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554A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554A
KR20120018554A KR20100081476A KR20100081476A KR20120018554A KR 20120018554 A KR20120018554 A KR 20120018554A KR 20100081476 A KR20100081476 A KR 20100081476A KR 20100081476 A KR20100081476 A KR 20100081476A KR 20120018554 A KR20120018554 A KR 20120018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line thickness
printed
print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81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0343B1 (ko
Inventor
조용성
조영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343B1/ko
Priority to US13/193,046 priority patent/US8928930B2/en
Priority to EP11176460.1A priority patent/EP2424213B1/en
Priority to CN201110235472.1A priority patent/CN102375708B/zh
Publication of KR2012001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93Enlarging or reducing
    • H04N1/3935Enlarging or reducing with modification of image resolution, i.e. determining the values of picture elements at new relative pos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processing required or performed, e.g. for reproduction or before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축소 인쇄 방법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하여 오브젝트를 랜더링하고,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reduction image thereof}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이미지의 선 두께를 보상하여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프린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호스트 장치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축소 인쇄 옵션을 통해 축소하고자 하는 일정 비율을 설정한다. 화상형성장치가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들(objects)의 크기를 일정 비율로 조절하여 오브젝트들을 축소 인쇄한다. 즉, 축소 인쇄 옵션에 따라 오브젝트들의 크기도 일정 비율에 비례하여 축소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어 인쇄하려는 대상으로써 인쇄 매체에 인쇄되는 이미지, 폰트(font) 등을 포함한다. 축소 인쇄할 경우 축소된 오브젝트에서 화상형성장치가 인쇄할 수 없을 정도로 축소된 선은 인쇄되지 않으므로, 오브젝트의 일부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쇄 매체에서 오브젝트의 일부가 인쇄되지 않으면, 사용자가 인쇄된 내용을 식별할 수 없으므로 인쇄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의 축소 인쇄 방법은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장치로부터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 두께의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가 반영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랜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된 축소 인쇄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화상형성장치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 판단부;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보상 결정부; 상기 선 두께의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가 반영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랜더링하는 랜더링부; 및 상기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한다.
상기된 바에 따르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축소 인쇄할 때 축소 인쇄에 의해 사라질 수 있는 오브젝트의 선의 두께를 보상함으로써 원본 이미지와 동일한 형태로 축소 인쇄되므로, 축소 인쇄에 의해 사라지는 선이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축소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인쇄를 할 경우에도 인쇄 품질을 원본과 동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에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인쇄할 때 선이 사라지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선 두께를 보상하여 축소 인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고 선들을 인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 두께를 보상하여 선들을 인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복에 해당하는 선이 존재하는 경우축소 인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복에 해당하는 선이 존재할 때 축소 인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들이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경우 축소 인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들이 중첩되어 인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 프로세서(11), 인쇄부(12) 및 저장부(13)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11)는 랜더링부(110), 산출부(111), 선 판단부(112), 보상 결정부(113) 및 보상부(11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프로세서(11)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실시예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관련된 하드웨어 구성요소(hardware component)들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호스트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호스트 장치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따라 화상 신호를 인쇄 매체인 인쇄 용지에 가시 화상의 형태로 옮겨 인쇄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프린터, 스캐너, 복합기 등을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는 PC, 노트북 등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화상형성장치(1)와 연결 가능하고,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프린터 드라이버가 구동되는 장치를 말한다.
사용자는 호스트 장치에서 구동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하기 위한 다양한 옵션들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옵션들 중에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축소 인쇄를 하기 위한 축소 인쇄 옵션이 있다. 축소 인쇄 옵션에는 한 장의 인쇄 매체에 N개(N은 자연수)의 페이지들을 함께 축소하여 인쇄하는 것을 설정하는 N-up 옵션이 있다. 또한, 축소 인쇄 옵션에는 한 장의 인쇄 매체에 하나의 페이지를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인쇄하는 것을 설정하는 옵션이 있다. 예를 들면, A4 사이즈에 포함된 이미지를 A6 사이즈로 축소시키는 옵션 등을 의미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축소 인쇄 옵션은 호스트 장치에서 구동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설정된다.
