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68A -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 Google Patents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768A
KR20120015768A KR1020100078174A KR20100078174A KR20120015768A KR 20120015768 A KR20120015768 A KR 20120015768A KR 1020100078174 A KR1020100078174 A KR 1020100078174A KR 20100078174 A KR20100078174 A KR 20100078174A KR 20120015768 A KR20120015768 A KR 20120015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diesel engine
low speed
speed diese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65399B1 (ko
Inventor
홍경태
엄덕형
박진수
Original Assignee
두산엔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엔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엔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3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01B7/144Measuring play on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4Bear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7Machine fault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는,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하사점일 때의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와 센서(32)가 이루는 거리와 대등한 두께(h)를 갖는 디스크(102), 디스크(102)의 하측에 형성되어 센서(32)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센서 수납부(106)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104) 및 실린더 바디(104)의 내경에 형성되어 센서(32)와 결속되어 상기 센서(32)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록킹 유닛(11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The sensor jig for The device of the bearing wear monitoring for the Low speed diesel engine}
본 발명은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에서 센서를 적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속 디젤엔진은 대형 선박, 컨테이너선, 벌크선, VLCC 및 ULCC와 같은 원유 수송선 등의 추진기관으로 사용되고, 10,000 ~ 110,0000마력에 달하며, 규모가 높이와 길이가 각각 20~30미터에 달한다.
또한, 저속 디젤엔진은 그 규모가 큰 만큼 기구적인 회전 구동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베어링의 규모가 대단히 크고, 이러한 베어링은 엔진 구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베어링의 마모 상태를 미연에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베어링의 마모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장치로써 저속 디젤엔진의 한쪽에 베어링 모니터링 장치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베어링의 마모를 조기에 감지하여 마모된 베어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치명적인 손상 또는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베어링 모니터링의 원리는 피스톤이 하사점에 위치될 때에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Crosshead guide shoe)의 위치를 측정하여 기준을 초과할 경우에 베어링의 이상을 제어 센터에 알리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저속 디젤엔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저속 디젤엔진에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디젤엔진(10)은 베드 프레임(12)의 상측에 프레임 박스(14)가 설치되고, 프레임 박스(14)의 상측에 실린더 프레임에 설치된다.
상술한 베드 프레임(12)에는 크랭크(22)가 설치되고, 크랭크(22)에는 커넥팅 로드(24)가 연결되며, 커넥팅 로드(24)의 상단에는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설치되고,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상측에는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가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 박스(14)에는 가이드 서피스(16)가 형성되고, 상술한 가이드 서피스(16)에는 상술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활주한다.
또한, 구성요소 간에 회전 운동하는 부분에는 베어링 유닛(26)이 설치되고, 베어링 유닛의 일례로써 메인 베어링(main bearing),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 베어링(Crosshead bearing) 및 크랭크 핀 베어링(Crank pin bearing) 등이 있다.
또한, 상술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최하점으로 이동된 위치에는 센서 유닛(30)이 설치된다.
상술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는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와 함께는 엔진작동에 의해 선형운동하고, 상술한 선형운동은 크랭크(22)와 크랭크축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회전동력이 출력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속 디젤엔진(10)은 실린더 라이너와 피스톤은 복수 개로 배치되고, 각각의 실린더 라이너마다 가이드 서피스(16)가 구성된다.
상술한 어느 한쪽의 가이드 서피스(16)와 다른 한쪽의 가이드 서피스(16)의 사이에는 상술한 센서 유닛(30)이 배치된다.
상술한 센서 유닛(30)은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및 도 4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에서 종래에 센서 유닛의 구성과 작용 및 센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센서 유닛(30)은 양측에 복수 개의 센서(32)가 배치되고, 복수 개의 센서(32)는 어느 한쪽의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를 검출하고, 다른 하나의 센서(32)는 인접한 다른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를 검출하게 된다.
