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465A -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465A
KR20120017465A KR1020120011924A KR20120011924A KR20120017465A KR 20120017465 A KR20120017465 A KR 20120017465A KR 1020120011924 A KR1020120011924 A KR 1020120011924A KR 20120011924 A KR20120011924 A KR 20120011924A KR 20120017465 A KR20120017465 A KR 20120017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crolactin
inflammatory bowel
group
bowel diseas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강경란
윤시열
지용훈
김정애
박수민
Original Assignee
대우제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제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제약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1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7465A/ko
Publication of KR2012001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61K47/38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121/00Preparations for use in therap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크로락틴 에이(MA, macrolactin A) 또는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7-O-succinyl macrolactin A)와 같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들 마크로락틴 화합물은 단핵구의 부착과 이동에 관련된 세포부착물질(ICAM-1과 VCAM-1)과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IL-8, MCP-1의 발현을 억제하고 MPO (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추고, 특히 TNBS(trinitrobenzene sulfonic acid)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만성 염증성 질환의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 특히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MACROLACTIN COMPOUNDS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본 발명은 마크로락틴 에이(MA, macrolactin A) 또는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7-O-succinyl macrolactin A)와 같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들 마크로락틴 화합물은 단핵구의 부착과 이동에 관련된 세포부착물질(ICAM-1과 VCAM-1)과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TNF-α, IL-6, IL-8, MCP-1의 발현을 억제하고 MPO (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추고, 특히 TNBS(trinitrobenzene sulfonic acid)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므로, 만성 염증성 질환의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 특히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은 장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로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 장결핵, 아메바 장염, 방사선 장염, 약제유발 장염 등을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 특발성 염증성 질환인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말한다.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에 진무름(미란)이나 궤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질환으로, 혈변, 점혈변, 설사, 복통이 일어나고, 중증인 경우에는 발열, 체중감소, 빈혈 등의 전신성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크론병은 입에서 항문에 이르는 소화관의 임의 부위에 궤양 등의 병변이 비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복통, 설사, 혈변과 더불어, 중증의 경우에는 발열, 하혈, 체중감소, 전신 권태감, 빈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 모두 일시적으로 증상이 좋아지다가 재발이 반복되는 만성 난치성 질환이다. 이들 질환의 병인으로서는 유전적 요인이나 면역 이상, 식사 등의 환경 인자가 관여한다는 지적이 있지만, 원인은 아직 불분명하다.
종래,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의 발생율은 서양인에게 높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 식습관 등 생활 습관의 변화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도 환자수가 급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인이 불문명한 이유 등으로 근본적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아, 완전한 치료를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의 진행을 지연 및 완화시키고, 이러한 상태를 가능한 한 장기간 유지하는 약제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대증요법을 위한 약제로서는, 주로 아미노살리실산 제제,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 면역억제제, TNF-α 단일클론항체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다양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미노살리실산 제제로서 자주 사용하는 설파살라진은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발진, 두통, 간장해, 백혈구 감소, 이상 적혈구, 단백뇨, 설사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부신피질 스테로이드제인 프레드니솔론은 경구투여, 관장, 좌약, 정맥 주사 등으로 사용되지만, 위궤양이나 장기 사용에 의한 대퇴 골두 괴사 등 부작용이 강하다. TNF-α 단일클론항체인 Infliximab는 1998년 미국 FDA로부터 크론병 치료제로 허가를 받은 후 크론병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었으나, 범혈구 감소, 약물유발 낭창, B형 간염/결핵 재활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미국 FDA는 infliximab와 다른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저해제들을 사용하는 경우 림프종과 다른 암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음을 의사들에게 경고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보다 우수한 효과,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24환의 락톤링을 포함하고 있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인 마크로락틴 에이를 비롯한 마크로락틴 유도체들의 약리활성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하여 왔다. 마크로락틴 화합물들은 분류되지 않은 해양 박테리아, 방선균 그리고 바실러스 균주에서 생산되었으며, 지금까지 26 종류가 구조적으로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행해진 마크로락틴 화합물의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1989년에 처음으로 분리된 마크로락틴 에이(MA)는 쥐의 흑색종 종양 세포(murine melanoma cancer cell)와 단순포진 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 증식을 억제하고 HIV에 의해 손상된 T-림프아세포를 보호한다. 또한, 스쿠알렌 합성효소(squalene synthase)를 억제하며, 글루타메이트(glutamate)에 손상된 뇌세포를 보호하고, 슈퍼박테리아를 비롯한 여러 병원성균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이 지방다당질(LPS, lipopolysaccharide)로 유발된 여러 염증매개인자의 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여 특허출원한 바 있으며(PCT/KR2010/003239), 또한 다양한 혈관신생 촉진인자로 인한 혈관신생을 강력히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특허를 출원하였다(PCT/KR2011/001228).
