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31A -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731A
KR20120015731A KR1020100078113A KR20100078113A KR20120015731A KR 20120015731 A KR20120015731 A KR 20120015731A KR 1020100078113 A KR1020100078113 A KR 1020100078113A KR 20100078113 A KR20100078113 A KR 20100078113A KR 20120015731 A KR20120015731 A KR 20120015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ontent
drm
user terminal
information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8162B1 (ko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78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162B1/ko
Priority to US13/190,024 priority patent/US20120042393A1/en
Priority to EP11176253A priority patent/EP2418602A2/en
Priority to CN2011102283552A priority patent/CN102377767A/zh
Priority to JP2011176074A priority patent/JP5395855B2/ja
Publication of KR20120015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8Transfer of content, software, digital rights or licenses
    • G06F21/1086Super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DRM부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며, 컨텐츠 처리부는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며, 통신부는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User Terminal,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Contents}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변경하여 보다 편리하게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전자책(e-book),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영화 파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전자책은 컨텐츠의 형태로 전자 기록매체에 도서의 내용을 기록한 디지털 도서로서, 사용자는 해당 도서의 전자책을 구매하여 단말기에 다운로딩할 수 있다. 컨텐츠 공급자는 자체적으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를 전자책에 적용한다. 특히, 컨텐츠 공급자는 일반적으로 DRM에 유동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타인에게 양도하는 등의 기능을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할 수 없다. 이는, 컨텐츠를 구매한 업체에게도 동일한 불편함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구매한 전자책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판매, 공유 또는 양도 등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는 DRM부;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RM부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추가된 초기 DRM 영역을 기초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초기 DRM 영역은 DRM부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며, DRM부는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판매자 사용 영역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상세정보,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구매자 사용 영역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현재 보유한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현재 회수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DRM부는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는 외부 단말기에게 전달, 복사 및 양도 가능하며, 외부 단말기로부터 회수 가능하다.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는 저장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회수되면, DRM부는 DRM 정보를 재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1회의 디지털 컨텐츠 다운로딩으로 복수 개의 라이센스-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는 외부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변경하는 단계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적용된 초기 DRM 영역을 기초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초기 DRM 영역은 DRM부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며, 변경하는 단계는,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회수되면, DRM 정보를 재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 및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며,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주변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의 개입없이 DRM 정보를 변경한 후, 변경된 DRM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간의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하고, 무분별한 복제가 아닌 전달 및 회수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여부, 라이센스 개수, 대여 기간 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 간의 자유로운 경쟁 활동을 유발하며, 디지털 컨텐츠의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격을 저렴하게 하면서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을 제한하고, B업체는 고가의 가격을 책정하면서 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판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DRM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초기 DRM 영역과 변경된 DRM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복수 개의 라이센스를 구매한 후 복수 개의 외부 단말기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 변경되는 DRM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기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확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 및 전달하는 개괄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 제1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200) 및 제2사용자 단말기(300)를 도시하였으나,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사용자 단말기(200)와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200)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고,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 즉,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제1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의 디지털 컨텐츠 전송은,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의 개입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는 디지털 컨텐츠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를 위한 DRM 영역을 추가하고, DRM 영역에 판매와 관련된 DRM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기(200)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자체적으로 변경하고,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DRM의 확장된 기능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먼저,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는 컨텐츠 관리부(110), DRM 생성부(120), 암호화부(130), 공급자 통신부(140) 및 공급자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10)는 판매가 가능한 복수 개의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110)는 디지털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DRM 생성부(120)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가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조건을 이용하여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RM 생성부(120)는 구매자에게 판매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조건과 구매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DRM 정보는 디지털 컨텐츠에 추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DRM 영역(22)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 구조는 컨텐츠 영역(21) 및 초기 DRM 영역(22)을 포함하며, 초기 DRM 영역(22)은 판매자 사용 영역(23)과 구매자 사용 영역(24)을 포함한다.
컨텐츠 영역(21)은 구매자가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구매자가 전자책을 구매한 경우, 컨텐츠 영역(21)에는 전자책의 내용에 대한 디지털 컨텐츠가 기록된다.