상술한 센서(32)는 상술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를 검출하여 그 결과 값을 제어부로 전송하고 그 결과 값을 연산하여 베어링의 마모상태를 간접적으로 계측하고 베어링 마모상태를 진단하게 된다.
상술한 센서(32)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를 검출할 때에는 센서(32)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적정한 거리(a)를 유지하여야하고, 이로써 검출 값의 신뢰성이 향상되며, 센서(32)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부딪히지 않는 안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센서(32)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적정한 거리(a)는 일례로서 4mm일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유닛(30)은 센서(32)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적정한 거리(a)를 설정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센서(32)의 높낮이를 설정하는 과정을 첨부도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센서(32)는 브래킷(34)에서 상당한 높이(b)로 돌출되도록 가설치한다.
상술한 가설치를 좀 더 부연설명하면, 체결 볼트(36)를 느슨하게 조여 센서(32)의 길이방향으로 센서(32)에 외력이 가해질 때에 센서(32)가 브래킷(34)에서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조여지는 것이고,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센서(32)가 브래킷(34)에서 멈추어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작업자가 심 유닛(shim unit: 40)을 센서(32)의 상측에 대고 저속디젤엔진(10)의 크랭크(22)를 1회전시키면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를 하강시킨다.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는 하강하면서 심 유닛(40)을 누른 후에 다시 상승하고, 센서(32)는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에 의해 눌러진다.
이후, 심 유닛(40)을 제거하고 눌려진 상태의 센서(32)를 브래킷(34)에 센서 너트(32a)(32b)를 이용하여 조이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센서 유닛(30)마다 센서(32)를 설정하여야 하는데,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개수가 많을 때에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개수만큼 센서 유닛(30)의 센서를 설정하고 그 때마다 크랭크(22)를 회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개수가 많을수록 센서 유닛(30)을 설치하는 데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저속디젤엔진(10)의 내부에 들어가서 심 유닛(40)을 직접 붙잡고 있는 것으로써 휴먼에러에 의한 오차가 발생하여 센서(32)의 검출 값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작업자가 자신의 몸을 피할 수 있는 공간이 무척 비좁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부담이 큰 문제점이 잇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저속디젤엔진의 크랭크를 회전시킬 때에 작업자가 저속디젤엔진의 내부에 있지 않고서도 센서유닛의 센서의 높낮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자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유닛의 센서에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를 검출한 검출 값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의 개수가 많더라도 크랭크를 최소한의 회전만으로도 각각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마다 설치되는 센서유닛의 센서의 높낮이를 한꺼번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유닛의 설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고 노동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는,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의 하사점일 때의 상기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와 센서가 이루는 거리와 대등한 두께를 갖는 디스크; 상기 디스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센서 수납부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 및 상기 실린더 바디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와 결속되어 상기 센서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록킹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센서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하는 센서 수납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실린더 바디의 내경에 수납공간으로 형성되고 입구에 상기 수납공간의 단면보다 좁게 홀드가 형성된 스토리지; 상기 스토리지에 수납되어 상기 센서 수납부 쪽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볼; 및 상기 스토리지에 수납되어 상기 볼을 상기 센서 수납부 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 유닛은, 상기 실린더 바디의 내경에 수납공간으로 형성되고 입구에 상기 수납공간의 단면보다 좁게 홀드가 형성된 스토리지; 및 상기 스토리지에 수납되어 상기 센서 수납부 쪽으로 에지 파트가 돌출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지 파트는 상기 센서의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는 설정하고자 하는 센서유닛에서 센서를 가설치한 후에 센서의 상측에 센서 치공구를 씌우고, 작업자는 저속디젤엔진의 외부에 나와 있는 상태에서 크랭크를 회전시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를 승강시킴으로써 여러 개의 센서를 적정한 높낮이로 한꺼번에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센서 유닛의 센서를 설정할 때에 저속디젤엔진의 외부에 있음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종래에서처럼 작업자가 심 유닛을 직접 붙잡음으로써 발생하는 휴먼에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높낮이 설정 대상의 모든 센서를 한꺼번에 동시다발적으로 센서 높낮이 설정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센서유닛의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저속 디젤엔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저속 디젤엔진에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에서 종래에 센서 유닛의 구성과 작용 및 센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첨부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32)는 브래킷(34)에 가설치된 상태에서 센서(32)의 상측에 센서 치공구(100)를 씌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브래킷(34)에 대하여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래킷(34)은 센서(32)가 수용되는 센서 홀(34a)이 형성되고, 센서 홀(34a)의 일측에는 슬릿(34b)이 형성되며, 슬릿(34b)을 기준으로 브래킷(34)의 한쪽에는 체결볼트(36)가 체결된다.
