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450A - 방사성 핵종 생성기 및 무균화의 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핵종 생성기 및 무균화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450A
KR20120017450A KR1020117029802A KR20117029802A KR20120017450A KR 20120017450 A KR20120017450 A KR 20120017450A KR 1020117029802 A KR1020117029802 A KR 1020117029802A KR 20117029802 A KR20117029802 A KR 20117029802A KR 20120017450 A KR20120017450 A KR 20120017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assembly
radionuclide
outlet port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978B1 (ko
Inventor
존 헨리 에버스
Original Assignee
랜티우스 메디컬 이메징,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랜티우스 메디컬 이메징, 인크. filed Critical 랜티우스 메디컬 이메징, 인크.
Publication of KR2012001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1/00Arrangements for converting chemical element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e.g. producing radioactive isotopes
    • G21G1/0005Isotope delivery system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4/00Radioactive sources
    • G21G4/04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GCONVERSION OF CHEMICAL ELEMENTS; RADIOACTIVE SOURCES
    • G21G4/00Radioactive sources
    • G21G4/04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 G21G4/06Radioactive sources other than neutron sourc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4Fluidic or fluid actuated device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accharide Compounds (AREA)

Abstract

방사성 핵종 생성기 (radionuclide generators)는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가진 딸 방사성 핵종으로 자발적으로 붕괴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기둥을 포함한다. 유체 경로는 입구 포트로부터 기둥으로 다시 출구 포트로 확장되고 딸 방사성 핵종이 방사성 핵종 생성기로부터 사용 시 용출되도록 허용한다. 기둥에서 부모 방사성 핵종의 개선된 보유는 무균화 동안과 같이 유체가 액체 상태로 유동 경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달성된다. 또한 적절한 기둥 화학이 과잉 수분이 기둥에서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여 촉진되고, 이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로부터 딸 방사성 핵종의 보다 높고 및/또는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수율을 촉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성 핵종 생성기 및 무균화의 방법 {Radionuclide generator and method of sterilization}
본 발명의 관점은 과잉 수분의 도입 없이 최종적으로 무균화될 수 있는 기둥어셈블리 (column assembly)를 가지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핵종 생성기 (radionuclide generators)는 상대적으로 짧은 수명을 가진 딸 방사성 핵종 (daughter radionuclide)으로 자발적으로 붕괴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가지는 기둥 (column)을 포함한다. 기둥은 바늘-유사 입구 포트 (inlet port)에 제공되는 경우, 기둥 자체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에 따라 비워진 바이알을 받아 식염수 또는 다른 용출 액체를 잡아당기는 바늘-유사 출구 포트 (outlet port)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 내로 통합된다. 이 액체는 다른 용도들 중에서 이어지는 핵 의학적 영상화 응용에 사용하기 위해 기둥으로부터 비워진 바이알까지 딸 방사성 핵종을 용출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생성기의 일 예시가 란데우스 메디칼 이미징사 (Lantheus Medical Imaging Inc.)가 소유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 5,109,610호에서 묘사되고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그의 내용 전부가 참고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다.
일정 정도로 무균화 (sterilization)가 일반적으로 의학 산업에 사용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 상에서 수행된다. 무균화는 부모 방사성 핵종이 로딩된 기둥을 가지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를 포화된 수증기 (steam) 환경에 노출시켜서 수행될 수 있다. 본 공정 동안, 기둥 또한 기둥 및 입구과 출구 포트들 사이를 확장하는 튜브들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에 존재하는 액체는 오염물을 죽이고 및/또는 불활성화하도록 증기 (vapor) 형태 (예로, 수증기)로 가열될 수 있다. 통풍구 (vent)가 무균화 공정 동안 수증기의 도입 및 기둥으로부터 나온 증기의 방출 둘 다를 허용하도록 출구 포트에 포함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5,109,160호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무균의 (terminally sterile) 제품 - 즉, 그의 최종 용기 (container)가 무균화되거나, 입구 및 출구 포트들 위에 통풍되는 (vented) 또는 비-통풍되는 (non-vented) 마개를 포함하는 그의 최종 형태로 조립된 입구 포트, 기둥, 및 출구 포트 사이의 유동 경로가 적어도 무균화된 제품으로서 방사성 핵종 생성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은 입구 포트, 기둥, 및 출구 포트 사이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개별적 성분들의 적어도 일부가 분리적으로 (separately) 무균화되고 이를 이어서 (subsequenty) 다같이 조립된 방부적 무균화와는 대조될 수 있다.
무균화 이후에 마개 (cap) 또는 커버 (cover)를 조립하는 것 대신에,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 (column assembly)의 출구 포트에 통풍되는 출구 커버 (vented outlet cover)를 제공하는 것은 제품이 최종적 무균화 (terminal sterilization)를 달성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인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가 일정 경우에 원치않는 액체가 기둥 어셈블리에 들어가도록 입구 (enterance)를 제공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수증기 무균화 (steam sterilization)에 이어지는 냉각 공정 동안 기둥 어셈블리 주변에서 수증기가 응축하면서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는 기둥 어셈블리에서 과잉 수분이 즉 수증기 무균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기둥으로 들어가는 액체로 인하여 기둥으로부터 방사능 차폐 (radioactive shielding)가 더 적은 기둥 어셈블리의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부모 방사성 핵종에게 경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가 역치 (threshold) 수준을 초과하는 방사선의 양을 방출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본 출원인는 기둥에서 과잉 수분의 존재가 기둥에서의 화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점도 확인하였으며, 이는 생성기가 딸 방사성 핵종의 더 낮은 수율을 나타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관점에 따르면,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는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relatively short-lived)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long-lived)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 (medium)를 가지는 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 어셈블리는 기둥과 유체 소통 (fluid communication)하는 입구 포트 및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포트는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는 통풍구 구멍 (vent opening)을 가진다. 상기 통풍구 구멍은 액체 접근을 제공하고 응축물 (condensate)이 통풍구 구멍 또는 출구 포트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최종적으로 무균의 (terminally sterile)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가지는 기둥을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 어셈블리는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 및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상기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포트는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는 통풍구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 어셈블리는 통풍구 구멍을 하방으로 대면하도록 배열하여 응축물이 상부로부터 통풍구 구멍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시킨다. 또한 상기 기둥 어셈블리는 무균화를 위해 수증기에 노출된다.
