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7613A -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7613A
KR20110137613A KR1020100057640A KR20100057640A KR20110137613A KR 20110137613 A KR20110137613 A KR 20110137613A KR 1020100057640 A KR1020100057640 A KR 1020100057640A KR 20100057640 A KR20100057640 A KR 20100057640A KR 20110137613 A KR20110137613 A KR 20110137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network
user
application
unit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9736B1 (ko
Inventor
정영호
안정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7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9736B1/ko
Priority to DE202010018023U priority patent/DE202010018023U1/de
Priority to CN201080068492.8A priority patent/CN103053174B/zh
Priority to PCT/KR2010/009072 priority patent/WO2011159006A1/en
Priority to EP10853307.6A priority patent/EP2583470A4/en
Priority to US12/972,357 priority patent/US9363470B2/en
Publication of KR20110137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7613A/ko
Priority to US15/154,421 priority patent/US1043288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9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9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5Gathering content from different sources, e.g. Internet and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8Creating a channel for a dedicated end-user group, e.g. insertion of targeted commercials based on end-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04N21/42209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for displaying non-command information, e.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e-mail, messages or a second televis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표시할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와,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오브젝트는, 오브젝트가 속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며,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구분되는 아이콘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꺼번에 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등을 확인할 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서로 구분되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과,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 아웃 중인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 구별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항목을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메뉴 중 어느 한 항목을 간단히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 내에서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2 내지 도 25는 도 11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은, 방송 송출자 기준으로 컨텐츠 서비스의 제공 측면에서 볼 때,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CP)(10),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SP)(20), 네트워크 제공자(Network Provider; NP)(30) 및 사용자(Customer)(40)로 구분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10)는, 각종 컨텐츠를 제작하여 제공한다. 컨텐츠 제공자(10)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지상파 방송 송출자(terrestrial broadcaster), 케이블 방송 사업자(cable SO(System Operator) 또는 MSO(Multiple System Operator), 위성 방송 송출자(satellite broadcaster), 인터넷 방송 송출자(Internet broadcaster)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10)는, 방송 컨텐츠 외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서비스 제공자(20)는, 컨텐츠 제공자(1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을 서비스 패키지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서비스 제공자(20)는, 제1 지상파 방송, 제2 지상파 방송, 케이블 MSO, 위성 방송, 다양한 인터넷 방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패키지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자(20)는, 유니캐스트(unicast) 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40) 측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유니캐스트 방식은 하나의 송신자와 하나의 수신자 사이에 데이터를 1:1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 방식의 경우 수신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는 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수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멀티캐스트 방식은 특정한 그룹의 다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서버는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수의 수신기에 한꺼번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멀티캐스트 등록을 위해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프로토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공자(30)는, 서비스를 사용자(40)에게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40)는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End User;HNED)를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한 수신(Conditional Access) 또는 컨텐츠 보호(Content Protectio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수신이나 컨텐츠 보호를 위한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카드(CableCARD), DCAS(Downloadable Conditional Access System)와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40)도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술한 바와 달리, 역으로, 사용자(40)가 컨텐츠 제공자가 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10)가 사용자(40)로부터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양방향 컨텐츠 서비스 또는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영상표시기기(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영상표시기기(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 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 메뉴(setup menu)에 진입한 상태에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로그인 정보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 입력되거나, 네트워크 도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받을 수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인터넷 또는 다른 형태의 사설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일종이다. 이에 따라, 해당 사용자 또는 해당 전자기기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사이트 또는 메신저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호 상태정보를 확인하거나 소정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로그인한 후, 해당 서비스의 이용 또는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즉, 영상표시기기(100)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고,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등록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모두에 로그인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버에의 접속은, 순차 접속 또는 동시 접속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로그인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접속에 따라,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이 디스플레이(18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영상표시기기(100)는, 각각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로 접속하여, 해당 서비스에 가입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확인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때, 서로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각각 가입된 동일한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는, 하나의 오브젝트로 통합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 포커싱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정보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메뉴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의 관련 정보 항목으로서, 아이디(ID), 대화명,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는, 영상 대화(video call) 항목, 음성 대화(voice call) 항목,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항목, 파일 공유(file share)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메뉴 내의 관련 정보 항목, 영상 대화 항목, 음성 대화 항목, 단문 메시지 서비스 항목, 파일 공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대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에 구비되는 촬영부(195)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과, 수신되는 다른 사용자의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레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촬영부(195)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195)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195)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실행된 상태에서, 특정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포커싱되어, 복수의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중 영상 대화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촬영된 영상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하면서,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내의 영상 대화(video call)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195)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2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2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장치(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장치(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장치(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도 2의 영상표시기기의 플랫폼 구조도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상술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OS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분리형 플랫폼으로서,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이 분리되어 설계될 수 있다. OS 커널(OS Kernel)(410)은,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과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은, OS 커널(410) 상의 드라이버(Driver)(420), 미들웨어(Middleware)(43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은, OS 커널(410) 상의 라이브러리(Library)(435), 프레임워크(Framework)(440),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455)을 포함할 수 있다.
