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767A -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767A
KR20120016767A KR1020100079208A KR20100079208A KR20120016767A KR 20120016767 A KR20120016767 A KR 20120016767A KR 1020100079208 A KR1020100079208 A KR 1020100079208A KR 20100079208 A KR20100079208 A KR 20100079208A KR 20120016767 A KR20120016767 A KR 20120016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display unit
information
energy management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8562B1 (ko
Inventor
김영글
권남우
임정현
강수영
민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85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22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01R11/64Maximum meters, e.g. tariff for a period is based on maximum demand within that perio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1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information or by user interaction, e.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ystems [SCADA] or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40/00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 Y04S40/12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 Y04S40/126Systems for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or end-user application manage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or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y specific aspects supporting them characterised by data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electrical equipment using wireless data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그리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ENERGY MANAGEMENT SYSTEM FOR SMART GRID}
본 발명은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그리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제품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 등과 같은 전기제품이 작동하기 위한 전력은 일반적으로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전력발전소와, 송전선로, 그리고, 배선선로의 순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단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그 기술기반은 아날로그 또는 전자기계적이고, 사고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하고, 설비 또한 수동적으로 복구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기에 대한 가격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고, 가격제도 또한 시간대에 따라 가변적이고 전기요금이 가장 비싼 시간대인 전기요금 피크시간대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피크타임제가 각 분야별로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 지능형 전력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스마트 그리드라 함은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과 복합을 통하여 구현된 차세대 전력시스템 및 이의 관리체제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전력망은 중앙에 집중되고 생산자가 통제하는 수직적,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인 반면에, 스마트 그리드는 공급자에게 덜 집중되어 있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이다.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모든 전기기기, 전력저장장치 및 분산된 전원이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므로, 스마트 그리드를 "에너지 인터넷"으로 부르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스마트 그리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전력 공급자로부터 전력요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전기요금을 절약하도록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으며, 특히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한 에너지 관리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스마트 그리드에 관련된 정보를 알기 쉽게 제공할 수 있는 에너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 그리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에너지 관리장치는, 전력공급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며 실시간으로 전력정보를 계측하고 표시하는 계측장치 또는 전기제품과 양방향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계측장치의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 상기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정보, 상기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화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는 에너지 관리장치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스마트 그리드에 관련된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 그리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의 개략적인 블록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의 표시부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상위 섹션들을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사용량 섹션 선택 후 총 사용량 섹션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총 사용량 섹션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의 선택시 표시되는 전기요금정보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총 사용량 섹션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월별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사용량 섹션 선택 후 기기별 사용량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기별 사용량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에어컨 사용량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제어모드 선택 섹션에 대해 도시하고 있고,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제어모드 선택 섹션에서 상세 제어모드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상세 제어모드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 중 온도 또는 설정풍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어모드 선택 섹션에서 스마트 제어모드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사용량 섹션 선택 후 스마트 절약량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 절약량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월별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전기제품 제어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히스토리 섹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고,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한 순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명확하게 할 염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즉, 에너지 공급원 또는 전력 공급원)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보내어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보내져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가정용 전력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를 자체공급할 수 있고, 남는 전기는 외부에 되팔수도 있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스마트 계측장치가 마련되어서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을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기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기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되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함으로써 수요처의 상황에 맞게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 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계측장치는 오픈 아키텍쳐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오픈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기구가 어느 제조업체에서 제조되었는지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 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신호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 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중계되며, 에너지 관리장치(EMS)는 각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에너지 관리장치(EMS)를 보고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기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 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 