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487B1 -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487B1
KR101733487B1 KR1020100060592A KR20100060592A KR101733487B1 KR 101733487 B1 KR101733487 B1 KR 101733487B1 KR 1020100060592 A KR1020100060592 A KR 1020100060592A KR 20100060592 A KR20100060592 A KR 20100060592A KR 101733487 B1 KR101733487 B1 KR 101733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ime period
storage
information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297A (ko
Inventor
정신재
권용태
김양환
이훈봉
차주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0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487B1/ko
Priority to PCT/KR2011/004640 priority patent/WO2011162576A2/ko
Priority to US13/806,924 priority patent/US9836803B2/en
Priority to EP20110798411 priority patent/EP2587729B1/en
Publication of KR20120000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56Special tariff meters
    • G01R11/64Maximum meters, e.g. tariff for a period is based on maximum demand within that perio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6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power transmission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5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ine communication networks, e.g. low power modes or reduced link 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아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비용 과 소정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바이스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 device}
본 발명은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기제품 또는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사무기기 등과 같은 전기제품을 위한 전력망은 일반적으로 전력발전소, 송전선로 및 배선선로의 순서를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전력망은 분산전원이 아닌 중앙전원의 성격을 가지며, 나아가 중앙에서 주변부로 퍼져나가는 방사형구조이고, 수요자 중심이 아닌 일방향의 공급자 중심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또한, 그 기술기반은 아날로그 또는 전자기계적이다. 그런데, 전술한 전력망은 사용 전력에 대한 가격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를 통하여 제한적으로만 알 수 있었다. 또한, 가격제도 사실상의 고정가격제이기 때문에 가격변화를 통한 수요자에 대한 인센티브와 같은 유인책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에너지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차세대 전력망, 소위 "지능형 전력망(Smart Grid, 지능형 전력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지능형 전력망이라 함은 현대화된 전력기술과 정보통신 기술의 융합과 복합을 통하여 구현된 차세대 전력시스템 및 이의 관리체제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전력망은 중앙에 집중되어 생산자가 통제하는 수직적, 중앙 집중적인 네트워크인 반면에, 지능형 전력망은 수요자에게 더 집중되어 있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케 해주는 수평적, 협력적, 분산적 네트워크이다.
그런데, 지능형 전력망이 전력수요자 입장에서 구현되기 위해서는 하나 이상의 가전기기가 연결되는 네트워크가 일방적으로 전력을 받기만 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전력공급원과 전력정보에 관하여 양방향 통신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있다.
또한, 전기제품을 포함하는 각종 디바이스 사용시 실시간으로 전기요금을 판단하고, 전기요금이 높은 시간대인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사용을 자제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미리 축전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및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전기요금,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의 전력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는 기후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산술 평균값, 이동 평균값, 가중 평균값 및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상기 소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되거나, 상기 디바이스 외부에서 제공되는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의 정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마이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계통 전력정보 및 및 분산 전원의 전기 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전력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을 통한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어느 한 전원을 이용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지능형 전력망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에너지관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특정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요금과 축전 시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
도 1은 스마트 그리드의 개략도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그리드는 화력발전이나 원자력발전 또는 수력발전을 통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발전소와,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또는 풍력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와 풍력발전소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화력발전 또는 원자력발전소 또는 수력발전소는 송전선을 통하여 전력소로 전력을 보내고, 전력소에서는 변전소로 전기를 보내어 전기가 가정이나 사무실 같은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신재생 에너지에 의하여 생산된 전기도 변전소로 보내져 각 수요처로 분배되도록 한다. 그리고, 변전소에서 송전된 전기는 전력저장장치를 거쳐서 사무실이나 각 가정으로 분배된다.
가정용 전력네트워크(HAN, Home Area Network)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도 태양광이나 PHEV(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Plug in Hybrid Electric Vehicle)에 장착된 연료전지를 통하여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를 자체공급할 수 있고, 남는 전기는 외부에 되팔수도 있다.
