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7631A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7631A
KR20130127631A KR1020120051292A KR20120051292A KR20130127631A KR 20130127631 A KR20130127631 A KR 20130127631A KR 1020120051292 A KR1020120051292 A KR 1020120051292A KR 20120051292 A KR20120051292 A KR 20120051292A KR 20130127631 A KR20130127631 A KR 20130127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ocial network
network service
display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여리
김대현
현수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1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27631A/ko
Priority to EP13165318.0A priority patent/EP2665289A3/en
Priority to JP2013101330A priority patent/JP2013240055A/ja
Priority to US13/894,007 priority patent/US20130311942A1/en
Priority to CN2013101796042A priority patent/CN103428458A/zh
Publication of KR20130127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7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 G09G5/373Details of the operation on graphic patterns for modifying the size of the graphic patte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받기 위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이 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되지 않게 화면의 다른 일 영역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을 표시하며, 영상 컨텐츠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컨텐츠의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됨으로써 외부와 채팅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다양한 방법으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되며,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제공한다.
기술의 발전 및 컨텐츠의 증가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는 단순히 영상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서, 보다 다양하고 복잡한 기능을 수행 및 제공한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접속된 클라이언트로서 서버와의 사이에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로부터 게임, 응용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실행시킨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의 기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중에는 채팅(chatting)용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채팅용 어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와 네트워크 상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타 장치를 사용하는 타 사용자와의 사이에 문자/기호/이미지 등으로 구현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이를 통하여 양자간의 의사 전달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받기 위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되지 않게 상기 화면의 다른 일 영역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함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작아지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각각의 표시 사이즈가 조정됨에 따라서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된 전자장치와의 채팅(chatting)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 또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지 않게 상기 화면의 다른 일 영역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함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작아지게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각각의 표시 사이즈가 조정됨에 따라서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된 전자장치와의 채팅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 또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상 및 채팅 영상의 예시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2동작의 수행에 따른 컨텐츠 영상 및 채팅 영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1동작의 수행에 따른 컨텐츠 영상 및 채팅 영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구성들에 관해서만 설명하며, 그 외의 구성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된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이와 같이 설명이 생략된 구성이 불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외부의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수신부(110)와, 영상수신부(110)에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부(120)와,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처리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와의 사이에 한정되지 않은 신호/데이터/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4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기 설정된 커맨드(command)/정보가 입력되는 사용자입력부(150)와, 디스플레이장치(1)의 다양한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고 또한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3) 또는 서버(3)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10)와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장치로 구현이 가능한 바, TV,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폰(mobile-phone) 등 다양한 형식의 디스플레이장치(1)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버(3)에 접속된 전자장치(10)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한 장치라면 그 구현 방식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자장치(10)는 디스플레이장치(1)와 같이 TV,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폰(mobile-phone) 등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컴퓨터본체일 수도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영상수신부(110)는 외부 영상공급원(미도시)으로부터 유선/무선으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의 구현 방식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면, 영상수신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1)가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방송국(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신호, 컴포지트(composite)/컴포넌트(component) 비디오, 슈퍼 비디오(super video), SCART,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디스플레이포트(DisplayPort), UDI(unified display interface), 또는 와이어리스(wireless) HD 규격 등에 의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110)는 영상신호가 방송신호인 경우에 이 방송신호를 채널 별로 튜닝하는 튜너(tuner)를 포함한다.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는 영상수신부(110)의 구성 대신에,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미도시)로부터 영상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영상처리부(120)에 의해 해당 영상데이터가 처리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영상수신부(11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에 대해, 기 설정된 다양한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20)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수행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30)에 해당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이 표시되게 한다.
영상처리부(120)가 수행하는 영상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를 들면 영상신호의 영상 포맷에 대응하는 디코딩(decoding), 인터레이스(interlace) 방식의 영상신호를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방식으로 변환하는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영상신호를 기 설정된 해상도로 조정하는 스케일링(scaling),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노이즈 감소(noise reduction), 디테일 강화(detail enhancement), 프레임 리프레시 레이트(frame refresh rate) 변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120)는 여러 기능을 통합시킨 SOC(system-on-chip), 또는 이러한 각 프로세스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개별적인 구성들이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됨으로써 영상처리보드(미도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장치(1)에 내장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한다.