관리장치(EMS)와, 상기 로컬에너지 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 관리장치(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 관리장치(EM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그리드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망 반응"을 현실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크 수요(peak demand)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높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 전력소비피크타임구간 또는 전기요금 피크시간대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며 가전장치와 같은 복수개의 전기장치와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장치(EMS)(2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EMS)(200)는 현재의 전기 소모상태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를 표시하는 화면(20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버튼(20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EMS)(200)는 다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냉장고(101), 세탁기 및 건조기(102), 공기조화시스템(103), TV(105) 또는 조리기기(104)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집안 내부에서의 통신은 무선 또는 PLC(Power Line Communication)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전기제품들도 다른 전기제품들과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의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는, 전력공급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며 실시간으로 전력정보를 계측하고 표시하는 계측장치(즉, 스마트 서버) 또는 전기제품과 양방향 통신하는 통신부(210); 사용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220); 상기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계측장치의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240); 상기 입력부(220) 또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 상기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240) 및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의 입력부(220) 및 표시부(24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의 입력부(220)는 키보드(또는 키패드) 및 마우스로 구성되고, 표시부(240)는 모니터 또는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의 제어부(23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수신된 전력정보 또는 통신부(210)를 통하여 수신한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화하여 제공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사용자에게 에너지 관리장치(200)로 수신되는 정보 또는 에너지 관리장치(200)에 의해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정보 등을 GUI(Graphic User Interface)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230)는 표시부(240)에 표시된 GUI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된 GUI가 포함하는 정보들 또는 하위 GUI들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표시부(240)에 표시되는 각각의 상위 또는 하위 GUI들을 "섹션"이라고 지칭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의 표시부(240)의 메인 화면에 표시되는 상위 섹션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240)의 메인 화면은 상위 섹션으로서, 사용량 섹션(250),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 전기요금정보 섹션(270), 히스토리 섹션(280) 및 설정 섹션(290)을 포함한다.
사용량 섹션(25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전기제품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섹션이다.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상기 사용자 섹션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표시부(240)에 사용량 섹션(250)의 하위 섹션으로서 총 사용량 섹션(251),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 및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이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전기제품제어 섹션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섹션이다.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상기 전기제품제어 섹션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전기제품제어 섹션의 하위 섹션으로서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200)에 통신 연결되어 있는 각각의 전기제품에 대응되는 섹션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전기요금정보 섹션(27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가 스마트 서버를 통하여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수신한 실시간 전기요금 정보, 전기요금 피크시간대에 대한 정보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섹션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전기요금정보 섹션(270)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표시부(240)에 현재 사용한 전기요금, 당월 예상 전기요금 등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히스토리 섹션(28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전기제품의 에너지 총사용량 및 전기요금 절약량에 대한 추이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섹션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히스토리 섹션(280)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표시부(240)에 과거 월별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추이현황 또는 에너지 관리장치(200)를 이용하여 과거 월별로 절약한 전기요금 등이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도 5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사용량 섹션(250) 선택 후 총 사용량 섹션(251)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사용량 섹션(25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사용량 섹션(250)의 하위 섹션으로서 총 사용량 섹션(251),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이 표시부(240)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총 사용량 섹션(251)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도 5에 도시된 정보들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총 사용량 섹션(251)을 선택하면, 표시부(240)는 총 사용량 섹션(251)의 하위 섹션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관리 범위 또는 제어 범위 내인 가정 또는 사무실의 총 에너지 사용량(또는 전력 사용량)의 합계에 대한 정보(251a, 251b)를 표시한다. 상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합계에 대한 정보(251a)는 상기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합계를 나타내는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251a) 및 시간대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251b)로 표시부(240)에 표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에 따르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에너지 관리장치(200)가 관리하는 가정의 총 에너지 사용량이 336 kwh이고, 이에 따라 부과되는 전기요금이 58,900원임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당해 월에 시간대 별로 사용한 월누적 전력 사용량이 예를 들어 15시 내지 18시 사이에 가장 큰 80 kwh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월 누적 전력 사용량이 가장 큰 시간대에 전기제품 사용을 가급적 자제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사용전략을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총 사용량 섹션(251)은 하위 섹션으로서 월별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251c)을 더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총 사용량 섹션(251)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251a)의 선택시 표시되는 전기요금정보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총 사용량 섹션(251)의 하위 섹션 중에서 에너지 관리장치(200)가 관리하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에너지 사용량의 합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251a)가 선택되면, 제어부(230)에 의해 전력공급원에서 제공하는 전기요금에 관한 정보가 표시부(240)에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요금정보는 사용자가 에너지 관리장치(200)를 사용하고 있는 현재일(또는 오늘)의 에너지(또는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271)를 포함하고, 전기요금 계산의 기산일(예를 들어, 당월 1일)부터 현재일까지 사용한 전력 사용량에 대응되는 전기요금인 당월 현재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271)를 포함한다(271). 또한, 상기 전기요금정보는, 제어부(230)가 현재일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 및 당월 현재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전력 소비 패턴을 예측한 후, 제어부(230)가 예측한 전력 소비 패턴에 따를 때 예상되는 당월 예상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271)를 포함한다.