특히, 본 발명자들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인 마크로락틴 에이(MA)와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가 염증성 장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염증 관련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 랫드에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적절한 치료법이 없고 대증요법으로 사용하는 약제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는 염증성 장질환에 대하여 보다 효과가 우수하면서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새로운 예방 및 치료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마크로락틴 화합물은 마크로락틴 에이(MA, macrolactin A) 및 이의 유도체일 수 있으며, 특히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나타낸 마크로락틴 에이(MA, macrolactin A),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7-O-succinyl macrolactin A) 및 7-O-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MMA, 7-O-malonyl macrolactin A)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서 염증성 장질환은 장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로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 장결핵, 아메바 장염, 방사선 장염, 약제유발 장염 등을 포함하며, 특히 만성 특발성 염증성 질환인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의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의 선출원(PCT/KR2010/003239)에서는 다양한 약리활성을 갖는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인 마크로락틴 에이(MA),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및 7-O-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MMA)가 염증 억제 활성이 있음을 발견하여, 이들의 염증 억제 메카니즘을 밝히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개시하고 있다. 즉, 이들 화합물이 염증유발인자인 iNOS 및 COX-2 활성을 억제하고,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 및 GM-CSF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이러한 대사 산물의 과잉 생성으로 수반되는 인체의 다양한 질병(예, 염증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을 것임을 예측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적응 증상이나 실제로 생체 내에서 염증 억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신약 개발 과정 중 생체외 실험에서는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가능성 높은 후보 물질들이 생체내 실험에서는 그렇지 못하여 제외되는 경우를 흔히 보게 된다. Kennedy는 198 종류의 신약 후보 물질들이 개발에 실패하게 되는 주된 요인으로서 부족한 약물동력학적 특성(poor pharmacokinetic property), 효력 결여(lack of efficacy), 독성(animal toxicity), 부작용(adverse effects in man) 등을 지적하고 있다[Kennedy T. Managing the drug discovery/development interface. Drug Discovery Tech . 2, 436-441 (1997)]. 즉, 신약 개발에서는 후보 물질의 생체내 흡수, 대사 및 배설 경로와 생체내 독성이나 부작용 등이 고려되어야 하며, 생체외 실험에서 나타내는 우수한 효과가 생체 내에서도 그대로 적용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염증 질환 중에서도 병인이 밝혀지지 않은 만성 난치성 질환으로, 치료제가 없고 대증요법으로 사용하는 약제의 부작용이 문제가 되고 있는 염증성 장질환에 주목하였으며, 마크로라이드계 항생물질 중에서 특히 마크로락틴 에이 및 이의 유도체가 실제로 생체 내에서 염증성 장질환에 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한 결과, 예상 밖의 우수한 효과를 얻게 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들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기 출원된 특허(PCT/KR2010/003239)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즉, 화학식 1 내지 3의 마크로락틴 에이,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및 7-O-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를 얻기 위해서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분리된 바실러스 폴리퍼멘티쿠스 KJS-2(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KCCM10769P) 균주를 사용하여 PCT/KR2010/003239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발효, 추출, 분리 정제 과정을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얻어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핵구의 부착과 이동에 관련된 세포부착물질(cell adhesion molecule)인 ICAM-1(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1)과 VCAM-1(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6(interleukin-6), IL-8 (interleukin-8), MCP-1(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발현을 억제하고 MPO(Myeloperoxidase) 활성을 낮춤으로써, TNBS(Trinitrobenzene sulfonic acid)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여기에서 염증성 장질환은 장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총칭하는 용어로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 장결핵, 아메바 장염, 방사선 장염, 약제유발 장염 등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염증성 장질환은 만성 특발성 염증성 질환인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마크로락틴 화합물로서 마크로락틴 에이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마크로락틴 에이(MA)의 유도체로는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및 7-O-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MMA)를 들 수 있다.
또한, 마크로락틴 화합물에는 마크로락틴 에이 외에도 마크로락틴 비(macrolactin B), 마크로락틴 씨(macrolactin C), 마크로락틴 디(macrolactin D), 마크로락틴 이(macrolactin E), 마크로락틴 에프(macrolactin F), 마크로락틴 지(macrolactin G), 마크로락틴 에이치(macrolactin H), 마크로락틴 아이(macrolactin I), 마크로락틴 제이(macrolactin J), 마크로락틴 케이(macrolactin K), 마크로락틴 엘(macrolactin L),마크로락틴 엠(macrolactin M), 마크로락틴 엔(macrolactin N), 마크로락틴 오(macrolactin O), 마크로락틴 피(macrolactin P), 마크로락틴 큐(macrolactin Q), 마크로락틴 알(macrolactin R), 마크로락틴 에스(macrolactin S), 마크로락틴 티(macrolactin T), 마크로락틴 유(macrolactin U), 마크로락틴 브이(macrolactin V), 마크로락틴 더블유(macrolactin W),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프(7-O-succinyl macrolactin F)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륨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용 제형, 외용제, 좌제, 점안제, 점이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 가능하다. 경구용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 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점안제, 점이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트윈(tween) 80,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점안제, 점이제 같은 경우에는 인산, 구연산, 주석산, 말산, 호박산 등 완충제와 염산, 황산,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 산도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크로락틴 에이 또는 이의 유도체들의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01 내지 500 ㎎/㎏의 양을 1 일 1 회 내지 수 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마크로락틴 에이 또는 이의 유도체들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질병의 정도, 환자의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크로락틴 에이(MA) 또는 이의 유도체들과 같은 마크로락틴 화합물들은 염증성 장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염증 관련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고, 랫드에 트리니트로벤젠 술폰산으로 유도된 염증성 장질환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만성 염증성 질환의 대표적인 염증성 장질환, 특히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이 사람 대장 상피세포(HT-29)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MA는 마크로락틴 에이, SMA는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를 의미한다.