초기 DRM 영역(22)은 DRM 생성부(120)에서 생성되는 DRM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DRM 정보 중 판매 조건은 판매자 사용 영역(23)에 기록되며, 구매 조건은 구매자 사용 영역(24)에 기록될 수 있다. 판매자 사용 영역(23)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DRM부(240)에 의해 변경이 불가하며, 구매자 사용 영역(24)은 DRM부(240)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판매 조건은 구매 조건과 무관하게 디지털 컨텐츠 별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관리자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의 관리자 또는 저작권 소유자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판매 조건을 참조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판매 조건은 컨텐츠 공급자(100)의 관리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선택적으로, 판매 조건은 구매자의 요청에 의해 변경되거나,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구매 조건은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매자 사용 영역(23)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상세정보, 디지털 컨텐츠의 라이센스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복사 가능 횟수 및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사용 영역(24)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디지털 컨텐츠의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현재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복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표 1]을 참조하여, 판매자 사용 영역(23)과 구매자 사용 영역(24)에 기록되는 정보에 대해 설명한다.
정보 설명 또는 일 예
판매자
사 용
영 역
디지털 컨텐츠의 상세정보 Product ID(제목, 일련번호), 저자, 가격, 판매처명 등의 일반 정보
디지털 컨텐츠의 라이센스 개수 동일한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최초 구매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는 최대의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1회 전달 시 최대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최대 전달 depth 횟수(예를 들어, 최초 구매자가 제1사용자에게 전달하면1depth, 제1사용자가 제2사용자에게 다시 전달하면 2detpth임)
디지털 컨텐츠의 복사 가능 횟수 최초 구매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복사할 수 있는 최대의 횟수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최초 구매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양도할 수 있는 최대의 횟수
구매자
사 용
영 역
디지털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디지털 컨텐츠를 최초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현재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최초 구매자가 디지털 컨텐츠를 제1사용자에게 전송한 경우, 현재 디지털 컨텐츠는 제1사용자가 보유.
현재 보유한 디지털 컨텐츠의 라이센스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 여부에 따라 라이센스 개수는 변경됨.
현재 회수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의 라이센스 개수 외부 단말기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전달되면 차감됨.
디지털 컨텐츠의 복사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복사되면 차감됨.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디지털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양도되면 차감됨.
디지털 컨텐츠의 임대 기간 20xx년 x월 x일 또는 무제한
[표 1]에서 라이센스 개수는 동일한 디지털 컨텐츠가 구매된 개수로서, 예를 들어, 전자책을 3권 구매한 경우, 라이센스 개수는 3이다. 즉, 제1사용자 단말기(200)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로부터 1회의 디지털 컨텐츠 다운로딩으로 3개의 라이센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오프라인의 서점에서 한 번에 복수 개의 동일한 서적을 구매하는 것과 같은 개념이다. [표 1]의 DRM 정보는 하나의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설정되는 정보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암호화부(130)는 DRM 생성부(120)에서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부(130)는 구매자의 구매 요청이 있으면,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유 번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예로 들 수 있다. IMEI는 제조업자에 의해 할당된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일련번호이다.
공급자 통신부(140)는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통신망(10)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공급자 제어부(150)는 제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급자 제어부(150)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하며, 과금이 완료되면,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도록 암호화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저장부(220), 표시부(230), DRM부(240), 컨텐츠 처리부(250), 저장 관리부(26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200)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고,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 제1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0, 300) 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구매된 디지털 컨텐츠를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를 통해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컨텐츠와 파일은 설명의 편의 상 혼용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230)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UI,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23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 때, 파일 리스트에는 유효한 파일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220)에는 저장되어 있으나,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전송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사용할 수 없는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 이 디지털 컨텐츠의 파일명은 표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송'은 전달, 복사 및 양도 등 디지털 컨텐츠의 이동과 관련된 동작을 의미한다.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는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DRM부(240)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 설정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DRM부(240)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추가된 초기 DRM 영역(22)을 기초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RM부(240)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초기 DRM 영역(22) 중 판매자 사용 영역(23)의 내용, 즉, 판매 조건을 분석하며, 파일 전송 조건을 관리할 수 있다. 파일 전송 조건은 구매 조건에 포함되거나 또는 구매 조건을 의미한다. 디지털 컨텐츠, 즉, 파일이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경우, DRM부(240)는 구매자 사용 영역(24)에 저장된 구매 조건을 변경하고, 변경된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DRM 정보를 디지털 컨텐츠에 저장한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가 회수되면, DRM부(240)는 회수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를 재변경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250)는 통신부(210)에서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암호화 해제 및 암호화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250)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다.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한 경우, 컨텐츠 처리부(250)는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제한다.