이렇게, 당월 예상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전략을 계획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전기요금정보는 전력공급원에서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요금이 시간대에 따라 가변적이고 전기요금이 최대값이 되는 시간대인 전기요금 피크시간대를 포함하는 전기요금 피크타임제가 시행되는 경우, 표시부(2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전기요금정보는 시간대에 따른 전기요금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하고, 현재 적용되는 전기요금 시간대(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9시와 12시 사이에 표시된 세로선)를 표시하며,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에서 적용되는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6에 표시된 150원/kwh),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 직후에 적용되는 전기요금 시간대에서 적용되는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6에서 표시된 250원/kwh) 및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 직후에 적용되는 전기요금 시간대(예를 들어, 도 6에서 표시된 12시 내지 18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에 적용되는 전기요금 및 이후의 전기요금 시간대 및 상기 이후의 전기요금 시간대에 적용되는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들을 수요자에게 이해하기 쉽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에너지 사용 전략을 합리적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총 사용량 섹션(251)의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월별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251c)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총 사용량 센션의 하위 섹션 중에서 월별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251c)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가 관리 또는 제어하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과거 월별 전력 사용량(kwh 단위로 표시)(281a) 및 과거 월별 전력 사용량에 따른 과거 월별 사용 전기요금(원 단위로 표시)(281b)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거 월별 전력 사용량(281a) 및 상기 과거 월별 사용 전기요금(281b)은 막대 그래프 또는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로 표시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사용량 섹션(250) 선택 후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사용량 섹션(25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사용량 섹션(250)의 하위 섹션으로서 총 사용량 섹션(251),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이 표시부(240)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도 8에 도시된 정보들(또는 섹션들)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가 관리 또는 제어하는 가정 또는 사무실의 총 전력 사용량 또는 총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252a)로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총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252a)는 에너지 관리장치(200)가 관리하는 또는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통신하는 전기제품 별로 구획되어 표시된다. 동시에, 제어부(230)는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통신하는 전기제품 별로 사용한 에너지 사용량을 각각의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252b, 252c, 252d, 252e)로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즉,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은 하위 섹션으로서,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모든 전기제품 각각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세탁기 사용량 섹션(252b), TV 사용량 섹션(252c), 냉장고 사용량 섹션(252d), 에어컨 사용량 섹션(252e))를 사용자에게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으로 제공한다.
이렇게, 총 전력 사용량에 대해 기기별로 사용량을 표시함으로써, 총 전력 사용량을 절감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전기제품의 사용량을 자제하거나 또는 전략적으로 사용하여야 할지에 대한 판단 기초 정보를 이해하기 쉽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에어컨 사용량 섹션(252e) 선택시 표시되는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의 하위 섹션으로는 세탁기 사용량 섹션(252b), TV 사용량 섹션(252c), 냉장고 사용량 섹션(252d) 및 에어컨 사용량 섹션(252e)이 포함되어 있으나, 도 9에서는 예시적으로 그리고 설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에어컨 사용량 섹션(252e)을 선택한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제어부(230)는 다른 전기제품 사용량 섹션(252b, 252c, 252d) 선택시에도 에어컨 사용량 섹션(252e) 선택시와 유사하게 표시부(240) 또는 전기제품을 제어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의 하위 섹션들 중 에어컨 사용량 섹션(252e)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에어컨의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이 상기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모드 선택섹션(261)은, 사용자가 에어컨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상세 제어모드 섹션(262) 및 제어부(230)가 에어컨을 전기요금 절약 방식으로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263)을 포함한다.
