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39A -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5739A KR20120015739A KR1020100078127A KR20100078127A KR20120015739A KR 20120015739 A KR20120015739 A KR 20120015739A KR 1020100078127 A KR1020100078127 A KR 1020100078127A KR 20100078127 A KR20100078127 A KR 20100078127A KR 20120015739 A KR20120015739 A KR 201200157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input
- information
- character
- nam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문자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고 편리하게 문자 또는 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고, 데이터서비스의 하나로서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가 기본적인 서비스의 하나로 제공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영상표시기기의 기능 및 멀티미디어기기의 기능을 결합시킨 스마트 TV(Smart TV)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스마트 TV는 영상표시기기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기존 영상표시기기에 비해 대용량의 메모리와 고성능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탑재되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음성/데이터 통신 및 PC (Personal Computer) 연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운영체제(OS)가 탑재된다. 이러한 스마트 티브이를 이용하게 되면, 기존 영상표시기기와 달리 인터넷을 통한 서비스 이용이 자유롭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에서 소정의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적절한 사용자 입력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상표시기기의 다양한 기능 및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 또는 이미지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가 개발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영상표시기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하여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이미지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은,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문자를 상기 문자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은,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고, 데이터 입력을 위한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는, 문자 입력 모드 설정 신호 및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문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입력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는,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메시지 입력 모드 설정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소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영상표시기기에서 소정의 문자 입력을 복잡한 조작 없이도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디지털 방송신호에 포함된 EPG에 포함된 정보를 소정의 숫자키 입력으로 문자입력창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EPG에 포함된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을 메시지 입력창에 손쉽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확하게 이미지 데이터를 통하여 더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의 관련 정보를 EPG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파악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메시지 입력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70)는 OSD 생성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영상표시기기는 소정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장치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과 같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 또는 셋탑박스(Set-Top Box)와 같은 디지털 방송 단말기를 포함한다. 영상표시기기가 디지털 텔레비전인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내부적으로 디스플레이부(20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가 셋탑박스인 경우, 디스플레이부는 영상표시기기에 포함되지 않으며, 외부적으로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등)와 연결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의 서버로 소정의 문자 또는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전송한 문자 또는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문자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문자 정보에 포함된 상품명의 가격 정보, 판매 정보, 사용자 평가 정보등을 수신할 수 있고, 소정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인물의 이름, 나이, 직업등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방송에 포함되어 수신되는 EPG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170)에서 상기 저장된 EPG 정보의 호출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저장된 EPG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소정의 기능이 지정된 핫키(Hot Key)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 내부의 OSD 생성부(171)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171)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레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출력 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한 소정의 신호 입력으로 인하여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상표시기기를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을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소정의 문자를 문자입력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에 관하여는 이하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소정의 컨텐츠를 출력 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데이터 입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영상표시기기를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에 관하여는 이하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는,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OSD 신호에 의해 소정의 문자 입력창 또는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 문자 입력창 또는 메시지 입력창은, 현재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출력 중인 컨텐츠의 이용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반투명한 색상으로 디스플레이되거나 컨텐츠가 출력되지 않는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이하의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자 또는 메시지 입력 방법과 기술적 사상 및 동작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세부 구성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또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100)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레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리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Middleware)(530), 프레임워크(Framework)(540),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플랫폼은, 도 4와 비교하여, 도 4의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4에 대응한다.
한편, 도 4의 라이브러리(435)가,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4 및 도 5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4 및 도 5의 플랫폼은, 상술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6(a)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6(b)), 앞뒤(도 6(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6(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영상표시기기가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영상표시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중인 EPG 정보의 소정 영역에 소정의 숫자가 태깅(tagging)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영상표시기기(2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 중인 화면이 선택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표시되거나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동작을 통하여 소정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한다(S701).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데이터 입력을 요청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에서 인터넷 검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메시지 전송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서 데이터 입력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은 영상표시기기에서 계속 중인 동작에 상관없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소정의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고 있거나, 인터넷을 이용중이거나 또는 영상통화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이더라도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문자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한다(S702).