그리고, 사무실이나 가정에는 스마트 계측장치가 마련되어서 각 수요처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현재 사용되는 전력량 및 전기요금을 인지하여 상황에 따라 전력소모량이나 전기요금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전소, 전력소, 저장장치 및 수요처는 양방향 통신이 되기 때문에 수요처에서 일방적으로 전기를 받도록 하는 것만을 떠나서, 수요처의 상황을 저장장치, 전력소, 발전소로 통지함으로써 수요처의 상황에 맞게 전기 생산 및 전기분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는 수요처의 실시간 전력관리 및 소요전력의 실시간 예측을 담당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 Energy Management System) 및 전력의 소모량을 실시간으로 계측하는 계측장치(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가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계측장치는 오픈 아키텍쳐를 근거로 하여 소비자를 통합하려는 기반기술로서 소비자에게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전력공급자에게는 시스템상의 문제를 탐지하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오픈아키텍쳐란 일반적인 통신망과는 달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에서 전기기구가 어느 제조업체에서 제조되었는지 상관없이 모든 전기기구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스마트 그리드에서 사용되는 계측장치는 "가격 대 장치(Prices to Devices)" 와 같은 소비자 친화적인 효율성 개념을 가능케 한다.
즉, 전력시장의 실시간 가격신호가 각 가정에 설치된 에너지관리장치(EMS)를 통하여 중계되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각 전기장치와 통신을 하며 이를 제어하므로 사용자는 에너지관리장치(EMS)를 보고 각 전기장치의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기초로 소모전력량이나 전기요금 한계설정 등과 같은 전력정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에너지 및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여기서 에너지관리장치(EMS)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상기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와 양방향 통신을 하여 로컬에너지관리장치(EMS)에서 취합된 정보를 처리하는 중앙에너지관리장치(EMS)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그리드에서 공급자와 수요자간의 전력정보에 관한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실시간 전력망 반응"을 현실화 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피크 수요(peak demand)를 맞추는데 소요되는 높은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스마트 그리드의 주요 수요처인 가정에서의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10)은 각 가정에 공급되는 전력 및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며 가전장치와 같은 복수개의 전기장치와 연결되고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현재의 전기 소모상태 및 외부의 환경(온도, 습도)를 표시하는 화면(31)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한 입력버튼(32) 등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다시 가정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냉장고(101), 세탁기 및 건조기(102), 에어컨(103), TV(105) 또는 조리기기(104)와 같은 전기제품과 연결되어, 이들과 양방향 통신을 하게 된다.
이러한 통신은 무선 또는 PLC와 같은 유선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전기제품들도 다른 전기제품들과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해지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기제품들에는 필요한 경우 각각의 전기제품에 단독으로 또는 전체 전기제품에 공용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축전지(200~205)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 축전지는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축전지(200~205)는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서 축전을 한 후 필요할 때 전력을 전기제품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에너지관리장치(EMS)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는 터치패널(33)을 구비한 단말기 형태를 띠고 있다.
상기 터치패널(33)에는 현재 전기사용량, 및 전기요금, 그리고 누적된 히스토리에 의하여 예상되는 예상요금 및 이산화 탄소 발생량과 같은 금일의 에너지 정보와, 현재 시간 구간의 전기요금 및, 다음 시간구간의 전기요금 그리고, 전기요금이 변하는 시간대를 포함하는 실시간 에너지 정보 및 날씨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31)이 표시된다.
그리고, 터치패널의 화면(31)은 각 전기제품의 시간대별 전력소모량 및 그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 또는 공용축전지에 축전된 축전량을 인식하기 용이한 그래프도 포함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각 축전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화면(31)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전기제품의 동작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버튼부(32)가 마련된다.