도 2는 TNF-α로 유도된 사람 유래 대장 상피세포(HT-29)와 단핵구 세포(U937) 부착에 대한 마크로락틴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화합물이 HT-29 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ICAM-1과 VCAM-1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2% 아가로스 겔에서 ICAM-1, VCAM, 및 GAPDH의 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B와 C는 densitometry를 사용하여 GAPDH 대비 ICAM-1(B)과 VCAM-1(C)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TNBS로 유발된 랫드의 대장염에 대한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화합물의 효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A는 시험물질 투여 1일부터 6일까지 매일 기록한 체중이고, B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대장의 상태를 관찰한 것이고, C는 대장의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5는 MPO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대장 조직의 MPO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랫드의 대장조직에서 IL-6, IL-8, TNF-α, MCP-1 및 VCAM-1 mRNA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2% 아가로스 겔에서 IL-6, IL-8, TNF-α, MCP-1 및 VCAM-1의 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A), densitometry를 사용하여 GAPDH 대비 IL-6(B), IL-8(C), TNF-α(D), MCP-1(E) 그리고 VCAM-1(F)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대조군 (A~C), TNBS 그룹(D~F), 5-ASA 300 ㎎/㎏ 그룹(G~I), SMA 30 ㎎/㎏ 그룹(J~L) 및 SMA 100 ㎎/㎏ 그룹(M~O)의 조직병리학적 양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8은 대조군(A 및 B), TNBS 그룹(C 및 D), 5-ASA 300 ㎎/㎏ 그룹(E 및 F), SMA 30 ㎎/㎏ 그룹(G 및 H) 및 SMA 100 ㎎/㎏ 그룹(I 및 J)의 콜라겐 침착 양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약
FBS(fetal bovine serum)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S), RPMI-1640, DMEM은 Hyclone사(South Logan, UT, USA)에서 구입하였다. MTT(3-(4,5-dimethyl-2- thizolyl)-2,5-diphenyltertazolium bromide), BCECF-AM(2',7'-bis-(carboxyethyl) -5(6')-carboxyfluorescein acetoxymethyl ester), 프레드니솔론, 5-ASA(5-amino- salicylic acid)는 Sigma사(St. Luouis, MO, USA)에서 구입하였다. TNF-α(tumor necrosis factor-α)는 인비트로겐사(Invitrogen Life Tech.)에서 구입하였다.
제조예 1: 실험물질 생산 및 분리정제
실험물질인 마크로락틴 에이 및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화합물은 본 발명자들에 의해 선출원된 특허(PCT/KR2010/003239)에 기재된 방법대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in vitro 연구
(1) 세포배양
염증성 장질환의 세포 모델로 HT-29 사람 대장 상피세포와 U937 사람 단핵구 세포를 이용하였다. 세포는 10% FBS, 1% PS 및 2 g/L sodium bicarbonate, 2.05 mM L-glutamine이 함유된 RPMI1640 배지로 37℃,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으며, 세포가 배양 플라스크에서 80% 이상 자라면 1:5의 비율로 계대하였다.
(2) 세포독성(MTT assay)
HT-29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 농도로 배양한 뒤 1% FBS와 1% PS만을 함유한 배지에서 각각의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농도 별로 처리하여 37℃, 5% CO2에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가 끝난 후 농도 5 ㎎/㎖의 MTT 시약을 첨가하여 4시간 반응시키고 배지를 모두 제거한 다음, DMSO를 첨가하여 30분간 남아있는 포르마잔 결정을 모두 용해 시켜 54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마크로락틴 화합물이 사람 대장 상피세포(HT-29) 생존률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로, MA는 마크로락틴 에이, SMA는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를 의미한다.
도 1에서 보듯이, HT-29 세포에 24시간 동안 마크로락틴 화합물들을 처리한 경우, 마크로락틴 에이(MA)는 0~30 μM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의 경우는 0~10 μM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최고 농도 30 μM에서는 약 18%의 세포 생존율 감소를 나타내었다.
