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610A - 승객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승객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610A
KR20120018610A KR1020100081557A KR20100081557A KR20120018610A KR 20120018610 A KR20120018610 A KR 20120018610A KR 1020100081557 A KR1020100081557 A KR 1020100081557A KR 20100081557 A KR20100081557 A KR 20100081557A KR 20120018610 A KR20120018610 A KR 20120018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onductive member
passenger
detection sens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기
황영수
박유태
황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610A/ko
Publication of KR20120018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56Child-seat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정전기에 의한 스위치의 파손이 방지되는 승객감지센서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는, 시트 내에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전도부재가 배치된 제1 필름과, 상기 시트 내에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도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제2 전도부재가 배치된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접착시키되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가 서로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어 스위치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제1 필름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상기 제1 전도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외부로 방출하는 제3 전도부재와, 상기 제2 필름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상기 제2 전도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외부로 방출하는 제4 전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승객감지센서{A sensor for sensing passenger}
본 발명은 승객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에 앉은 승객에 의해 가압되어 스위치방식으로 작동되는 승객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객의 안전을 위한 각종 안전장치가 구비되는 바, 그 중 자동차의 구조물과 승객 사이에서 부풀어 올라서, 상기 승객이 자동차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에어백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에어백은 시트에 앉은 승객이 일반적인 성인일 경우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상기 시트에 앉은 승객이 유아, 어린이, 또는 신체적조건이 열악한 성인일 경우에는 상기 에어백의 높은 전개압으로 인해 오히려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승객을 상기 일반적인 성인, 유아, 어린이, 또는 신체적조건이 열악한 성인 등으로 구분하여서, 에어백의 전개압을 달리할 필요성이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 유아, 어린이, 또는 신체적조건이 열악한 성인은 조수석에 앉게 되는 바, 북미에서는 상기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상기 일반적인 성인, 1세 이하의 유아, 3세 이하의 유아, 6세 이하의 어린이 및 5%의 여성 등으로 구분하여, 에어백의 전개압을 달리하도록 법규를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조수석에는 상기 조수석에 앉은 승객이 상기 일반적인 성인인지, 아니면 유아, 어린이, 또는 신체적조건이 열악한 성인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승객감지센서가 장착되어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정전기에 의한 스위치의 파손이 방지되는 승객감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는, 시트 내에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전도부재가 배치된 제1 필름과, 상기 시트 내에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도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제2 전도부재가 배치된 제2 필름과,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접착시키되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가 서로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어 스위치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착시키는 접착부재와, 상기 제1 필름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상기 제1 전도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외부로 방출하는 제3 전도부재와, 상기 제2 필름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상기 제2 전도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외부로 방출하는 제4 전도부재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객감지센서는, 제1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를 제3 전도부재가 외부로 방출하고, 제2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를 제4 전도부개가 외부로 방출하기 때문에, 스위치작용을 하는 상기 제1 필름에 배치된 제1 전도부재와 상기 제2 필름에 배치된 제2 전도부재로, 상기 정전기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정전기로 인한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가 포함되는 차량의 승객감지시스템이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감지센서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100)가 포함되는 차량의 승객감지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100)는 차량의 조수석 시트(2)에 설치된다. 조수석 시트(2)는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 쿠션(3)과,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5)을 포함한다. 승객감지센서(100)는 시트 쿠션(3)에 설치될 수도 있고, 시트 백(5)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시트 쿠션(3)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승객감지센서(100)는 조수석 시트(2)에 설치되어서, 조수석 시트(2)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시트 쿠션(3)이 가압될 때 스위치작동되어 승객의 하중에 따라 각기 다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수석 시트(2)가 공석일 경우에 승객감지센서(100)에서 출력되는 저항값은 무한대이고, 조수석 시트(2)에 승객이 착석한 경우에는 승객의 하중에 따라 각기 다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승객감지센서(100)에서 검출된 저항값은 제어부(BCM; Body Control Module, 4)로 전송되고, 제어부(4)는 승객감지센서(100)로부터 전송되는 저항값에 따라 조수석 시트(2)에 승객이 앉았는지 여부와 조수석 시트(2)에 앉은 승객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4)는 조수석 시트(2)에 승객이 앉아 있을 경우에 시트벨트(6)를 착용하지 않았다면, 승객에게 시트벨트(6)를 착용하라고 알려주는 경고음 및/또는 경고등이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승객감지센서(100)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객감지센서(100)의 회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승객감지센서(100)에는 조수석 시트(2)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스위치작동하는 복수개의 스위치(10)가 구비되어 있고, 이 복수개의 스위치(10)의 작동으로 승객감지센서(100)는 각기 다른 저항값을 출력한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승객감지센서(100)는 조수석 시트(2) 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과,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을 접착시키는 접착부재(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필름(20)은 조수석 시트(2)의 시트 쿠션(3) 내에서 상측에 배치되는 필름을 의미하고, 제2 필름(30)은 제1 필름(20)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필름(20)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필름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은 부도체인 피이티(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의 내부에 배치되는 후술할 제1 전도부재(50), 제2 전도부재(60), 제3 전도부재(70) 및 제4 전도부재(80)의 파손 위치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제1 필름(20)의 하면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1 전도부재(50)가 배치되고, 제1 전도부재(50)와 마주보는 제2 필름(30)의 상면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2 전도부재(60)가 배치된다.