적어도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출구 커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출구 포트를 피복하고 상기 통풍구 구멍을 포함한다. 상기 출구 포트는 바늘 구조 (needle structur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구 커버는 상기 출구 포트의 바늘 구조를 받는 관통가능한 막 (pierceable membrane)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상기 출구 포트는 몸통 부분 및 제거가능한 (removable) 마개를 포함한다.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제거가능한 마개 및 상기 몸통 부분 사이의 환상의 공간 (annular space)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여과가 (filter)가 출구 커버에 존재한다. 상기 여과기는 일정 구현예에 따라 박테리아를 보유 (bacteria retentive)할 수 있다. 상기여과기는 통풍구 구멍에 위치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여과기는 출구 포트 및 기둥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과 유체 소통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상기 입구 포트는 기둥이 차폐된 패키지 (shielded package)의 내부에 있을 때 기둥 어셈블리를 받는 차폐된 패키지의 외부로부터 접근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둥 어셈블리는 차폐된 패키지와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마개가 기둥 어셈블리의 외부 대기로부터 입구 포트와 유체 소통을 차단하도록 입구 포트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에 있는 배지는 알루미나 (alumina)를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 어셈블리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 및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조합하여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은 몰리브덴-99 (molybdenum-99)를 포함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은 테크네튬-99m (technetium-99m)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이 한 번 이상의 무균화 주기 (steriization cycle) 동안 공통적인 시점 (at a common time)에 수증기에 노출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단일 무균화 주기 동안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이 남아있는 액체가 5% 이하 (상대 표준 편차)로 변화하는 양이 되게 한다. 일정 구현예에서, 상기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두 번의 무균화 주기 동안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은 남아있는 액체가 15% 이하 (상대 표준 편차)로 변화하는 양이 되게 한다.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가 기둥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제공된다. 상기 기둥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로 피복되어 최종적으로 무균화가능한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상기 통풍되는 출구 커버는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는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도록 중력-추진된 액체 (응축물)의 유입을 방지하며, 또한 기둥으로부터 벗어나는 부모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방지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진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는 기둥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기둥은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포함한다.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로 피복되어 최종적으로 무균화 가능한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수단 (means)이 중력-추진된 액체 (응축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지속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고 기둥으로부터 벗어나는 부모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도록 제공된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수단은 상기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고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풍구 구멍을 포함한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기둥 방향으로 대면할 수 있다.
광범위하게 말하자면, 방사성 핵종 생성기는 자발적으로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으로 붕괴하는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기둥을 포함한다. 기둥은 유입 포트로부터 기둥을 관통한 다음 사용 시 딸 방사성 핵종이 이로부터 전달될 수 있는 유출 포트까지 확장되는 액체 경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내로 통합된다. 기둥 어셈블리는 전형적으로 차폐된 패키지 내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일정 관점은 전형적으로 방사능 차폐가 가장 큰 기둥에서 부모 방사성 핵종의 향상된 보유 (retention)를 제공한다. 이것은 무균화 동안 액체의 유입을 막지만 수증기 및/또는 기타 다른 증기들의 교환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기둥 어셈블리를 통풍시켜서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다시 과잉 액체의 존재가 방사성 핵종의 원치않는 이동의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는 입구 및 출구 튜브들의 부분들과 같은 기둥 어셈블리의 부분으로 과잉 액체가 도입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reliably)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기둥 화학 (column chemistry)에 악영향을 줄 수 있고 딸 방사성 핵종의 감소된 수율을 가져오는 과잉 수분이 기둥 내 또는 그의 주변에 유착하는 것 (coalescing)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부모 방사성 핵종은 전형적으로 유체 전하가 기둥 화학의 유동 경로를 따라 기둥을 통과하는 동안 방사성 핵종이 선택적으로 기둥에 있는 배지와 결합하는, 유체 전하로 기둥에 제공된다. 무균화 동안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통한 증기의 교환이 기둥 어셈블리 유동 경로에 남아있는 가열되고 남은 전하를 가진 유체 및 무균화 체임버 (sterilization chamber)에 존재하는 포화된 수증기 간에 이루어진다. 무균화에 이어지는 냉각 공정 (cooling process) 동안, 수증기는 기둥 어셈블리 주변에 응축될 수 있고 출구 포트를 통하여 액체와 같이 기둥 어셈블리에 들어갈 수 있어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특징의 부재) 결과적으로 기둥 어셈블리 유동 경로에서 과잉 액체가 된다. 방사성 핵종 생성기 기둥 어셈블리의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 사이에 기둥 또는 다른 부분들에 있을 수 있는 과잉 액체는 부모 방사성 핵종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일정 경우에, 이동은 기둥 자체보다 낮은 정도로 차폐된 유동 경로의 영역으로 일어날 수 있고, 이는 역치 수준을 초과하는 수준으로 방출되는 방사능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관점은 수증기 무균화 동안 및/또는 그 이후에 기둥 어셈블리의 수분 함량을 조절하여 방사성 핵종이 함께 이동할 수 있는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에서 과잉 액체를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또는 기둥 어셈블리에서 과잉 수분은 수증기 무균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기둥 어셈블리로 액체의 유입 (entry)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고, 기둥 화학에 악영향을 주어 딸 방사성 핵종의 감소된 수율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은 무균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기둥으로 들어올 수 있는 수분의 양 및/또는 상 상태 (phase state)를 조절하여 고수율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생산을 촉진하는 것이다.
많은 경우들에서, 최종적으로 무균적이 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것에는 입구 포트, 기둥 및 출구 포트 사이의 유동 경로 및 입구와 출구 포트 상에 위치하는 플러그 (plug) 또는 통풍되는 커버라면 모두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적어도 차폐된 용기 내에 장착되기 이전 최종 형태로 다 같이 조립될 때 무균화하는 것이 관여한다. 본 발명의 관점은 모든 플러그 및 통풍되는 커버를 유동 경로에 완벽하게 조립하고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에서 수분의 양도 역시 신뢰할 수 있게 조절한 이후에 무균화를 포함하는 최종적으로 무균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지금 도면들로 돌아가서, 먼저 도 1은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 10의 일 구현예를 나타낸다. 기둥 어셈블리 10은 배지 13을 가지는 기둥 12를 포함하고 이는 입구 라인 18 및 전하 라인 20을 통하여 각각 입구 포트 14 및 전하 포트 16의 한쪽 말단에 유동적으로 (fluidly) 연결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입구 포트 14 및 전하 포트 16은 각각 플러그 22, 24로 피복된다. 용출액 통풍구 (eluant vent) 28과 유동적으로 소통하는 통풍구 포트 26은 입구 포트 14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바와 같이, 작동 시 입구 포트에 연결된 용출액의 바이알 또는 병에 통풍구를 제공한다.