도 10a 및 10b는 각각 도 9에 도시된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에서 상세 제어모드 섹션(262)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 및 도 10a에 도시된 상세 제어모드 섹션(262)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 중 온도 또는 설정풍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에서 상세 제어모드 섹션(262)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사용자가 에어컨을 수동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인 제어 섹션(262a) 및 상기 에어컨의 현재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섹션(262b)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즉, 표시부(240)에서 상세 제어모드 섹션(262)이 선택되면, 표시부(240)에는 에어컨의 리모컨(remote controller)에 일반적으로 포함되는 입력부의 내용 및 디스플레이부의 내용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제어 섹션은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통신하는 에어컨의 온 섹션 및 오프 섹션, 운전 모드 선택 섹션(예를 들어, 냉/난방 모드, 제/가습 모드, 환기 모드, 공기청정 모드, 예약 모드), 설정온도 조절 섹션 및 설정 풍량 조절 섹션을 포함한다. 또한, 상태 섹션은 현재 온도, 현재 설정 온도 및 현재 설정 풍량을 포함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섹션(262a) 중 설정 온도 조절 섹션 또는 설정 풍량 조절 섹션을 변화시키면, 제어부(230)는 상기 설정 온도 조절 섹션 또는 상기 설정 풍량 조절 섹션을 통한 에어컨의 전략 사용량 변화에 대한 정보(262c)가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온도를 22℃에서 24℃로 변경하거나 또는 설정 풍량을 8에서 5로 변경하는 경우, 상세 제어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240)의 하단부에는 이러한 설정 온도 또는 설정 풍량 변화로 인해 에어컨의 사용 전력 증감량(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3.3kwh),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6시 내지 12시),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에서 적용되는 전기요금(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150원/kwh) 및 상기 설정 온도 또는 설정 풍량 변화로 인해 예상되는 전기요금 절약량(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1500원)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에서 스마트 제어모드(263)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에서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263)이 선택되면, 표시부(240)에는 에어컨의 현재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현재 온도, 설정온도, 설정풍량, 현재 시간)(263a), 현재 전기요금 시간대(도 11에서는, 세로선으로 표시)(263b) 및 전기요금이 최대값이 되는 전기요금 피크시간대(도 11에서는, 해칭으로 표시)에 대한 정보(263b)가 표시된다.
게다가, 표시부(240)에는 스마트 작동1 섹션(263c) 및 스마트 작동2 섹션(263d)이 선택가능하게 표시된다. 사용자가 스마트 작동1 섹션(263c)의 "적용" 섹션(도 11 참고)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전기요금 피크시간대(에너지 요금 피크시간대)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키도록 에어컨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스마트 작동2 섹션(263d)의 "적용" 섹션(도 11 참고)을 선택하면, 전기요금 피크시간대 전에 미리 사용자가 희망하는 작동 상태 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작동 상태 이상의 상태인 여유상태를 형성한 후 전기요금 피크시간대 개시시 상기 에어컨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저전력 모드로 작동하도록 에어컨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 작동2 섹션(263d)의 "적용" 섹션 선택시, 제어부(230)는, 전기요금 피크시간대에서 사용자가 희망하는 온도(즉, 설정온도)가 26℃인 경우, 전기요금 피크시간대 이전에(즉,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대에서) 희망 온도 이하인 24℃(즉, 여유상태)에 도달하도록 설정풍량을 "10"으로 설정하거나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높여 에어컨을 작동시킨 후, 전기요금 피크시간대에서는 설정풍량을 "2"로 설정하거나 또는 압축기의 운전 주파수를 낮추도록 에어컨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사용량 섹션(250) 선택 후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사용량 섹션(25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사용량 섹션(250)의 하위 섹션으로서 총 사용량 섹션(251), 기기별 사용량 섹션(252),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이 표시부(240)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표시부(240)에서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을 선택하면 제어부(230)는 도 12에 도시된 정보들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 장치의 관리 범위 또는 제어 범위 내인 가정 또는 사무실의 전력 사용량(또는 에너지 사용량)의 합계에 대응되는 총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253a)가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로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상기 총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12에서는 148,000원)(253a)가 표시되는 게이지 형상의 그래프는 전술한 스마트 제어모드(263)로 전기제품들을 작동시킨 경우에 절약된 총 전기요금 절약량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12에서는 24,000원) 및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전력공급원에 납부해야 하는 전기요금인 실제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도 12에서는 124,000원)로 구획되어 표시된다. 표시부(240)에는 상기 총 전기 요금에 대한 정보(253a), 상기 전기요금 절약량에 대한 정보(253b) 및 상기 실제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253c)가 일렬로 표시된다.