(3) 장 상피 세포-단핵구 부착능 실험(cell adhesion assay)
HT-29 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2×105 cells/㎠의 농도로 배양하여 1% PS만 함유된 무혈청 배지에 마크로락틴 화합물 각각을 농도별로 1시간 동안 전처리하였다. 그 다음 TNF-α를 10 ng/㎖ 처리하여 37℃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반응 종결 후 HT-29 세포의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1회 세척하였다. 그 후 37℃에서 30분 동안 10 ㎍/㎖ BCECF-AM으로 처리하여 반응시킨 U937 세포를 HT-29 세포와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부착되지 않은 U937 세포를 제거하기 위하여 PBS로 2회 세척하였다. 세포 용해를 위하여, 0.1M Tris 중 0.1% Tritox X-100를 처리하여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Fluostar optima microplate reader(BMG Labtechnologies, Germany)을 사용하여 형광을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도 2는 TNF-α로 유도된 사람 유래 대장 상피세포(HT-29)와 단핵구 세포(U937) 부착에 대한 마크로락틴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는 약물과 TNF-α 모두 처리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1 미만인 경우이고, #는 TNF-α 처리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1 미만인 경우이다.
도 2에서 보듯이, 마크로락틴 에이와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모두 TNF-α에 의해 유도된 장 상피 세포와 U937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크로락틴 에이(MA) 10 μM과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3 μM~10 μM에서 5-ASA(5-aminosalycylic acid) 20 mM과 유사한 활성이 나타났고, 마크로락틴 에이(MA) 3 μM과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1 μM~3 μM에서는 프레드니솔론 138 μM과 유사한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염증세포의 이동과 침윤을 일으키는 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성구와 림프구 같은 염증세포들의 부착을 이들 마크로락틴 화합물이 강력히 억제함으로써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4) 세포 부착 물질 발현 억제
① HT-29 세포에 물질 처리
배양된 HT-29 세포에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1~10 μM) 또는 5-ASA(20 mM)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처리한 후 TNF-α(10 ng/㎖)로 3시간 동안 HT-29 세포를 자극하였다.
② RT-PCR(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각 물질이 처리된 세포에서 총 RNA를 Trizol 시약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Trizol에 의해 용해된 세포에 클로로포름을 넣어 상을 분리시키고 이소프로판올로 RNA를 침전시켰다. 75% 에탄올 용액으로 RNA를 세척한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RNase free water에 추출한 RNA를 녹여 55~60℃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분리된 RNA는 GoScript reverse transcription system(Promega, Madison, WI, US)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Takara Taq(Takara bio Inc., Shiga, Japan)을 이용하여 아래 표 1에 표시된 프라이머(Bioneer, Deageon, Korea)를 가지고 주어진 조건대로 증폭시키고, 1.5%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시킨 후 Myimager(SLB,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촬영한 이미지는 Labwork 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도 3은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화합물이 HT-29 세포에서 TNF-α로 유도된 ICAM-1과 VCAM-1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2% 아가로스 겔에서 ICAM-1, VCAM, 및 GAPDH의 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 B와 C는 densitometry를 사용하여 GAPDH 대비 ICAM-1(B)과 VCAM-1(C)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는 약물과 TNF-α 모두 처리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고, #는 TNF-α 처리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다.
도 3에서 보듯이,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10 μM 처리군에서 세포부착물질인 ICAM-1과 VCAM-1의 발현을 5-ASA 20 mM과 유사하게 억제하여,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는 농도 의존적으로 ICAM-1과 VCAM-1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래 표 1은 in vitro 연구에서 사용한 세포부착 물질의 프라이머 염기서열과 증폭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프라이머 서열 증폭
GAPDH
(496bp)
(S) 5'-GGTGAAGGTCGGAGTCAACG-3'
(AS) 5'-CAAAGTTGTCATGGATGACC-3'
94℃ 45초
58℃ 45초 30 사이클
72℃ 45초
VCAM-1
(724bp)
(S) 5'-GGATTCTGTGCCCACAGTA-3'
(AS) 5'-CCTGGCTCAAGCATGTCATA-3'
94℃ 30초
60℃ 60초 30 사이클
72℃ 60초
ICAM-1
(491bp)
(S) 5'-CAATGCCCAGACATCTGTGTC-3'
(AS) 5'-CAGTGCGGCACGAGAAATTG-3'
92℃ 30초
62℃ 45초 28 사이클
72℃ 45초
실시예 2: in vivo 연구
(1) TNBS로 유도된 대장염 동물모델에서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의 대장염 억제 효능 평가
실시예 1에서 실시한 세포 부착 평가에서 가장 강한 효능을 보이는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를 대장염 동물모델에 사용하였다. 동물은 7~8 주령 된 Sprague Dawley 종을 Samtaco Bio Korea로부터 구입하여 2일간 일반 고형사료로 안정화시킨 후 실험에 이용하였다. 실험 기간 중 사료와 물을 자유로이 공급하였고, 사육실의 온도는 25±1℃, 상대습도는 50±10%로 유지시켰다. 점등 관리는 자동조명조절기에 의해 12시간 명암주기(light-dark cycle)로 조절하였다. 실험군은 각 군당 6 마리로 하여 평균체중이 180±10 g이 되도록 난괴법(randomized block design)에 의하여 5군(대조군, TNBS 단독 투여군, TNBS + 5-ASA 300 ㎎/㎏ 투여군, TNBS + SMA 30 ㎎/㎏ 투여군, TNBS + SMA 100 ㎎/㎏ 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하였다.