OS 커널(410)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의 핵심으로써, 영상표시기기(100)의 구동시, 하드웨어 드라이버 구동,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하드웨어와 프로세서의 보안, 시스템 자원의 효율적 관리, 메모리 관리, 하드웨어 추상화에 의한 하드웨어에 대한 인터페이스 제공, 멀티 프로세스, 및 멀티 프로세스에 따른 스케쥴 관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S 커널(410)은, 파워 매니지먼트(power management) 등을 더 제공할 수도 있다.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와이파이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파워 관리자(Power management), 바인더 드라이버(Binder Driver), 메모리 드라이버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는,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장치를 위한 드라이버로서,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character device driver)와, 블럭 장치 드라이버(block device), 및 네트워크 장치 드라이버(network device dirver)를 구비할 수 있다. 블럭 장치 드라이버는, 특정 블럭 단위로 데이터가 전송되므로 단위 크기 만큼을 보관할 버퍼가 필요할 수 있으며, 캐릭터 장치 드라이버는, 기본 데이터 단위 즉 캐릭터 단위로 전송하므로 버퍼가 필요없을 수도 있다.
이러한, OS 커널(410)은, 유닉스 기반(리눅스), 윈도우 기반 등 다양한 운영체제(OS) 기반의 커널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OS 커널(410)은, 공개(open)된 OS 커널로서, 다른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가능한 범용일 수 있다.
드라이버(420)는, OS 커널(410)과 미들웨어(430) 사이에 위치하며, 미들웨어(430)와 더불어, 애플리케이션층(450)의 동작을 위해 디바이스를 구동한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42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마이컴(micom), 디스플레이 모듈, 그래픽 처리 유닛(GPU),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C),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Pin), HDMI, SDEC(System Decoder 또는 역다중화부), VDEC(Video Decoder), ADEC(Audio Decoder), PVR(Personal Video Recorder), 또는 I2C(Inter-Integrated Circuit) 등의 드라이버(dr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드라이버들은, OS 커널(410) 내의 하드웨어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동작하게 된다.
또한, 드라이버(420)는, 원격제어장치(200), 특히 후술하는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공간 리모콘의 드라이버는, 드라이버(420)외에, OS 커널(410) 또는 미들웨어(430) 내에 다양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미들웨어(430)는, OS 커널(410)과 애플리케이션층(450) 사이에 위치하여,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중간에서 매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표준화된 인터페이스 제공이 가능하며, 다양한 환경 지원, 및 체계가 다른 업무와 상호 연동이 가능해진다.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미들웨어(430)의 예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s Group)와 ACAP(Adva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의 미들웨어가 있을 수 있으며,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 등이 있을 수 있다.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 즉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450)층은,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다양한 메뉴 등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 애플리케이션(User Interfac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웨어(43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편집이 가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을 이용하여, 방송 영상 시청 중 원격제어장치(200)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 중 원하는 메뉴로의 진입이 가능하다.