이렇게, 사용자에게 스마트 제어모드를 사용한 경우의 총 전기요금 절약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 제어모드의 장점을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전기요금을 절약시키기 위해 전력 사용 전략을 계획하게 하는 동기를 유발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극적이고 효율적으로 에너지 관리장치(200) 및 스마트 그리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 중 월별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253d)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30)는 스마트 절약량 섹션(253)의 하위 섹션으로서 월별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253d)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월별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253d)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과거 월별로 절약한 전력 절약량에 대한 정보(kwh 단위로 표시됨)(285a) 및 과거 월별로 절약한 전기요금 절약량에 정보(천원 단위로 표시됨)(285b)가 표시부(240)에 막대 그래프로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즉, 월별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은 자신의 하위 섹션으로서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과거 월별 전력 절약량 및 과거 월별 전기요금 절약량에 대한 추이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14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의 하위 섹션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며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다수의 전기제품(예를 들어, 도 14에서는 TV 섹션(261), 세탁기 섹션(263), 에어컨 섹션(265), 냉장고 섹션(267))을 나타내는 다수의 전기제품 섹션을 표시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다수의 전기제품 중 하나의 전기제품, 예를 들어 에어컨 섹션(267)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30)는 에어컨의 제어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제어모드 선택섹션(261)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즉, 전기제품제어 섹션(260)의 하위 섹션 중 에어컨 섹션(267)이 선택되면, 표시부(240)에는 도 9에 도시된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이 표시된다.
상기 제어모드 선택 섹션(261)은 상세제어모드 섹션(262) 및 스마트제어모드 섹션(263)을 포함하고(도 9 참고), 상세제어모드 섹션(262) 선택시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정보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263) 선택시 도 11에 도시된 정보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의 하위 섹션으로서, 전체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269)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전체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269)을 선택하는 경우, 전술한 도 11에서와 같이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263)의 하위 섹션으로서 스마트 작동1 섹션(263c) 및 스마트 작동2 섹션(263d)을 표시부(2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사용자가 스마트 작동1 섹션(263c)의 "적용" 섹션을 선택하거나 또는 스마트 작동2 섹션(263d)의 "적용" 섹션을 선택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200)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며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다수의 전기제품 모두를 스마트 제어모드로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서, 상위 섹션인 전기제품제어 섹션(260)을 선택하거나 또는 사용량 섹션(250)의 하위 섹션 중 하나인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모든 전기제품 각각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정보(또는 섹션)(252b, 252c, 252d, 252e)를 선택함으로써,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전기제품을 개별적으로 또는 스마트 제어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5는 도 4의 상위 섹션들 중 히스토리 섹션(280) 선택시 표시되는 정보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240)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히스토리 섹션(280)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전기제품 제어 섹션(260)의 하위 섹션으로서,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모든 전기제품의 총 전력 사용량에 대한 과거 월별 추이현황을 나타내는 총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281), 에너지 관리장치(200)와 양방향 통신하는 각각의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과거 월별 추이현황을 나타내는 기기별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283) 및 전기제품들이 스마트 제어모드로 작동되는 경우 절약되는 전력량 및 전기요금의 과거 월별 추이현황을 나타내는 스마트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285)이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총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281)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도 7에 도시된 정보가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또한, 스마트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285)이 선택되면, 제어부(230)는 도 13에 도시된 정보가 표시부(240)에 표시되도록 표시부(240)를 제어한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한 순서 흐름도이다.