24 시간 절식한 랫드를 디에틸에테르로 마취하고, 폴리에틸렌 카테터를 연결한 1㎖ 주사기를 이용하여 항문을 통해 대장의 관강 내에 50% (v/v) 에탄올로 희석한 3% TNBS 0.8 ㎖을 천천히 주입한 후, 항문으로 3% TNBS가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랫드를 거꾸로 세운 상태에서 60 초 동안 정치시켰다. 대조군은 vehicle (50% (v/v) 에탄올)만을 다른 실험군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주입하였다.
약물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절식 24 시간 후에 TNBS 처치 다음날부터 5 일 동안 약물을 경구로 SMA 30 ㎎/㎏ 또는 100 ㎎/㎏로 매일 일정한 시간에 일회 투여하였다. 비교 시험물질로 IBD 치료제로 가장 잘 알려진 설파살라진의 활성 대사체인 5-ASA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시험 약물은 막자 사발에 넣고 옥수수유과 함께 갈아 완전히 녹인 후 랫드 한 마리당 1 ㎖ 씩 투여하였다.
모든 랫드들은 TNBS 투여 후 7일째 희생되었다. 육안으로 보이는 궤양과 대장염의 심각성은 실험에 참가하지 않은 두 명의 조사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랫드의 대장을 적출하여 항문으로부터 5~6 ㎝ 사이의 조직을 1 ㎝ 길이로 잘라서 조직의 장 무게 및 MPO 활성을 측정하고 조직검사를 실시하는 데 사용하였다. 또한, 모든 실험동물은 digital mass meter를 이용하여 절식단계부터 TNBS 투여 및 약물 투여 과정 동안 각 랫드의 체중 변화를 관찰하였다.
동물실험은 실험동물의 관리와 사용을 위해 실험동물자원관리원과 영남대학교에 제도화된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도 4는 TNBS로 유발된 랫드의 대장염에 대한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 화합물의 효력을 보여주는 그래프로, A는 시험물질 투여 1일부터 6일까지 매일 기록한 체중이고, B는 육안으로 관찰되는 대장의 상태를 관찰한 것이고, C는 대장의 무게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는 약물과 TNF-α 모두 처리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고, #는 TNF-α 처리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다.
도 4에서 보듯이, 체중 180~190 g인 랫드에 3% TNBS를 이용하여 장내에 염증을 유발한 대장염 모델에서 TNBS 처리 전의 몸무게를 기준으로 5 일 간 매일 일정시간에 몸무게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vehicle 처리 대조군은 계속해서 몸무게가 증가함을 보이고 TNBS 군은 계속하여 몸무게가 감소하며 5 일째부터 몸무게가 약간 회복되었으나, 정상군과 비교했을 때 몸무게가 현저히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양성대조군 5-ASA 300 ㎎/㎏을 처리한 군은 2 일째부터 몸무게가 서서히 회복되어 TNBS 단독 투여군에 비해 몸무게가 증가하였다. TNBS 처리 후 SMA 30 ㎎/㎏을 경구 투여한 경우는 3 일째까지 몸무게 감소현상이 나타났으며, 4 일째부터 서서히 회복되어 TNBS 단독 처리군에 비하여 몸무게가 증가하였다. 또한, SMA 100 ㎎/㎏를 투여한 군은 TNB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몸무게가 3일째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5-ASA 보다 몸무게 회복이 더욱 현저하게 나타났다.
5일간의 약물투여가 끝난 후에 대장을 적출하여 육안으로 살펴 본 결과, TNBS를 처리한 랫드의 대장은 대조군에 비하여 부종과 충혈이 관찰되었으며, 충수돌기의 부종과 울혈 및 유착현상이 나타났다. 양성대조군 5-ASA 300 ㎎/㎏ 투여한 군에서는 TNBS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육안적 증상과 다른 기관들 사이의 유착이나 대장의 충혈도 현저히 억제되었다. SMA를 처리한 군에서는 TNBS 단독 처리군에 비해 부종과 충혈이 적게 관찰되었으며 SMA 30 ㎎/㎏ 처리군에 비해 SMA 100 ㎎/㎏ 투여군에서 부종과 충혈의 억제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랫드의 대장을 적출하여 조직 무게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vehicle 처리 대조군에 비해 TNBS 단독 처리군의 경우 부종이 있는 장의 무게가 유의적으로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양성 대조군인 5-ASA 300 ㎎/㎏를 처리한 군에서는 장의 무게가 TNBS 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SMA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장 무게가 대조군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MPO(myeloperoxidase) activity 측정
MPO(myeloperoxidase)는 호중구에서 주로 발견되는 효소로서 조직에서 MPO의 활성은 호중구 침윤 지표가 되며, 이는 곧 염증반응의 지표로써 염증성 대장염에 의한 장 손상 수치와 상관성을 나타낸다.
