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329A -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329A
KR20120017329A KR1020100079961A KR20100079961A KR20120017329A KR 20120017329 A KR20120017329 A KR 20120017329A KR 1020100079961 A KR1020100079961 A KR 1020100079961A KR 20100079961 A KR20100079961 A KR 20100079961A KR 20120017329 A KR20120017329 A KR 20120017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ugmented reality
mobile terminal
target objec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303B1 (ko
Inventor
홍연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303B1/ko
Priority to US12/948,540 priority patent/US20120038668A1/en
Priority to CN201110057593.1A priority patent/CN102377873B/zh
Priority to EP11158383.7A priority patent/EP2420923A3/en
Publication of KR20120017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3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information services provided via a voice call
    • H04M2203/359Augment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명세서는 정보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METHOD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본 명세서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 단말기는 상대방에게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문자 메시지를 보내거나 촬영된 사진을 전송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특히, 단말기 사용자는 상세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 버튼(키패드), 가상 키패드 등을 통해 문자를 입력해서 상대방에게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문자 입력 방식에는 한글의 창제 원리를 응용하는 입력 방식, 키패드에 자판을 나열하여 한글의 자모를 입력하는 입력 방식 등이 있다. 예를 들어, 키패드에 자판을 나열하는 입력 방식은 키패드의 각각의 숫자 키에 여러 개의 한글 자/모음을 배정하고, 입력하려는 한글 문자의 키패드상의 키 위치를 찾은 후 한글 자모의 배치 순서에 따라 여러 번의 숫자 키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간단한 정보를 문자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보다 상세하거나 복잡한 정보를 문장으로 작성하기 위해서는 키패드 상의 키를 매우 많이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본 명세서는 사용자가 자신이 보고 있거나 자신의 주변에 있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가 촬영하고 있거나 촬영한 사물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영상(이미지), 증강현실생성정보, 증강현실정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단문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영상에서 인식된 문자를 단문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동 단말기의 전체 구성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에 관련된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 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 예들이 상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우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참조할 개념 또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증강현실정보
일반적으로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이나 실제 사물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이나 정보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을 의미한다.
증강현실정보(AR정보)는 대상 사물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의미하며, 위치 기반(GPS 기반) 방식, 마커 인식 기반 방식 등으로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증강현실정보가 표시되는 대상은 물품, 상품, 건물, 상품, 노선도, 대중교통 등 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사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방식의 경우, 이동 단말기는 GPS 정보와 지자기센서 정보(방향,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가 바라보는 대상(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대상)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증강현실정보를 실제 영상 상에 오버레이 표시하여 대상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마커 인식 기반 방식의 경우, 이동 단말기는 영상에 나타난 마커(marker)를 찾고, 마커의 크기와 이동 단말기와의 거리를 인식하여 마커가 표시된 대상의 3차원 위치 및/또는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해당 증강현실마커로부터 직접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하거나 해당 증강현실마커와 연계된 증강현실정보를 서버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증강현실정보를 영상 상에 또는 마커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마커는 이미지, 2차원 코드 등의 형태로 증강현실정보를 그 자체에 포함할 수 있으며, 문자, 숫자, 기호, 제어 코드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증강현실정보가 인코딩된 증강현실마커의 이미지, 2차원 코드 등을 디코딩하여 상기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증강현실마커를 2차원 코드로 구성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해서는 공지된 2차원 코드(예를 들어, QR코드, PDF417, DataMatrix, MaxiCode 등)와 유사한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증강현실마커는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하거나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정보(즉, 후술할 증강현실생성정보)를 그 자체에 포함하거나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는 증강현실정보마다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 등으로 주어지는 고유번호,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URL 정보 등일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정보가 인코딩된 증강현실마커의 이미지, 2차원 코드 등을 디코딩하여 상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정보를 서버에 조회하여 대응하는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증강현실생성정보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상술한 증강현실정보를 추출, 획득하거나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증강현실태그, 증강현실 메타데이터, 증강현실 소스정보, 증강현실 획득정보 등으로 불리거나 이해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에 대응하는 증강현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이동 단말기의 GPS 정보와 지자기센서 정보(방향, 기울기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증강현실정보마다 서로 다른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 등으로 주어지는 고유번호이거나,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URL 정보일 수도 있다. 