도 16은 표시부의 메인화면에서의 에너지 관리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한 순서흐름도(S300)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관리장치가 작동되면, 제어부는 에너지관리장치의 표시부에 복수개의 상위 섹션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S310).
이후, 표시부에 표시된 복수개의 상위 섹션들 중 하나의 섹션이 선택되면(S320), 제어부는 선택된 상위 섹션이 사용량 섹션인지를 판단한다(S330). 이때,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상위 섹션이 사용량 섹션이라고 판단하면, 제어부는 표시부에 사용량 섹션의 하위 섹션들 또는 하위 섹션들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A).
반대로, 선택된 섹션이 사용량 섹션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선택된 섹션이 전기제품의 제어 섹션인지를 더 판단한다(S340).
이후,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상위 섹션이 전기제품의 제어 섹션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부에 전기제품의 제어 섹션의 하위 섹션들 또는 하위 섹션들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B).
반대로, 제어부가 선택된 상위 섹션이 전기제품의 제어 섹션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어부는 선택된 상위 섹션이 전기요금정보 섹션인지를 더 판단한다(S350).
이후, 제어부가 선택된 상위 섹션이 전기요금정보 섹션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부에 전기요금정보 섹션의 하위 섹션 또는 하위 섹션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C). 반대로,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상위 섹션이 전기요금정보 섹션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상위 섹션이 히스토리 섹션인지를 더 판단한다(S360).
이후,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상위 섹션이 히스토리 섹션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부에 히스토리 섹션의 하위 섹션들 또는 하위 섹션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D).
도 17은 표시부의 메인화면에서 사용량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량 섹션의 하위 섹션들 또는 하위 섹션들에 관한 정보들에 대한 순서흐름도(S400)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우선 표시부에 총사용량 섹션, 기기별 사용량 섹션 및 전기요금 절약량 섹션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S401).
이후, 사용량 섹션의 하위 섹션들 중 하나의 섹션이 선택되면(S403), 제어부는 선택된 섹션이 총사용량 섹션인지를 판단한다(S405). 이때,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섹션이 총사용량 섹션이라고 판단하면 표시부에 총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S407).
이후, 표시된 총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선택되면(즉,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인 경우, 총사용량에 대한 정보가 클릭되면)(S409), 제어부는 전기요금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S411).
제어부가 사용량 섹션의 하위 섹션들 중 선택된 하나의 섹션이 총사용량 섹션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어부는 선택된 섹션이 기기별 사용량 섹션인지를 더 판단한다(S413). 이때, 제어부가 선택된 섹션이 기기별 사용량 섹션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또는 제어되는 모든 전기제품의 기기별 사용량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S415). 이후, 표시부에 표시된 기기들 중 하나의 전기제품이 선택되면(S417), 제어부는 선택된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섹션들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B).
또한, 제어부가 사용량 섹션의 하위 섹션들 중 선택된 하나의 섹션이 기기별 사용량 섹션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제어부는 선택된 섹션이 스마트 절약량 섹션인지를 더 판단한다(S419).
이후, 제어부가 상기 선택된 섹션이 스마트 절약량 섹션이라고 판단하면, 제어부는 스마트 절약량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S421).
도 18은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에 표시되는 하위 섹션들의 순서흐름도(S500)이다. 즉,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위 섹션들 중 전기제품의 제어 섹션이 선택되거나(S340)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별 사용량의 하위 섹션으로서 표시부에 표시된 기기들 중 하나의 전기제품이 선택되면(S417), 제어부는 선택된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섹션들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B).