통신부(140)는 기 설정된 유선/무선 통신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서 서버(3)에 접속되며, 디스플레이장치(1)가 서버(3)에 접속된 전자장치(10)와의 사이에 통신을 수행 가능하도록 한다. 통신부(140)는 제어부(160)가 전자장치(10)와의 사이에 소정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바, 즉 통신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 저장된 데이터를 전자장치(10)에 전송하거나 또는 전자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5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의해,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한정되지 않은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및 입력 패널(panel)이나, 디스플레이장치(1)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통해 기 설정된 커맨드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제어부(160)는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1)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가 영상 표시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영상 표시에 관한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영상수신부(110)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소정의 컨텐츠에 관한 영상신호/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영상데이터를 영상처리부(120)에 전달하고, 영상처리부(120)에서 해당 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서버(3)로부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받을 수 있다. 서버(3)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장치(1) 및 전자장치(10)의 상호 통신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1)는 전자장치(10)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 설치된 채팅(chatting)용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통해, 서버(3)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장치(1) 및 전자장치(10) 사이에 상호 메시지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채팅은 디스플레이장치(1)를 사용하는 제1사용자 및 전자장치(10)를 사용하는 제2사용자가, 각각 디스플레이장치(1) 및 전자장치(10)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여 상호 전송함으로써 대화를 수행하는 동작을 의미한다. 채팅은 단지 두 장치 사이에서만 수행되는 것이 아닌, 셋 이상의 장치 사이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문자, 숫자, 기호, 도안, 이미지 등과 같은 다양한 텍스트 및 그래픽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를 사용하는 사용자 제2사용자는 전자장치(1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각각 의미한다. 이는 각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구별을 위한 편의상의 명칭에 불과함을 밝힌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3)가 디스플레이장치(1)에 제공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채팅 서비스의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한 바, 채팅 서비스라는 하나의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60)는 제1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전자장치(10)와의 채팅을 위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면,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이에 따라서 채팅을 위한 채팅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 여기서, 채팅 영상은 컨텐츠 영상을 대체하여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표시영역에 표시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표시영역에 컨텐츠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 관해,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디스플레이장치(1)에 표시되는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부(130)의 전체 화면(131) 중에서 제1영역 상에 컨텐츠 영상(210)을 표시하고, 제2영역 상에 채팅 영상(220)을 표시한다. 여기서, 제1영역 및 제2영역은 전체 화면(131) 내에서 서로 상이한 영역이므로, 함께 표시된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은 상호 오버레이(overlay)되지 않는다.
최초 채팅 영상(220)이 표시되는 초기단계에는, 제어부(160)는 컨텐츠 영상(210)의 크기를 채팅 영상(220)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표시한다.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 각각의 크기와, 양자간의 크기의 차이는 전체 화면(131)의 크기, 컨텐츠 영상(210) 또는 채팅 영상(220)의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값이므로, 특정한 수치를 한정할 수 없다.
제어부(160)는 전체 화면(131) 내에서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를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 배치하거나, 또는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한 입력 지시에 따라서 특정 위치에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컨텐츠 영상(210)은 영상수신부(110) 또는 통신부(140)에 수신된 영상신호/영상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포함한다. 컨텐츠 영상(210)은 디스플레이장치(1) 자체적으로 저장된 영상데이터이거나, 동영상이 아닌 정지영상이거나, 또는 제1영역 내에 하나가 아닌 복수의 컨텐츠 영상(210)이 함께 표시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채팅 영상(220)은 제2사용자의 전자장치(10)로부터 디스플레이장치(1)에 수신된 메시지 이력(221)과, 제1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에 입력한 메시지 이력(222)과, 제1사용자가 현재 입력하고 있는 메시지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메시지 입력창(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메시지 이력(221, 222)는 상하방향과 같이 특정 방향을 따라서 시간 순서대로 표시됨으로써 각 메시지들의 시간 관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은 채팅 영상(220)의 구현 방식은 하나의 예시일 뿐인 바,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만일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 각각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컨텐츠 영상(210)이 채팅 영상(220)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큰 표시 사이즈를 가진 상태라면, 제1사용자가 컨텐츠 영상(210)을 시청하는 것은 문제가 없으나 채팅 영상(220)을 인지하기에 곤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1)가 TV로 구현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제1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의 컨텐츠 영상(210)에 근접된 위치가 아닌, 컨텐츠 영상(21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해당 컨텐츠 영상(210)을 시청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만일 채팅 영상(2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면, 채팅 영상(220)에 표시되는 문자를 인지하기에 곤란할 수 있다.
반면, 채팅 영상(220)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채팅 영상(220)이 컨텐츠 영상(210)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설정되어 있다면, 오히려 컨텐츠 영상(210)의 크기가 작아져서 제1사용자가 컨텐츠 영상(210)을 시청하기에 곤란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제어부(160)는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이 디스플레이부(130)에 함께 표시되어 있을 때에,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인터랙션(interaction) 동작, 즉 사용자 입력의 발생에 따라서,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한다.