예를 들어, 데이터 입력 요청에 따라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입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기지정된 소정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문자입력창은, 현재 출력중인 컨텐츠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도록 반투명한 색상으로 출력되거나,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컨텐츠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이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데이터 입력 요청인 경우, 사용자의 SNS 홈페이지에 업로드하기 위한 메시지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한다(S703).
실시 예에 따라, 단계(S702)의 문자입력창을 출력함으로써 상기 영상표시기기를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거나, 별도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Hot Key)를 입력하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Hot Key)의 눌림 상태가 지속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눌림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가 편리하게 소정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EPG에 포함된 문자정보의 소정 영역을 블록화하여 각 블록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tagging)한다. 상기 과정에 대해서는 이하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소정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704).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 또는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입력 수단 즉, 키버튼, 키패드, 터치 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을 통하여 소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문자가 숫자로 태깅(tagging)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키 버튼 또는 키 패드 입력만으로 소정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입력한다(S705).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정의 문자는 단순한 문자 정보의 형태로 상기 문자 입력창에 입력되거나, 해시 태그(Hash tag)형태로 문자 입력창에 입력될 수 있다.
해시 태그(hash tag)란, SNS의 하나인 트위터(twitter)에서 이용되는 태그 형식의 하나로써, 동일한 주제의 글들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검색기능이다. 즉, '#주제어'의 형태로 검색창에 입력하면 상기 주제어와 관련한 글들이 검색된다. 따라서, 상기 관련 정보를 트위터 메시지 입력에 해시 태그 형태로 입력하는 경우 다른 트위터 사용자들과 동일한 주제어에관한 메시지 공유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자입력방법에 따라서,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출력 중인 컨텐츠에 대해 다른 사용자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게시물을 작성하고자 할 때, 문자키를 통하여 소정의 정보를 입력 필요없이, 단순한 키 입력으로 상기 컨텐츠에 관한 소정의 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703)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문자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S703)은, EPG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01), 주요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S802), 및 상기 주요 문자 정보에 소정 숫자를 태깅하는 단계(S803)을 포함할 수 있다.
문자 입력창이 출력되면(S702), 영상표시기기는 영상표시기기 내의 저장부에 저장된 EPG 정보를 로드(load) 한다.(S801).
EPG(Electronic Program Guide)는 디지털 방송의 빈 주파수대나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방송 시간과 내용, 출연자 정보 등을 보내 주는 방송 컨텐츠 안내 서비스이다. 인쇄된 방송 컨텐츠 안내와 동일한 전자 프로그램 컨텐츠 안내로서, 수신된 EPG 정보는 영상표시기기 내의 저장부 등에 저장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EPG를 조작하여 컨텐츠를 선택하고 예약하며, 페이 퍼 뷰 방식(pay per view) 컨텐츠 주문, 주제 또는 장르별 컨텐츠 검색, 다운로드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EPG 정보에서 주요 문자 정보를 추출한다(S802).
실시 예에 따라, 주요 문자 정보는 문자 입력창에 입력되기 위해 EPG 에서 추출되는 정보로서, EPG에 포함된 프로그램별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컨텐츠 제공자명, 및 제작자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주요 문자 정보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tagging)한다(S803).
상기 추출된 주요 문자 정보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함으로써,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키패드 입력을 통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 저장된 문자 정보의 중요도 판단 데이터 또는 이용빈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추출된 주요 문자 정보의 중요도 또는 이용빈도를 파악하여, 상기 중요도순 또는 이용빈도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숫자를 태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사용자의 문자 정보 이용빈도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가 가장 자주 이용한 문자 정보가 배우 이름이며 후순위로 자주 이용한 문자 정보가 컨텐츠명인 경우, EPG에 포함된 정보 중 배우 이름에 해당하는 문자에 숫자 '1'을 태깅하고, 컨텐츠명에 해당하는 문자에 숫자 '2'를 태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를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이다.