우선, 표시부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위 섹션들 중 전기제품의 제어 섹션이 선택되거나(S340) 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별 사용량의 하위 섹션으로서 표시부에 표시된 기기들 중 하나의 전기제품이 선택되면(S417), 제어부는 사용자가 제어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부에 제어모드 선택 섹션을 표시한다(S503).
이때, 제어부가 선택된 제어모드가 상세 제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가 제어 입력 신호를 직접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제어 섹션 및 현재 선택된 전기 제품의 상태 및 주위 상황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상태 섹션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S505).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 섹션에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선택된 전기 제품을 제어할 수 있다(S507).
반대로, 제어부가 선택된 제어모드가 상세 제어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선택된 제어모드가 스마트 제어모드인지를 더 판단한다(S509). 이때, 제어부가 선택된 제어모드가 스마트 제어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선택된 전기제품을 전력사용량 절약 방식으로 또는 전기요금 절약 방식으로 제어한다. 즉, 이 경우, 제어부는 선택된 전기제품을 스마트 작동1 또는 스마트 작동2로 제어한다(S511).
도 19는 표시부의 메인화면에 표시되는 상위 섹션들 중 전기요금정보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되는 하위 섹션들 또는 하위 섹션들에 관한 정보들의 순서흐름도(S600)이다.
즉, 제어부가 선택된 상위 섹션이 전기요금정보 섹션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제어부는 표시부에 전기요금정보 섹션의 하위 섹션 또는 하위 섹션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C).
이후, 전기요금정보 섹션의 하위 섹션 또는 하위 섹션에 관한 정보들은 에너지관리장치에 의해 제어가능한 전기제품들을 포함한다(S601).
이후, 상기 제어가능한 전기제품들 중 하나의 전기제품이 선택되면(S603), 제어부는 선택된 전기제품을 제어할 수 있는 섹션들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B).
도 20은 표시부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위 섹션들 중 히스토리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표시부에 표시되는 하위 섹션들 또는 하위 섹션들에 관한 정보들의 순서흐름도(S700)이다.
우선, 표시부의 메인화면에 표시된 상위 섹션들 중 히스토리 섹션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총사용량 히스토리 섹션, 기기별 사용량 히스토리 섹션 및 스마트 절약량 히스토리 섹션을 표시부에 표시한다(S01).
이후, 표시된 히스토리 섹션의 하위 섹션들 중 어느 하나의 히스토리 섹션이 선택되면(S703), 선택된 하위 섹션의 히스토리 섹션에 대한 과거 우러별 추이현황을 표시부에 표시한다(S705).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 내에 있게 된다.
200 : 에너지관리장치 240 : 표시부의 메인화면
250 : 사용량 섹션 260 : 전기제품 제어 섹션
270 : 전기요금정보 섹션 280 : 히스토리 섹션

Claims (20)

  1. 전력공급원과 양방향 통신을 하며 실시간으로 전력정보를 계측하고 표시하는 계측장치 또는 전기제품과 양방향 통신하는 통신부;
    사용자가 설정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상기 계측장치의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설정정보, 상기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설정정보, 상기 전력정보 또는 상기 전기제품에 대한 정보를 그래픽화하여 제공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사용량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량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총사용량 섹션 및 기기별 사용량 섹션이 상기 표시부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총사용량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모든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의 합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사용량에 대한 합계에 대한 정보는 상기 합계를 나타내는 게이지 형상 및 시간대에 따른 전력 사용량의 크기를 나타내는 막대 그래프 형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게이지 형상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전력 공급원에서 제공되는 시간에 따른 전기요금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기별 사용량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모든 전기제품 각각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전기제품 각각의 전력 사용량에 대한 정보에 각각 대응되는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에 대응되는 전기제품의 제어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제어모드 선택 섹션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드 선택 섹션은 상세 제어모드 섹션 및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 제어모드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에 대응되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섹션 및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섹션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광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제어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전기요금 피크시간대에서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선택된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에 대응되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제어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전기요금 피크시간대 전에 미리 사용자가 희망하는 작동 상태 또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작동 상태 이상의 상태인 여유상태를 형성한 후 전기요금 피크시간대 개시시 상기 전기제품을 정지시키도록 상기 선택된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에 대응되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량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스마트 절약량 섹션이 상기 표시부에 선택가능하게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절약량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전기제품의 스마트 제어모드에 의해 절약된 전기요금 절약량 및 실제 전기요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게이지 형상 또는 그래프 형상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입력부를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전기제품 제어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제품 제어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며 사용자가 선택가능한 다수의 전기제품을 나타내는 다수의 전기제품 섹션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전기제품 중 하나의 전기제품이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전기제품의 제어모드가 선택될 수 있는 제어모드 선택섹션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제품 제어 섹션이 선택되는 경우 전기요금 피크시간대에서 전기제품의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전기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전체 스마트 제어모드 섹션이 상기 표시부에 포함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전기요금정보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에너지 관리장치와 양방향 통신하는 전기제품의 전력 총사용량 및 전기요금 절약량에 대한 추이현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히스토리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관리장치.
