unit may be dedicated to a method using various heat sources.

이러한 고형물분리배출장치를 거쳐 배출되는 오수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함유율이 상당히 낮아지게 되며, 이후 전술된 음식물오수처리장치를 통하여 더욱 미세한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할 수 있게 된다.
The sewage discharged through the solid separation and discharging device is significantly lower the content of food waste, it is possible to filter the finer food waste through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한편, 배수구 커버(40)는 분쇄장치(20)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며, 오수가 유입되는 통로의 배수구에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싱크대의 바닥에 배수구 커버가 장착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drain cover 40 is located higher than the crushing device 20, and is coupled to the drain of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sewage flows. In the figure, a drain cover is mounted at the bottom of the sink.

배수구 커버(40)는 분쇄장치가 설치된 통로의 상단인 배수구를 막거나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배수구 커버(40)에 의하여 배수구가 차단된 조건에서만 분쇄장치(2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배수구가 개방된 상태에서 분쇄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작동하는 분쇄장치에 의하여 다칠 사고의 위험이 해소된다.The drain cover 40 may block or open the drain hole, which is the upper end of the passage where the grinding device is installed. The crushing device 20 can be operated only in a condition that the drain hole is blocked by the drain cover 40. This eliminates the risk of injury from the crushing device, such as the user's finger, as the crushing device operates while the drain is open.

구체적으로, 도 12를 참고하면, 배수구 커버(40)는 배수구에 결합되며 오수가 통과하는 유입구(411)가 형성되어 있는 1부재(41)와, 상기 1부재(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41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2부재(42)를 포함한다.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12, the drain cover 40 is coupled to the drain and has one member 41 formed with an inlet 411 through which sewage passes,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ember 41. It includes two members 42 for opening or blocking the inlet 411.

1부재(41)는 배수구에 결합되는 원통 부재로, 배수구의 주연부에 안착되기 위한 플랜지(4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1부재(41)의 일단은 판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에는 힌지공(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공(412)의 주변에는 복수의 유입구(4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411)가 형성된 일단에는 자력을 인지하는 센서(413)가 장착되어 있다. One member 41 is a cylindrical member coupled to the drain port, and a flange 414 is formed on the periphery of the drain port. In addition, one end of the one member 41 is formed of a plate, a hinge hole 412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a plurality of inlets 411 are formed around the hinge hole 412. In addition, a sensor 413 that recognizes a magnetic force is mounted at one end of the inlet 411.

한편, 2부재(42)는 1부재(41)의 힌지공(4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끼움돌기(422)가 하면에 돌출되어 있고, 상면에는 손잡이(424)가 돌출되어 있는 판 부재이다. 더하여, 2부재(42)에는 1부재(41)의 유입구(411)에 대응하여 두께 방향으로 개방된 통과구(4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2부재(42)에는 1부재(41)의 센서(413)와 대응된 위치에 자석(423)이 내장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wo members 42 are plate members, the fitting protrusion 422,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hole 412 of the one member 41, protrudes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handle 424 protrudes on the upper surface. . In addition, the two members 42 are formed with a passage opening 421 open in the thickness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inlet 411 of the one member 41. In addition, the magnet 423 is built in the two members 4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ensors 413 of the one member 41.

배수구에 결합된 1부재(41)의 힌지공(412)에 2부재(42)의 끼움돌기(422)가 결합되어 배수구 커버(40)가 조립된다. 1부재(41)는 2부재(42)에 대하여 힌지공(41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사용자는 손잡이(424)를 파지하여 2부재(42)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tting protrusion 422 of the two members 42 is coupled to the hinge hole 412 of the one member 41 coupled to the drain hole, and the drain cover 40 is assembled. One member 41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hole 412 with respect to the two members (42). The user can grip the handle 424 to smoothly rotate the two members 42.

1부재(41)에 대한 2부재의 회전 각도에 따라 1부재(41)의 유입구(411)와 2부재(42)의 통과구(421)가 겹치면서 배수구 커버(40)는 그 두께 방향으로 개방된다. 또한, 상기 회전 각도가 변경되면 유입구(411)와 통과구(421)가 어긋나게 되면서 배수구 커버(40)가 배수구를 차단한다. The inlet 411 of the first member 41 and the passage 421 of the two members 42 overlap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angle of the two members with respect to the first member 41, and the drain cover 40 is open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of. . In addition, when the rotation angle is changed, the inlet 411 and the passage 421 are shifted while the drain cover 40 blocks the drain.