도 9의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901), 및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S902)는 그 입력 대상이 도 9는 문자 및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시지이고 도 7은 문자 데이터인 것이 상이할뿐, 상기 도 7의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701), 및 문자입력창을 출력하는 단계(S702)와 각각 상응하는바, 본 흐름도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S903 단계부터 설명한다.
상기 단계(S902)에서 메시지 입력창이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면, 영상표시기기를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한다(S903).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의 선택 가능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현재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을 분석하여, 소정의 넓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을 분할하거나, 소정의 정보가 태깅(tagging)되어 있는 영역을 다른 영역과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EPG 정보에 현재 디스플레이 중인 화면의 남자인물에 관한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남자인물이 디스플레이된 영역만을 포함하는 영역과 다른 소정 영역과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는 상기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화면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조작을 통하여 소정 영역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서 메시지 입력 모드가 설정된 경우,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의 원격입력장치를 통하여 포인터를 이동시켜,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을 드래그 앤 드롭 동작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 대해서는 이하 도 13 및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소정 영역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904).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을 통하여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에 의해 설정된 소정 영역 중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영역의 선택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한다(S905).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는 상기 메시지 입력창의 크기에 맞게 자동으로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이하 도 10 및 도 11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정의 정보는 단순한 문자 정보 형태로 입력되거나, 해시 태그(hash tag) 형태로 입력될 수 있음은 도 7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메시지 입력 방법을 통하여, 사용자는 문자로 설명하기 어려운 부분을 정확하게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여, 정보를 더 쉽고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소정의 정보를 함께 입력함으로써, 영상표시기기에서 출력 중인 컨텐츠의 화면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실시 예에 따라,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S905)는 EPG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정보 중 선택된 소정 영역에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여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의 EPG정보를 수신한다(S1001). 실시 예에 따라, 상기 EPG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수신과 함께 수신되어 영상표시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컨텐츠에 관한 다양한 정보 중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한다.
실시 예에 따라, 관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관련 정보와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한다(S1003).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문자 정보로써, 상기 추출된 관련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의 출처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상기 컨텐츠의 제작사명등을 포함하여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주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에 소정의 상품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상기 추출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컨텐츠의 제작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작사에게 상기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제품에 관한 문의사항이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단계를 상세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영상표시기기는, 메시지 입력을 위해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고, 검색된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메시지 입력창에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입력할 수 있다.
단계(S904)에서 소정 영역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네트워크 연결된 소정의 서버로 전송한다(S1101).
상기 전송 방식으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다양한 통신 규격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영상표시기기 및 컨텐츠 제공자와 네트워크 연결된 서버로서, 컨텐츠 데이터, 컨텐츠 관련 정보, 및 이미지 분석 정보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가 소정의 서버로 전송되면, 상기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를 검색한다(S1102).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정보 검색을 위해 이미지 인핸스먼트(image enhancement), 이미지 레스토레이션(image restoration), 및 이미지 세그멘테이션(image segmentation) 등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련 정보로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상품의 상품명, 상품가격정보 및 제조사 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인물의 이름, 나이 및 직업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는 상기 검색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한다(S1103).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검색된 정보 중 주요 정보만을 추출하여 영상표시긱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검색 정보를 수신한다(S1104).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수신된 검색 정보를 영상표시기기의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검색 정보 중 사용자가 이용할 검색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검색 정보 및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한다(S1105).
이하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창 및 메시지 입력창은 인터넷 검색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이동 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등 다양한 데이터 입력을 통하여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다만, 본 도면에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하나인 Twitter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일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EPG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와 같이 영상표시기기에서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와 EPG(1302), 및 문자 입력창(1307)은 한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1301).