또한, 레거시 시스템 플랫폼(400) 내의 애플리케이션층(450)은,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블루투스 애플리케이션, 예약(reservation)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영상 녹화(Digital Video Recoder;DVR) 애플리케이션, 핫키 애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라이브러리(435)는, OS 커널(410)과 프레임워크(440) 사이에 위치하며,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이브러리(435)는,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c library), 비디오(video) 포맷과 오디오(audio) 포맷 등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브러리(435)는, C 또는 C++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440)를 통해 개발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라이브러리(435)는, 코어 자바 라이브러리(core java library)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VM)을 구비하는 런타임(runtime)(43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런타임(437)은, 라이브러리(435)와 함께 프레임워크(440)의 기본을 형성한다.
가상 머신(VM)은, 복수의 인스턴스, 즉 멀티태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머신일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각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 가상 머신(VM)이 할당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 복수의 인스턴스 사이의 스케쥴 조정 또는 인터커넥트(interconnect)를 위해, OS 커널(410) 내의 바인더(Binder) 드라이버(미도시)가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바인더 드라이버와 런타임(437)은, 자바 기반의 애플리케이션과, C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줄 수 있다.
한편, 라이브러리(435)와 런타임(437)은, 레가시 시스템의 미들웨어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시스템 플랫폼(405) 내의 프레임워크(440)는, 애플레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반이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프레임워크(440)는, 어떤 애플레케이션과도 호환 가능하며, 컴포넌트의 재사용, 이동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는, 지원 프로그램, 다른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엮어 주는 프로그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애플리케이션의 액티비티와 관련한 액티비티 매니저(activity manager), 알림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공유 정보를 요약하는 컨텐츠 제공자(content provi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워크(440)는,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프레임워크(440) 상의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서 구동되어 표시 가능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메일(email),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SMS), 달력(calendar), 지도(map), 브라우저(browser) 등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코어 애플리케이션(Core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0)은, 자바(JAVA)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층(455)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4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4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층(455)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네트워크 접속에 의한, 인터넷 전화 서비스,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게임, 일정관리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영상표시기기(100)의 플랫폼은, 통합형 플랫폼으로서, OS 커널(OS kernel)(510), 드라이버(520), 미들웨어(Middleware)(530), 프레임워크(Framework)(540), 및 애플리케이션층(Application)(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플랫폼은, 도 5와 비교하여, 도 5의 라이브러리(435)가 생략된 것과, 애플리케이션층(550)이 통합 레이어로 구비되는 것이 차이가 있다. 그 외, 드라이버(520), 프레임워크(540)는, 도 5에 대응한다.
한편, 도 5의 라이브러리(435)가, 미들웨어(530)에 병합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미들웨어(530)는, 레가시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데이터 방송 관련 미들웨어인 MHEG 또는 ACAP의 미들웨어, 방송 정보 관련 미들웨어인 PSIP 또는 SI의 미들웨어, 그리고 주변기기 통신 관련 미들웨어인 DLNA 미들웨어는, 물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미들웨어로, 보안 관련 라이브러리인 SSL(Secure Socket Layer), 웹 엔진 관련 라이브러리인 웹키트(WebKit), libc, 미디어 관련 라이브러리인 미디어 프레임워크(Media Framework)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런타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층(550)은, 레가시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메뉴 관련 애플리케이션, TV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예약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하고, 영상표시기기 시스템 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이메일, SMS, 달력, 지도, 브라우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층(550)은,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되어 사용자에 의해 삭제 불가능한 애플리케이션(565)과,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저장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치 또는 삭제가 자유로운 애플리케이션(575)으로 구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의 플랫폼은 영상표시기기는 물론, 그 외 다양한 전자기기에서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의 플랫폼은, 상술한 저장부(140) 또는 제어부(170) 또는 별도의 프로세서(미도시)에 탑재(loading)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와 RF 통신규격 또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a)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7(b)), 앞뒤(도 7(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7(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기기(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기기(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영상표시기기(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과 페어링된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9는, 네트워크 상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사용자가 직접 해당 컨텐츠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탐색 후 다운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9(a)는, 접속된 서버 내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애플리케이션 목록(610)은,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 및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에서는, 풀브라우징이 가능하므로, 접속된 서버로부터의 수신된 아이콘 또는 설명 정보의 크기를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도 9(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6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2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다운로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영상표시기기 내의 애플리케이션 목록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도 10(a)는, 사용자의 원격제어장치(200)의 조작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목록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목록(66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만이 도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 9와 같이,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0(b)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목록(1210) 중 어느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660)을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간편하게 실행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12 내지 도 25는 도 11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설정 메뉴에 진입한다(S1105). 제어부(170)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설정 메뉴(setup menu)에 진입한다.
