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428A -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 Google Patents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428A
KR20120016428A KR1020100078779A KR20100078779A KR20120016428A KR 20120016428 A KR20120016428 A KR 20120016428A KR 1020100078779 A KR1020100078779 A KR 1020100078779A KR 20100078779 A KR20100078779 A KR 20100078779A KR 20120016428 A KR20120016428 A KR 2012001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pattern
power supply
pow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381B1 (ko
Inventor
원준구
김윤석
김기중
최재혁
송영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1381B1/ko
Priority to US13/177,904 priority patent/US8559620B2/en
Publication of KR2012001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1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dual or triple band amplifier, e.g. 900 and 1800 MHz, e.g. switched or not switched, simultaneously or no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1Transformer coupl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mplifier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가 개시된다.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도전성 전원패턴과, 제1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입력도선선로 및 제1 입력도전선로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제1 입력도전선로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는 제1 출력도전선로를 가지며, 제1 입력도선선로상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도전성 전원패턴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IPD 형태로 구현된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도선선로 및 제2 입력도전선로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제2 입력도전선로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는 제2 출력도전선로를 가지며, 제2 입력도선선로상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도전성 전원패턴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IPD 형태로 구현된 제2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도전성 전원 패턴은, 인덕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COMMUNICATION CIRCUIT FOR REDUCING CROSSTALK}
본 발명은, 크로스토크(crosstalk) 저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주파수 대역의 제1 집적수동소자 및 고주파수 대역의 제2 집적수동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도전성 전원패턴에 인덕터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하기 위한 통신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에는 송신신호의 전력을 증폭하기 위한 전력증폭기가 구비되며, 이 전력증폭기는 적절한 전력으로 송신신호를 증폭시킨다. 이러한 전력증폭기는 일반적으로 2쌍 이상의 입력 도전선로와 하나의 출력 도전선로를 가진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매칭 및 전력을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전력 증폭기 및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한된 크기를 가진 통신 모듈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상호간에 발생되는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저감시키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크로스토크란, 저주파수 대역의 하모닉 성분이 고주파 대역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단말기에서는 900MHz의 저주파수 대역과 1.8 GHz의 고주파수 대역이 함께 사용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의 저감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통신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도전성 전원패턴과, 제1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입력도선선로 및 제1 입력도전선로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제1 입력도전선로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는 제1 출력도전선로를 가지며, 제1 입력도선선로상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도전성 전원패턴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IPD 형태로 구현된 제1 트랜스포머와, 제2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도선선로 및 제2 입력도전선로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제2 입력도전선로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는 제2 출력도전선로를 가지며, 제2 입력도선선로상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도전성 전원패턴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IPD 형태로 구현된 제2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전원 패턴은 인덕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전성 전원패턴은, 제1 트랜스포머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 도전성 전원패턴과, 제2 트랜스포머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도전성 전원패턴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도전성 전원패턴 및 상기 제2 도전성 전원패턴은, 서펜타인 형상의 패턴(serpentine shaped pattern)이거나, 삼각파 형상의 패턴이거나, 사각파 형상의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신호는, 900MHz 대역의 신호이며, 제2 신호는, 1.8GHz 대역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주파수 대역의 제1 집적수동소자 및 고주파수 대역의 제2 집적수동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도전성 전원패턴에 인덕터 성분을 추가함으로써, 저주파수 대역과 고주파수 대역간의 크로스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이다.
도 2는 도 1의 트랜스포머(12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이며, 도 2는 도 1의 트랜스포머(120)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는, 고주파수 모듈(110, 120), 저주파수 모듈(130, 140), 저주파수 모듈(130, 140) 및 고주파 모듈(110, 120)에 구동전원(Vdd)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성 전원패턴(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주파수 모듈(130, 140)은, 900MHz의 저주파수의 제1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한 후, 이를 제1 트랜스포머(140)로 전달하는 제1 전력 증폭기(130)와, 제1 전력 증폭기(130)로부터 전달받은 제1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1 트랜스포머(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수 모듈(110, 120)은, 1.8GHz의 고주파수의 제2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한 후, 이를 제2 트랜스포머(120)로 전달하는 제2 전력 증폭기(110)와, 제2 전력 증폭기(11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신호를 결합하여 출력하는 제2 트랜스포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트랜스포머(140) 및 제2 트랜스포머(12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이하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제2 트랜스포머(1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트랜스포머(120)는, 적층기판, 입력포트(121a, 121b, 121c, 121d)에 연결되는 입력 도전선로(LI1, LI2) 및 출력포트(123a, 123b)에 연결되는 출력 도전선로(LO1)를 포함할 수 있다.