유입구(411)와 통과구(421)가 어긋나게 위치되어 배수구 커버(40)가 배수구를 차단한 때에 1부재(41)의 센서(413)와 2부재(42)의 자석(423)이 상하로 겹치게 위치 된다. 이때, 센서(413)는 자석(423)에 방출된 자력을 감지하여 1부재(41)에 대한 2부재(42)의 회전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50)에 전기적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When the inlet 411 and the passage 421 are positioned to be offset, the sensor 413 of the one member 41 and the magnet 423 of the two member 42 overlap up and down when the drain cover 40 blocks the drain. Are located. At this time, the sensor 413 detects the magnetic force emitted by the magnet 423 to know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two members 42 relative to the one member 41,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50 provided separately Done.

또한, 2부재(42)의 손잡이(424)는 방향을 지시할 수 있도록 일단이 화살표 형상을 가지고, 1부재(41)의 플랜지(414) 상에는 지시마크(415)가 형성된다. 이 지시마크(415)와 손잡이(424)의 화살표가 일치할 때에 2부재(42)의 자석(423)과 1부재(41)의 센서(413)가 서로 상하로 겹치게 되며, 배수구 커버는 막힌 상태가 된다. Further, the handle 424 of the two members 42 has an arrow shape at one end so as to indicate the direction, and the indication mark 415 is formed on the flange 414 of the one member 41. When the indication mark 415 and the arrow of the handle 424 coincide with each other, the magnet 423 of the two members 42 and the sensor 413 of the one member 41 overlap each other up and down, and the drain cover is blocked. Becomes

여기서, 손잡이의 형상과 지시마크의 형상은, 색상표시, 문자, 기호 등으로 대체 가능한 것이다. Here, the shape of the handle and the shape of the indication mark can be replaced by color display, text, symbol and the like.

손잡이의 일단이 지시마크를 향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배수구 커버는 막히게 되며, 제어부(50)는 자력을 감지한 센서(413)에서 송출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분쇄장치(20)의 작동을 허여한다. By rotating one end of the handle toward the indicator mark, the drain cover is blocked, and the controller 50 permits the operation of the crusher 20 by an electrical signal sent from the sensor 413 that detects the magnetic force.

또는 분쇄장치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하고, 센서의 전기적 신호는 다른 스위치로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배수구 커버가 올바르게 차단되었을 때에 센서에 의하여 검출되는 전기적 신호와,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스위치의 활성이 모두 만족되었을 때에 분쇄장치가 작동하고, 전기적 신호나 별도의 스위치의 활성 중 어느 하나가 만족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분쇄장치가 작동하지 아니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의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구성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lternatively, a separate switch may be provided for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apparatus, and the electrical signal of the sens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nother switch. That is, the grinding device operates when both the electrical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and the activation of the separate switch by the user are satisfied when the drain cover is properly shut off, and either the electrical signal or the activation of the separate switch is satisfied. If not, the grinder can be configured not to work. The algorithm of the controller is generally well-known configura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분쇄장치는 2부재에 의하여 유입구가 차단된 조건에서만 작동 가능함에 따라 분쇄장치의 작동 중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다칠 염려가 줄어들게 된다. As such, the pulverizer may be operated only in a condition in which the inlet is blocked by the two members, so that the user's finger or the like may be injured during operation of the pulverizer.

10 : 음식물오수처리장치
1 : 하우징
1a : 걸림편 1b : 고정용 단턱 11 : 입구
12 : 출구 13 : 뚜껑 131 : 플랩
2 : 격벽부
21 : 격벽 211 : 구멍 21a : 제1격벽
21b : 제2격벽 21c : 제3격벽 21d : 제4격벽
2A : 제1정화모듈 23 : 제1처리공간부 231 : 제1월류부
24 : 제1수위조절공간부 241 : 제1유통부 25 : 제1거름부
251 : 제1관통공 232 : 간이벽 233 : 제1공간
234 : 제2공간 2B : 제2정화모듈 26 : 제2처리공간부
261 : 제2월류부 27 : 제2수위조절공간부 271 : 제2유통부
28 : 제2거름부 281 : 제2관통공 29 : 제3처리공간부
291 : 제3거름부 292 : 제3관통공
20 : 분쇄장치
210 : 스크류 220 : 톱니
230 : 구동수단 240 : 모터 250 : 기어박스
30 : 고형물분리배출장치
40 : 배수구 커버
41 : 1부재 411 : 유입구 412 : 힌지공
413 : 센서 414 : 플랜지 415 : 지시마크
42 : 2부재 421 : 통과구 422 : 끼움돌기
423 : 자석 424 : 손잡이
50 : 제어부
S: 싱크대 S1 : 통로
10: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1: housing
1a: engaging piece 1b: fixing step 11: entrance
12 outlet 13 lid 131 flap
2: partition wall
21: partition 211: hole 21a: the first partition
21b: Second partition 21c: Third partition 21d: Fourth partition
2A: first purification module 23: first processing space part 231: first overflow part
24: the first water level control space 241: the first distribution portion 25: the first manure
251: first through hole 232: simple wall 233: first space
234: second space 2B: second purification module 26: second processing space
261: second overflow portion 27: second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271: second distribution portion
28: second filter part 281: second through hole 29: third processing space part
291: third mantle 292: third through hole
20: grinding device
210: screw 220: tooth
230: driving means 240: motor 250: gear box
30: solid matter separating and discharging device
40: drain cover
41: 1 member 411: inlet 412: hinge hole
413: sensor 414: flange 415: indication mark
42: 2 member 421: Passing port 422: Fitting protrusion
423: magnet 424: handle
50:
S: sink S1: passage