도 13은,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영상(1315) 및 셋업 오브젝트(1318)가 표시된 상태에서, 셋업 오브젝트(1318)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을 나타내는 포인터(205)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4와 같은 설정 메뉴(1410)에 진입하게 된다.
한편, 도 13은, 방송 영상 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3에 표시된 화면 구성은 상술한 스마트 TV의 기본 화면 구성일 수 있으며, 이러한 화면은, 전원 온(on) 시 초기 화면이거나,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홈(home) 키의 동작에 의한, 기본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화면 구성은, 크게 카드 오브젝트 영역과 애플리케이션 메뉴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 영역은, 컨텐츠의 소스별로 구분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1310,1330,1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방송 영상을 포함하는 카드 오브젝트(BROADCAST)(1310), 컨텐츠 제공자(CP)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NETCAST)(1330),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APP STORE)(1350)를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미도시),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미도시), 방송 예약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미도시), 기기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영상을 포함하는 카드 오브젝트(1310)는, 방송 영상(1315)과, 외부장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1316), 및 셋업 오브젝트(1318)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셋업 오브젝트(1318)가 선택되는 경우, 도 14와 같은 설정 메뉴(1410)에 진입하여,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CP)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330)는, 컨텐츠 제공자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컨텐츠 제공자로, Yakoo, Metflix, weather.com, Picason, My tube 등을 예시하나 다양한 설정이 가능하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35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내의 애플레이이션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류별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인기순(HOT), 최신순(New) 등으로 정렬하여 표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한편, 도 13에서는 3개의 카드 오브젝트(1310,1330,1350)가 표시되는 것으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가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방송 영상을 포함하는 카드 오브젝트(1310)만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거나, 방송 영상을 포함하는 카드 오브젝트(1310) 외에 1개의 카드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들은 다른 카드 오브젝트들로 교체되어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3개의 카드 오브젝트(1310,1330,1350)가 표시되나,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컨텐츠 제공자(CP)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330)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350)가 다른 카드 오브젝트로 교체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카드 오브젝트의 교체로 인해,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를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방송 영상을 포함하는 카드 오브젝트(1310)는 그대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헤 사용자는 계속하여 방송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 영역인 애플리케이션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메뉴(1320)가 표시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메뉴(1320)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한다. 특히, 필수 애플리케이션(search, app store) 또는 사용자가 설정한 애플리케이션(DVR, bluray, MAZON, SNS)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 보기(more) 항목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중 SNS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설정 메뉴로의 진입은, 도 13의 셋업 오브젝트(1318)가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는 것 외에,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의 설정키 입력에 의해, 바로 설정 메뉴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셋업 오브젝트(1318)가 표시된 상태에서,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방향키, 확인키 등의 입력에 의해, 설정 메뉴로 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설정 메뉴 내에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다(S1110).
도 14의 설정 메뉴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설정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예로, Pacebook, Witter, TSN, Myhome 등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로그(bolg), 메신저(messinger) 등의 다양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등이 가능하다. 로그인 정보는,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문자키(미도시)를 이용하여, 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문자키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가 입력 완료되어, 저장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로그인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도 12는 영상표시기기(100)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서버(1210-1,...1210-n)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100)를 통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고,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해당 로그인 정보가 정확한지 확인을 위해, 저장 전에, 해당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잘못된 로그인 정보로 인한 접속 불가시, 이를 알려주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미리 저장함으로써, 이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시,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바로 접속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저장 완료 후,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한다(S1115). 제어부(170)는, 설정 메뉴 종료 후,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일부에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표시되는 영상은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도 13의 도시된 바와 같이, 셋업 오브젝트(1318)의 선택에 의해, 도 14의 설정 메뉴에 진입한 경우, 로그인 정보 저장 완료 후, 다시 도 13 또는 도 15와 같은 화면으로 복귀할 수 있다. 즉, 방송 영상(1315)가 디스플레이부(180)의 일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8은 방송 영상(1810)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설정 메뉴 종료 후, 도 13 또는 도 15의 화면과 달리, 도 18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영상(1810) 만이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20), 해당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한다(S1125).