화상형성장치(1)에서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는 인쇄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object)를 구성하는 선, 색, 모양, 오브젝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만약, 오브젝트가 글자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그 글자의 폰트 등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에는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설정된 축소 인쇄 옵션에 대한 정보도 함께 포함되어 있다. 이 밖에도 화상형성장치(1)에서 수신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되는 정보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오브젝트가 도형 또는 그림 등에 해당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된 오브젝트는 시각적으로는 면적을 갖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도트(dot)들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트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 가능한 하나의 점을 의미한다. 화상형성장치(1)가 오브젝트를 인쇄하는 경우 인쇄 용지가 투입된 방향 또는 반대 방향으로 오브젝트를 한줄 한줄씩 차례로 인쇄하므로, 오브젝트는 다수의 선들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선은 다수의 도트들이 일렬로 나열되어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 매체에 선으로 인쇄 가능한 최소의 선 두께(line width)가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상형성장치(1)는 선 두께(line width)가 1 도트(dot) 이상인 선만 인쇄할 수 있고,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인 선은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할 수 없다. 따라서,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들 중에서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인 선은 호스트 장치에서는 표시될 수 있다 할지라도, 화상형성장치(1)를 통해 인쇄할 경우에는 인쇄되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인쇄되지 않는 선으로 인하여 화상형성장치(1)는 호스트 장치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원본 그대로 출력할 수 없게 된다. 이하에서는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최소의 선 두께가 1 도트인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겠으나,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현상은 호스트 장치의 프린터 드라이버에서 축소 인쇄 옵션을 설정하였을 때 두드러진다. 왜냐하면, 원본 이미지에서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할 수 있는 선 두께를 갖고 있다 하더라도, 축소 인쇄 옵션에서 설정된 축소 비율에 비례하여 선 두께도 함께 축소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최소의 선 두께가 1 도트인 경우, 원본 이미지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이 3 도트의 선 두께를 갖고 있어도, 축소 비율에 따라 0.8 도트 등으로 1 도트 미만의 선 두께로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축소 비율에 의해 1 도트 미만인 선은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할 수 없어, 축소 인쇄에 의해 원본 이미지의 품질을 얻을 수 없다.
종래에는 이와 같이 축소 인쇄할 때 선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에서 실행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서 축소 인쇄하려는 축소 비율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해상도를 조절하고, 해상도가 조절된 이미지 데이터를 화상형성장치로 전송하여 인쇄함으로써 해결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은 호스트 장치에서 이용되어야 하고 화상형성장치에서 구동되는 것이 아니므로, 화상형성장치에 대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축소 비율에 따라 계산된 해상도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N-up 옵션에서 N을 2로 설정한 경우, 각 페이지를 60-70%로 축소해야 하는데, 이를 600dpi에서 선의 사라짐 없이 인쇄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360dpi-420dpi 사이의 해상도를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어플리케이션이 이와 같은 해상도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해상도가 조절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게 된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는 호스트 장치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아닌, 화상형성장치(1) 내부에서 동작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화상형성장치(1)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에 화상형성장치(1)가 선 두께를 보상함으로써 축소 인쇄할 때 선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프로세서(1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랜더링부(110), 산출부(111), 선 판단부(112), 보상 결정부(113) 및 보상부(114)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축소 인쇄 옵션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에서 인쇄할 수 없는 선 두께를 갖는 선에 대하여 프로세서(11)의 처리에 의해 선 두께를 보상함으로써 축소 인쇄할 때 선이 사라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1)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랜더링부(11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쇄하려는 이미지를 렌더링한다. 즉, 랜더링부(110)는 어떤 위치에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오브젝트는 어떤 모양으로 인쇄되어야 하는지, 오브젝트들간의 관계는 무엇인지, 축소 인쇄 옵션에 따른 축소 비율은 얼마인지 등을 고려하여 랜더링한다. 화상형성장치(1)에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랜더링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산출부(111)는 축소 인쇄 옵션에서 설정된 축소 비율에 따라 축소 인쇄될 상기 선의 선 두께를 산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산출부(111)는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선 각각에 대하여 축소 비율에 따라 축소된 선 두께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들이 각각 1 도트, 2 도트 및 3 도트의 선 두께를 갖고 축소 비율이 50%인 경우, 산출부(111)는 축소된 선 두께를 각각 0.5 도트, 1 도트 및 1.5 도트로 산출한다. 산출부(111)는 나아가서, 산출된 선 두께의 소수점을 반올림 또는 올림 등의 처리를 하여 자연수로 산출한다. 왜냐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자연수의 도트 단위로 인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원래의 오브젝트에서 1 도트의 선 두께를 갖는 선은 50%의 축소 비율에 의해 축소된 오브젝트에서 0.5 도트로 축소되는 것으로 산출되고, 나아가서 0.5 도트의 선 두께는 소수점 처리를 하여 0 도트로 산출된다. 결국에, 화상형성장치(1)는 이와 같은 0.5 도트의 선 두께를 갖는 선은 인쇄할 수 없다.