KR1020100079208A 2010-08-17 2010-08-17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KR10206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08A KR102068562B1 (ko) 2010-08-17 2010-08-17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08A KR102068562B1 (ko) 2010-08-17 2010-08-17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67A true KR20120016767A (ko) 2012-02-27
KR102068562B1 KR102068562B1 (ko) 2020-02-11

Family

ID=4583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208A KR102068562B1 (ko) 2010-08-17 2010-08-17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85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258A (ko) * 2013-07-22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56846A1 (ko) 2013-10-14 2015-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전량 유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51262A (ko) * 2013-11-01 2015-05-12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미터의 개별 전기기기 요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60095820A (ko) * 2015-02-04 2016-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057A (ja) * 2004-11-05 2006-05-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食器洗浄機の制御方法
KR20090032411A (ko) * 2007-09-28 2009-04-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용가의 소비 전력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전력서비스 정책을 제공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JP2009278795A (ja) * 2008-05-15 2009-11-26 Tempearl Ind Co Ltd 生活エネルギー適正使用支援システム
KR20100086380A (ko) * 2009-01-22 2010-07-30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057A (ja) * 2004-11-05 2006-05-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食器洗浄機の制御方法
KR20090032411A (ko) * 2007-09-28 2009-04-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용가의 소비 전력과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전력서비스 정책을 제공하는 전력 관리 시스템
JP2009278795A (ja) * 2008-05-15 2009-11-26 Tempearl Ind Co Ltd 生活エネルギー適正使用支援システム
KR20100086380A (ko) * 2009-01-22 2010-07-30 한국전력공사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1258A (ko) * 2013-07-22 2015-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5056846A1 (ko) 2013-10-14 2015-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충전량 유지 장치 및 방법
US9716397B2 (en) 2013-10-14 2017-07-25 Lg Chem,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charge amount of secondary battery
KR20150051262A (ko) * 2013-11-01 2015-05-12 한국전기연구원 스마트 미터의 개별 전기기기 요청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60095820A (ko) * 2015-02-04 2016-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8562B1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562B1 (ko) 스마트 그리드용 에너지 관리장치
KR20110042862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181783B1 (ko) 에너지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시스템
KR101069058B1 (ko) 지능형 전력망을 이용하는 정수기
KR20120000298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084156B1 (ko) 조명 및 공기조화시스템
Thomas et al. Smart home energy management by Demand Response controller design
KR20170111368A (ko) 전력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3608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20120000294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925025B1 (ko) 에너지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40032717A (ko) 냉장고
KR101645489B1 (ko) 전기제품의 전력관리네트워크 등록방법
KR101674938B1 (ko) 전기제품의 전력관리네트워크 등록방법 및 전력관리네트워크 바인더
KR20120005666A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101629320B1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20029568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80086A (ko)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20120005188A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733487B1 (ko)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2012002956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578009B1 (ko) 착탈가능한 통신모뎀이 장착된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20067033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10042867A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80090A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37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516

Effective date: 201902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