여기서,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사이즈가 미리 정해질 수 있으며,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이 최초 표시될 때의 디폴트(default) 값으로부터 변화할 수 있다. 즉,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은 최초 표시될 때에 디폴트 크기를 가지며, 이 디폴트 크기를 기준으로 하여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은 각각의 디폴트 값을 기준으로 확대만 가능하거나 또는 축소만 가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디폴트 크기는,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의 크기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제1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1)를 사용하는 주요한 용도가 컨텐츠 영상(210)의 시청에 있으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예를 들어 채팅 서비스는 부수적이라는 일반적인 사용 행태를 고려한 것이다. 물론, 이는 한정사항이 아니며, 제1사용자가 채팅이 필요한 경우에 채팅 영상(220)을 표시시킨다는 관점에서,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의 크기가 각각의 디폴트 크기로 설정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의 크기가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디폴트 크기인 경우에 관해 설명하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힌다.
제어부(160)는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 컨텐츠 영상(210)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고,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발생 시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한다. 여기서, 제어부(160)는 컨텐츠 영상(210)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를 작아지게 조정하며,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할 경우에는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영상(210)의 표시 사이즈를 작아지게 조정한다.
이 때,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은, 각각의 표시 사이즈가 조정됨에 따라서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표시된다. 여기서 오버레이되지 않는다는 것은 일 영상이 다른 영상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영상을 둘러싸고 있는 프레임이 있을 경우 그 프레임의 일부가 오버레이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설정 변경 이벤트의 발생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는 제1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컨텐츠 영상(210)의 다양한 특성 및 상태, 예를 들면 휘도, 콘트라스트, 색감, 화질, 음향 등의 조절, 부가정보의 표시 등 다양한 인자들을 조절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또는, 이러한 이벤트는 사용자입력부(150)가 아닌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3)로부터 발생하거나, 영상수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데이터의 특성이 변화하여 수신되는 경우 등에 대해서도 발생할 수도 있다.
한편,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제1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거나, 또는 전자장치(10)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부(150)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채팅 메시지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채팅 영상(220)에 표시되게 제어하므로, 채팅 영상(220)의 사용자 입력은 채팅 영상(220)의 갱신 표시를 발생시키는 제반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폴트 상태에서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를 조정한다.
도 3은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채팅 영상(220)에 대한 인터랙션 동작에 따라서, 컨텐츠 영상(210)의 크기를 축소시키고 채팅 영상(220)의 크기를 확대시키는 제2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1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50)를 통해 메시지를 입력하면, 제어부(160)는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하고 채팅 영상(220)을 확대시키고 컨텐츠 영상(210)을 축소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입력된 메시지를 채팅 영상(220)에 표시하고 통신부(140)를 통해 전자장치(10)에 전송한다.
제어부(160)는 사용자입력부(150) 또는 통신부(140)를 통해 메시지 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해당 메시지를 채팅 영상(220)에 표시함으로써 채팅 영상(220)을 갱신한다. 이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동안에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크기를 도면에 도시된 상태대로 유지시킨다.
한편, 도 3과 같은 표시 상태에서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면, 제어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경우에 비해 컨텐츠 영상(210)의 크기를 확대하고 채팅 영상(220)의 크기를 축소시킨다.
도 4는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변화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컨텐츠 영상(210)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함으로써, 제1사용자는 용이하게 컨텐츠 영상(210)의 특성을 조정하거나 또는 용이하게 컨텐츠 영상(210)을 시청할 수 있다.
만일, 도 3과 같은 표시 상태에서 채팅 영상(2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 시간 동안 없다고 판단하면, 제어부(160)는 별도의 컨텐츠 영상(21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없더라도 도 4와 같이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를 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설정은, 사용자의 다양한 사용 패턴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장치(1)에 기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의 표시 사이즈가 조정되는 동안에, 컨텐츠 영상(210) 및 채팅 영상(220)은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표시됨으로써, 제1사용자가 컨텐츠 영상(210) 또는 채팅 영상(220)을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이러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S100). 만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가 실행되면(S110), 디스플레이장치(1)는 화면 내에서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컨텐츠 영상 및 SNS 영상을 함께 표시한다(S120).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터넷, 웹 등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에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통칭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어느 한 사용자를 기준으로 볼 때, 친구, 선후배, 동료 등의 기존의 지인과의 인맥관계를 강화시키는 한편, 새로운 인맥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폭넓은 인간관계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광역 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개방형 특성을 가진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의 자유로운 의사 소통, 정보 공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 및 강화시키는 제반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하는 바, 예를 들면,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는 각 통신단말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속된 복수의 사용자들이 상호간에 정보 및 의사를 교환 또는 피드백할 수 있는 채팅, 블로그(blog), 정보/멀티미디어 공유 등 다양한 서비스를 포함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이와 같이 광범위한 사용자들 간의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어느 한 사용자의 인맥형성 측면을 넘어서 다양한 활용범위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상거래인 소셜 커머스(social commerce), 각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생성한 컨텐츠의 전파 또는 판매, 공공부문의 정책 홍보 또는 민원 접수 등이 가능하다.