즉, 상술한 체결볼트(36)를 조이면 상술한 슬릿(34b)부분의 간극이 좁혀지면서 센서 홀(34a)에 배치된 센서(32)가 고정되는 것이고, 이때 체결볼트(36)를 느슨하게 조일 경우 센서(32)에 인위적인 외력이 작용되면 센서(32)는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32)는 외주연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브래킷(34)을 기준으로 브래킷(34)의 상하측에 각각 센서 너트(32a)(32b)가 체결된다.
상술한 센서 너트(32a)(32b)를 브래킷(34)쪽으로 조임으로써 센서(32)는 브래킷(34)에 온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센서 치공구(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디스크(102)가 제공되고, 상술한 디스크(102)의 하측에 실린더 바디(104)가 일체로 형성되며, 실린더 바디(104)의 하측에는 센서 수납부(106)가 형성된다.
상술한 디스크(102)의 두께(h)는 센서(32)와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최하점으로 하강하였을 때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고, 일례로 디스크(102)의 두께(h)는 3mm 내지 5mm일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4mm일 수 있다.
상술한 디스크(102)의 두께(h)가 3mm 내지 5mm의 범위이면 베어링이 비정상적으로 마모되었을 때에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비정상적으로 하강하였을 때에 변위 값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센서 수납부(106)는 센서 치공구(100)를 센서(32)의 상측에 씌웠을 때에 센서(32)의 상단을 수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센서 수납부(106)에는 센서 치공구(100)가 센서(32)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록킹 유닛(110)이 설치된다.
상술한 록킹 유닛(110)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32)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에 체결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센서(32)의 높낮이를 설정하고자할 때에는 센서(32)의 상단에 센서 치공구(100)의 암나사를 센서(32)에 체결하여 센서 유닛(30)의 설치를 진행하는 것이다.
상술한 록킹 유닛(110)은 센서(32)의 상측에 씌우거나 제거할 때에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 스토퍼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실린더 바디(104)의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으로 스토리지(112)가 형성되고, 스토리지(112)의 입구에는 홀드(112a)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스토리지(112)의 내부에는 볼(120)이 삽입되고, 볼(120)의 안쪽에는 볼(120)을 센서 수납부(106)쪽으로 밀어내도록 하는 스프링(122)이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홀드(112a)는 상술한 볼(120)의 일부분을 돌출시키지만, 볼(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 치공구(100)를 센서(32)에 씌우면, 볼(120)은 센서(32)의 나사산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신속하게 씌울 수 있고, 반대로 센서 치공구(100)를 센서(32)에서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센서 치공구(100)를 센서(32)에 씌우면 스프링(122)의 복원력에 의해 볼(120)이 센서(32)에 밀착되므로 이로써 센서 치공구(100)가 센서(32)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고 씌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즉, 센서 치공구(100)가 센서(32)에 고정된 상태에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와 센서 치공구(100)가 맞닿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록킹 유닛(110)은 센서(32)에 씌워진 후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 스토퍼를 구성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센서 치공구(100)는 실린더 바디(104)의 내측에 소정의 공간부인 스토리지(112)가 형성되고, 스토리지(112)의 입구에는 스토리지(112)의 단면보다 좁은 홀드(112a)가 형성된다.