또한 기둥 어셈블리 10은 출구 라인 32를 통하여 기둥 12의 바닥에 유동적으로 연결된 출구 포트 30을 포함한다. 여과기 어셈블리 34는 출구 라인 내에 통합되고, 출구 포트 30은 하기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바와 같이 여과기도 역시 포함하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으로 피복된다. 기둥 어셈블리의 묘사된 구현예의 다양한 관점들은 란데우스 메디칼 이미징사 (Lantheus Medical Imaging Inc.)가 소유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 5,109,610호 (Evers)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되고, 이는 본 명세서에서 그의 내용 전부가 참고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기둥 제작 및 작동은 미국 특허 제 3,476,998호 (독일) 및 제 3,774,035호 (Litt)에 기술되어 있고, 이들 각각도 역시 그의 내용 전부가 참고문헌으로 통합되어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제작은 기둥 어셈블리가 조립완료된 이후에 기둥을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 충전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용액에 녹인 몰리브덴-99 (molybdenum-99, Mo-99)과 같은 부모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바이알 또는 병을 전하 포트 16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액에 녹인 Mo-99는 출구 포트 30에 진공을 적용하거나 전하 포트 16에서 제공된 압력 하에서 기둥에 유체를 추진시켜서 기둥으로 잡아 당겨진다. 용액에 녹인 부모 방사성 핵종은 알루미늄과 같이 친화성이 있고 부모 방사성 핵종을 안에 보유하는 기둥에 존재하는 배지 13을 관통한다. 기둥 어셈블리의 구현예들은 (딸 방사성 핵종으로서 테그네튬-99m (technetium-99m)을 생산하는) 몰리브덴-99 이외의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 충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기둥 어셈블리는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서 게르마늄-68 (germanium-68)로 충전되어 딸 방사성 핵종으로서 갈륨-68 (gallium-68)을 생산하거나,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서 텅스텐-188 (tungsten-188)으로 충전되어 딸 방사성 핵종으로서 레늄-188 (rhenium-188)을 생산할 수 있다.
도 2는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 기둥을 충전하도록 형성된 기둥 어셈블리의 일부분을 묘사하고 있다. 입구 라인 18 및 입구 포트 14와 분리되고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음) 전형적으로 기둥 12가 충전되면서 막히는 전하 라인 20 및 전하 포트 16을 가지는 것은 부모 방사성 핵종이 기둥 어셈블리 10의 입구 라인 18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영속적일 수 있는 플러그 24는 기둥을 충전한 이후에 전하 포트 16 위에 놓여지고 기둥으로부터 전하 라인 20을 역행하는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충전한 이후에,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는 출구 포트 30 위에 위치된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음). 용출액 통풍구 28 위에 위치하는 통풍구 마개 (vent cap) 28를 포함하는 다른 플러그들 및 특징들이 기기를 무균화에 준비되도록 기둥을 충전하기 이전 또는 그 이후에 기둥 어셈블리 1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들 특징들 중에서 입구 포트 14, 입구 라인 18, 기둥 12, 출구 라인 32, 및 출구 포트 30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10의 유동 경로는 입구 플러그 22 및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와 함께 위치에서 또한 기둥 어셈블리가 차폐된 패키지 40에 놓여지기 이전에 무균화될 수 있다 (도 4에 보여지는 바와 같음). 이러한 방식으로 기둥 어셈블리의 무균화는 소비자 접근 지점 (예로,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의 조작이 전혀 없는 경우라면 최종적으로 무균의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고, 또는 그들 사이에 유동 경로의 내부 부분들은 방사성 핵종 생성기가 최종 사용자에 의해 접근되기 이전에 연속하여 무균화 수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기둥 어셈블리가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될 바와 같이 단지 차폐된 패키지 내에서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완벽한 어셈블리로 조립되어 배송에 준비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무균화는 기둥 어셈블리 10을 포화된 수증기 환경에 노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무균화 체임버 내로 하나 이상의 기둥 어셈블리를 놓아두는 것이 관여할 수 있고, 각 어셈블리는 입구 포트 위에 임의적으로 통풍구 포트 26 위에 위치하는 플러그 22, 및 출구 포트 30 위에 위치하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을 가진다. 체임버의 압력이 원하는 온도 및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증가되면서, 수증기가 무균화 체임버에 공급된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기둥 어셈블리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에서 포화된 수증기 환경에 노출된다. 무균화 (sterilization)에는 건습계의 도표 (psychrometric chart)로부터 결정될 수 있는 포화된 수증기 환경과 연관된 압력 및 온도의 조합들과 같은 온도 및 압력 값들의 다양한 조합들이 관여할 수 있고, 구현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무균화 기법들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포화된 수증기가 아닌 무균화 유형들도 역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추가적으로, 플러그 및/또는 통풍되는 커버의 서로 다른 조합들도 입구, 출구 및/또는 다른 접근 지점들 위에 위치될 수 있고, 일정 구현예에서 접근 지점은 무균화 동안 노출될 수 있다.
기둥 어셈블리는 무균화 동안 방사성 핵종의 활성을 기둥 및/또는 기둥 근처의 유동 경로의 일부 내에 보유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기둥 어셈블리 10은 유사한 방식으로, 전형적으로 무균화 동안 또한 전달 및/또는 사용 시 차폐된 패키지 40에 놓여질 때 유동 경로의 다른 부분보다 더 낮은 기둥 어셈블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둥 12는 기둥 어셈블리 10의 더 낮은 부분 근처에 위치될 수 있어, 시스템 내의 액체 모두가 중력에 의해 기둥 또는 차폐된 패키지의 차폐가 더 두꺼운 기둥 근처에 있는 유동 경로의 부분으로 향한다. 입구 및 출구 라인 18, 32는 모든 지점들에서, 그렇지 않은 경우 충전, 용출 이후에, 및/또는 무균화 동안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액체를 포획할 수 있는 침지 (dips) 또는 수평적 분절 (sections)이 없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또는 대각선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의 구현예는 단지 하나의 입구 및 출구 라인의 형태를 나타내고, 또한 기타 다른 것들도 예를 들어 도 1에서 보여지는 것과 서로 다르게 형성되지만 일반적으로 그들의 길이를 따라 모든 지점들에서 기둥 근처의 영역을 향해 하방으로 지나가는 라인을 포함하여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수증기 무균화 동안, 방사성 핵종으로 기둥을 충전하는 데 사용된 잔존 (residual) 유체는 증기 형태 (예로, 수증기)로 가열되어 오염물을 죽이고 및/또는 불활성화시킨다. 증기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추진될 수 있는 한편 수증기도 역시 무균화 체임버 내에 포화된 수증기 환경으로부터 기둥 어셈블리로 들어가서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의 수분 함량에서 변화는 최소이거나 전혀 없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출구 포트에 위치하고 임의적으로 여과기를 포함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 구멍은 무균화 공정 동안 기둥 및 수증기 환경 사이에 열려져 있어 기둥으로 수증기의 유입 및 유출을 허용할 수 있다. 수분 교환이 기둥 자체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 및 무균화 동안 환경 사이에 발생하더라도, 기둥 어셈블리에서 수분 양의 순 변화 (net change)가 전혀 없거나 최소의 순 변화가 일반적으로 바람직할 수 있다.