도 2는 종래에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인쇄할 때 선이 사라지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2-up 옵션에 따라 2페이지의 원본 이미지들(200)이 한 페이지의 이미지(201)로 축소 인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원본 이미지들(200)의 오브젝트들을 구성하는 선들(202)은 원본 이미지들(200)에는 존재하였으나, 축소 인쇄된 이미지(201)에는 사라진다. 이 선들(202)은 앞서 예로 든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들(200)에서는 선 두께가 1 도트였으나, 축소 비율에 의해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할 수 없는 0.5 도트의 선 두께로 축소된 경우에 해당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0.5 도트의 선 두께를 갖는 선에 대하여 이하와 같은 동작을 통해 선 두께를 보상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는 인쇄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선 판단부(112)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축소 인쇄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판단의 기초가 되는 선 두께는 산출부(111)에서 산출된 선 두께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선 판단부(112)는 선 두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최소의 선 두께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1 도트일 수 있다. 선 판단부(112)는 축소 인쇄 옵션에 따라 산출된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인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의 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인 선에 대한 정보를 보상 결정부(113)로 전송한다.
보상 결정부(113)는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보상 결정부(113)는 일 실시예에 따라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인 선에 대해서는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보상 결정부(113)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하 해당부분에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보상부(114)는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값으로 보상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선 두께의 값은 1 도트일 수 있다.
보상부(114)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의 선에 대한 정보 중에서 보상된 선에 대한 정보를 변경한다. 즉, 보상부(114)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서 보상된 선에 대한 선 두께를 보상된 값으로 변경한다. 보상부(114)에서 변경된 이미지 데이터는 다시 랜더링부(110)로 전송된다.
랜더링부(110)는 선 두께의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가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랜더링한다. 즉, 랜더링부(110)는 보상부(114)에서 보상된 선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변경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시 랜더링한다.
인쇄부(12)는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한다. 인쇄부(12)는 대전(Charging), 노광(writing), 현상(Developing), 전사(Transfering), 정착(Fusing) 등의 과정을 거쳐 오브젝트를 인쇄 매체에 축소 인쇄하는 작업을 한다. 인쇄부(12)는 화상형성장치(1)의 대전 롤러, 현상 롤러, 전사 롤러, 정착 롤러 등을 통해 인쇄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로써,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에서 선 두께를 보상하여 축소 인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2-up 옵션에 따라 2페이지의 원본 이미지들(300),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고 축소 인쇄된 한 페이지의 이미지(301) 및 선 두께를 보상하여 축소 인쇄된 한 페이지의 이미지(303)를 도시한 도면이다.
원본 이미지들(300)의 선들(302)은 축소 인쇄 옵션에 의해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으로 축소된다. 이에 대하여 종래와 같이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고 축소 인쇄 옵션에 따라 축소 인쇄한 경우에는 화상형성장치(1)가 선들(302)을 인쇄할 수 없으므로, 축소 인쇄된 이미지(3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들(302)이 축소되어 인쇄되지 않는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라 축소 인쇄 옵션에 의해 선 두께를 1 도트로 보상한 경우에는 축소 인쇄된 이미지(3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들(304)이 축소되어 인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본 이미지 그대로 축소하여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장치가 아닌 화상형성장치(1) 내에서 선 두께의 보상이 수행되므로, 어떠한 호스트 장치와 연결되어도 선 두께가 축소되어 인쇄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저장부(13)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에서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 프로세서(11)에서 처리된 결과 등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3)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화상형성장치(1)의 내부 장치의 필요에 따라 독출된다.