적층기판은 복수 개의 층을 갖는 유전체 기판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동일 평면상에 입력 도전선로(LI1, LI2)와 출력 도전선로(LO1)가 기판의 둘레방향으로 배치되며, 입력 도전선로(LI1, LI2)와 출력 도전선로(LO1)가 서로 직접 접촉됨으로써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에는 다수의 비아홀(V)이 형성되어 있다. 적층기판으로는 고주파용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입력 도전선로(LI1, LI2)는, 기판상에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기판상에 형성된 2쌍의 입력포트(121a, 121b)(121c, 121d)에 연결되어 각각 + 신호 및 - 신호의 입력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입력 도전선로(LI1, LI2) 각각의 양단의 포트(121a, 121b, 121c, 121d)는 전력 증폭기(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입력 도전선로(LI1, LI2)에는 도전성 전원패턴(150)을 통해 전원(Vdd)이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트랜스포머에서는, 입력 도전선로가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CMOS 타입으로 구현된 전력 증폭기에 연결될 수 있다.
출력 도전선로(LO1)는, 입력 도전선로(LI1, LI2) 각각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입력 도전선로(LI1, LI2)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며, 일단이 출력포트(123a 또는 123b)를 통해 그라운드(GND)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도전선로(LI1, LI2)에 공급된 전류에 의해, 자기적으로 유도된 전류가 출력 도전선로(LO1)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2 개의 입력 도전선로(LI1, LI2)의 일영역에 각각 전원공급용 패드(122a, 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공급용 패드(122a, 122b) 각각은 입력 도전선로(LI1, LI2)에 각각 전원(Vdd)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 제공될 수 있다. 전원 공급용 패드(122a, 122b가 형성되는 위치는 각각의 입력 도전선로(LI1, LI2)에서 전기적인 RF 스윙 전위가 0 V 인 위치가 될 수 있다. CMOS 전력 증폭기에서는 DC 적인 그라운드가 없기 때문에 AC 적인 그라운드를 사용하는데, RF 스윙 전위가 0 V 가 의미하는 바는 상기 AC 적인 그라운드를 의미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제2 트랜스포머(120)는 IPD(Integrated Passive Device) 예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전성 전원 패턴(15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인가된 구동전원(Vdd)을 각 트랜스포머(120, 140)의 입력도전선로(LI1, LI2)에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구동전원(Vdd)이 도전성 전원패턴(150)에 인가되며, 도전성 전원패턴(150)에 인가된 구동전원(Vdd)은 측면에 배치된 도전성 바(161, 162)를 통해 각 트랜스포머(120, 140)의 입력 도전선호(LI1, LI2)에 형성된 전원공급용 패드(122a, 122b)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성 전원 패턴(150)은 제1 트랜스포머(140)를 위한 제1 도전성 전원 패턴(150b)와 제2 트랜스포머(120)를 위한 제2 도전성 전원 패턴(150a)으로 분리함으로써, 길이를 증가시켜 인덕터 성분을 증가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도전성 전원 패턴(150)의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저주파수 신호의 증폭기(130)의 하모닉 성분(고조파 성분)이 고주파 신호의 증폭기(110)로 전달됨으로써 생기는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인덕터 성분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전성 전원패턴(150)은 다양한 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부호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전원 패턴(150b) 및 제2 도전성 전원 패턴(150a)은, 삼각파 형상의 패턴(151b)(15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부호 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전원 패턴(150b) 및 제2 도전성 전원 패턴(150a)은, 사각파 형상의 패턴(152b)(152a)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부호 1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도전성 전원 패턴(150b) 및 제2 도전성 전원 패턴(150a)은, 서펜타인 형상의 패턴(serpentine shaped pattern)(153b)(153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도전성 패턴들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제2 전력 증폭기(1.8GHz)
120: 제2 트랜스포머
130: 제1 전력 증폭기(900MHz)
140: 제1 트랜스포머
121, 141: 입력 포트
123, 143: 출력포트
122, 142: 전원 공급용 패드
150: 도전성 전원패턴
161, 162: 도전성 바(bar)

Claims (6)

  1. 외부에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도전성 전원패턴;
    제1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저주파수 대역의 제1 신호를 입력받는 제1 입력도선선로 및 상기 제1 입력도전선로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입력도전선로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는 제1 출력도전선로를 가지며, 상기 제1 입력도선선로상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상기 도전성 전원패턴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IPD 형태로 구현된 제1 트랜스포머;
    제2 전력 증폭기로부터 수신되는 고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를 입력받는 제2 입력도선선로 및 상기 제2 입력도전선로에 근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입력도전선로와 전자기적 결합을 이루는 제2 출력도전선로를 가지며, 상기 제2 입력도선선로상에 형성된 단자를 통해 상기 도전성 전원패턴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전원을 입력받는, IPD 형태로 구현된 제2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전원 패턴은,
    인덕터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원패턴은,
    상기 제1 트랜스포머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1 도전성 전원패턴; 및
    상기 제2 트랜스포머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제2 도전성 전원패턴으로 분리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전원패턴 및 상기 제2 도전성 전원패턴은,
    서펜타인 형상의 패턴(serpentine shaped patter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전원패턴 및 상기 제2 도전성 전원패턴은,
    삼각파 형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전성 전원패턴 및 상기 제2 도전성 전원패턴은,