제어부(170)는, 제어부(170)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별도의 메뉴(미도시)를 통해 선택이 가능하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메뉴에 바로 진입할 수 있는 별도의 핫키(hot key)가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는, 방송 영상(19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애플리케이션 메뉴(1920)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8과 같이, 방송 영상(1810)이 표시되다가,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화면 전환되어, 도 19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부에 애플리케이션 메뉴(1920)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3 또는 도 15는, 화면 구성 내에 애플리케이션 메뉴(1320)가 이미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애 따라, 애플리케이션 메뉴(1320)는, 전원 온(on) 시 또는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에 구비되는 홈(home) 키의 동작시에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다음,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30), 해당하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1135). 그리고,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며(S1140),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한다(S1145).
제어부(170)는,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것으로 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15는, 애플리케이션 메뉴(1320) 내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205) 항목이,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205)이 선택되고,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실행되게 된다.
도 16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실행되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61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5와 비교하여, 도 15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350) 대신에,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610)가 표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610)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TOTAL SNS)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포함한다. 이 오브젝트는, 아바타, 이미지(image), 아이콘(icon) 또는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tex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오브젝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620), 제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630), 제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640), 제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1650)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 밖에, 로그인된 사용자와 로그아웃된 사용자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그룹별(친구, 가족, 회사 등)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디스플레이부(180)의 적어도 일 영역에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한꺼번에 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등을 확인할 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이때의 제1 내지 제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4에서 미리 로그인 정보를 저장한 제1 내지 제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일 수 있다.
한편, 도 20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실행되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화면(2010)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 오브젝트는, 아바타, 이미지(iamge), 아이콘(icon) 또는 텍스트(text)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오브젝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 밖에, 로그인된 사용자와 로그아웃된 사용자를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0에서는, 제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020), 제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030)이 라인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제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또는 제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로그 아웃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040)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로그 아웃된 다른 사용자 등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는, 로그인 중인 다른 사용자 등을 나타내는 오브젝트에 비해, 색상, 휘도, 명암, 테두리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가변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로그인 중인 다른 사용자 등과 로그 아웃 중인 다른 사용자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6에 비해, 도 20의 오브젝트 화면(2010)이 더 크며, 이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오브젝트들을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 내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간단하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상태에서, 도 20과 같이, 애플리케이션 메뉴(1920)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하단부에 계속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도 21은, 도 20과 유사하게 오브젝트 화면(2110)이 표시되나, 애플리케이션 메뉴(1920)가 표시되지 않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제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120), 제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130) 외에, 제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140)이 라인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로그 아웃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150)이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로그인 중인 다른 사용자 등과 로그 아웃 중인 다른 사용자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22는 도 21과 유사하게 오브젝트 화면(2210)이 표시되나, 각 오브젝트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가 있다. 이러한 아이콘은, 해당 오브젝트가 속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며,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구분된다.
즉, 제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220)은, 아바타, 이미지 또는 텍스트(member1) 외에, Pacebook을 나타내는 아이콘(2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에 의해, 사용자는 바로, 해당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임을 알아차릴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230)은, Witter를 나타내는 아이콘(2235)을 더 포함하며, 제3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240)은, TSN를 나타내는 아이콘(2245)을 더 포함하며, 제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250)은, Myhome를 나타내는 아이콘(22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로그 아웃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2260)이, 색상, 휘도 등에서 구분되어 표시되게 된다.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50), 포커싱되는 경우, 포커싱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한다(S1150).