또한,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전송하는 경우, 컨텐츠 처리부(250)는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는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250)는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를 이용하여, DRM부(240)에서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저장 관리부(260)는 DRM부(240) 및 컨텐츠 처리부(250)에서 디지털 컨텐츠가 암호화되거나 DRM 정보가 변경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저장, 삭제, 상태 변경 등을 담당한다. 특히, 저장 관리부(260)는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서는 동일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상태를 DISABLE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관리부(260)는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디지털 컨텐츠가 회수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잠금을 해제하고, 상태를 ENABLE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제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상술한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초기 DRM 영역과 변경된 DRM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최초 구매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1디지털 컨텐츠라 하며, 제1디지털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경우,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되는 제1디지털 컨텐츠를 제2디지털 컨텐츠라 한다. 또한, 제1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에 의해, DRM부(240)는 제1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를 변경하며, DRM 정보가 변경된 제1디지털 컨텐츠를 제1'디지털 컨텐츠라 한다. 제2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도 DRM부(240)에 의해 변경되므로, 제2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는 제1'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와 다르다.
도 3은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디지털 컨텐츠에 추가되는 초기 DRM 영역(30) 중 판매자 사용 영역(31)과 구매자 사용 영역(32)에 설정된 DRM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초기 DRM 영역(22)은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에서 만들어진 후,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이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가 완료된다.
판매자 사용 영역(31)에 기록된 판매 조건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가능한 라이센스 개수는 1개, 무제한 전달이 가능하며, 한 번에 최대 2명 전달 가능하며, 양도가 가능하다.
또한, 구매자 사용 영역(32)에 기록된 구매 조건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자는 '단말1', 현재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단말1',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는 '1'개,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는 '0'개,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2'회,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시 대여 기간은 무제한임을 알 수 있다.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가 '0'임은 아직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추가 전달 가능 횟수가 '2'임은, 한 번에 2명까지 전달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하면,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1'이 되며, 사용자 B가 사용자 C에게 동일한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하면,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0'이 되어, 더 이상 디지털 컨텐츠는 전달될 수 없으며, 회수되어야 한다. 대여 기간은 디지털 컨텐츠를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DRM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의 DRM 정보는 도 3의 초기 DRM 영역(30)에 저장된 DRM 정보가 변경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영역(40)은 판매자 사용 영역(41)과 구매자 사용 영역(42)을 포함한다. 판매자 사용 영역(41)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가 처음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와 동일하다.
구매자 사용 영역(42)의 구매 조건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DRM부(240)에 의해 구매자 사용 영역(32)의 구매 조건이 변경된 것이다. 구매자 사용 영역(42)을 참조하면, 컨텐츠 구매자는 동일하며, 현재 보유자는 '단말2'로 변경되었다. 현재 보유 라이센스 개수와 회수 가능 라이센스 개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대여한 것이므로, 각각 '1'과 '0'이다.
또한, 도 3에서 추가 전달 가능 횟수가 '2'로 되어 있었으므로, 제2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로 1회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200)가 대여 기간을 설정한 후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전달한 경우, 대여 기간이 경과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된다. 이와 함께,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서, DISABLE로 설정된 디지털 컨텐츠는 ENABLE 상태로 변경되어,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경우, 대여 기간이 2010년 10월 1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사용자 단말기(300)는 2010년 10월 1일까지,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돌려줘야 한다.
도 5는 디지털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가 변경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5의 변경된 DRM 정보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됨으로써,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DRM 영역(50)은 판매자 사용 영역(51)과 구매자 사용 영역(52)을 포함한다. 판매자 사용 영역(51)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가 처음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와 동일하다.
구매자 사용 영역(52)의 구매 조건은 DRM부(240)에 의해 구매자 사용 영역(32)의 구매 조건이 변경된 것이다. 구매자 사용 영역(52)을 참조하면, 컨텐츠 구매자는 동일하며, 현재 보유자는 '단말2'로 변경되었다. 디지털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대여 또는 전달하였으므로, 현재 보유 라이센스 개수는 '0'이며, 회수 가능 라이센스 개수는 '1'이다.
또한, 도 3에서 추가 전달 가능 횟수가 '2'로 되어 있고,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1회 전송되었으므로, 제1사용자 단말기(200)는 더 이상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없다.