실시 예에 따라, EPG 정보(1302)와 문자 입력창(1307)은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 시청의 불편함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반투명한 색상으로 표시하거나 현재 컨텐츠가 출력되지 않는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EPG 정보(1302)는 컨텐츠명(1303), 배우 이름(1304), 컨텐츠 제공자(1306) 및 등장인물명(1305), 컨텐츠 재생시간, 채널명, 줄거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면, 영상표시기기에 저장된 주요 정보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EPG정보 중 사용자가 문자 정보로서 이용가능한 주요 정보만을 추출하여 소정의 숫자를 태깅(tagging)한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 저장된 중요도 판단 데이터 또는 이용빈도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의 중요도를 판단하거나 사용자의 이용빈도수를 판단하여 컨텐츠명(1303), 배우이름(1304), 등장인물명(1305) 및 컨텐츠 제공자(1306)만이 주요 정보로 판단된 경우, 상기 주요 정보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명(1303)에 숫자 '1'을 태깅하고, 배우이름에 숫자 '2'를 태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자 입력 모드 설정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숫자 입력만으로 원하는 문자를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요도 또는 이용빈도순으로 소정의 숫자를 태깅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떤 문자에 어떤 숫자가 태깅되어 있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상기 주요 정보들에 1에서 4까지의 숫자를 태깅한 예를 나타낸다. 태깅된 주요 정보의 개수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는 리모콘 콘트롤러 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키패드 입력만으로 원하는 소정 문자를 문자 입력창(1307)에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Saturday Night Show'라는 컨텐츠명(1303)을 문자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키패드의 숫자키 '1'만을 입력함으로써 문자 입력창(1307)에 'Saturday Night Show'의 문자 입력(1308)이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도 12과 달리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인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소정의 컨텐츠를 출력 중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1501)은, 메시지 입력창(1504)을 포함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 출력중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되면,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1502)을 포인터(1503)의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동작을 통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소정 영역이 선택되면 현재 출력 중인 컨텐츠의 EPG 정보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여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정보를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메시지 입력창(1504)에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관련 정보는 문자 형태로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될 수 있고,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해시 태그(hash tag) 형태(1505)로 입력될 수 있다. 즉, 출력 중인 컨텐츠의 소정 정보가 해시 태그 형태로 입력됨에 따라 트위터 사용자 중 불특정 다수와 편리하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직접 입력함으로써, 문자만으로 메시지를 전송할 때보다 정확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소정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 예에 따라,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되면, 현재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선택 가능한 복수의 소정 영역으로 분할한다. 영상표시기기는, 현재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소정의 정보가 태깅(tagging)되어 있는 영역을 검색하고, 검색된 정보에 따라 복수의 소정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출력 중인 디스플레이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인물(1602)에 소정의 정보가 태깅되어 있고, 상기 인물이 착용한 의상(1603, 1604)에 각각 소정의 정보가 태깅되어 있는 경우, 상기 소정 영역들(1602, 1603, 1064)을 각각의 선택 가능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을 통하여 소정 영역의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1606)를 메시지 입력창(1607)에 입력한다. 즉, 사용자가 화면상의 인물이 착용한 상의가 포함된 영역(1603)을 선택한 경우, 상기 상의의 이미지 데이터(1606)가 메시지 입력창(1607)에 삽입된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3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EPG정보를 검색하거나 소정의 서버를 통하여 관련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메시지 입력창(1607)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련 정보가 문자 형태 또는 해시 태그 형태로 삽입될 수 있음은 도 13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도 14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소정영역을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선택된 소정 영역을 메시지 입력창에 직접입력함으로써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방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36)
-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문자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문자를 상기 문자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EPG정보의 소정 영역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tagging)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PG정보의 소정 영역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하는 단계는,
상기 EPG정보에서 주요 문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주요 문자 정보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문자 정보는,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컨텐츠 제공자명, 및 제작자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 입력 방법.