MPO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PO assay 키트를 이용하였다. 대장 조직을 차가운 PBS로 세척하고 무게를 측정하여 조직의 무게 10 ㎎ 당 용해 완충액(lysis buffer: pH7.4, 200 mM NaCl, 5 mM EDTA, 10 mM Tris, 10% 글리세롤) 200 ㎕를 첨가한 후 tissue homogenizer(Bio homogenizer M133, BIOSPEC PRODUCTS Inc. USA)를 이용하여 30 초간 균질화하였다. 균질화한 시료를 1500×g에서 15분 동안 2 회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은 다음, 이 상등액을 MPO ELISA 키트(HK210, Hycult Biotechnology, Netherlands)를 이용하여 MPO 활성을 측정하였다. 즉, 항-마우스 MPO 항체가 코팅된 96-웰에 상기 상등액 10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 시간 반응시키고, 세척 완충액으로 3 회 반복 세척하였다. 여기에 reconstituted tracer를 100 ㎕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하고 3회 반복 세척한 다음, 스트렙트아비딘-퍼옥시다제 복합체(streptavidin-peroxidase conjugate) 100 ㎕를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 시간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TMB 기질 용액 100 ㎕를 첨가하여 반응 30분 후 정지 용액 100 ㎕를 첨가해서 반응을 정지시킨 후 4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MPO 활성도는 25℃에서 1 분 동안 물에서 과산화수소 1 μM이 환원되는 수치를 의미하며, 이것을 대장 조직 균질액 1 ㎖에 포함된 MPO 양으로 계산하였다.
도 5는 MPO 분석 키트를 사용하여 대장 조직의 MPO 활성을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는 약물과 TNF-α 모두 처리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고, #는 TNF-α 처리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다.
도 5에서 보듯이, 대조군에 비해 TNBS 단독 처리군에서 MPO 활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5-ASA 300 ㎎/㎏ 투여군에서는 MPO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SMA 30 ㎎/㎏과 100 ㎎/㎏ 투여군에서는 TNBS 단독 처리군에 비해 MPO 활성이 낮게 관찰되었으며 특히 100 ㎎/㎏의 경우 5-ASA 300 ㎎/㎏와 유사한 정도로 조직의 MPO 활성을 억제하였다.
(3) 랫드 대장 조직에서의 분자 발현 확인
대장염 동물 모델의 장 조직에서 RNA를 추출하여 염증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랫드의 대장 조직을 homogenizer로 균질화한 후 trizol을 처리하여 세포 용해시켰다. 세포 용리액에 클로로포름을 넣어 상을 분리시키고 이소프로판올로 RNA를 침전시켰다. 75% 에탄올 용액으로 RNA를 세척한 후 완전히 건조시키고 RNase free water에 추출한 RNA를 녹여 55~60℃에서 10분간 반응시켰다. 분리된 RNA는 GoScript reverse transcription system(Promega, Madison, WI, US)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는 Takara Taq(Takara bio Inc., Shiga, Japan)을 이용하여 pro-inflammatory cytokine과 세포 부착분자들의 발현과 관련된 유전자를 증폭시키기 위해 아래 표 2에 나타낸 프라이머(Bioneer, Deageon, Korea)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대로 증폭시키고, 1.5% 아가로스 겔에 전기영동시킨 후 Myimager(SLB,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촬영한 이미지는 Labwork Image acquisition and analysis software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도 6는 랫드의 대장조직에서 IL-6, IL-8, TNF-α, MCP-1 및 VCAM-1 mRNA 발현 양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2% 아가로스 겔에서 IL-6, IL-8, TNF-α, MCP-1 및 VCAM-1의 PCR 산물을 전기영동한 결과(A), densitometry를 사용하여 GAPDH 대비 IL-6(B), IL-8(C), TNF-α(D), MCP-1(E) 그리고 VCAM-1(F)의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는 약물과 TNF-α 모두 처리되지 않은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고, #는 TNF-α 처리 그룹과 비교하였을 때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이다.