응축 (condensation)이 기둥 어셈블리 주변의 환경이 상온으로 냉각되고 및/또는 무균화 이후에 대기압으로 돌아가면서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응축은 기둥 어셈블리의 표면, 상세하게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의 첨단 (top) 42 (또는 등등하게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개 48 및 첨단 표면 42가 부재한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의 여과기 37)와 같은 수평적 표면 상에서 수집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다른 요인들 중에서 무균화 체임버 내에 특정한 위치가 체임버 내의 공기 유동으로 인해 또는 응축물이 침지될 수 있는 특징 하에 위치되는 것에 의해 응축의 생산이 더욱 쉬워진다. 본 출원인는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까지 및 이로부터 둘 다에서 포화된 수증기의 유동이 무균화 공정에 유익한 것을 입증할 수 있는 반면, 무균화 동안 또는 그 이후에 유동 경로로 액체 상태, 예로 응축물에 있는 유체의 도입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증기 형태의 수증기 또는 유체는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까지 및 이로부터 동등한 속도 및/또는 동등한 양으로 자연적으로 유동할 수 있어,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의 수분 함량에는 최소의 순 변화가 있거나 순 변화가 전혀 없다. 한편, 액체 형태로 기둥의 유동 경로에, 상세하게는 무균화 공정 이후에 들어갈 수 있는 유체는 외부 환경으로 돌아가는 방식을 찾을 수 없어, 무균화 이후에 기둥 어셈블리에서 수분 함량의 순 증가 (net gain)를 유도한다.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의 구현예들은 증기 형태 (예로, 수증기)로 유체의 유입 및 유출을 허용하는 한편, 액체 형태로 유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일 묘사적 구현예에서, 커버 36은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 44를 포함하여, 응축물이 중력에 의해 추진될 때 통풍구 구멍 44를 들어가지 않겠지만 대신에 기둥 어셈블리의 더 낮은 외부 부분으로 또는 기둥 어셈블리 10 모두로부터 벗어나서 하방으로 떨어질 것이다. 용어 "하방으로 (downwardly)"는 본 명세서에서 기둥 어셈블리의 관점으로 사용되는 바, 중력의 당김이 사용 시 배열된 기둥 어셈블리와 대비하여 질량을 잡아당기는 방향을 말한다. 묘사된 구현예에서, 통풍구 구멍 44는 커버의 몸통 부분 46 및 몸통 부분 상에 위치하는 제거가능한 마개 48 사이에 정의되는 환상의 형상을 가진다. 마개 48은 조립될 때 통풍구 구멍 44 위에 위치하는 액체 투과할 수 없는 첨단 표면 (top surface) 42를 포함하고, 물이 상기로부터 통풍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의해 표시되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성분들은 일리노이주 헤브론의 필터테크사 (Filtertek Inc.)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도 3은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고 다른 구현예들도 역시 가능한 것으로 이해된다. 예시로서, 통풍되는 출구 커버는 통풍구 구멍이 직접적으로 하방 대면하지 않고 물이 통풍구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통풍구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통풍구 구멍은 실질적으로 측면을 대면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여전히 물이 통풍구 구멍 및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용어 "통풍구 구멍 (vent opening)" 또는 동등하게는 "통풍구 (vent)"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 기둥 어셈블리의 부분들로 구획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내부 및 기둥 어셈블리 외부의 환경 사이에 경계를 표시하는 공간을 말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당업자가 이해하는 바와 같이, 무균화 동안 상방으로 대면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통풍구 구멍이 액체에 노출되는지 여부는 상세하게 살균기 (sterilizer) 내의 장소에 및/또는 우연히 위치되는 기둥 어셈블리의 결과일 수 있다. 본 관점에서, 상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진 기둥 어셈블리는 과잉 액체의 도입 없이 무균화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기둥 어셈블리에 액체의 도입은 예측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입증될 수 있다. 반대로, 하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는 액체의 도입, 이로 인한 과잉 수분의 도입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할 수 있다. 액체의 도입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라면 모두에서 수분의 양이 무균화 동안 비실질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 중에서 액체 함량은 단일 무균화 주기 (single sterilization cycle) 이후에 표준 편차에서 측정되는 바와 같이 0.015 그램 이하, 0.010 그램 이하, 0.005 그램 이하로 또는 보다 더 적은 양으로 변화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0.040 그램의 액체 평균을 가진 기둥 어셈블리는 단일 무균화 주기 이후에 0.002 그램 이하 (표준 편차)로 액체 함량이 변화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체 함량은 단일 무균화 주기 이후에 상대 표준 편차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40% 이하,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로 변화할 수 있다. 표준 편차 및 상대 표준 편차에서의 이들 감소는 하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이 없는 (예로, 상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와 대비하여, 25% 이상 감소, 50% 이상 감소, 75% 이상 감소 또는 90% 이상의 감소를 표시할 수 있다. 동일한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 중에서 액체 함량은 두 번째 무균화 이후에 표준 편차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0.100 그램 이하, 0.050 그램 이하, 0.010 그램 이하 또는 보다 더 적은 양으로 변화될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서, 0.039 그램의 액체 평균을 가진 기둥 어셈블리는 두 번의 무균화 주기 이후에 0.006 그램 이하 (표준 편차)로 액체 함량이 변화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액체 함량은 두 번의 무균화 주기 이후에 상대 표준 편차로 측정되는 바와 같이 200% 이하, 100% 이하, 50% 이하, 15% 이하, 10%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이하 또는 1% 이하로 변화할 수 있다. 표준 편차 및 상대 표준 편차에서의 이들 감소는 하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이 없는 (예로, 상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와 대비하여, 25% 이상 감소, 50% 이상 감소, 75% 이상 감소 또는 90% 이상의 감소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난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마개 48은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모통 부분 46으로부터 제거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보여지는 바와 같이, 마개 48은 몸통 부분 46의 일치하는 특징과 결합하여 마개를 자리에 잡아두는 드림 (tabs) 35를 포함한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제거가능한 마개는 실로 된 (threaded) 연결부, 압력 고정 (press fit) 연결부 등과 같은 다른 방식으로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다른 부분과 결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통풍되는 출구 커버는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대면하는 통풍구 구멍은 여전히 가지면서 제거가능한 마개가 없을 수 있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출구 포트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기둥 어셈블리가 무균화, 배송 및/또는 사용을 위해 출구 포트보다 낮게 위치하는 기둥으로 배열될 때 응축물과 같은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시로서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출구 포트 자체가 통풍구 구멍으로서 작동하고 실질적으로 하방으로 대면할 수 있어 중력-추진된 액체는 상부로부터 통풍구 구멍으로 들어갈 수 없다. 이러한 구현예는 기둥 어셈블리로 조립되는 통풍되는 출구 없이 무균화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통풍되는 출구 커버 없이 사용 시 배송될 수 있다.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출구 포트 3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구현예에서, 출구 포트 30은 바늘-유사 구조를 포함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은 바늘-유사 구조를 받아 이들 사이를 밀봉하고 (seal) 출구 커버를 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는 관통가능한 막 (pierceable membrane) 50을 포함한다 (도 3에 보여지는 바와 같음). 그러나, 회전형 (screww type) 연결부 및/또는 압력형 고정 (press type fit) 연결부를 포함하는 다른 유형의 연결부도 역시 다수 명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여과기 (filters)가 기둥 어셈블리의 유동 경로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의 구현예는 기둥으로부터 입자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또한 방사성 핵종 생성기 용출액의 무균도 (sterility)를 유지하도록 출구 라인 32에 위치하는 여과기 34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여과기 37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 내에 또는 보다 직접적으로 통풍구의 구멍에 위치할 수 있다. 