이하에서는 보상 결정부(113)에서 선 두께의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a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고 선들을 인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410)에는 선 두께가 1 도트인 A 선, 선 두께가 3 도트인 B 선 및 선 두께가 2 도트인 C 선을 갖는다. 이 원본 이미지(410)를 50%의 축소 비율로 축소 인쇄할 경우, 축소 비율에 따른 축소 이미지(411)에서 A 선은 선 두께가 0.5 도트로, B 선은 선 두께가 1.5 도트로, C 선은 선 두께가 1 도트로 축소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1 도트 미만의 선 두께를 갖는 선은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랜더링부(110)에서 랜더링된 이미지(412)에서 A 선은 선 두께가 0으로, B 선은 2 도트로, C 선은 1 도트로 랜더링된다. 랜더링된 이미지(412)에 기초하여 축소 이미지(413)에서 A 선은 인쇄되지 않고, B 선 및 C 선만이 인쇄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 두께를 보상하여 선들을 인쇄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고하면, 도 4b에는 도 4a와 비교하여 보상부(114)가 A 선의 선 두께를 1 도트로 보상한 도면(420)이 도시되어 있다. A 선에 대해 보상된 선 두께를 반영하여 축소 인쇄할 경우, 축소 이미지(421)에서 A 선과 B 선은 중첩되어 인쇄된다. A 선과 B 선의 래스터 연산(raster operator) 관계가 중첩될 수 있는 경우에는 B 선의 인쇄 품질에 영향이 없으나, 중첩될 수 없는 경우에는 B 선의 인쇄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보상 결정부(113)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선 두께의 보상에 의해 중첩되어 인쇄될 복수 개의 선들을 포함하는 경우, 선들간의 래스터 연산(raster operator)에 기초하여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 래스터 연산은 기존에 그려진 바탕(destination), 현재 그리려고 하는 대상(source) 및 패턴(pattern)의 연산 관계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보상 결정부(113)는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선들 중 중복에 해당되는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한다. 이와 같이 중복에 해당하는 선에 대해 선 두께를 보상할 경우 바탕에 해당하는 선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중복에 해당하는 선은 바탕에 해당하는 선과 겹쳐져 인쇄될 수 없으나, 중복에 해당하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하면 겹쳐지게 되기 때문이다.
나아가서, 보상 결정부(113)는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선들 중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한다. 중복에 해당하는 선과 달리,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선은 바탕에 해당하는 선과 겹쳐져 인쇄될 수 있다. 따라서,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하여 중첩되어 인쇄되더라도, 바탕에 해당하는 선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복에 해당하는 선이 존재하는 경우축소 인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510)에는 선 두께가 1 도트인 A 선, 선 두께가 3 도트인 B 선 및 선 두께가 2 도트인 C 선을 갖는다. 이 원본 이미지(510)를 50%의 축소 비율로 축소 인쇄할 경우, 축소 비율에 따라 축소 이미지(511)에서 A 선은 선 두께가 0.5 도트로, B 선은 선 두께가 1.5 도트로, C 선은 선 두께가 1 도트로 축소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1 도트 미만의 선 두께를 갖는 선은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랜더링부(110)에서 랜더링된 이미지(512)에서 A 선은 선 두께가 0으로, B 선은 2 도트로, C 선은 1 도트로 랜더링된다.