대여 기간이 무제한인 경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는 반드시 회수되어야 하므로,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디지털 컨텐츠가 전송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될 수 있다. 반면, 대여 기간이 일정 기간까지 설정된 경우,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되지 않고, 다만, 잠금상태, 즉, 상술한 DISABLE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디지털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회수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기(200)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양도하는 경우, 도 4 및 도 5의 컨텐츠 구매자는 '단말2'로 변경되며, 제1사용자 단말기(200) 내에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복수 개의 라이센스를 구매한 후 복수 개의 외부 단말기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 변경되는 DRM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디지털 컨텐츠에 추가되는 초기 DRM 영역(60)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초기 DRM 영역(60)은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에서 만들어진 후,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된다.
판매자 사용 영역(61)에 기록된 판매 조건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가능한 라이센스 개수는 10개, 무제한 전달이 가능하며, 한 번에 최대 2명 전달 가능하며, 양도가 가능하다.
또한, 구매자 사용 영역(62)에 기록된 구매 조건을 참조하면,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자는 '단말1', 현재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단말1',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는 '10'개,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는 '0'개,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2'회,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시 대여 기간은 무제한임을 알 수 있다.
도 7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된 DRM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영역(70)은 판매자 사용 영역(71)과 구매자 사용 영역(72)을 포함한다. 판매자 사용 영역(71)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가 처음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와 동일하다. 구매자 사용 영역(72)은 구매자 사용 영역(42)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디지털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가 변경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1개의 디지털 컨텐츠(예를 들어, 1권의 전자책)가 대여됨으로써,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되거나 DISABLE 상태로 변경되어야 한다. 또한, 대여 기간이 무제한인 경우, 디지털 컨텐츠는 회수되어야 하므로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라이센스를 구매한 경우, 현재 보유 라이센스 개수가 '0'이 될 때까지 디지털 컨텐츠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삭제되지 않으며, 다만, 구매 조건이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초기 DRM 정보에 의하면, 현재 보유자는 10개의 어레이(array) 데이터로 설정되어 있다. 디지털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면, 현재 보유자는 '단말2'로 변경되며, 현재 보유 라이센스와 회수 가능 라이센스의 개수는 각각 '9'와 '1'로 변경된다. 디지털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전송될 때마다 현재 보유 라이센스의 개수는 감소되며, 회수 가능 라이센스의 개수는 증가된다. 현재 보유 라이센스의 개수가 '1'이 되면, 디지털 컨텐츠가 9번 전송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때, 1회 이상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이 일정 기간 내로 설정되어 전송된 경우, 디지털 컨텐츠는 제1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삭제되지 않으며, DISABLE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300)로 양도한 경우, 현재 보유 라이센스의 개수와 회수 가능 라이센스의 개수는 조정되며, 1개의 디지털 컨텐츠에 상응하는 권리가 제2사용자 단말기(300)에게 주어진다. 제2사용자 단말기(300)는 양도받은 디지털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200)와 마찬가지로 외부 단말기(미도시)에게 대여하거나 양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기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의 DRM 정보 확장 및 확장된 DRM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제1사용자 단말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사용자 단말기(200)일 수 있다. 따라서, 도 9의 방법은 제1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부(270) 또는 프로세스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 및 제2사용자 단말기는 각각 도 1의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 및 제2사용자 단말기(300)일 수 있다.
90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905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91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915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및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920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제1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구매 조건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925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920단계에서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디지털 컨텐츠의 판매 및 구매가 완료된다.
93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935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은 대여 또는 양도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94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945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로서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95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DRM 정보를 확인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이 가능한지 판단한다. 전송이 가능하면, 95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와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변경한다. DRM 정보의 변경은 구매 당시 라이센스 개수,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 양도 여부 등 구매 조건에 따라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955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960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확인되면, 965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950단계에서 변경된 DRM 정보를 이전 상태로 복구한다.
반면, 970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이 보고되면,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은 성공한 것으로 판단된다.
975단계에서, 955단계의 동작이 디지털 컨텐츠를 양도한 것이면, 98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930단계에서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를 삭제한다.
반면, 975단계에서, 955단계의 동작이 디지털 컨텐츠를 대여한 것이면, 985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930단계에서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상태를 DISBALE로 설정하고, 950단계에서 변경된 DRM 정보를 930단계에서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한다.