    사각파 형상의 패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900MHz 대역의 저주파수 신호이며,
    상기 제2 신호는, 1.8GHz 대역의 고주파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KR1020100078779A 2010-08-16 2010-08-16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KR101141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779A KR101141381B1 (ko) 2010-08-16 2010-08-16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US13/177,904 US8559620B2 (en) 2010-08-16 2011-07-07 Communications circuit for reducing crosstal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779A KR101141381B1 (ko) 2010-08-16 2010-08-16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428A true KR20120016428A (ko) 2012-02-24
KR101141381B1 KR101141381B1 (ko) 2012-07-13

Family

ID=4556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779A KR101141381B1 (ko) 2010-08-16 2010-08-16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9620B2 (ko)
KR (1) KR1011413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235A (ko) * 2020-04-23 2021-11-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KR20210131234A (ko) * 2020-04-23 2021-11-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2817B2 (en) * 2012-07-20 2016-04-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package design providing reduced electromagnetic coupling between circuit components
EP2747134B1 (en) 2012-12-18 2021-09-01 Ampleon Netherlands B.V. Amplifier device
US9401342B2 (en) 2013-06-27 2016-07-2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wire bond wall to reduce coupling
US9240390B2 (en) 2013-06-27 2016-01-19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packages having wire bond wall to reduce coupling
JP2017111847A (ja) * 2015-12-17 2017-06-22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記憶装置
US11071197B2 (en) 2018-09-21 2021-07-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layer ceramic electronic package with modulated mesh topology and alternating rod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207B1 (ko) 2003-06-27 2010-12-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 밴드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50012914A (ko) 2003-07-25 2005-02-02 삼성전기주식회사 Tdma방식 무선단말장치를 위한 트리플밴드 송/수신복합 발진기
JP2007523574A (ja) * 2004-02-23 2007-08-16 ジョージア テック リサーチ コーポレイション 液晶性ポリマー及び多層ポリマーベースの無線周波/無線マルチバンド用途の受動信号処理コンポーネント
KR20060071916A (ko) 2004-12-22 2006-06-27 주식회사 팬택 코일을 이용한 고주파 신호 및 잡음 차단 기능을 가지는무선통신 단말기
US20080136559A1 (en) * 2006-12-08 2008-06-12 Wataru Takahashi Electronic device and rf module
KR100882131B1 (ko) * 2007-08-20 2009-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집적형 수동 소자
KR101079428B1 (ko) * 2008-08-08 2011-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집적 수동 소자 및 ipd 트랜스포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235A (ko) * 2020-04-23 2021-11-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장치
KR20210131234A (ko) * 2020-04-23 2021-11-02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고주파 모듈 및 통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38420A1 (en) 2012-02-16
KR101141381B1 (ko) 2012-07-13
US8559620B2 (en) 2013-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1381B1 (ko) 크로스토크 저감을 위한 통신 회로
CN207638649U (zh) 通信模块
JPWO2011001769A1 (ja) 無線通信用高周波回路及び無線通信機
US9368857B2 (en) Combining signal power using magnetic coupling between conductors
CN106656069A (zh) 一种应用于gsm射频功率放大器的多频输出匹配网络
CN103916090A (zh) 多绕组变压器耦合的放大器
EP2802075B1 (en) Dual-band semiconductor RF amplifier device
US20210152140A1 (en) Ra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with harmonic control circuit as well as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97907A1 (en) Micro cmos power amplifier
US9402314B2 (en) Semiconductor module
KR101141471B1 (ko) 트랜스포머
JP2011066782A (ja) 高出力増幅器
US9130540B2 (en) High-frequency module having inductors disposed with directions of their polarities opposite to each other
JP5239905B2 (ja) 高周波増幅器
KR101046026B1 (ko) 트랜스포머
US20110050383A1 (en) Planar inductive unit and 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planar inductive unit
US11296662B2 (en) High-frequency power amplifier
US9362883B2 (en) Passive radio frequency signal handler
US8174323B2 (en) High frequency amplifier
KR20140080309A (ko) 전력 증폭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JP5091773B2 (ja) 増幅器及び増幅器モジュール
US6803817B2 (en) Dual band power amplifier with improved isolation
US20170373364A1 (en) Circulator, front-end circuit, antenna circuit, and communication apparatus
CN203423677U (zh) 一种射频发射装置
KR101059628B1 (ko) 배선 간섭이 억제된 송신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