도면(513)은 A 선으로 그려지는 A 문자와 B 선으로 그려지는 B 문자의 래스터 연산이 XOR (exclusive or) 관계인 경우를 나타낸다. 만약, 보상부(114)가 A 선의 선 두께를 1 도트로 보상할 경우 A 선은 B 선과 중첩되어 인쇄될 수 있다. 하지만, A 문자와 B 문자가 중첩되어 인쇄되면, 도면(513)에 도시되어 있듯이 A 문자 또는 B 문자를 알아보기 어렵게 인쇄되므로, 인쇄 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선이 중복에 해당하는 경우, 중복에 해당하는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는다. 축소 이미지(514)를 참고하면, A 선은 중복에 해당하므로 인쇄되지 않는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중복에 해당하는 선이 존재할 때 축소 인쇄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를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520)에는 프린터 그림(5200)이 나타나 있고, 축소 이미지(521)에는 50%의 축소 비율로 축소된 프린터 그림(5210)이 나타나 있다. 원본 이미지(520)의 프린터 그림(5200)의 일부에 대한 확대 도면(522)를 살펴보면, 프린터 그림(5200)의 일부에는 3 도트의 black 색상의 선(523) 및 1 도트의 red 색상의 선(524)이 그려져 있다. 이 black 색상의 선(523) 및 red 색상의 선(524)은 서로 중첩되어 인쇄될 수 없는 중복을 나타내는 래스터 연산의 관계를 갖는다.
이 원본 이미지(520)에 있는 프린터 그림(5200)이 50%로 축소될 경우 3 도트의 black 색상의 선(523)은 2 도트로 축소되고, 1 도트의 red 색상의 선(524)은 0 도트로 축소된다. 따라서, 축소 이미지(521)에서 50%의 축소 비율로 축소된 프린터 그림(5210)의 일부에 대한 확대 도면(525)를 살펴보면, 축소 이미지(521)의 프린터 그림(5210)의 일부에는 2 도트의 black 색상의 선(526)만이 그려져 있고, 원본 이미지(520)의 red 색상의 선(524)은 인쇄되지 않는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들이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경우 축소 인쇄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를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610)에는 선 두께가 1 도트인 A 선, 선 두께가 3 도트인 B 선 및 선 두께가 2 도트인 C 선을 갖는다. 이 원본 이미지(610)를 50%의 축소 비율로 축소 인쇄할 경우, 축소 비율에 따라 축소 이미지(611)에서 A 선은 선 두께가 0.5 도트로, B 선은 선 두께가 1.5 도트로, C 선은 선 두께가 1 도트로 축소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1 도트 미만의 선 두께를 갖는 선은 인쇄할 수 없기 때문에, 랜더링부(110)에서 랜더링된 이미지(612)에서 A 선은 선 두께가 0으로, B 선은 2 도트로, C 선은 1 도트로 랜더링된다.
도면(613)은 A 선으로 그려지는 A 문자와 B 선으로 그려지는 B 문자의 래스터 연산이 서로 중첩되게 인쇄될 수 있는 관계를 나타낸다.낸다. 만약, 보상부(114)가 A 선의 선 두께를 1 도트로 보상할 경우 A 선은 B 선과 중첩되어 인쇄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6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와 같이 중첩되더라도 A 문자는 B 문자를 무시하고 중첩되어 인쇄가 가능하므로, 인쇄 품질이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이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경우에는 선 두께를 보상한다. 축소 이미지(614)를 참고하면, A 선은 B 선에 중첩되어 인쇄된다.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선들이 중첩되어 인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b를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620)는 중앙 부분에 워터마크(6200)가 표시된 문서이다. 워터마크(6200)와 중첩된 부분에 기재된 글자들(622)의 선 두께는 1 도트이다. 글자들(622)과 워터마크(6200)는 서로 중첩되어 인쇄될 수 있다. 즉, 글자들(622)은 워터마크(6200)에 대해 중첩되어 인쇄될 수 있는 래스터 연산의 관계를 갖는다.
축소 이미지(621)는 축소 인쇄 옵션인 N-up 옵션 중 4-up 옵션에 따라 원본 이미지(620)로부터 축소된 이미지이다. 원본 이미지(620)에서 글자들(622) 및 워터마크(6200)는 4-up 옵션에 따라 함께 축소된다. 여기서, 글자들(622)은 4-up 옵션에 의해 1 도트 미만의 선 두께를 갖게 된다. 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글자들(623)은 워터마크(6210)에 대해 중첩되어 인쇄될 수 있는 래스터 연산의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글자들(623)의 선 두께는 1 도트로 보상된다. 결국, 선 두께의 보상에 의해 축소 이미지(621)는 글자들(623)과 워터마크(6210)가 함께 인쇄될 수 있다.