또는, 서로 다른 증강현실마커마다 서로 다른 증강현실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서로 다른 증강현실마커를 구분하는 식별정보(예를 들어, 증강현실마커의 시리얼 넘버 등)일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는 증강현실정보를 단일 증강현실정보 서버 또는 복수의 증강현실정보 서버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촬영하고 있거나 촬영한 사물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영상(이미지), 증강현실생성정보, 증강현실정보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고 있거나 사용자의 주변에 있는 사물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은 대상 사물을 설명하는 텍스트,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상대방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방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보다 상세하고 정확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상대방은 수신된 텍스트, 영상(이미지) 또는 증강현실정보를 확인하거나, 수신된 증강현실생성정보를 서버에 조회하여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은, 카메라 촬영 영상에 표시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나, 증강현실정보에 포함되는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여 문자 입력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 등의 입력 시 빈번히 키패드(버튼) 입력, 가상 키패드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하여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용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대상 사물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100)가 현재 대상 사물을 촬영하고 있는 경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이동 단말기(100)는 이전에 촬영되어 저장된 영상에 포함된 대상 사물에 대한 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의 메타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등을 포함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서로 다른 증강현실마커마다 서로 다른 증강현실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영상의 메타데이터는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되거나 부착된 증강현실마커의 식별정보(예를 들어, 증강현실마커의 시리얼 넘버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 사물을 식별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증강현실 관련 정보의 전송 및 영상에서 인식된 정보의 전송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증강현실 관련 정보의 전송
카메라(121)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다. 여기서, 대상 사물은 물품, 상품, 건물, 상품, 노선도, 대중교통 등 가이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모든 사물을 포함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한다.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방향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방향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서버로부터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또는 방향에 대응하는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21)가 대상 사물을 촬영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촬영된 대상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정보 모듈(115)은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획득하고, 센싱부(140)는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지자기센서 정보(방향, 기울기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가 획득된 GPS 정보 및 감지된 지자기센서 정보(방향, 기울기 정보)를 증강현실정보서버에 송신하면, 증강현실정보서버는 수신된 GPS 정보 및 지자기센서 정보(방향, 기울기 정보)로부터 상기 대상 사물을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식별된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증강현실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51)로 하여금 수신된 증강현실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방향 정보 외에 카메라(121)의 시야각(field of view) 정보, 대상 사물의 높이 정보, 대상 사물의 깊이 정보, 대상 사물의 층(floor) 정보, 대상 사물의 촬영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야각 정보는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에 부가되어 화면에 표시되는 촬영 영상의 범위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거나, 대상 사물을 보다 정확히 특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상 사물의 높이 정보 또는 깊이 정보는 건물 등에 있어서 높이 별로 또는 깊이 별로 대상 사물을 보다 세밀히 구분하여 증강현실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대상 사물의 촬영 시간 정보는 대상 사물 또는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의 변동 이력(히스토리)을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증강현실생성정보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또는 방향 정보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가 이동 단말기(100)가 대상 사물에 표시되거나 부착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란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마커의 2차원적 또는 3차원적 표시 방식 또는 외관에 기반하여 획득할 수 있는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이거나,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마커로부터 무선전송 등을 통하여 제공받을 수 