여과기는 유리 매트릭스를 자리에 유지시키는 셀룰로스 층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유리 매트릭스를 포함할 수 있고, 단순히 박테리아 통과를 방지하기 보다는 박테리아를 보유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기둥 어셈블리 10은 역치 값 (threshold value) 초과 시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방사능의 방출을 방지하도록 차폐하는 것을 포함하는 패키지 40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로서, 도 4는 납 차폐 틀 (shield base) 54 또는 텅스텐 또는 고갈된 우라늄 (uranium)과 같은 다른 적합한 물질의 차폐를 가지는 패키지 40 내로 조립되고, 공간자 (spacer) 56에 의해 자리를 유지시키는 도 1의 기둥 어셈블리를 보여준다. 패키지는 기둥 12 주변에 위치하는 기둥 차폐 (column shield) 58 및 유동 경로의 입구 및 출구 라인의 부분들 주변에 위치하는 차폐 플러그 (shield plug) 60와 함께 기둥 어셈블리를 수용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장 두껍고 이로 인해 가장 많은 양의 차폐 (shielding)는 방사성 핵종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둥 12 주변에 전형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입구 및 출구 라인 18, 32도 역시 보다 적은 정도이지만 차폐된다. 패키지 40은 딸 방사성 핵종이 용출될 때 용출 병이 받을 수 있는 입구 포트 14 및 통풍구 포트 26 주변에 전하 웰 62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된 바와 같이, 패키지는 방사성 핵종이 기둥 어셈블리 10로부터 회수될 때 차폐되고 비워진 바이알 또는 다른 용기에 의해 접근될 수 있는 출구 포트 30 주변에 수집 웰 6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커버 (dust cover) 66이 전하 웰 62 및 수집 웰 64 위에 제거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고, 패키지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잡이 (handle) 68을 포함할 수 있다.
기둥 어셈블리의 구현예는 다양한 판단기준에 따라 방사능 방출이 서로 다른 역치 수준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일정 구현예에 따르면, 공통적인 역치 수준은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전하 수준과는 상관없이 큐리 (Curie)로 측정되는 바 기둥 어셈블리에 대해 정의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약 14" 길이의 측면 가장자리를 가지고 차폐된 패키지의 내부에 위치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둘러싸는 사각 모양의 상자 외부에서 측정된 바 200 mR/시간의 역치 한계가 역치 한계로서 설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구현예들이 어떤 역치 값에 제한되지 않는 바, 더 낮은 역치 한계와 같은 역치 한계의 다른 값들이 설정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역치 한계는 기둥 어셈블리가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 충전되는 정도에 의존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전하 수준과 연관되는 역치 수준의 일정 예시들이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표 1: 역치 한계들의 예시
Figure pct00001

생성기로부터 딸 방사성 핵종을 회수하기 위하여, 먼지 커버 66이 먼저 제거된 다음 입구 포트 플러그 22가 입구 포트 14 및 통풍구 포트 26으로부터 제거된다. 통풍되는 출구 커버 36도 역시 출구 포트 30으로부터 제거된다. 다음으로 식염수와 같은 용출액을 포함하는 병 (미도시)이 입구 포트 14 및 통풍구 포트 26과 유체 소통하도록 놓여진다. 구현예가 도면에 묘사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 바 다른 연결부들도 역시 가능하긴 하지만, 통풍구 포트 36 및 입구 포트 14는 보여지는 바와 같이 천공한 다음 병의 격막 (diaphragm)을 밀봉하는 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용출 병의 것과 유사한 연결부를 가지는 차폐된 비워진 수집 바이알 (미도시)이 출구 포트 30에 연결된다. 비워진 바이알의 부정적 압력 (negative pressure)이 용출 병으로부터 기둥을 포함하는 유동 경로를 통하여 용출액을 잡아당겨서 출구 포트를 통하여 차폐된 비워진 바이알까지 딸 방사성 핵종을 전달하여 용출시킨다. 통풍구는 공기가 통풍구 포트를 통하여 용출 병에 들어하도록 허용하여, 그렇지 않은 경우 유동 경로를 통한 용출액의 유동을 방해할 수도 있는 용출 병에서 부정적 압력을 방지한다. 기둥으로부터 용출된 딸 방사성 핵종을 가진 이후에 차폐된 비워진 수집 바이알은 생성기의 출구 포트로부터 제거되고, 용출 병 및 수집 바이알의 것과 유사한 연결부를 가지고 보존제를 포함하는 바이알 (미도시)은 출구 포트 상에 삽입된다. 그 다음 방사성 핵종 생성기는 방사성 핵종이 다시 용출될 때까지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작성된 기술내용 (specification)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예시들이 본 발명의 일 관점의 단일한 설명으로서 의도되기 때문에 제공된 예시들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현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이다. 본 명세서에서 보여지고 기술된 것들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들도 상기 기술로부터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 될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의 장점들 및 목적들이 본 발명의 각 구현예에 의해 반드시 포괄되지는 않는다.
첨부한 도면들은 크기에 맞추어 작성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들에서, 다양한 도면들로 묘사되어 있는 일치하거나 거의 일치하는 각 성분은 유사한 번호로 표시된다. 명백하게, 각 성분 모두가 각 도면 모두에 표기될 수는 없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라 플러그로 피복된 입구 포트로부터 기둥을 통하여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통풍구를 가진 출구 커버로 피복된 출구 포트까지 확장된 유동 경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부모 방사성 핵종으로 기둥의 충전을 위해 형성된 도 1의 기둥 어셈블리의 부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구현예에 따라, 상부로부터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통풍구를 가진 통풍되는 출구 커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차폐된 패키지 내로 조립된 도 1에서 보여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상방으로 열리는 통풍구와 함께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가지고, 방출된 방사선에 대한 상부 역치 한계를 초과하였던 기둥 어셈블리에 대한 용출 효율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방출된 방사선에 대한 상부 역치 한계를 초과하는 것이 관찰되었던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회수된 기둥 어셈블리 또한 방출된 방사선에 대한 상부 역치 한계를 초과하지 않았던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의 잔존 수분 수준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상방으로 배열된 통풍구 구멍을 갖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수증기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 무게에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통풍구 구멍을 갖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 무게에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상방으로 배열된 통풍구 구멍을 갖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두 번의 연속적 수증기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 무게에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배열된 통풍구 구멍을 갖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두 번의 연속적 수증기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 무게에서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다음의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될 수 있고, 이는 어떤 경우에도 보다 제한하는 것으로서 파악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역치 한계를 초과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용출 효율 결과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형성되지만 하방으로가 아닌 상방으로 개방된 통풍구를 가지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 (예로, 도 1의 것과 유사하지만 마개 48이 제거된 기둥 어셈블리)의 생산이 출구 또는 입구 라인에 존재하는 부모 방사성 핵종과 연관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역치 방사선 한계를 초과하였던 기둥 어셈블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시되었다. 방사성 핵종은 상부 역치 한계를 초과하였던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용출되었다. 그 다음 이들 기둥 어셈블리에 대한 용출 효율 (Tc-99m 수율)이 측정되었다. 기둥 어셈블리의 일부의 경우 잔존 수분 수준이 용출 효율을 측정하기 이전에 테스트되었고, 반면 다른 것들의 경우 용출 효율이 잔존 수분 수준을 테스트하지 않고 측정되었다.