이러한 버튼부(32)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자기가 사용하고자하는 전력량 또는 전기요금의 한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러한 설정에 따라 에너지관리장치(EMS)(30)는 각 전기제품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스마트 그리드 하에서의 전력공급원과, 가정 내의 전기제품에 대한 전력공급을 담당하는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전력공급원은 일반적인 발전장비(화력, 원자력, 수력)를 구비하거나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지열) 등을 이용한 발전장비 등을 구비한 전력회사(50)가 될 수 있고 , 또한, 각 가정에 구비될 수 있는 자가 태양광발전시설(51)과, 차량에 구비될 수 있는 연료전지(5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공급원은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와 연결되고, 상기 계측장치(스마트미터)(20)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35) 및 입력부(38), 통신부(34), 표시부(39)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신부(34)는 가정내의 전기제품, 즉, 냉장고(101), 세탁기 또는 건조기(102), 그리고, 공기조화기(103), 조리기기(104) 등과 통신을 하며, 이들의 전력정보 및 구동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5)는 상기 입력부(38)에 의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정보 및 기존에 누적된 전기제품의 동작 및 전력사용 히스토리 정보, 그리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들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하여 전기제품들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들 전기제품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각 전기제품에는 축전지(201~204)가 마련되고, 각각의 축전지는 다른 축전지와 연결된다. 한편, 전력수요처, 즉 댁내의 전력네트워크 자체에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공용축전지(200)가 연결된다.
상기 공용축전지(200)는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201~204)에 비하여 축전용량이 크고, 각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즉,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201~204)는 해당 전기제품에 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나, 상기 공용축전지(200)는 전력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모든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상기 축전지(201~204)들은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통신부(34)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상기 축전지(201~204)에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의 제어부(35)의 축전명령에 따라서 전기가 축전된다.
또한,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상기 축전지(201~204)들은 상기 제어부(35)의 제어명령에 따라 축전된 전력을 각각의 축전지가 연결된 전기제품에 공급하거나 다른 전기제품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제품 중 냉장고(101)와 같이, 24시간 계속 동작되어야 하는 전기제품 내부에 에너지관리장치(EMS)(30)를 마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전기제품의 제어부(101a) 및 축전지(201)와 별도로 에너지 관리장치(EMS)(30)의 제어부(35), 통신부(34), 입력부(38), 표시부(39)를 마련하여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에 의하여 모든 전기제품의 동작신호 및 전력정보가 송수신되고 처리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에너지 관리장치(EMS)(30)의 위치를 제외하고는 그 동작은 도4에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공용축전지(200) 및 각 전기제품에 연결된 축전지(201~204), 그리고 이들의 축전을 위하여 사용되는 에너지관리장치(EMS)(30, 그리고 상기 축전지(201~204)가 연결되는 전기제품을 통칭하여 디바이스(Device)라고 하겠다.
따라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이라고 하면, 축전을 위하여 축전명령을 내리는 상기 에너지관리장치(EMS)(30)이거나 또는 각 전기제품의 제어방법일 수도 있고, 아니면 독립적으로 축전을 수행하는 상기 공용축전지(200) 또는 상기 각 전기제품에 연결되는 축전지(201~204)의 제어방법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특정 시간에 따라 변동되는 전기요금과 축전 시간 구간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S10)와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S20, 30)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S40, 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정보는 전기요금, 전력량,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변화율, 전기요금의 평균값 및 전력량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자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의 전력정보 및 신재생 에너지와 같은 분산 전원의 전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는 기후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라 함은 기후 정보를 반영하여, 전력 생산량, 발전비용 및 전기요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기요금의 정도에 따라 계통 전원 및 분산 전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축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하는 단계(S10)는 전력 정보를 수집, 획득하는 단계(S11) 및 수집, 획득된 전력 정보를 가공 또는 판단(S12)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정보를 수집, 획득하는 단계는 전력정보를 전력공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정보를 가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가공되거나, 전력공급자에 의해 가공될 수 있으며,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콤에서 산정될 수도 있고, 전술한 에너지 관리 장치에서 산정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상기 소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되거나, 상기 디바이스의 외부에서 제공되는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의 정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지능형 전력망에서는 예를 들어, 특정 일, 특정 주 또는 특정 월을 주기로 전기요금이 변동될 수 있으며, 특히, 특정 일에서도 특정 시간에 따라 전기요금이 변동되며, 예를 들어, 전력 사용량이 많은 온 피크 시간(On Peak Time) 구간에서는 전력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오프 피크 시간(Off Peak Time) 구간에 비하여 전기요금이 비싸게 책정된다.