상술한 스토리지(112)에는 판스프링(130)이 배치되고, 판스프링(130)의 일부는 센서 수납부(106)쪽으로 돌출된다.
상술한 판스프링(130)에 대하여 부연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상세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 파트(132)의 양측에 슬로프 파트(134)가 형성되고, 슬로프 파트(134)의 양측에는 인서트 파트(1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에지 파트(132)는 다소 예리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센서(32)의 수나사와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에지파트(132)는 상술한 센서(32)의 수나사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슬로프 파트(134)는 센서 치공구(100)를 센서(32)에 씌우거나 제거할 때에 센서(32)의 수나사와 접하도록 하고 이로써 판스프링(130)이 스토리지(112)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도록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상술한 인서트 파트(136)와 상술한 홀드(112a)는 판스프링(130)이 상술한 스토리지(112)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30)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스토리지(11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스토리지(112)에는 에지 파트(132)가 돌출되도록 하는 판스프링(130)이 배치된다.
즉, 판스프링(130)을 복수개로 형성함으로써 센서(32)와의 결속력을 더욱 향상시켜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와 센서치공구(100)가 맞닿을 때에 센서치공구(100)가 센서(32)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치공구(100)는 센서 유닛(30)의 센서(32)에 씌워진 상태에서 센서(32)의 높낮이를 설정하게 된다.
특히, 높낮이 설정 대상의 센서 유닛(30)이 복수 개일 경우에는 대상의 모든 센서(32)에 센서 치공구(100)를 씌워 설치하고, 크랭크(22)를 최소한의 회전수로 회전시켜 모든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가 각각의 센서 유닛(30)의 센서(32)에 씌워진 센서 치공구(100)를 맞닿아 누르게 된다.
즉, 설정대상의 센서(32)가 많더라도 크랭크(22)를 1회전하는 것에 의해 모든 센서(32)를 한꺼번에 높낮이를 설정할 수 있고, 이로써 센서 유닛(30)을 설치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는 센서 치공구(100)를 씌우거나 제거하고 센서(32)를 브래킷(34)에 최종 고정할 때에만 저속디젤엔진(10)의 내부에 들어가게 되므로 작업자의 안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는 센서 유닛의 높낮이를 설정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저속 디젤엔진 12: 베드 프레임
14: 프레임 박스 16: 가이드 서피스(guide surface)
22: 크랭크 24: 커넥팅 로드
26: 베어링 유닛
28: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Crosshead Guide Shoe)
30: 센서 유닛 32: 센서
32a, 32b: 센서 너트 34: 브래킷
34a: 센서 홀 34b: 슬릿
36: 체결 볼트 40: 심(shim) 유닛
100: 센서 치공구
102: 디스크 104: 실린더 바디
106: 센서 수납부 110: 록킹 유닛
112: 스토리지 112a: 홀드
120: 볼 122: 스프링
130: 판스프링 132: 에지(edge) 파트
134: 슬로프(slope) 파트 136: 인서트(insert) 파트

Claims (6)

  1.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의 하사점일 때의 상기 크로스헤드 가이드 슈(28)와 센서(32)가 이루는 거리와 대등한 두께(h)를 갖는 디스크(102);
    상기 디스크(102)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32)의 일부를 수납하도록 센서 수납부(106)가 형성된 실린더 바디(104); 및
    상기 실린더 바디(104)의 내경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32)와 결속되어 상기 센서(32)에서 임의로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록킹 유닛(110);
    을 포함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유닛(110)은,
    상기 센서(32)의 외경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하는 센서 수납부(106)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유닛(110)은,
    상기 실린더 바디(104)의 내경에 수납공간으로 형성되고 입구에 상기 수납공간의 단면보다 좁게 홀드(112a)가 형성된 스토리지(112);
    상기 스토리지(112)에 수납되어 상기 센서 수납부(106)쪽으로 일부가 돌출되는 볼(120); 및
    상기 스토리지(112)에 수납되어 상기 볼(120)을 상기 센서 수납부(106)쪽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122);
    을 포함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유닛(110)은,
    상기 실린더 바디(104)의 내경에 수납공간으로 형성되고 입구에 상기 수납공간의 단면보다 좁게 홀드(112a)가 형성된 스토리지(112); 및
    상기 스토리지(112)에 수납되어 상기 센서 수납부(106)쪽으로 에지 파트(132)가 돌출되는 판스프링(130);