있는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강현실마커 자체에 증강현실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인식된 증강현실마커에 인코딩된 증강현실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증강현실마커에 증강현실생성정보가 인코딩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80)는 증강현실마커의 이미지, 2차원 코드 등에 인코딩된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증강현실생성정보를 서버에 송신하여, 서버로부터 대응하는 증강현실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증강현실마커마다 서로 다른 증강현실정보가 대응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인코딩된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증강현실마커 식별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21)가 대상 사물을 촬영하면, 디스플레이부(151)가 촬영된 대상 사물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대상 사물의 촬영 영상에 포함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하여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연계된 증강현실생성정보(또는 증강현실마커 식별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증강현실생성정보(또는 증강현실마커 식별정보)는 증강현실마커의 시각적 표시 내용에 평문(plane text) 형태로 포함되거나 인코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증강현실마커의 시각적 표시 내용에 대하여 비전 인식(vision recognition), 패턴 인식(pattern recognition), 2차원 코드 인식 등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증강현실마커가 무선 방식으로 증강현실생성정보(또는 증강현실마커 식별정보)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근거리 통신 모듈((114) 또는 센싱부(140)가 이를 감지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114) 또는 센싱부(140)가 무선 방식으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하는 기술적 구성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USN) 방식으로 증강현실마커가 배치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부(180)가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결과(증강현실생성정보)를 증강현실정보서버에 송신하면, 증강현실정보서버는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증강현실서버로부터 수신하고, 디스플레이부(151)로 하여금 수신된 증강현실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가 획득되면,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다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증강현실정보로부터 직접 대상 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함으로써 대상 사물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모든 가능한 종류의 메시지, 텍스트, 이미지, 바이너리 파일 전송 방식 등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정보, 증강현실생성정보, 대상 사물의 촬영 영상, 후술할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단문 문자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문자 메시지(MMS)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10)는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는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메시지 작성 창을 부분 화면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정보를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면, 무선 통신부(110)는 증강현실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 입력은 각 증강현실정보를 구분하여 지정하는 숫자 입력 및 선택 키(예를 들어, 엔터 키) 입력 등이 될 수 있고, 터치 입력은 메시지 본문(바디)에 삽입할 증강현실정보에 대한 클릭, 증강현실정보를 드래그하여 메시지 본문(바디)에 드랍하는 등의 입력이 될 수 있으며, 제스처 입력은 좌우 흔들기 등에 따라 메시지 본문(바디)에 삽입할 증강현실정보를 선택하는 입력 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단문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미술관에 전시된 특정 그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단문 문자 메시지 본문(바디)에 드래그 앤드 드랍하면(210),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증강현실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단문 문자 메시지 본문(바디)에 삽입할 수 있다(220).
또는,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디스플레이부(151)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메시지 본문(바디)에 삽입할 수 있는 기능 메뉴를 메시지 작성 창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이용하여 증강현실정보를 선택하고, 선택된 증강현실정보에 대한 증강현실생성정보를 삽입하는 상기 기능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고,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110)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와 함께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부(110)는 증강현실정보 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만을 텍스트,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부가적으로 대상 사물의 촬영 영상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특히, 무선 통신부(110)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증강현실정보가 시각적으로 오버레이(overlay) 표시된 영상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가 대상 사물의 촬영 영상에 증강현실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경우, 제어부(180)가 오버레이 표시되는 영상의 화면 캡쳐(screen capture) 영상을 생성할 수 있고,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화면 캡쳐 영상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오버레이 표시된 증강현실정보에 대해 문자, 숫자, 기호, 도형 등의 인식을 수행하고, 무선 통신부(110)는 그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상의 사각형의 좌상점에서 시작하여 우하점에서 종료되는 터치 입력(드래그), 화면 상의 문지르기를 통한 터치 입력 등을 통하여 화면 영역을 지정하면, 제어부(180)는 그 지정된 화면 영역 내에서 문자 등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가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대하여 사전 문자 등의 인식을 수행하고, 문자 등이 인식되는 화면 영역을 구분되게 표시한 후(예를 들어, 테두리 표시, 하이라이트 표시, 색상 반전 표시, 음영 표시, 깜빡임 표시, 