99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라이센스 이양이 완료되면, 사용 허가를 발송한다. 이에 의해,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영역은 확정되어, 제2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995단계에서, 990단계에서 확정된 DRM 영역의 대여 기간이 만료되면 디지털 컨텐츠는 제1사용자 단말기로 회수된다. 955단계의 동작이 디지털 컨텐츠를 양도한 것이면, 995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확장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 및 전달하는 개괄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RM 확장은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사용자 단말기가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로 대여 또는 양도하기 위하여, 자체적으로 DRM 정보를 변경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도 10에 도시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 제1 및 제2사용자 단말기 및 제3 및 제4사용자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100), 제1 및 제2사용자 단말기(200, 300) 및 외부 단말기들(미도시)일 수 있다.
101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에서 제공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검색하고,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제1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는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개의 라이센스, 5회 전달 가능, 및 양도 가능의 구매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1020단계에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제1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구매 조건을 참조하여 DRM 정보를 생성하고,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제1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및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한 후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103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DRM 정보를 참조하여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은 대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DRM 정보의 변경 여부를 결정하고, 전달가능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한 후 전달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되거나 DISABLE 상태로 설정되며, 제2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40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전달된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이 만료되면, 디지털 컨텐츠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회수될 수 있다.
라이센스를 여러 개 구매한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는 복수 개의 단말기들에게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되지 않으며, DRM 정보가 변경된다.
즉, 105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DRM 정보를 참조하여 제3사용자 단말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즉, 1020단계에서 생성되어 전송된 DRM 정보에 양도 가능이라는 구매 조건이 포함되어 있으면, 제1사용자 단말기는 디지털 컨텐츠를 양도할 수 있다.
1060단계에서, 제3사용자 단말기는 양도된 디지털 컨텐츠를 제4사용자 단말기에게 전달할 수 있다.
1070단계에서, 제4사용자 단말기에게 전달된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이 만료되면, 디지털 컨텐츠는 제3사용자 단말기에게 회수될 수 있다. 제4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는 삭제되며, 제3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의 DRM 정보(예를 들어, 현재 라이센스 개수)는 변경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책, 음악, 영화 등의 디지털 컨텐츠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한 프로그램의 전달 및 회수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일의 암호화 범위에 따라 각종 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 200: 제1사용자 단말기
300: 제2사용자 단말기

Claims (26)

  1.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변경하는 DRM부;
    상기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RM부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추가된 초기 DRM 영역을 기초로 상기 DRM 정보를 변경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DRM 영역은 상기 DRM부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상기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DRM부는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상기 DRM 정보를 변경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상세정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개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현재 보유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현재 회수 가능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수신한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에게 전송가능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전달, 복사 및 양도 가능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회수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는 저장 관리부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회수되면, 상기 DRM부는 상기 DRM 정보를 재변경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1회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 다운로딩으로 복수 개의 라이센스-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개수-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처리부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13. 사용자 단말기의 디지털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구매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14. 상기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할 때 적용된 초기 DRM 영역을 기초로 상기 DRM 정보를 변경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DRM 영역은 상기 DRM부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상기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상기 DRM 정보를 변경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상세정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개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현재 보유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현재 회수 가능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개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전달, 복사 및 양도 가능하며,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회수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상기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가 회수되면, 상기 DRM 정보를 재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1회의 상기 디지털 컨텐츠 다운로딩으로 복수 개의 라이센스-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구매 개수-를 획득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방법.
  24. 디지털 컨텐츠를 판매하는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 및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로부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하며, 상기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와 관련된 상기 DRM 정보를 변경하는 DRM부;
    상기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 공급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구매한 조건을 이용하여 상기 DRM 정보를 생성하는 DRM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암호화부; 및
    상기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