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EPG정보의 소정 영역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하는 단계는,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주요 문자 정보들의 중요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중요도의 순위에 따라 숫자를 태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핫키(Hot Key)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의 눌림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눌림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문자입력 방법. -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고, 데이터 입력을 위한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EPG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EPG 정보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택 영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상품명 및 제조사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상기 선택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는,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상품명 및 제조사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의 핫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의 눌림 상태가 지속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눌림 상태가 지속되는 동안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의 드래그(Drag)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Drag)된 영역을 선택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소정 영역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을 복수의 선택 가능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영역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메시지 입력 방법. - 문자 입력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 설정 신호 및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문자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문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문자 입력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문자를 상기 문자 입력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EPG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EPG정보의 소정 영역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tagging)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PG정보에서 주요 문자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주요 문자 정보에 소정의 숫자를 태깅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문자 정보는,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컨텐츠 제공자명, 및 제작자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EPG정보에 포함된 주요 문자 정보들의 중요도를 판단하여 상기 중요도의 순위에 따라 숫자가 태깅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신호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키 입력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메시지 입력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메시지 입력 모드 설정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소정 영역의 선택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소정의 컨텐츠 출력 중 데이터 입력 요청이 수신되면, 데이터 입력을 위한 상기 메시지 입력창을 디스플레이하고, 메시지 입력 모드로 설정하여, 상기 소정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EPG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EPG정보에서 상기 선택된 영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선택 영역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영역에 관한 정보는,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상품명 및 제조사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8항에 있어서,
소정의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 입력창에 상기 선택된 영역의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수신된 정보를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정보는,
컨텐츠명, 등장인물 이름, 배우 이름, 상품명 및 제조사명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상기 데이터 입력 요청을 수신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입력 모드는,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핫키 입력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복수의 선택 가능 영역으로 분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선택 가능 영역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의 소정 영역의 드래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래그된 영역을 상기 선택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127A KR101714661B1 (ko) | 2010-08-13 | 2010-08-13 |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
PCT/KR2011/005695 WO2012020945A2 (ko) | 2010-08-13 | 2011-08-03 |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
EP11816561.2A EP2605512B1 (en) | 2010-08-13 | 2011-08-03 | 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
US13/816,517 US20130135357A1 (en) | 2010-08-13 | 2011-08-03 | Method for inputting data o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8127A KR101714661B1 (ko) | 2010-08-13 | 2010-08-13 |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5739A true KR20120015739A (ko) | 2012-02-22 |
KR101714661B1 KR101714661B1 (ko) | 2017-03-09 |
Family
ID=4556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8127A KR101714661B1 (ko) | 2010-08-13 | 2010-08-13 |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20130135357A1 (ko) |
EP (1) | EP2605512B1 (ko) |
KR (1) | KR101714661B1 (ko) |
WO (1) | WO2012020945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902B1 (ko) * | 2013-03-26 | 2014-10-22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방송 수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81770A (ja) * | 2012-10-16 | 2014-05-08 | Sony Corp | 端末装置、端末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20170195736A1 (en) | 2015-12-31 | 2017-07-06 | Opentv,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transitions between items of content |
WO2020040579A1 (ko) * | 2018-08-24 | 2020-02-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제어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82289A1 (en) * | 2005-12-22 | 2008-11-13 | Jonathan Peter Vincent Drazin | Interactive Television User Interface |
US20090265737A1 (en) * | 2008-04-22 | 2009-10-22 | Porto Technology, Llc | Publishing key frames of a video content item being viewed by a first user to one or more second users |
US20090293079A1 (en) * | 2008-05-20 | 2009-11-26 | Verizon Business Network Servic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television viewing |
KR20100071620A (ko) * | 2008-12-19 | 2010-06-29 | 엔에이치엔(주) | 프로그램 방송 중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29733A (en) * | 1994-11-29 | 1997-05-13 | News America Publications, Inc. | Electronic television program guide schedule system and method with display and search of program listings by title |