아이콘 표시 등), 사용자가 선택한 화면 영역 내에서 인식된 문자 등을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증강현실정보에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이 인식된 결과를 메시지에 포함시켜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51)는 대상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메시지 작성 창을 부분 화면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인식 방법과 유사한 방식으로 증강현실정보에 대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등을 인식한 후, 사용자가 인식된 결과를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 등을 이용하여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면, 무선 통신부(110)는 인식된 결과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110)가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에 기반하여 원래 대상 사물의 촬영 영상의 범위 밖에 존재하는 대상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가 대상 사물의 촬영 영상과 함께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촬영 영상,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방향 정보를 수신 받은 다른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상기 촬영 영상의 범위 밖에 존재하는 사물 또는 그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보기 위해 좌우 드래그 또는 좌우 플리킹하는 입력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는 상기 위치 정보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수정된 방향 정보를 서버에 송신하고, 대응하는 영상(예를 들어, 로드뷰 영상) 또는 대응하는 영상에 나타난 사물에 대한 증강현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에서 인식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영상에서 인식된 정보의 전송
구체적으로, 카메라(121)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다. 제어부(180)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영상에서 인식된 문자를 단문 문자 메시지에 포함시키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문자 인식 영역을 지정하고, 지정된 영역에서 인식된 문자를 단문 문자 메시지 본문(바디)에 드래그 앤드 드랍하면(310),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증강현실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단문 문자 메시지 본문(바디)에 삽입할 수 있다(330).
또는,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에 대해 사전 문자 인식을 수행하여 문자 인식 가능한 영역을 테두리 표시하고, 사용자가 삽입될 문구가 있는 영역을 선택하면(320), 이동 단말기(100)는 해당 증강현실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단문 문자 메시지 본문(바디)에 삽입할 수도 있다(330).
이동 단말기(100)가 영상에서 인식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하여는 상술한 이동 단말기(100)가 증강현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다(S41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한다(S430).
여기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란 이미지, 2차원 코드 등의 형태로 상기 증강현실마커에 인코딩된 정보를 디코딩한 결과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증강현실정보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로의 접근주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강현실정보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로의 접근주소란 증강현실정보를 저장하거나 제공하는 증강현실정보서버에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를 지정하거나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한다.
특히,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가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 시야각 정보, 상기 대상 사물의 높이 정보, 상기 대상 사물의 깊이 정보 또는 상기 대상 사물의 촬영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45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와 함께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상기 증강현실정보가 시각적으로 오버레이 표시된 영상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S420).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상기 증강현실정보를 시각적으로 오버레이 표시할 수도 있다(S44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오버레이 표시된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대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인식을 수행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인식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영역 또는 사전 인식을 수행한 결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 인식되는 화면 영역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메시지 작성 창을 표시하며, 오버레이 표시된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대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인식을 수행한 결과를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다(S51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한다(S53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영역 또는 사전 인식을 수행한 결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 인식되는 화면 영역 내에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550).
이때, 이동 단말기(100)는 메시지 작성 창을 표시하며, 상기 인식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고,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대상 사물을 촬영한다(S610).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한다(S620).
즉, 이동 단말기(100)는 증강현실정보 및/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고, 대상 사물 촬영 영상에 표시된 문자 등을 인식할 수도 있고, 또는 증강현실정보 및/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는 것과 함께 대상 사물 촬영 영상에 표시된 문자 등을 인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증강현실정보,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 및 상기 인식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한다(S630).