또한,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 전력 공급자는 미리 결정된 시간 간격으로 구분되는 각 시간 구간에 대한 전기요금 정보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요금 정보는 현재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 이후의 전기 요금정보까지 미리 알 수 있는 스케쥴 정보 형태 또는 현재 시각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기 요금정보만 알 수 있고, 이후 시간 구간의 전기요금 정보는 해당 시간 구간에서만 알 수 있는 실시간 정보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전자는 현재 시각에서 이후 구간의 전기요금정보를 미리 알 수 있으므로 예측이 용이하고, 후자는 현재 시각에서 이후 구간의 전기요금정보를 알 수 없으므로 예측이 어렵다는 차이를 갖는다.
예를 들어, 후속하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분되는 각 구간에 대한 전기요금 정보(스케쥴 정보 형태)라 함은, 매일 낮 12시, 또는 밤 12시에 이후 24 시간 동안의 전력 요금정보를 1시간 또는 30분의 시간 구간으로 구분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에너지 관리장치 등을 통하여 24 시간 동안의 전력 요금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실시간적인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구분되는 각 구간에 대한 전기 요금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5분 또는 30분 간격으로 앞으로 5분 또는 30분 동안의 전기 요금 정보를 계속해서 수령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앞으로 최대 5분 또는 30분 동안의 전기 요금 정보는 알 수 있지만, 그 이상의 전기 요금정보는 알기가 곤란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는 전력 공급자와 수요처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전력 공급자는 수요처의 전력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그 이후 시간의 전기요금을 탄력적으로 책정할 수 있으며, 수요처는 이러한 전기요금을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전기제품의 구동 시기를 연기하거나, 구동 중인 전기제품의 사용을 중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수요처는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자는 효율적으로 전력을 분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능형 전력망 하에서, 사용자 또는 수요처는 전기요금을 절약하기 위하여 온 피크 시간 구간에서 전기제품의 구동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수요처는 전기요금이 저렴한 시간 구간에 축전을 수행하고, 전기요금이 비싼 시간 구간에 축전된 전력을 사용하여 디바이스를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온 피크 시간 구간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양한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와 소정값을 비교하여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을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산술 평균값,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평균값,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이동 평균값과 가중 평균값 및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소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해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전력정보(예를 들어, 전기요금)와 소정값(예를 들어, 특정 일, 주, 월의 전기요금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시간 구간을 온 피크 시간구간으로, 전력정보가 소정값 이하가 되는 시간 구간을 오프 피크 시간 구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전력 정보와 소정값의 비교를 통하여, 특정 시간 구간에서는 전력 정보, 온 피크 시간 구간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을 인식한 후,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9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도 9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일 수 있다.
즉, 축전 시간 구간은 모두 오프 피크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도 있고, 일부 시간 구간이 온 피크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모두 온 피크 시간 구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축전 시간 구간은 연속적인 시간 구간일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복수 회 이루어진 시간 구간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온 피크 시간 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의 구분은 소정값과의 상대적 차이에 의한 것이므로, 축전 시간 구간 역시 온 피크 시간 또는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의 구별에 의해서만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온 피크 시간 구간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은 축전 시간 구간을 결정하는 하나의 요소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축전을 수행하기 위하여,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소정금액은 온 피크 및 오프 피크 시간 구간에 관계없이 사용자 등에 의하여 미리 결정된 축전 허용 금액으로 결정될 수도 있고, 이때, 축전 비용이 축전 허용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된 전력이 사용되는 디바이스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 정보(예를 들어,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를 근거로 결정될 수고 있고, 이때 축전 비용이 디바이스의 구동에 따른 전기요금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는 하나의 외부 전원, 예를 들어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과 축전 비용을 비교하여,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하나의 외부 전원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외부 전원이라 함은 계통 전원(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 및 복수의 분산 전원(예를 들어, 태양열, 지열 및 풍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은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계통 전력정보 및 및 분산 전원의 전기 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전력정보를 인식하는 단계와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을 통한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어느 한 전원을 이용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전력 정보(예를 들어, 전기 요금)를 인식하여, 각 전원을 통하여 축전하는 경우의 축전 비용을 산출하고, 이를 소정 금액과 비교한 후, 어느 한 전원에 의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도록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특정 시간에 따라 전력정보가 변동되는 전력망 하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인식하고,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여 축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기요금을 절약하고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20: 계측장치
30: 에너지관리장치 39: 표시부