로컬키(미도시)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포커싱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정보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메뉴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의 관련 정보 항목으로서, 아이디(ID), 대화명, 문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뉴는, 영상 대화(video call) 항목, 음성 대화(voice call) 항목,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항목, 파일 공유(file share) 항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 등을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1610)가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1622)가 포커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른 메뉴(1710)로서, 영상 대화(video call) 항목, 음성 대화(voice call) 항목,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항목, 파일 공유(file share) 항목이, 팝업 메뉴로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팝업 메뉴 외에 풀 다운 메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3에서는, 도 17과 유사하게, 보다 넓은 오브젝트 화면(2110)이 표시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포인터(205)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2122)가 포커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른 메뉴(2310)로서, 영상 대화(video call) 항목, 음성 대화(voice call) 항목,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항목, 파일 공유(file share) 항목이, 팝업 메뉴로서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팝업 메뉴 외에 풀 다운 메뉴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공통의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제공되는 서비스가 다른 경우, 서로 다른 메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로그아웃 중인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에 제공되는 메뉴는,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에 제공되는 메뉴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영상 통화 항목, 음성 통화 항목 등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1155), 해당 항목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한다(S1160).
제어부(170)는, 로컬키 또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메뉴 내의 관련 정보 항목, 영상 대화 항목, 음성 대화 항목, 단문 메시지 서비스 항목, 파일 공유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4는, 메뉴(2310) 항목 중 영상 대화(2314) 항목이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다. 선택되는 영상 대화(2314) 항목은, 색상, 휘도, 하이라이트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선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5는, 선택된 영상 대화(2314) 항목에 따라, 해당 서비스가 수행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에 구비되는 촬영부(195)를 동작시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에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촬영된 영상(2520)과, 수신되는 다른 사용자의 촬영 영상(2510)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서비스를 간편하게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사용자의 촬영 영상(2510)에 기초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다른 사용자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오브젝트를 다른 사용자의 촬영 영상(2510)에 기초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기기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애플리케이션 메뉴 표시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 상기 포커싱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일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아바타 또는 이미지 또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의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 단계는,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 아웃 중인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색상, 휘도, 명암, 테두리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는,
    아이디 항목, 영상 대화 항목, 음성 대화 항목, 메시지 항목, 파일 공유 항목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서로 다른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3.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오브젝트가 속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며,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구분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아바타 또는 이미지 또는 다른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의 명칭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동작방법.
  15.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네트워크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메뉴 중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저장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의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접속된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각 사용자 또는 각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의 오브젝트가 포커싱되는 경우, 상기 포커싱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해당 사용자 또는 전자기기와 관련된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항목에 대한 서비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오브젝트가 속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나타내며, 다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구분되는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 아웃 중인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복수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의 로그인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나타내는 오브젝트와, 색상, 휘도, 명암, 테두리 두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관련 정보 항목 또는 실행 가능한 서비스 항목을 포함하는 메뉴는,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별로 서로 다른 메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1. 제15항에 있어서,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원격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동작하는 플랫폼;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플랫폼은,
    오에스 커널; 및
    상기 오에스 커널 상에서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층을 포함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층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설치 또는 삭제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KR1020100057640A 2010-06-17 2010-06-1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699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40A KR101699736B1 (ko) 2010-06-17 2010-06-1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DE202010018023U DE202010018023U1 (de) 2010-06-17 2010-12-17 Bildanzeigegerät