Claims (16)

밀폐 가능하여, 오수의 입구와 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수가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여과처리되는 제1유로를 형성하는 격벽부 그리고
상기 격벽부의 상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유로와 상기 격벽부를 넘친 오수가 통과하는 제2유로를 경계하는 경계부를 포함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Sealable housing, the inlet and outlet of the sewage is formed,
A partition wall portion provided inside the housing to sequentially form a first flow path through which filthy water is introduced and is filtered;
And a boundary portion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and borders a second flow path through which the wastewater overflowing the first flow path and the partition wall passes.
제1항에서,
상기 경계부에는 복수의 통과홀이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1,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assage holes formed in the boundary.
제2항에서,
상기 경계부에는
상기 입구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구비되어 있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2,
At the boundary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slop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let.
제1항에서,
상기 경계부의 상면에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층류판이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undary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is formed with a laminar flow plate parallel to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ward the outlet.
제1항에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입구에서 상기 출구를 향하는 방향을 가로지르도록 하여 이격되게 세워지고 저부에는 오수가 통과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격벽과,
이웃하는 격벽 사이에 구비되며, 통과하는 오수를 여과하는 여과물을 포함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1,
The partition portion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erect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cross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and having a hole through which sewage passes;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neighboring partitions, and comprises a filtrate to filter the sewage passing through.
제1항에서,
상기 격벽부는
하부에서 유입된 오수가 점차 차오르다가 월류되어 통과하는 처리공간부, 그리고 상기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키는 수위조절공간부가 구비된 정화모듈이 복수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수는 복수의 상기 정화모듈을 차례로 통과한 후 유출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1,
The partition portion
The filtr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rification spaces having a sewage flowed in from the lower portion and gradually flowing over and passing through, and a water level adjusting space portion for lowering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flowed from the processing space into another processing space. There is,
The waste water is a food wastewater treatment device that is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purification modules in sequence.
제6항에서,
상기 처리공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러지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름판은 상승하는 오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6,
And a filtering plate provided in the processing spac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mass contained in the sewage.
The filter plate is a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so as to pass the rising sewage.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오수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하는 제1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유로에는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쓰레기를 여과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여과물이 구비되고,
상기 여과물은 규조토, 도토리, 활성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The first flow path is provided in the housing and the introduced filthy water is passed through the interior of the housing in a zigzag form,
The first flow passage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ltrate for filtering the food waste contained in the sewage,
The filtrate i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tomaceous earth, acorns, activated carbon and combinations thereof.
하부에서 유입된 오수가 점차 차오르다가 월류되어 통과하는 처리공간부와, 상기 처리공간부에서 월류된 오수의 수위를 낮추어 다른 처리공간부로 유입시키는 수위조절공간부가 구비된 정화모듈이 복수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오수는 복수의 상기 정화모듈을 차례로 통과한 후 마지막 정화모듈을 통과한 오수는 다른 처리공간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상승하는 오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처리공간부의 바닥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가 걸리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거름판이 더 구비되고,
오수가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각 상기 처리공간부에 구비되는 거름판의 관통공이 점차 작게 형성되어 있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The filtration modul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rification spaces provided with a processing space portion which gradually overflows the sewage introduced from the lower portion and flows through the water, and a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that lowers the water level of the sewage flowed from the processing space into another processing space portion. There is,
The sewage is passed through a plurality of the purification module in sequence and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last purification modul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other processing space,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ltering plat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so as to pass the rising sewage,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catch the food waste mass,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the through-holes of the filter plate provided in each of the processing space portion is gradually 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in which wastewater passes.
제9항에서,
상기 처리공간부 또는 상기 수위조절공간부는 오수가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그 차지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을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9,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that the charge space portion or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is formed in a small charge area according to the order of filthy water passes.
제9항에서,
상기 처리공간부 또는 수위조절공간부에는 상기 오수를 정화하는 여과물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여과물은 규조토, 도토리, 활성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오수처리장치.
In claim 9,
The treatment space portion or the water level control space portion is provided with a filtrate to purify the sewage,
The filtrate is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atomaceous earth, acorns, activated carbon and combinations thereof.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음식물오수처리장치와,
상기 음식물오수처리장치에 유입되는 오수에 함유된 음식물 덩어리를 잘게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포함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
Foo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1,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pulverizing device for finely crushing the food lump contained in the sewage flowing into the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제12항에서,
상기 분쇄장치는
오수가 통과하는 통로 상에서 서로 평행하게 복수가 이격 배치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음식물 쓰레기 덩어리를 파쇄하는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및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
In claim 12,
The grinding device is
Screws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arallel to each other on the passage through the sewage, a plurality of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for crushing the food waste mass and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screw.
제12항에서,
상기 분쇄장치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으며 오수가 유입되는 배수구에 결합되는 배수구커버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배수구커버는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며 오수가 통과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1부재와, 상기 1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유입구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2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장치는 상기 2부재에 의하여 상기 유입구가 차단된 조건에서만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
In claim 12,
It is located higher than the crushing apparatus and further comprises a drain cover coupled to the drain opening,
The drain cover
And one member coupled to the drain and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sewage passes, and two member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member to open or block the inlet.
The crushing device is a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is possible only in the condition that the inlet is blocked by the two members.
제12항에서,
상기 분쇄장치를 통과한 오수에서 일부 음식물 덩어리를 분리하여 건조배출하는 고형물분리배출장치를 더 포함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
In claim 12,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olid material separation and discharge device for separating and drying some food lumps from the sewage passing through the grinding device.
음식물을 포함하는 오수가 낙하하는 통로에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분쇄를 위한 돌기가 솟은 적어 한 쌍의 나란한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분쇄장치와,
상기 오수가 주입되는 통로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통로를 개폐 가능한 배수구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은 상기 배수구커버가 상기 통로를 폐쇄시에만 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오수처리장치.
It is installed in the passage of the sewage containing the food, the grinding device including a pair of side-by-side screw with a projection for grind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screw;
It is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passage in which the waste water is injected, and includes a drain cove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passage,
The operation of the drive means is a comprehensive sewage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 cover can operate only when the passage is closed.
KR1020110083915A 2010-08-23 2011-08-23 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KR10131824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1314 2010-08-23
KR1020100081314 2010-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732A true KR20120018732A (en) 2012-03-05
KR101318245B1 KR101318245B1 (en) 2013-10-15