접착부재(40)는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을 접착시키되, 제1 전도부재(50) 및 제2 전도부재(60)가 서로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어 스위치(10)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 사이에 이격공간(S)이 형성되게 접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접착부재(40)는 부도체인 양면테이프가 사용된다.
즉, 조수석 시트(2)에 앉은 승객의 하중에 의해 조수석 시트(2)가 가압될 때,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도 조수석 시트(2)와 함께 가압되어 휘어짐에 따라 이격공간(S)에서 제1 전도부재(50) 및 제2 전도부재(60)가 서로 접촉되어서 스위치(10)로 작용하는 것이다.
제1 전도부재(50)는 제1 필름(20)의 하면에 얇게 프린트되고, 제2 전도부재(60)는 제2 필름(30)의 상면에 얇게 프린트되어서, 승객감지센서(100)는 박막형으로 이루어진다.
제1 전도부재(50)는 실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제1 필름(20)의 하면에 프린트되는 실버부(52)와, 카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실버부(52)의 산화방지를 위해 실버부(52)위에 도포되는 카본부(54)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본부(54)는 제1 전도부재(50)와 제2 전도부재(60)가 이격공간(S)에서 쉽게 접촉되어 스위치(10) 작동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S)을 향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2 전도부재(60)는 실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제2 필름(30)의 상면에 프린트되는 실버부(62)와, 카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실버부(62)의 산화방지를 위해 실버부(62)위에 도포되는 카본부(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카본부(64)는 제1 전도부재(50)와 제2 전도부재(60)가 이격공간(S)에서 쉽게 접촉되어 스위치(10) 작동될 수 있도록, 이격공간(S)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승객감지센서(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에 정전기가 흐르게 될 가능성이 있다. 즉, 제1, 2 필름(20,30)에 제1, 2 전도부재(50,60)를 각각 프린트하는 공정, 또는 제1, 2 필름(20,40)을 접착부재(40)로 접착하는 공정, 또는 완성된 승객감지센서(100)을 시트(2)에 장착하는 공정에서 기계 또는 작업자와의 마찰로 인해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에는 정전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시트(2)에 장착된 후 시트(2)에 앉은 승객에 의해 시트(2)와의 마찰로 인해서도 제1 필름(20) 및 제2 필름(30)에는 정전기가 발생될 수 있다.
제1 전도부재(50)는 제1 필름(20)에 얇게 프린트되고, 제2 전도부재(60)는 제2 필름(30)에 얇게 프린트되기 때문에, 상기 정전기가 제1 전도부재(50) 및/또는 제2 전도부재(60)에 전달되게 되면, 전기적 충격으로 인해 제1 전도부재(50) 및/또는 제2 전도부재(60)는 크랙이 발생되거나 제1 필름(20) 및/또는 제2 필름(30)으로부터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승객감지센서(100)의 기능저하 또는 영구적인 고장을 초래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객감지센서(100)의 둘레에는 상기 정전기를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정전기 방지구조가 형성된다.
자세히 살펴보면, 제1 필름(20)의 하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3 전도부재(70)가 배치되고, 제2 필름(30)의 상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제4 전도부재(80)가 배치된다.
제3 전도부재(70)는 제1 전도부재(50)와 마찬가지로 실버부(72)와, 카본부(74)로 이루어진다. 즉, 제3 전도부재(70)는 실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제1 필름(20)의 하면에 프린트되는 실버부(72)와, 카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실버부(72)의 산화방지를 위해 실버부(72) 위에 도포되는 카본부(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필림(20)의 하면에 제1 전도부재(50)를 프린트할 때 제3 전도부재(70)도 함께 프린트할 수 있으므로, 생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제4 전도부재(80)는 제2 전도부재(60)와 마찬가지로 실버부(82)와, 카본부(84)로 이루어진다. 즉, 제4 전도부재(80)는 실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제2 필름(30)의 상면에 프린트되는 실버부(82)와, 카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실버부(82)의 산화방지를 위해 실버부(82) 위에 도포되는 카본부(8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필림(30)의 상면에 제2 전도부재(60)를 프린트할 때 제4 전도부재(80)도 함께 프린트할 수 있으므로, 생산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정전기는 부도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기 때문에, 제3 전도부재(70)는 제1 필름(20)의 표면과 접속되어서 외부로 그라운드되게 배치됨으로서, 제1 필름(2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제1 전도부재(50)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전도부재(80)는 제2 필름(30)의 표면과 접속되어서 외부로 그라운드되게 배치됨으로서, 제2 필름(3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제2 전도부재(60)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전기는 높은 전압에 비하여 전류값이 작기 때문에 그라운드로 방출되어도 승객감지센서(100)의 주변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3 전도부재(70)는 제1 필름(20)의 표면과 접속되어서 외부로 그라운드되게 배치되기만 하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1 필름(20)의 하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제3 전도부재(70)는 제1 필름(20)의 표면과 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제1 필름(20)의 상면에 배치되든 하면에 배치되든 측면에 배치되든 상관없다. 마찬가지로, 제4 전도부재(80)도 제2 필름(30)의 표면과 접속되어서 외부로 그라운드되게 배치되기만 하면 가능하기 때문에, 반드시 제2 필름(30)의 상면에 배치될 필요는 없다. 즉, 제4 전도부재(80)도 제2 필름(30)의 표면과 접할 수 있는 위치라면 제2 필름(30)의 상면에 배치되든 하면에 배치되든 측면에 배치되든 상관없다.