모든 기둥 어셈블리에 대한 용출 효율의 결과는 도 5에 나타나있다. 용출 효율은 용출물들 간의 경과된 시간으로 교정된 딸 방사성 핵종의 예측된 수율에 대한 딸 방사성 핵종의 실제 수율의 비율이다. 전형적으로, Tc-99m 용출 효율은 85% - 95%이다. 역치 한계를 초과하였던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Tc-99m 수율은 용출 효율이 테스트되었던 기둥 어셈블리의 대략 80%에 해당되었고, 테스트된 기둥 어셈블리의 58%는 10% 이하의 용출 효율을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5개의 고용량 (high dose) 기둥 어셈블리 (#1815 -181B)도 역시 도 5에 보여지고 85%를 초과하는 용출 효율 값을 가진다. 본 실시예의 결과는 상부 역치 방사선 한계를 초과하는 것과 85% 이하로 용출 효율을 나타낸 것 간의 상관관계를 제시한다.
실시예 2: 고용량 및 비-고용량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회수된 잔존 수분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형성되지만 하방으로가 아닌 상방으로 개방된 통풍구를 가지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 (예로, 도 1의 것과 유사하지만 마개 48이 제거된 기둥 어셈블리)의 생산이 출구 또는 입구 라인에 존재하는 부모 방사성 핵종과 연관될 수 있기 때문에 상부 역치 방사선 한계를 초과하였던 기둥 어셈블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감시되었다. 상부 역치 한계를 초과하였던 기둥 어셈블리는 상부 역치 한계를 초과하지 않았던 기둥 어셈블리와 같이 잔존 수분에 대해 조사되었다. 잔존 수분은 기둥을 포함하여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로부터 수분을 회수하도록 출구 포트에 연결된 비워진 바이알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도 6a 및 6b에 나타난 결과는 역치 한계를 초과한 것으로 관찰되었던 기둥 어셈블리가 0.5 그램 또는 이를 초과하는 수준을 보여주었고, 반면 역치 한계를 초과하지 않았던 기둥 어셈블리는 전형적으로 0.05 그램 이하의 수분 수준을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는 기둥 어셈블리에서 증가된 잔존 수분이 출구 라인 및/또는 입구 라인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차폐가 더 적은 영역으로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는 방사선의 역치 한계를 초과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과다 수분은 실시예 1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용출 효율 (Tc-99m 수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상방으로 배열된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 및 하방으로 배열된 통풍구를 가지는 것의 무게 변화 및 회수된 수분
상방으로 배열된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가 무균화에 이어서 잔존 수분 수준이 상대적으로 넓은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이전에 밝혀진 수증기 무균화기 (steam sterilizer) 안에서 위치가 확인되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되지만 하방으로가 아닌 상방으로 개방된 통풍구를 가지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 (예로, 도 1의 것과 유사하지만 마개 48이 제거된 기둥 어셈블리)가 방사성 핵종이 없는 용출액으로 충전되었다. 기둥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양의 용출액으로 충전되어 전형적으로 생산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서로 다른 크기 (예로, Mo-99 활성 수준)를 나타내었다. 기둥 어셈블리는 무게가 측정되었고, 수증기 무균화를 위해 무균화기 안에 확인된 위치에 두었다. 기둥 어셈블리는 구증기 무균화가 실시된 다음 다시 무균화 이후에 무게가 측정되었다. 기둥 어셈블리의 무게 변화가 계산되었다. 본 테스트의 결과는 도 7에 나타나있다.
그 다음 테스트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하방으로 개방된 통풍구를 가지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사용하여 반복되었다. 본 테스트의 결과는 도 8에 나타나 있다.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나온 평균 회수된 액체는 0.040 그램이었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0.053 그램보다는 25% 감소되었다. 추가적으로,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회수된 액체의 표준 편차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0.024 그램과 정반대되는 바 0.02 그램이었다. 유사하게,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회수된 핵체의 상대 표준 편차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45.3%와 정반대되는 바 5.0%로 90.0% 감소되었다.
실시예 4: 두 번의 무균화 이후 상방으로 배열된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 및 하방으로 배열된 통풍구를 가지는 것의 무게 변화 및 회수된 수분
수증기 무균화가 전력 이상 등으로 인해 방해받아 반복될 필요가 있을 수 있을 때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생산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둥 어셈블리에 두 번의 완전한 수증기 무균화가 실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에 관하여 상기 기술된 절차가 반복되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되지만 하방으로가 아닌 상방으로 개방된 통풍구를 가지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결과는 도 9에 나타나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성되고 하방으로 개방된 통풍구를 가지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의 결과는 도 10에 나타나있다.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나온 평균 회수된 액체는 0.039 그램이었고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0.108 그램보다는 64% 감소되었다. 추가적으로,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회수된 액체의 표준 편차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0.231 그램과 정반대되는 바 0.006 그램이었다. 유사하게,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로부터 회수된 핵체의 상대 표준 편차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통풍구를 가지는 기둥 어셈블리의 경우 214.0%와 정반대되는 바 15.4%로 92.8% 감소되었다.
본 실시예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통풍되는 출구 커버가 다중의 수증기 무균화 이후에도 과잉 액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점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어도 일 구현예의 여러가지 관점들이 기술되었고, 다양한 변화들, 변형들, 및 개선점들이 당업자에게 바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라고 이해된다. 이러한 변화들, 변형들, 및 개선점들은 본 기재의 일부분이 되고 본 발명의 범위 이내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상기 기술내용 및 도면들은 단지 예시일뿐이다.