상기된 다른 실시예는 도 1의 보상 결정부(113)의 동작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써 다른 실시예에 따르더라도 화상형성장치(1)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동작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축소 이미지 인쇄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1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1)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축소 이미지 인쇄 방법에도 적용된다.
701 단계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0)는 호스트 장치로부터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다.
702 단계에서 선 판단부(112)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축소 인쇄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703 단계에서 보상 결정부(113)는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704 단계에서 랜더링부(110)는 선 두께의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가 반영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랜더링한다.
705 단계에서 인쇄부(12)는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도 7의 702 단계 및 703 단계의 상세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 도시되지 않은 나머지 도 7의 단계들은 도 7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801 단계에서 선 판단부(112)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축소 인쇄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선 판단부(112)는 선 두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여기서, 임계값은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최소의 선 두께로 설정될 수 있고, 이는 1 도트일 수 있다.
선 두께가 1 도트 미만인 경우 선 두께의 보상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도 8의 방법은 802 단계로 진행되고, 선 두께가 1 도트 이상인 경우 보상하지 않으므로 도 8의 방법은 종료된다.
802 단계에서 보상 결정부(113)는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가 선 두께의 보상에 의해 중첩되어 인쇄될 복수 개의 선들을 포함하는 경우, 선들간의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보상 여부를 결정한다. 보상 결정부(113)는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선들 중 중복에 해당되는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도 8의 방법은 종료된다. 그러나, 보상 결정부(113)는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선들 중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도 8의 방법은 803 단계로 진행된다.
803 단계에서 보상부(114)는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값으로 보상한다. 여기서, 화상형성장치(1)가 인쇄 가능한 선 두께의 값은 1 도트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8의 방법이 종료된 이후에는 도 7의 704 단계부터 진행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화상형성장치
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1: 프로세서
12: 인쇄부 13: 저장부
110: 랜더링부 111: 산출부
112: 선 판단부 113: 보상 결정부
114: 보상부

Claims (20)

  1. 화상형성장치와 연결 가능한 호스트 장치로부터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 두께의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가 반영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랜더링하는 단계; 및
    상기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축소 인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선 두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1 도트(d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가능한 값으로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더링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된 선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랜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가능한 값은 1 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인쇄 옵션에서 설정된 축소 비율에 따라 축소 인쇄될 상기 선의 선 두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선 두께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선 두께의 보상에 의해 중첩되어 인쇄될 복수 개의 선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선들간의 래스터 연산(raster operator)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선들 중 중복에 해당되는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선들 중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인쇄 옵션은 한 장의 인쇄 매체에 복수의 페이지들을 축소하여 인쇄하는 것을 설정하는 옵션 및 한 장의 인쇄 매체에 하나의 페이지를 일정 비율로 축소하여 인쇄하는 것을 설정하는 옵션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2. 호스트 장치로부터 축소 인쇄 옵션이 설정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구성하는 선의 선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옵션으로 인해 인쇄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의 선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선 판단부;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보상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보상 결정부;
    상기 선 두께의 보상 여부에 대한 결정 결과가 반영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랜더링하는 랜더링부; 및
    상기 랜더링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축소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판단부는 상기 선 두께가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에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값은 1 도트(d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인쇄되지 않는 선의 선 두께를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인쇄 가능한 값으로 보상하는 보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랜더링부는 상기 보상된 선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오브젝트를 랜더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가능한 값은 1 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소 인쇄 옵션에서 설정된 축소 비율에 따라 축소 인쇄될 상기 선의 선 두께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 판단부는 상기 산출된 선 두께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결정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선 두께의 보상에 의해 중첩되어 인쇄될 복수 개의 선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선들간의 래스터 연산(raster operator)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결정부는
    상기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선들 중 중복에 해당되는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결정부는