Family

ID=4612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915A KR101318245B1 (en) 2010-08-23 2011-08-23 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82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64B1 (en) * 2012-09-28 2014-06-27 한승남 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61B1 (en) 2015-06-29 2017-02-24 세광건설 주식회사 Intercepting Chamber of Sewage Line
KR20170002163A (en) 2015-06-29 2017-01-06 세광건설 주식회사 Intercepting Chamber of Sewage Lin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890A (en) * 1999-12-03 2001-06-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rbage treatment apparatus
KR100829535B1 (en) * 2007-03-30 2008-05-20 주식회사 우람엔지니어링 Sewage disposal tank using reation of anaerobic and aerobic microorgaism
KR100959945B1 (en) * 2008-02-13 2010-05-26 김원주 Filtration disposal plant for sewage purification
KR100968598B1 (en) * 2008-09-30 2010-07-09 정광훈 Washing unit and float material filtering apparatu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364B1 (en) * 2012-09-28 2014-06-27 한승남 Apparatus for reducing food was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8245B1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903B1 (en) foodwaste shredder for sink
KR101318245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food-waste water and purifying system using it
JP2005519758A (en) Automatic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ood residue
CN108423890B (en) Domestic waste water classification ware
KR100880270B1 (en) Overall process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in a excrement and wasted water of stockbreeding with deodorizing device
US5901385A (en) Dry type toilet system
KR101056687B1 (en) Apparatus for offensive order removal at the restaurants
CN212799960U (en) A rainwater purifier for sponge city
KR101134677B1 (en) Sewage disposal system of food wastes
CN109205945A (en) A kind of sewage treatment unit
KR20170004786A (en) Structure for protecting environment pollution of water in city
JP2007326014A (en) Decomposing and purifying machine for oil and fat in wastewater
KR101559781B1 (en) Food waste treatment machine
KR100539146B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rainfall on bridge
KR100828162B1 (en) Dewatering Apparatus for Dedged Sand
KR200225625Y1 (en) Filtration apparatus for dirty water
KR101172837B1 (en) Overall processing apparatus of adulteration in a excrement and wasted water of stockbreeding with improved deodorizing function
CN109987783A (en) A kind of processing unit containing heavy metal containing sewage
KR200188213Y1 (en) Dish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sink
WO1999008796A1 (en) Garbage disposal apparatus
CN215027561U (en) Based on garbage chamber filtration equipment for purification treatment
CN215517055U (en) Sewage treatment device
KR100649145B1 (en) Apparatus for sewage disposal
JP2010022903A (en) Garbage disposal utilization system for condominium
RU2060779C1 (en) Apparatus for drinking water purification in household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