Claims (40)

  1.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가지는 기둥;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는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는 통풍구 구멍을 포함하고, 통풍구 구멍은 무균화 동안 기둥이 출구 포트 아래에 위치할 때 하방으로 대면하도록 배열되어 농축물이 상부로부터 통풍구 구멍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출구 포트:
    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출구 포트를 피복하고 상기 통풍구 구멍을 포함하는 출구 커버: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바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커버는 상기 출구 포트의 바늘 구조를 받는 관통가능한 막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몸통 부분 및 제거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제거가능한 마개 및 상기 몸통 부분 사이의 환상의 공간으로서 정의되는, 기둥 어셈블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출구 커버에 여과기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박테리아를 보유하는, 기둥 어셈블리.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통풍구 구멍에 위치하는, 기둥 어셈블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출구 포트 및 기둥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과 유체 소통하는 여과기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 포트는 기둥이 차폐된 패키지의 내부에 있을 때, 기둥 어셈블리를 받는 차폐된 패키지의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는, 기둥 어셈블리.
  11. 제 10항에 있어서,
    차폐된 패키지와 조합된, 기둥 어셈블리.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기둥 어셈블리의 외부 대기로부터 입구 포트와 유체 소통을 차단하도록 입구 포트에 제거할 수 있게 부착된 마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14. 제 1항에 있어서,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 및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조합한, 기둥 어셈블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은 몰리브덴-99을 포함하고,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은 테크네튬-99m을 포함하는 조합인 기둥 어셈블리.
  16.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가지는 기둥;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입구 포트; 및
    출구 포트가 상기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는 통풍구 구멍을 포함하는,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상기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방사성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하고;
    상기 통풍구 구멍을 하방으로 대면하도록 배열하여 응축물이 상부로부터 상기 통풍구 구멍을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둥 어셈블리를 위치시키고; 또한
    상기 기둥 어셈블리를 무균화를 위해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최종적으로 무균의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는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기둥 어셈블리를 무균화를 위해 수증기에 노출시키기 이전에 상기 출구 포트 위에 출구 커버를 위치시키고, 상기 출구 포트는 상기 통풍구 구멍을 포함하는,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 위에 상기 출구 커버를 위치시키는 것은 제거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는 출구 커버를 위치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기둥 어셈블리를 무균화를 위해 수증기에 노출시키기 이전에 상기 기둥 어셈블리의 입구 포트를 틀어막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어셈블리를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은 상기 기둥 어셈블리를 압력 하에서 포화된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은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기둥 어셈블리를 위치시키는 것 및 상기 기둥 어셈블리를 노출시키는 것은 각각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위치시키는 것 및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단일 무균화 주기 동안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이 상기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에 남아있는 액체가 5% 이하 (상대 표준 편차)로 변화하는 양이 되게 하는, 방법.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을 두 번의 무균화 주기 동안 수증기에 노출시키는 것이 상기 복수의 기둥 어셈블리들에 남아있는 액체가 15% 이하 (상대 표준 편차)로 변화하는 양이 되게 하는, 방법.
  24.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포함하는 기둥,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로 피복되어 최종적으로 무균화 가능한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출구 포트, 상기 통풍되는 출구 포트는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는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도록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지는, 기둥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바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되는 출구 커버는 상기 출구 포트의 바늘 구조를 받는 관통가능한 막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커버는 몸통 부분 및 제거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제거가능한 마개 및 상기 몸통 부분 사이의 환상의 공간으로서 정의되는, 기둥 어셈블리.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상기 몸통 부분에 박테리아 보유성 여과기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29.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포함하는 기둥,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로 피복되어 최종적으로 무균화 가능한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출구 포트, 또한 수단이 지속적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고 기둥을 벗어나는 부모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도록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제공되는, 기둥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바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통풍되는 출구 커버는 상기 출구 포트의 바늘 구조를 받는 관통가능한 막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고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풍구 구멍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기둥으로 대면하는, 기둥 어셈블리.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커버는 몸통 부분 및 제거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제거가능한 마개 및 상기 몸통 부분 사이의 환상의 공간으로서 정의되는, 기둥 어셈블리.
  35.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포함하는 기둥,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는 출구 포트, 또한 과잉 액체가 무균화 동안 기둥 어셈블리의 일부에 도입되는 것을 신뢰할 수 있게 방지하면서 수증기의 교환을 허용하는 수단, 기둥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
  36. 상대적으로 수명이 짧은 딸 방사성 핵종을 생산하는 수명이 긴 부모 방사성 핵종을 보유하는 배지를 포함하는 기둥, 상기 기둥과 유체 소통하고 통풍되는 출구 커버로 피복되어 최종적으로 무균화가능한 기둥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출구 포트, 상기 통풍되는 출구 포트는 기둥에 유체 접근을 제공하고 상기 기둥을 벗어나는 부모 방사성 핵종의 이동을 방지하는 기둥 어셈블리를 생산하도록 중력-추진된 액체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풍구 구멍을 가지는, 기둥 및 출구 포트:를 포함하는, 방사성 핵종 생성기의 기둥 어셈블리.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바늘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커버는 상기 출구 포트의 바늘 구조를 받는 관통가능한 막을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 포트는 몸통 부분 및 제거가능한 마개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 구멍은 상기 제거가능한 마개 및 상기 몸통 부분 사이의 환상의 공간으로서 정의되는, 기둥 어셈블리.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에 더하여 상기 몸통 부분에 박테리아 보유성 여과기를 포함하는, 기둥 어셈블리.