JPH1175113A (ja) * | 1997-08-29 | 1999-03-16 | Toshiba Corp | 動画表示システム |
US20050060232A1 (en) * | 2000-10-12 | 2005-03-17 | Maggio Frank S. |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ng with a writing |
US20030160812A1 (en) * | 2002-02-26 | 2003-08-28 | Gary Dommer | Representation of EPG programming information |
GB0108354D0 (en) * | 2001-04-03 | 2001-05-23 | Thirdspace Living Ltd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with access to a plurality of sevices and content from a broadband television service |
US20030223093A1 (en) * | 2002-06-03 | 2003-12-04 | Baird Jeffrey C. | User-personalized print menus |
US20090307726A1 (en) * | 2002-06-26 | 2009-12-10 | Andrew Christopher Levin |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ge-range appropriate episodes of program content |
EP1591876A1 (en) * | 2004-04-30 | 2005-11-02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ethod of sorting elements in a list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
KR100689522B1 (ko) * | 2005-04-20 | 200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표시 및 바로가기 제어 방법 |
US7461093B2 (en) * | 2005-09-12 | 2008-12-02 | Sharp Kabushiki Kaisha | Network connecting device,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system, receiving method, character input method,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KR100708999B1 (ko) * | 2005-09-27 | 2007-04-18 | 주식회사 케이티 | 양방향 방송 서비스와 연동한 맞춤형 티커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US20080222105A1 (en) * | 2007-03-09 | 2008-09-11 | Joseph Matheny | Entity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estricted information tagged to selected entities |
US8347231B2 (en) * | 2007-10-08 | 2013-01-01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splaying tag words for selection by users engaged in social tagging of content |
KR20090046159A (ko) * | 2007-11-05 | 2009-05-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pg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영상기기 |
KR101462932B1 (ko) * | 2008-05-28 | 2014-12-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텍스트 수정방법 |
US20100242074A1 (en) * | 2009-03-23 | 2010-09-23 | Tandberg Television Inc. | Video sharing communities in a cable system |
-
2010
- 2010-08-13 KR KR1020100078127A patent/KR10171466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8-03 EP EP11816561.2A patent/EP2605512B1/en active Active
- 2011-08-03 US US13/816,517 patent/US2013013535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8-03 WO PCT/KR2011/005695 patent/WO2012020945A2/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82289A1 (en) * | 2005-12-22 | 2008-11-13 | Jonathan Peter Vincent Drazin | Interactive Television User Interface |
US20090265737A1 (en) * | 2008-04-22 | 2009-10-22 | Porto Technology, Llc | Publishing key frames of a video content item being viewed by a first user to one or more second users |
US20090293079A1 (en) * | 2008-05-20 | 2009-11-26 | Verizon Business Network Servic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online social networking for television viewing |
KR20100071620A (ko) * | 2008-12-19 | 2010-06-29 | 엔에이치엔(주) | 프로그램 방송 중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2902B1 (ko) * | 2013-03-26 | 2014-10-22 |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 방송 수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14661B1 (ko) | 2017-03-09 |
WO2012020945A3 (ko) | 2012-05-31 |
WO2012020945A2 (ko) | 2012-02-16 |
EP2605512B1 (en) | 2018-04-18 |
EP2605512A4 (en) | 2014-01-08 |
US20130135357A1 (en) | 2013-05-30 |
EP2605512A2 (en) | 2013-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618206B (zh) | 呈现用户界面的方法和显示设备 | |
US9182890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CN111405318B (zh) | 视频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 |
CN113259741B (zh) | 一种剧集经典看点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 |
CN111327931B (zh) | 观看历史显示方法及显示设备 | |
KR20120010433A (ko) |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 |
KR20120010432A (ko) |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 |
KR20120011366A (ko)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20120059790A (ko) |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 |
KR20110137613A (ko)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US9363570B2 (en) |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shared home screen | |
KR20110129715A (ko) |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 |
KR20110120132A (ko) |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003506B1 (ko) |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 |
KR101000063B1 (ko)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 |
CN111045557A (zh) | 焦点对象的移动方法及显示设备 | |
CN113542899B (zh) | 信息展示方法、显示设备、服务器 | |
KR101714661B1 (ko) |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 |
KR102104438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1000062B1 (ko)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 |
KR102046642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20110129714A (ko) |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 |
CN113542900B (zh) | 媒资信息展示方法及显示设备 | |
KR102056165B1 (ko) |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2110532B1 (ko)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