    을 포함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130)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지 파트(132)는 상기 센서(32)의 수나사와 체결되도록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KR1020100078174A 2010-08-13 2010-08-13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KR101265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74A KR101265399B1 (ko) 2010-08-13 2010-08-13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74A KR101265399B1 (ko) 2010-08-13 2010-08-13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101A Division KR101254917B1 (ko) 2012-07-10 2012-07-10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68A true KR20120015768A (ko) 2012-02-22
KR101265399B1 KR101265399B1 (ko) 2013-05-20

Family

ID=4583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74A KR101265399B1 (ko) 2010-08-13 2010-08-13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39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58A (ko) 2016-12-07 2018-06-18 이춘우 대형 선박용 저속 디젤 엔진의 온도 센서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CN109211165A (zh) * 2018-08-02 2019-01-1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作动筒位移传感器内置锁紧结构
CN110340731A (zh) * 2019-08-12 2019-10-18 广州市精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型直线编码器外壳用的安装支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5513A (ja) * 1999-08-26 2001-03-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流体圧シリンダの位置検出装置及び該位置検出装置を備えた産業用車両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258A (ko) 2016-12-07 2018-06-18 이춘우 대형 선박용 저속 디젤 엔진의 온도 센서 유닛 및 그 제조 방법
CN109211165A (zh) * 2018-08-02 2019-01-15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作动筒位移传感器内置锁紧结构
CN109211165B (zh) * 2018-08-02 2021-03-26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西安飞行自动控制研究所 一种作动筒位移传感器内置锁紧结构
CN110340731A (zh) * 2019-08-12 2019-10-18 广州市精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型直线编码器外壳用的安装支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5399B1 (ko) 201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2313B (zh) 建立和控制一个或多个螺栓的液压夹具的方法和装置
KR101265399B1 (ko)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EP1798440A1 (en) Brake lining wear sensor
KR101254917B1 (ko) 저속 디젤엔진의 베어링 마모 모니터링 장치용 센서 치공구 및 그 센서 치공구의 사용방법
KR20140077393A (ko) 너트 태핑기의 푸싱장치
RU2624726C9 (ru) Конструкция болтового крепления и турбомаши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й конструкции
CN109281916A (zh) 两用螺纹插入件/压缩限制器
US20130228979A1 (en) Assembly with composite fastener for attaching components with sealant and method of attaching same
CN203765283U (zh) 制动角总成装配线
US8484842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engine crankcase portions and method for same
US7607877B1 (en) Clinch for a circuit card ejector
CN103692214B (zh) 制动角总成装配线
CN115058928B (zh) 一种用于无砟轨道精调作业的复合夹具
CN102359546A (zh) 电梯限速器校验用钢丝绳脱离装置
CN112798249B (zh) Epb卡钳活塞与摩擦片摩擦性能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219210B1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의 브레이크장치
CN111675129B (zh) 电动螺旋跟随千斤顶及其控制方法
CN106077839A (zh) 发动机曲轴减震皮带轮信号齿轮铣齿加工用夹具
US20210328249A1 (en) Method for connecting an energy storage module to a module support, in particular a cooling element
CN107175497A (zh) 一种便捷的侧面拧入螺钉结构
CN105033946A (zh) 安装工具组件
CN111551364B (zh) 一种丝杠磨合机构和磨合方法
KR102157000B1 (ko) 축력 측정장치
CN214055110U (zh) 离合器踏板准备台
CN213651547U (zh) 电梯用固定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