    상기 래스터 연산에 기초하여 상기 선들 중 중첩되어 인쇄 가능한 선에 대해서는 선 두께를 보상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00081476A 2010-08-23 2010-08-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KR101760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76A KR101760343B1 (ko) 2010-08-23 2010-08-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US13/193,046 US8928930B2 (en) 2010-08-23 2011-07-28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reduction image thereof
EP11176460.1A EP2424213B1 (en) 2010-08-23 2011-08-0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reduction image thereof
CN201110235472.1A CN102375708B (zh) 2010-08-23 2011-08-16 图像形成设备及其打印缩减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76A KR101760343B1 (ko) 2010-08-23 2010-08-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54A true KR20120018554A (ko) 2012-03-05
KR101760343B1 KR101760343B1 (ko) 2017-07-21

Family

ID=44802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76A KR101760343B1 (ko) 2010-08-23 2010-08-23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28930B2 (ko)
EP (1) EP2424213B1 (ko)
KR (1) KR101760343B1 (ko)
CN (1) CN1023757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8118B2 (en) * 2007-06-26 2015-0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ze of object included in printing target to be printed at predetermined reduction ratio
KR101760343B1 (ko) * 2010-08-23 2017-07-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19822A (en) * 1978-08-17 1980-08-26 The Mead Corporation Skewed ink jet printer with overlapping print lines
US5054099A (en) 1989-02-23 1991-10-0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Binary image reduction method
JPH04358288A (ja) * 1991-06-04 1992-12-11 Fujitsu Ltd 縮小印刷装置
JP3710580B2 (ja) 1997-01-20 2005-10-26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方法
US6614546B1 (en) * 1997-03-10 2003-09-02 Minolta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054444B2 (ja) * 1997-07-30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3900700B2 (ja) * 1997-09-09 2007-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314702B2 (ja) * 1998-11-26 2009-08-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書込方法およびプリンタ
US6631976B2 (en) * 1999-04-14 2003-10-14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of ink jet nozzle prefiring
JP4250470B2 (ja) 2002-09-0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JP4560570B2 (ja) 2002-09-06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US7385725B1 (en) * 2003-04-02 2008-06-10 Adobe Systems Incorporated Previewing an image rendered on multiple pages
JP2005078236A (ja) * 2003-08-29 2005-03-24 Brother Ind Ltd 印刷制御装置
JP4677902B2 (ja) * 2003-10-31 2011-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US20050206937A1 (en) 2004-03-22 2005-09-2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US7869094B2 (en) * 2005-01-07 2011-01-11 Mitcham Global Investments Ltd. Selective dithering
JP4777139B2 (ja) * 2005-06-06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ホストベースプリンタ
US7843582B2 (en) 2005-08-31 2010-11-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riverless N-up and duplexed imaging
JP4689453B2 (ja) * 2005-12-02 2011-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41551B1 (ko) 2009-01-06 2012-07-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라인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KR101760343B1 (ko) * 2010-08-23 2017-07-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28930B2 (en) 2015-01-06
KR101760343B1 (ko) 2017-07-21
US20120044507A1 (en) 2012-02-23
CN102375708B (zh) 2016-04-06
EP2424213B1 (en) 2018-10-03
CN102375708A (zh) 2012-03-14
EP2424213A2 (en) 2012-02-29
EP2424213A3 (en)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3888B2 (en) Printer driver progra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525064B1 (ko) 토너 절약 방법, 토너 절약 시스템 및 화상형성장치
JP439667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67086B2 (en) Method of controlling scaled-down printing for host device and the hose device using the method
US200903161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image 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1385119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storage medium
US20150002880A1 (en) Printing apparatus
KR20120018554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장치에서 축소 이미지를 인쇄하는 방법
EP242916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US8705077B2 (en)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US8184304B2 (e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raster image processor
US9165225B2 (en)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900340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wo-sided watermarked printed documents
US8675246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JP2007312077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978005B2 (en) Printer for drawing bold charact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170300789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JP3875169B2 (ja) 検版装置および検版方法
JP606547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4011197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work estimating method that allows objective determination of estimation of work related to printing
US2014020440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ost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prin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07140953A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データ生成方法
US2014036888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JP2007087066A (ja) 印刷情報処理装置、印刷情報処理方法、及び印刷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96743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