즉, 이동 단말기(100)는 증강현실정보 및/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대상 사물 촬영 영상에 표시된 문자 등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고, 또는 증강현실정보 및/또는 증강현실생성정보와 함께 대상 사물 촬영 영상에 표시된 문자 등을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유사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이동단말기 110: 무선통신부
120: A/V 입력부 130: 사용자 입력부
140: 센싱부 150: 출력부
160: 메모리 170: 인터페이스부
180: 제어부 190: 전원 공급부

Claims (28)

  1.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는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증강현실정보로의 접근주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시야각 정보, 상기 대상 사물의 높이 정보, 상기 대상 사물의 깊이 정보 또는 상기 대상 사물의 촬영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와 함께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상기 증강현실정보가 시각적으로 오버레이 표시된 영상을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상기 증강현실정보를 시각적으로 오버레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오버레이 표시된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대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인식을 수행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인식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영역 또는 사전 인식을 수행한 결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 인식되는 화면 영역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메시지 작성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오버레이 표시된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대해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 인식을 수행한 결과를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2.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영역 또는 사전 인식을 수행한 결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 인식되는 화면 영역 내에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4. 제13에 있어서,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메시지 작성 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식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5.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 및 상기 인식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는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증강현실정보로의 접근주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19.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및 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대상 사물에 대하여 서버로부터 획득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를 인식한 결과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에 표시된 증강현실마커의 인식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정보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시야각 정보, 상기 대상 사물의 높이 정보, 상기 대상 사물의 깊이 정보 또는 상기 대상 사물의 촬영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상기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와 함께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상기 증강현실정보를 시각적으로 오버레이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5.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인식된 결과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화면 영역 또는 사전 인식을 수행한 결과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이 인식되는 화면 영역 내에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7. 제2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메시지 작성 창을 표시하며, 상기 인식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키패드 입력, 터치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본문(바디)에 포함시키고,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8. 대상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촬영된 대상 사물에 연계된 증강현실정보 또는 상기 증강현실정보에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증강현실생성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대상 사물을 촬영한 영상에 표시된 문자, 숫자, 기호 또는 도형을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증강현실정보, 상기 증강현실생성정보 및 상기 인식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정보 전송 방법.
KR1020100079961A 2010-08-16 2010-08-18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08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61A KR101708303B1 (ko) 2010-08-18 2010-08-18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12/948,540 US20120038668A1 (en) 2010-08-16 2010-11-17 Method for display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201110057593.1A CN102377873B (zh) 2010-08-16 2011-03-10 显示信息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移动终端
EP11158383.7A EP2420923A3 (en) 2010-08-16 2011-03-16 Method and displaying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961A KR101708303B1 (ko) 2010-08-18 2010-08-18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329A true KR20120017329A (ko) 2012-02-28
KR101708303B1 KR101708303B1 (ko) 2017-02-20

Family

ID=4583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961A KR101708303B1 (ko) 2010-08-16 2010-08-18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3029A1 (ko) * 2014-10-01 2016-04-07 (주) 애니펜 가상 공간 및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0477093B2 (en) 2014-09-15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apturing imag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capturing still images of an object at a desired time poi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4594A1 (en) * 2002-03-25 2003-10-02 John Ellenby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remote addressing systems
US20050206654A1 (en) * 2003-12-12 2005-09-22 Antti Vaha-Sipila Arrangement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a display
KR100538082B1 (ko) * 2005-05-12 2005-12-22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의 건물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WO2010032079A2 (en) * 2008-09-17 2010-03-25 Nokia Corp. User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84594A1 (en) * 2002-03-25 2003-10-02 John Ellenby Apparatu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remote addressing systems
US20050206654A1 (en) * 2003-12-12 2005-09-22 Antti Vaha-Sipila Arrangement for presenting information on a display
KR100538082B1 (ko) * 2005-05-12 2005-12-22 버츄얼빌더스 주식회사 증강현실기반의 건물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WO2010032079A2 (en) * 2008-09-17 2010-03-25 Nokia Corp. User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7093B2 (en) 2014-09-15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apturing image and image capturing apparatus for capturing still images of an object at a desired time point
WO2016053029A1 (ko) * 2014-10-01 2016-04-07 (주) 애니펜 가상 공간 및 가상 객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303B1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715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US901476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20038668A1 (en) Method for display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886753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86461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8103296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displaying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KR20120049757A (ko) 증강현실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521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86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12784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87024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97708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20033162A (ko) 영상 투사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9997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47620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98409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708303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50339B1 (ko) 증강현실정보의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86513B1 (ko) 이동 단말기의 화면 조작 방법
KR101736866B1 (ko) 정보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2187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201101233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0206A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6113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729981B1 (ko) 콘텐츠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