38: 입력부 34: 통신부
35: 제어부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에 연결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축전 및 상기 전기제품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축전지에 축전하는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정보는 전력공급원에서 공급하는 전원의 전력량과 전기요금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평균값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전기제품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이 오프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고, 축전 종료 시각이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시간 구간은 축전 개시 시각과 축전 종료 시각이 모두 온 피크 시간구간에 속하는 시간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는 전기요금의 평균값, 전기요금의 변화율, 전력량의 평균값, 전력량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의 전력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전원의 전력 정보는 기후 정보 및 분산 전원의 운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산술 평균값, 이동 평균값, 가중 평균값 및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금액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디바이스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컴을 통하여 산정되거나, 상기 전력정보를 제공하는 전력공급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에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상기 소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인식되거나,
    상기 디바이스 외부에서 제공되는 온 피크 시간구간과 오프 피크 시간구간의 정보에 의해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는 사용자 입력 또는 마이컴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전기제품과 상기 전기제품에 연결되는 축전지와 상기 축전지의 축전 및 상기 전기제품으로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에너지관리장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계통 전원의 전기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계통 전력정보 및 분산 전원의 전기 요금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분산 전력정보가 소정값을 초과하는 온 피크 시간구간과 상기 소정값 이하가 되는 오프 피크 시간구간을 인식하는 단계;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으로부터 상기 축전지에 축전하는 축전 시간 구간의 축전 비용과 소정 금액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한 축전 비용이 소정 금액 이하인 경우에 축전 시간 구간 동안 축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력정보는 계통 전원 또는 분산 전원에서 공급하는 전력량과 전기요금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값은 소정 시간 구간 동안의 전력정보의 평균값을 포함하며,
    상기 소정금액은 축전 허용 금액, 특정 전기제품의 구동 예정 시간, 소비전력량 및 상기 전기제품의 구동 예정 시간이 포함되는 시간 구간의 전력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근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20100060592A 2010-06-25 2010-06-25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1733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92A KR101733487B1 (ko) 2010-06-25 2010-06-25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PCT/KR2011/004640 WO2011162576A2 (ko) 2010-06-25 2011-06-24 네트워크 시스템
US13/806,924 US9836803B2 (en) 2010-06-25 2011-06-24 Network system
EP20110798411 EP2587729B1 (en) 2010-06-25 2011-06-24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592A KR101733487B1 (ko) 2010-06-25 2010-06-25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97A KR20120000297A (ko) 2012-01-02
KR101733487B1 true KR101733487B1 (ko) 2017-05-10

Family

ID=4560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592A KR101733487B1 (ko) 2010-06-25 2010-06-25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667A (ja) 2006-06-26 2008-01-10 Canon Inc 充電回路を有する電子機器装置
JP2008306832A (ja) * 2007-06-07 2008-12-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貯蔵システム
JP2010004674A (ja) 2008-06-20 2010-01-07 Fujitsu Ten Ltd 電子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5667A (ja) 2006-06-26 2008-01-10 Canon Inc 充電回路を有する電子機器装置
JP2008306832A (ja) * 2007-06-07 2008-12-18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貯蔵システム
JP2010004674A (ja) 2008-06-20 2010-01-07 Fujitsu Ten Ltd 電子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97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432B1 (ko) 전기제품의 소비전력 측정방법
KR101142220B1 (ko) 가정용 전력 에너지 관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합 전력 에너지 관리 시스템
US20120204044A1 (en) Method of controlling network system
KR101537620B1 (ko) 전력공급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721873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2012000002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19961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733487B1 (ko)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163608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101668701B1 (ko) 디바이스의 제어방법
KR101925025B1 (ko) 에너지관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62568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16740A (ko) 스마트 디바이스
KR10189781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60522B1 (ko) 전기제품의 제어방법
KR101759747B1 (ko) 전기제품
KR101674954B1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101629320B1 (ko) 통신컴포넌트의 제어방법
KR10188250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29565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20120029566A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801978B1 (ko) 네트워크 시스템
KR10167776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에너지 소비부
KR101897819B1 (ko)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21815B1 (ko) 네트워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