CN201080068492.8A CN103053174B (zh) 2010-06-17 2010-12-17 图像显示设备和操作图像显示设备的方法
PCT/KR2010/009072 WO2011159006A1 (en) 2010-06-17 2010-12-1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0853307.6A EP2583470A4 (en) 2010-06-17 2010-12-17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12/972,357 US9363470B2 (en) 2010-06-17 2010-12-17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social network ser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15/154,421 US10432885B2 (en) 2010-06-17 2016-05-13 Image display apparatus for a plurality of SNS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7640A KR101699736B1 (ko) 2010-06-17 2010-06-1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7613A true KR20110137613A (ko) 2011-12-23
KR101699736B1 KR101699736B1 (ko) 2017-01-25

Family

ID=4532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640A KR101699736B1 (ko) 2010-06-17 2010-06-17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363470B2 (ko)
EP (1) EP2583470A4 (ko)
KR (1) KR101699736B1 (ko)
CN (1) CN103053174B (ko)
DE (1) DE202010018023U1 (ko)
WO (1) WO20111590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986B1 (ko) * 2010-07-26 2017-06-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94164B1 (ko) * 2010-09-02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2084274A1 (en) * 2010-12-20 2012-06-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A passive optical network arrangement and method
US20140026157A1 (en) * 2011-04-11 2014-01-23 Tao Wang Face recognition control and social networking
US8904289B2 (en) * 2011-04-21 2014-12-02 Touchstream Technologies, Inc. Play control of content on a display device
US9767195B2 (en) 2011-04-21 2017-09-19 Touchstream Technologies, Inc. Virtualized hosting and displaying of content using a swappable media player
EP2713296A4 (en) * 2011-05-20 2015-03-11 Japan Broadcasting Corp DEVICE FOR COORDINATION AND RECEIVING A BROADCAST COMMUNICATION AND A COORDINATION SYSTEM FOR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EP3634001A1 (en) * 2011-05-2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ple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9710765B2 (en) 2011-05-26 2017-07-18 Facebook, Inc. Browser with integrated privacy controls and dashboard for social network data
US8843554B2 (en) * 2011-05-26 2014-09-23 Facebook, Inc. Social data overlay
US9747646B2 (en) * 2011-05-26 2017-08-29 Facebook, Inc. Social data inputs
US9342605B2 (en) 2011-06-13 2016-05-17 Facebook, Inc. Client-side modification of search results based on social network data
US9652810B2 (en) 2011-06-24 2017-05-16 Facebook, Inc. Dynamic chat box
US20130074006A1 (en) * 2011-09-21 2013-03-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mand invocation during log-in user authentication to an operating system
EP2595405B1 (en) * 2011-11-15 2020-02-2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commendation service
KR101728417B1 (ko) * 2011-12-15 2017-05-04 엔트릭스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 서비스메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50719B1 (ko) * 2011-12-28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시스템 및 디지털 수신기에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30086407A (ko) * 2012-01-25 201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Epg 생성장치, 그 생성방법 및 그 epg 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1984823B1 (ko) 2012-04-26 2019-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웹 페이지에 주석을 부가하는 방법 및 그 디바이스
KR20130127631A (ko) * 2012-05-15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89390A1 (en) 2012-06-14 2015-07-02 Flextronics Ap, Llc Media center
US9098163B2 (en) * 2012-07-20 2015-08-04 Sony Corporation Internet TV module for enabling presentation and navigation of non-native user interface on TV having native user interface using either TV remote control or module remote control
WO2014028072A1 (en) * 2012-08-17 2014-02-20 Flextronics Ap, Llc Interactive channel navigation and switching
KR101942839B1 (ko) * 2012-10-31 2019-0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이전트 장치, 전기기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558672B1 (en) * 2012-11-19 2023-01-17 Cox Communications, Inc. System for providing new content related to content currently being accessed
KR20140075870A (ko) * 2012-12-10 2014-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시지 작성을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KR20140136708A (ko) * 2013-05-21 2014-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장치의 어플리케이션 리스트 제공 방법
CN104427388A (zh) * 2013-09-10 2015-03-18 国家广播电影电视总局广播科学研究院 一种智能电视操作系统
WO2015072493A1 (ja) * 2013-11-13 2015-05-2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放送番組映像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映像の表示方法
EP2922303A1 (en) * 2014-03-04 2015-09-2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time source dat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3888843B (zh) * 2014-03-11 2017-12-12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电视的电视节目频道与应用程序整合的方法及系统
KR102246556B1 (ko) * 2014-12-02 2021-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N104660997B (zh) * 2015-02-12 2018-09-04 江苏中科羿链通信技术有限公司 面向服务的多源异构视频监控适配方法和系统
US20160373799A1 (en) * 2015-06-16 2016-12-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multiple iptv client devices
WO2017003007A1 (ko) * 2015-07-02 2017-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CN107359996B (zh) 2016-05-09 2020-05-05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多网站间的自动登录方法及装置