KR1020117029802A 2009-05-13 2009-05-13 방사성 핵종 생성기 및 무균화의 방법 KR101650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09/002998 WO2010132043A1 (en) 2009-05-13 2009-05-13 Radionuclide generator and method of steriliz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50A true KR20120017450A (ko) 2012-02-28
KR101650978B1 KR101650978B1 (ko) 2016-08-24

Family

ID=43085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802A KR101650978B1 (ko) 2009-05-13 2009-05-13 방사성 핵종 생성기 및 무균화의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8569713B2 (ko)
EP (1) EP2430636B1 (ko)
JP (1) JP5479579B2 (ko)
KR (1) KR101650978B1 (ko)
AU (1) AU2009346208C1 (ko)
BR (1) BRPI0924528B8 (ko)
CA (1) CA2761791C (ko)
ES (1) ES2462760T3 (ko)
IL (1) IL216329A (ko)
MX (1) MX2011012003A (ko)
NZ (1) NZ597070A (ko)
RU (1) RU2503074C2 (ko)
SG (1) SG176029A1 (ko)
WO (1) WO2010132043A1 (ko)
ZA (1) ZA2011091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03074C2 (ru) * 2009-05-13 2013-12-27 Лантеус Медикал Имажинг, Инк. Изотопный генератор и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DE102010022430A1 (de) * 2010-06-01 2011-12-01 Karl Storz Gmbh & Co. Kg Sichtfeldvorrichtung für ein Endoskop
CN105684092B (zh) * 2013-10-30 2018-03-27 北极星医疗放射性同位素有限责任公司 用于处理母体放射性核素的装置及方法
EP3453032B1 (en) * 2016-05-04 2022-09-07 Curium U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izing sealed radionuclide generator column assemblies
US10344314B2 (en) * 2016-05-04 2019-07-09 Curium U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terility testing of radionuclide generator column assemblies
EP3452112A2 (en) 2016-05-04 2019-03-13 Curium US LLC Column assembly transfer mechanism and systems and methods for sanitizing same
US11286172B2 (en) 2017-02-24 2022-03-29 BWXT Isotope Technology Group, Inc. Metal-molybd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21002899A2 (en) 2019-03-28 2021-01-07 BWXT Advanced Technologies LLC Control rod drive mechanism with separate latch and drive coils
US11443866B2 (en) * 2020-02-24 2022-09-13 Jubilant Draximage Inc. Generator columns for elution systems loaded with pre-charged matrix
US20210265069A1 (en) * 2020-02-24 2021-08-26 Jubilant Draximage Inc. Heat resistant generator columns for elution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160A (en) * 1990-10-12 1992-04-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erilizable radionuclide generator and method for steriliz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82152A (en) 1964-09-28 1968-05-07 Union Carbide Corp Production of high purity radioactive isotopes
US3446965A (en) 1966-08-10 1969-05-27 Mallinckrodt Chemical Works Generation and containerization of radioisotopes
US3576998A (en) 1966-11-16 1971-05-04 Nen Picker Radiopharmaceutical Self-contained, closed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collecting a short-lived daughter radionuclide from a long-lived parent radionuclide
US3535085A (en) 1967-08-07 1970-10-20 Mallinckrodt Chemical Works Closed system generation and containerization of radioisotopes
US3655981A (en) 1968-11-29 1972-04-11 Mallinckrodt Chemical Works Closed system generation and containerization of radioisotopes for eluting a daughter radioisotope from a parent radioisotope
US3774035A (en) * 1971-07-12 1973-11-20 New England Nuclear Corp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collecting a radionuclide eluate
US3920995A (en) * 1973-05-04 1975-11-18 Squibb & Sons Inc Radioactive material generator
DE2800496A1 (de) * 1978-01-05 1979-07-19 Heyden Chem Fab Radionuklidgenerator
US4666676A (en) * 1985-08-30 1987-05-1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adioactive waste processing apparatus
RU2090949C1 (ru) * 1994-11-29 1997-09-20 Физи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Генератор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терильных радиоизотопов
RU2090950C1 (ru) * 1995-03-21 1997-09-20 Физико-энергет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Генератор для получения стерильных радионуклидов
JP3677106B2 (ja) * 1995-12-27 2005-07-27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放射性核種溶出装置用プラグ及び溶離液流通部材
JP3677105B2 (ja) * 1995-12-27 2005-07-27 日本メジフィジックス株式会社 放射性核種溶出装置
US6157036A (en) * 1998-12-02 2000-12-05 Cedars-Sinai Medical Center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eluting and concentrating a radioisotope
GB2382453B (en) * 2002-04-11 2004-05-19 Amersham Plc Radioisotope generator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GB2386743B (en) * 2002-04-11 2004-02-11 Amersham Plc Radioisotope generator
JP4520141B2 (ja) * 2003-12-22 2010-08-0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CA2532652C (en) 2003-07-22 2008-04-29 Olympus Corporation Method for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steam sterilization treatment of endoscope and endoscope
US20080073559A1 (en) * 2003-12-12 2008-03-27 Horsky Thomas N Controlling the flow of vapors sublimated from solids
US7998106B2 (en) * 2004-05-03 2011-08-16 Thorne Jr Gale H Safety dispensing system for hazardous substances
KR101415092B1 (ko) * 2004-08-30 2014-07-04 브라코 다이어그노스틱스 아이엔씨. 조제, 특히 방사성 동위 원소 발생기에서 이용되기 위한 향상된 콘테이너
JP2009503516A (ja) * 2005-07-27 2009-01-29 マリンクロッ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放射性同位体とともに使用する位置決めアダプタ
WO2007030249A2 (en) * 2005-08-09 2007-03-15 Mallinckrodt Inc. Radioisotope generation system having partial elution capability
US7700926B2 (en) * 2006-01-12 2010-04-20 Draximage General Partnership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isotope generation
RU2503074C2 (ru) * 2009-05-13 2013-12-27 Лантеус Медикал Имажинг, Инк. Изотопный генератор и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9160A (en) * 1990-10-12 1992-04-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terilizable radionuclide generator and method for steriliz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30636A1 (en) 2012-03-21
WO2010132043A1 (en) 2010-11-18
US20140161665A1 (en) 2014-06-12
KR101650978B1 (ko) 2016-08-24
US8569713B2 (en) 2013-10-29
BRPI0924528B1 (pt) 2021-02-23
JP5479579B2 (ja) 2014-04-23
AU2009346208A1 (en) 2012-01-19
CA2761791A1 (en) 2010-11-18
ZA201109132B (en) 2015-03-25
NZ597070A (en) 2013-03-28
BRPI0924528B8 (pt) 2021-06-22
RU2503074C2 (ru) 2013-12-27
MX2011012003A (es) 2012-01-27
IL216329A0 (en) 2012-01-31
AU2009346208B2 (en) 2015-01-15
RU2011150641A (ru) 2013-06-20
AU2009346208C1 (en) 2015-08-06
CA2761791C (en) 2017-11-21
SG176029A1 (en) 2011-12-29
ES2462760T3 (es) 2014-05-26
BRPI0924528A2 (pt) 2016-03-01
EP2430636A4 (en) 2012-12-12
US8822950B2 (en) 2014-09-02
EP2430636B1 (en) 2014-02-12
US20120187308A1 (en) 2012-07-26
JP2012526986A (ja) 2012-11-01
IL216329A (en) 2017-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7450A (ko) 방사성 핵종 생성기 및 무균화의 방법
EP0646273B1 (en) Sterilizable radionuclide generator and method for sterilizing the same
KR100944838B1 (ko) 방사성 동위원소 발생기 및 그 구성 방법
EP2375421B1 (en) Column geometry to maximize elution efficiencies for molybdenum-99
US7037252B2 (en) Brachytherapy seed transport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same
CN105682705A (zh) 用于放射性核素的产品盒
JPS624680B2 (ko)
KR102325245B1 (ko) 모핵종 컨테이너
NO149926B (no) Fremgangsmaate og apparat for fremstilling av technetium 99m
US20230395276A1 (en) TECHNETIUM-99m GENERATOR COLUMN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ES2927706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esterilizar conjuntos de columna de generador de radionucleidos sellados
US20240177880A1 (en) Terminally sterilized alpha-emitting isotope genera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erminally sterilized alpha-emitting isotope
KR20230156306A (ko) 동축 니들 테크네튬 용리 발생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