KR1020100078113A 2010-08-13 2010-08-13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KR101308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13A KR101308162B1 (ko) 2010-08-13 2010-08-13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US13/190,024 US20120042393A1 (en) 2010-08-13 2011-07-25 User terminal,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content
EP11176253A EP2418602A2 (en) 2010-08-13 2011-08-02 User terminal,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digital content
CN2011102283552A CN102377767A (zh) 2010-08-13 2011-08-10 用于传送数字内容的用户终端、方法和系统
JP2011176074A JP5395855B2 (ja) 2010-08-13 2011-08-11 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送信するためのユーザ端末、方法、及び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13A KR101308162B1 (ko) 2010-08-13 2010-08-13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31A true KR20120015731A (ko) 2012-02-22
KR101308162B1 KR101308162B1 (ko) 2013-09-12

Family

ID=4450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13A KR101308162B1 (ko) 2010-08-13 2010-08-13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042393A1 (ko)
EP (1) EP2418602A2 (ko)
JP (1) JP5395855B2 (ko)
KR (1) KR101308162B1 (ko)
CN (1) CN1023777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573A (ko) * 2014-01-17 2015-07-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897032B1 (ko) * 2018-04-26 2018-09-10 이준엽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저작권 보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5292B2 (ja) * 2012-09-25 2016-10-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書籍管理方法、サーバー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006402A1 (en) * 2013-06-28 2015-01-01 Kobo Inc. Controlling temporary transfers of digital content items amongst users
US20150006359A1 (en) * 2013-06-28 2015-01-01 Kobo Inc. Network-based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user-specified transaction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items amongst users
US9294793B2 (en) * 2013-06-28 2016-03-22 Kobo Inc. Implementing user-specified transaction parameters for transferring digital content items amongst users
JP6513454B2 (ja) * 2015-03-31 2019-05-15 株式会社フジミ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研磨物の製造方法
JP6256430B2 (ja) * 2015-08-17 2018-01-1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コンテンツ提供サーバ、コンテンツ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115670B2 (ja) * 2016-03-28 2017-04-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書籍管理方法、サーバー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6840A (en) * 1993-07-06 1995-05-16 Phoenix Technologies, Ltd. Software catalog encoding method and system
JP2000155734A (ja) * 1998-11-19 2000-06-06 Sony Corp 利用許諾方法及びこの利用許諾方法を利用した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送信及び/又は受信方法及び情報送信及び/又は受信装置
US7130829B2 (en) * 2001-06-29 2006-10-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40053170A (ko) * 2001-10-17 2004-06-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안전한 단일 구동 복제 방법 및 장치
US7222106B2 (en) * 2002-05-21 2007-05-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chanisms for handling software license agreements on multi-user system
KR100493900B1 (ko) * 2003-08-21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간 콘텐츠에 대한 권한정보의 공유방법
JP2007025791A (ja) * 2005-07-12 2007-02-01 Renesas Technology Corp 記憶装置及び情報処理端末
US8094794B2 (en) * 2006-09-27 2012-01-1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dvertising message referrals
CN101526985A (zh) * 2008-03-04 2009-09-09 索尼(中国)有限公司 数字权限管理客户端系统及方法和数字权限管理系统
JP4768792B2 (ja) 2008-09-26 2011-09-07 富士ソフト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コンテンツ配信処理ユニット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20100047435A (ko) * 2008-10-29 2010-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00048726A (ko) * 2008-10-31 2010-05-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사용권한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78113A (ko)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6573A (ko) * 2014-01-17 2015-07-2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컨텐츠 제공 장치의 컨텐츠 공유 방법
KR101897032B1 (ko) * 2018-04-26 2018-09-10 이준엽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장치 및 저작권 보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043418A (ja) 2012-03-01
JP5395855B2 (ja) 2014-01-22
EP2418602A2 (en) 2012-02-15
CN102377767A (zh) 2012-03-14
KR101308162B1 (ko) 2013-09-12
US20120042393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162B1 (ko)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KR101028601B1 (ko) 애플리케이션들 및 미디어 콘텐츠의 보호되는 배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225097B2 (en) Anchor point-based digital content protection
US88926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umer-to-consumer lending of digital content
JP4786222B2 (ja) ディジタル権利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
KR100809292B1 (ko) 디지털 저작권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70109804A (ko) 디지털 컨텐츠 사용을 위한 권리객체 발급 방법 및 장치
WO2021128244A1 (zh) 一种注册授权方法及系统
CN105893792B (zh) 数字版权管理方法、装置和系统
JP2002334173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サーバ及び端末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3366304A (zh) 一种虚拟商品使用权的转让方法、装置和设备
JP4541901B2 (ja) 保護情報の使用を権限付与する携帯用権限付与装置及び関連方法
JP4634392B2 (ja) 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方法、サーバ、コンテンツ利用装置及びシステム
TW200849080A (en) Logon, registration and authoriz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downloading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US20230102525A1 (en) Cryptographic token right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ing trusted ledgers
KR20120015732A (ko)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US201301451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iphering/decipher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object
KR101575840B1 (ko) 사적복제 지원 전자책 보호 시스템 및 방법
WO2011034094A1 (ja) 著作物販売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90082018A (ko) 전자책 배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383650B1 (ko) 디지털 콘텐츠 판매 중개 장치 및 방법
JP2003216828A (ja) コンテンツ販売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4080440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20135127A (ko) 전자책 관리 방법 및 서버
KR20090047937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컨텐츠 권한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