도 6에서 보듯이, TNBS 단독 투여군에서 pro-inflammatory cytokine IL-6, IL-8, TNF-α의 발현이 증가되었고, chemokine MCP-1 및 세포 부착분자인 VCAM-1의 발현도 증가되었으며, 양성대조군인 5-ASA 투여군에서는 IL-6, IL-8, TNF-α, MCP-1, VCAM-1의 발현이 모두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SMA 30 ㎎/㎏ 투여군에서는 IL-6 mRNA 발현이 TNBS 단독 처리군에 비해 감소되었고, 특히 SMA 100 ㎎/㎏ 투여군에서는 양성대조군인 5-ASA 300 ㎎/㎏ 경우보다 더 효과적으로 발현이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SMA 30 ㎎/㎏ 투여군과 100 ㎎/㎏ 투여군에서는 IL-8과 TNF-α의 발현이 TNBS 단독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MCP-1의 mRNA 발현은 SMA 30 ㎎/㎏ 투여군에서는 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0 ㎎/㎏ 투여군에서는 크게 감소하였다. VCAM-1의 경우, 30 ㎎/㎏ 투여군보다 100 ㎎/㎏ 투여군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아래 표 2는 in vivo 연구에서 사용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세포부착 물질의 프라이머 염기서열과 증폭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프라이머 서열 증폭
GAPDH
(460bp)
(S) 5'-ACCACAGTCCATGCCATCAC-3'
(AS) 5'-TCCACCACCCTGTTGCTGTA-3'
95℃ 30초
55℃ 30초 35 사이클
72℃ 30초
IL-8
(496bp)
(S) 5'-ACGCTGGCTTCTGACAACACTAGT-3'
(AS) 5'-CCTCTCTGTCCTGAGACGAGAAGG-3'
95℃ 30초
55℃ 30초 35 사이클
72℃ 30초
IL-6
(241bp)
(S) 5'-CCACCCACAACAGACCAGACCAGTAT-3'
(AS) 5'-TCCAGAAGACCAGAGCAGATT-3'
95℃ 30초
53.5℃ 30초 40 사이클
72℃ 60초
MCP-1
(300bp)
(S) 5'-CACTGGCAAGATGATCCCAATG-3'
(AS) 5'-GTGCTTGAGGTGGTTGTGGAAA-3'
95℃ 30초
58.6℃ 30초 35 사이클
72℃ 60초
VCAM-1
(485bp)
(S) 5'-ACCATCTGGGTTAGCCCCTC-3'
(AS) 5'-GAGCCGACTTCGGTTTTCGA-3'
95℃ 30초
58℃ 30초 40 사이클
72℃ 45초
TNF-α
(692bp)
(S) 5'-CACCATGAGCACGGAAAGCA-3'
(AS) 5'-GCAATGACTCCAAAGTAGACC-3'
94℃ 45초
58℃ 45초 40 사이클
72℃ 90초
통계분석: 실시예 1 및 2
모든 데이터는 평균(Mean)±평균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n)로 표시하였고, 통계분석은 GraphPad Prism 4 소프트웨어(GraphPad Software, San Diego, CA, USA)를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으로 분석하고, 각 군 간의 차이에 대한 다중비교(multiple comparison)는 NK(Newman-Keuls)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일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4: 조직병리학적 검사
대장 조직은 절개하여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BS로 고정하였다. 파라핀으로 해당 조직을 포매한 후 약 3 ㎛ 두께로 자르고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그리고 Masson's trichrome으로 염색하여 분석하였다.
도 7은 대조군 (A~C), TNBS 그룹(D~F), 5-ASA 300 ㎎/㎏ 그룹(G~I), SMA 30 ㎎/㎏ 그룹(J~L) 및 SMA 100 ㎎/㎏ 그룹(M~O)의 조직병리학적 양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각 조직은 헤마톡실린과 에오신으로 염색하였고, scale bar는 160 ㎛이다. LU: lumen; ML: mucosa layer; MM: muscularis mucosa; SL: submucosa layer; TM: tunica muscularis; TA: tunica adventitia.
도 8은 대조군(A 및 B), TNBS 그룹(C 및 D), 5-ASA 300 ㎎/㎏ 그룹(E 및 F), SMA 30 ㎎/㎏ 그룹(G 및 H) 및 SMA 100 ㎎/㎏ 그룹(I 및 J)의 콜라겐 침착 양상을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각 조직은 Masson's trichrome으로 염색하였고, scale bar는 160 ㎛이다. LU: lumen; ML: mucosa layer; MM: muscularis mucosa; SL: submucosa layer; TM: tunica muscularis; TA: tunica adventitia.