하지만, 제1 필름(20)의 하면에 제1 전도부재(50)를 프린트할 때 제3 전도부재(70)도 함께 프린트하여서 생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제3 전도부재(70)는 제1 필름(2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3 전도부재(70)는 제1 필름(20)의 하면에 배치되어서, 제1 필름(20)과 접착부재(40)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필름(30)의 상면에 제2 전도부재(60)를 프린트할 때 제4 전도부재(80)도 함께 프린트하여서 생산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제4 전도부재(80)는 제2 필름(30)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4 전도부재(80)는 제2 필름(30)의 상면에 배치되어서, 제2 필름(30)과 접착부재(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 시트 3: 시트 쿠션
4: 제어부 5: 시트 백
6: 시트벨트 10: 스위치
20: 제1 필름 30: 제2 필름
40: 접착부재 50: 제1 전도부재
60: 제2 전도부재 70: 제3 전도부재
80: 제4 전도부재 100: 승객감지센서
S: 이격공간

Claims (7)

  1. 시트 내에 배치되고, 일면에 제1 전도부재가 배치된 제1 필름;
    상기 시트 내에 상기 제1 필름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전도부재와 마주보는 면에 제2 전도부재가 배치된 제2 필름;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을 접착시키되,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가 서로 접촉 또는 접촉해제되어 스위치작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2 전도부재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도록 접착시키는 접착부재;
    상기 제1 필름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상기 제1 전도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외부로 방출하는 제3 전도부재; 및
    상기 제2 필름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필름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가 상기 제2 전도부재로 전달되지 않게 외부로 방출하는 제4 전도부재;를 포함하는 승객감지센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도부재는 상기 제1 필름과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감지센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4 전도부재는 상기 제2 필름과 상기 접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승객감지센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부재 및 제3 전도부재는,
    실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1 필름에 프린트되는 실버부와,
    카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실버부 위에 도포되는 카본부를 포함하는 승객감지센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도부재 및 제4 전도부재는,
    실버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제2 필름에 프린트되는 실버부와,
    카본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상기 실버부 위에 도포되는 카본부를 포함하는 승객감지센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및 제2 필름은 피이티(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진 승객감지센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재는 양면테이프인 승객감지센서.
KR1020100081557A 2010-08-23 2010-08-23 승객감지센서 KR20120018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557A KR20120018610A (ko) 2010-08-23 2010-08-23 승객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557A KR20120018610A (ko) 2010-08-23 2010-08-23 승객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10A true KR20120018610A (ko) 2012-03-05

Family

ID=4612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557A KR20120018610A (ko) 2010-08-23 2010-08-23 승객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8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6166B2 (ja) 静電容量式乗員センサおよび静電容量式乗員センサ装置
JP4218614B2 (ja) 座席状態検出装置、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照射方向調節装置及び着座検出装置
JP5316527B2 (ja) 静電容量式乗員検知装置
WO2013065669A1 (ja) 着座センサ
EP2216200B1 (en) Seat sensor apparatus for occupant presence detection
WO2006022261A1 (ja) 座席状態検出装置及び車両用ヘッドランプの照射方向調節装置
CN104349934A (zh) 车座悬置垫
US20140097651A1 (en) Vehicle seat occupant sensor and heater device
JP2010159043A (ja) 乗員検知システム
JP6148092B2 (ja) メンブレンスイッチ、センサユニット及びシート装置
KR20130007830A (ko) 자동차의 승객감지장치
WO2007090737A1 (en) Vehicle seat with pressure-activatable sensor
KR20120018610A (ko) 승객감지센서
KR20140012848A (ko) 차량의 승객감지장치
KR101495770B1 (ko) 승객감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US8022834B2 (en) Occupant detection system
US9719839B2 (en) Occupant sensor and seat with such an occupant sensor
KR20110119310A (ko) 승객감지센서
KR20120060347A (ko) 승객감지장치
JP2018034760A (ja) 乗員検出装置
JP2006226823A (ja) 乗員検知センサ
US20220080859A1 (en) Seating sensor and seat device
KR102037837B1 (ko) 안전 벨트 경고 센서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의 발열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00113376A (ko) 차량용 승객 감지장치
JP2013190405A (ja) 静電容量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