US10805688B1 (en) * 2016-12-02 2020-10-13 Didja, Inc. Locally relayed broadcast and community service television
USD849034S1 (en) * 2017-11-17 2019-05-21 Nnamudi Nam Mokwunye Computer display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2181340B (zh) * 2020-09-29 2022-05-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ar图像的共享方法及电子设备
US20220190944A1 (en) * 2020-12-11 2022-06-16 Atlanta DTH, Inc. Information embedded method and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846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tv
US7673327B1 (en) * 2006-06-27 2010-03-02 Confluence Commons, Inc. Aggreg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3816A (en) * 1996-07-01 1999-05-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web-like stills with hyperlinks
DE69736935T2 (de) * 1997-04-14 2007-06-06 Thomson Inc., Indianapolis Verfahren zum Kompilieren von Programmführungsinformation mit einer neuen Datenidentifizier-Zuteilung
US6910179B1 (en) * 1998-11-10 2005-06-21 Clarit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form filling
US6990676B1 (en) * 1999-03-17 2006-01-24 Sony Corporation Locally stored content previews. Representative of programming content in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through a graphic image accessed from the hard drive of a set top box
US7143428B1 (en) * 1999-04-21 2006-11-28 Microsoft Corporation Concurrent viewing of a video programming and of text communications concerning the video programming
EP1197075A1 (en) * 1999-06-28 2002-04-17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niche hubs
US20010027475A1 (en) 2000-03-15 2001-10-04 Yoel Givol Displaying images and other information
WO2001082595A1 (en) * 2000-04-27 2001-11-01 Isurftv Novel cursor control system
JP4501243B2 (ja) 2000-07-24 2010-07-14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プログラム実行方法
KR20020031873A (ko) 2000-10-24 2002-05-03 구자홍 인터넷 서버에서의 개인별 인터넷 사이트 로그인 정보관리방법
JP4838985B2 (ja) * 2004-04-09 2011-12-14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6019780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US20060048179A1 (en) * 2004-08-27 2006-03-02 Kortum Philip T Method and system to access PC-based services from non-PC hardware
KR100669243B1 (ko) * 2004-12-21 2007-0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scorm 기반 학습콘텐츠 서비스장치 및 그 방법
KR100717047B1 (ko) * 2005-10-20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간편하게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US20070107019A1 (en) * 2005-11-07 2007-05-10 Pasquale Romano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n integrated media device
JP4924984B2 (ja) 2006-12-18 2012-04-25 株式会社Ihi 軸流圧縮機の翼列
WO2008112805A1 (en) * 2007-03-12 2008-09-18 Crack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a content item, resident or accessible on one resource, available through another
US20090144237A1 (en) 2007-11-30 2009-06-04 Michael Branam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personalized media services
TWI510080B (zh) * 2008-06-16 2015-11-21 Imu Solutions Inc 家庭娛樂中心與其操作方法
US9716774B2 (en) * 2008-07-10 2017-07-25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ing a user interface on a server device to a user interface on a client device
US8136051B2 (en) * 2009-03-13 2012-03-13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updating a primary display area
US8432305B2 (en) * 2009-09-03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3327B1 (en) * 2006-06-27 2010-03-02 Confluence Commons, Inc. Aggregation system
KR20100006846A (ko) * 2008-07-10 2010-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젯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63470B2 (en) 2016-06-07
CN103053174B (zh) 2017-07-28
US10432885B2 (en) 2019-10-01
US20160255297A1 (en) 2016-09-01
CN103053174A (zh) 2013-04-17
EP2583470A1 (en) 2013-04-24
DE202010018023U1 (de) 2013-11-25
US20110314386A1 (en) 2011-12-22
KR101699736B1 (ko) 2017-01-25
WO2011159006A1 (en) 2011-12-22
EP2583470A4 (en)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8552975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52355B1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20120051966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EP2612505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20051967A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20120052572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부팅 시퀀스 조정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7985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10433A (ko)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KR20120074452A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20071652A (ko)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tv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129715A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101000063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99328A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이템을 북마킹 하는 네트워크 tv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네트워크 tv
KR101003506B1 (ko) 애플리케이션 인스톨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20064490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00006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128072A (ko) 애플리케이션 실행 장치 및 그 동작 제어 방법
KR10175031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검색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20110129714A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20120074451A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2056165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58919B1 (ko) 화면 표시 제어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KR101769558B1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