도 7 및 8에서 보듯이, TNBS 투여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결장벽 및 점막하층 두께, 점막 및 점막하층의 염증세포 침윤, 신생혈관 형성, 콜라겐 침착이 증가 하였고, 결장 점막층의 두께는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도 7(D, E, F) 및 도 8(C, D)]. 대조약물인 5-ASA와 후보물질인 두 용량의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처리군에서는 TNBS 투여군에 비해 결장벽 및 점막하층 두께, 점막 및 점막하층의 염증세포 침윤, 신생혈관 형성, 콜라겐 침착이 감소하였고, 결장 점막층의 두께는 증가되었다[도 7(G~O) 및 도 8(F~J)]. 따라서,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는 TNBS 유발 대장염에 대해 투여 용량에 의존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고[도 7(J~O) 및 도 8(G~J)], SMA 100 ㎎/㎏의 약효는 5-ASA 300 ㎎/㎏ 보다 유사하거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7)

  1.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마크로락틴 화합물은 마크로락틴 에이(MA, macrolactin A) 및 이의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마크로락틴 화합물은 마크로락틴 에이(MA, macrolactin A), 7-O-숙시닐 마크로락틴 에이(SMA, 7-O-succinyl macrolactin A) 및 7-O-말로닐 마크로락틴 에이(MMA, 7-O-malonyl macrolactin A)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염증성 장질환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베체트병, 장결핵, 아메바 장염, 방사선 장염 및 약제유발 장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가 세포부착물질인 ICAM-1 또는 VCAM-1 활성의 억제 작용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가 IL-8 또는 MCP-1 활성의 억제 작용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가 MPO(myeloperoxidase) 활성의 억제 작용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20011924A 2012-02-06 2012-02-06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200174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24A KR20120017465A (ko) 2012-02-06 2012-02-06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1924A KR20120017465A (ko) 2012-02-06 2012-02-06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65A true KR20120017465A (ko) 2012-02-28

Family

ID=4583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924A KR20120017465A (ko) 2012-02-06 2012-02-06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746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45579A (zh) * 2014-03-14 2014-06-11 张国金 一种治疗气滞血瘀证肠结核的中药组合物
KR20140133418A (ko) 2013-05-09 2014-11-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트포민과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2932A (ko) 2013-05-09 2014-11-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트포민과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4706692A (zh) * 2015-04-01 2015-06-17 周凯杰 治疗结核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652199B1 (ko) 2015-06-03 2016-08-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벤조퓨란온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3418A (ko) 2013-05-09 2014-11-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트포민과 코엔자임 q10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2932A (ko) 2013-05-09 2014-11-1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트포민과 퀘르세틴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845579A (zh) * 2014-03-14 2014-06-11 张国金 一种治疗气滞血瘀证肠结核的中药组合物
CN104706692A (zh) * 2015-04-01 2015-06-17 周凯杰 治疗结核病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1652199B1 (ko) 2015-06-03 2016-08-3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벤조퓨란온 유도체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ang et al. Cardamonin, a natural flavone, alleviates inflammatory bowel disease by the inhibition of NLRP3 inflammasome activation via an AhR/Nrf2/NQO1 pathway
Zhang et al. Mechanisms involved in the therapeutic effects of Paeonia lactiflora Pallas in rheumatoid arthritis
Zhang et al. Sophocarpine and matrine inhibit the production of TNF-α and IL-6 in murine macrophages and prevent cachexia-related symptoms induced by colon26 adenocarcinoma in mice
EP1931366B1 (en) Herbal composition for inflammatory disorders
KR20120017465A (ko) 마크로락틴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N110049762B (zh) 穿心莲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Huang et al. Efficacy of berberine in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From multiple targets to therapeutic potential
Fonseca et al. 7-hydroxyfrullanolide, a sesquiterpene lactone, inhibits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from immune cells and is orally efficacious in animal models of inflammation
Shen et al. Glycyrrhizin improves inflammation and apoptosis via suppressing HMGB1 and PI3K/mTOR pathway in lipopolysaccharide-induced acute liver injury.
Guo et al. Fumigaclavine C ameliorates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murine experimental colitis via NLRP3 inflammasome inhibition
KR101665846B1 (ko) Gpr119 리간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71821B1 (ko) 오를리스타트 및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eb-amdk19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942382B1 (ko) 피라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03426B1 (ko) 몰루긴 또는 몰루긴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EP2488183A2 (en) Composition for inhibiting tgf- comprising imidazopurine derivatives
CN113476437A (zh) 刺芒柄花素在制备用于防治急性胰腺炎类疾病的药物中的应用
CN114522186A (zh) 银杏叶提取物在制备靶向衰老细胞、抑制肿瘤或延长寿命的药物中的应用
KR101329219B1 (ko) 신규한 에스큘린 베타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0674222B1 (ko) 세라시아 마르세센스 b-1231 kctc 0386bp로부터분리한 프로디지오신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급성이식편대숙주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13413465B (zh) 岩藻糖基化抑制剂在抗癌导致炎症中的应用
Liang et al. Effect of puerarin on TIMP3, MMP-9 expression and methylation in chondrocytes of rat osteoarthritis
KR101620022B1 (ko) 닥나무로부터 추출된 폴리페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106599A (ko) 헤디치움 코로나리움 유래 랍단 디터페노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N111285834B (zh) 化合物garcibixanthone A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948977B (zh) 二氢黄酮苷衍生物在制备防治结肠炎的药物中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