디스플레이장치(1)는 컨텐츠 영상 및 SNS 영상이 함께 표시된 상태에서, 컨텐츠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S130), 컨텐츠 영상을 확대하고 SNS 영상을 축소한다(S140).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는 SNS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S150), 컨텐츠 영상을 축소하고 SNS 영상을 확대한다(S160).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영상수신부
120 : 영상처리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통신부
150 : 사용자입력부
160 : 제어부

Claims (1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제공받기 위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상기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overlay)되지 않게 상기 화면의 다른 일 영역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함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작아지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각각의 표시 사이즈가 조정됨에 따라서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고,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된 전자장치와의 채팅(chatting)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 또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영상 컨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지 않게 상기 화면의 다른 일 영역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 중에서 어느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함에 대응하여 다른 하나의 표시 사이즈를 작아지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 및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각각의 표시 사이즈가 조정됨에 따라서 상호 오버레이되지 않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모두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영상 컨텐츠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의 표시 사이즈를 커지게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은 상기 외부 서버에 접속된 전자장치와의 채팅 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영상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사용자입력부를 통한 입력 또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의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20051292A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27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92A KR20130127631A (ko)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3165318.0A EP2665289A3 (en) 2012-05-15 2013-04-25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3101330A JP2013240055A (ja) 2012-05-15 2013-05-13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3/894,007 US20130311942A1 (en) 2012-05-15 2013-05-14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3101796042A CN103428458A (zh) 2012-05-15 2013-05-15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292A KR20130127631A (ko)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631A true KR20130127631A (ko) 2013-11-25

Family

ID=48193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292A KR20130127631A (ko) 2012-05-15 2012-05-15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30311942A1 (ko)
EP (1) EP2665289A3 (ko)
JP (1) JP2013240055A (ko)
KR (1) KR20130127631A (ko)
CN (1) CN1034284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6139A (zh) * 2019-08-21 2021-02-2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方法和装置、用于输入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22792B (zh) * 2017-08-30 2021-12-31 东软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医学图像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220022335A (ko) * 2020-08-18 2022-02-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구동 회로와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15048164A (zh) * 2021-12-22 2022-09-1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模式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1420A (en) * 1995-08-18 1998-11-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in a data processing system windowing environment for displaying previously obscured information
US5872567A (en) * 1996-03-29 1999-0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memory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sizing a window in response to a loss or gain in focus
JP2000242262A (ja) * 1999-02-18 2000-09-08 Fujitsu Ltd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480696B2 (en) * 2004-01-07 2009-01-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stant messaging priority filtering based on content and hierarchical schemes
US20090063645A1 (en) * 2005-11-30 2009-03-05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messaging using a set top box
US7620905B2 (en) * 2006-04-1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indows management
US20090063995A1 (en) * 2007-08-27 2009-03-05 Samuel Pierce Baron Real Time Online Interaction Platform
US20100242074A1 (en) * 2009-03-23 2010-09-23 Tandberg Television Inc. Video sharing communities in a cable system
JP5754082B2 (ja) * 2010-05-26 2015-07-22 船井電機株式会社 映像受信装置
KR101699736B1 (ko) * 2010-06-17 2017-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9874990B2 (en) * 2012-02-10 2018-01-23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concurrent unobstructed co-browsing and chat messag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16139A (zh) * 2019-08-21 2021-02-26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输入方法和装置、用于输入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5289A2 (en) 2013-11-20
EP2665289A3 (en) 2014-08-06
CN103428458A (zh) 2013-12-04
JP2013240055A (ja) 2013-11-28
US20130311942A1 (en)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5388B2 (en)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thereof, external device remotely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pplication control screen thereof
KR101922023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80316745A1 (en) Terminal apparatus and ser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1232506A1 (zh) 图像质量调节方法及显示设备
CN105359542A (zh) 显示装置和显示方法
CN116208794A (zh) 一种显示设备及播放终端中音乐的方法
KR2013012763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01725A (ko) 화면 동기화를 위한 멀티미디어 장치와 원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EP260552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visual display screens to touch screens
KR20150028588A (ko) 스트리밍 서비스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TW201334514A (zh) 遠端觸控操作的電視系統
KR10250814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컬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11935510B (zh) 一种双浏览器应用加载方法及显示设备
CN112788378B (zh) 显示设备与内容显示方法
KR20080043621A (ko) 디스플레이장치와, 셋탑박스와,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방법
US8826335B2 (en) Image receiving apparatus and liquid crystal television set
CN105580382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KR2011005596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1953838A (zh) 一种通话拨号方法、显示设备以及移动终端
KR20130057596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154729B2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CN115278322B (zh) 显示设备、控制设备及显示设备的控制方法
TWI484788B (zh) Application of multi - scre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240143265A1 (en) Program,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30053724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