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732A -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732A
KR20120015732A KR1020100078114A KR20100078114A KR20120015732A KR 20120015732 A KR20120015732 A KR 20120015732A KR 1020100078114 A KR1020100078114 A KR 1020100078114A KR 20100078114 A KR20100078114 A KR 20100078114A KR 20120015732 A KR20120015732 A KR 20120015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erminal
drm
information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78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732A/ko
Priority to US13/185,282 priority patent/US20120041848A1/en
Publication of KR20120015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7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이 기록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구매하는 단계와, 사용자 단말기가 DRM 정보 중 구매 조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User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Contents Marketing}
본 발명은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변경하여 보다 편리하게 컨텐츠를 유통할 수 있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는 예를 들어, 전자책(e-book), 다운로드 가능한 음악/영화 파일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전자책은 컨텐츠의 형태로 전자 기록매체에 도서의 내용을 기록한 디지털 도서로서, 사용자는 해당 도서의 전자책을 구매하여 단말기에 다운로딩할 수 있다. 컨텐츠 공급자는 자체적으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를 전자책에 적용한다. 특히, 컨텐츠 공급자는 일반적으로 DRM에 유동성을 부여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매한 디지털 컨텐츠를 타인과 공유하거나 타인에게 양도하는 등의 기능을 디지털 컨텐츠에 적용할 수 없다. 이는, 컨텐츠를 구매한 업체에게도 동일한 불편함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를 판매하는 업체 또는, 사용자가 전자책과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판매, 공유 또는 양도 등 다양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는 DRM부;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컨텐츠 처리부; 및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DRM부는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할 때 추가된 초기 DRM 영역을 기초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초기 DRM 영역은 DRM부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며, DRM부는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판매자 사용 영역에는, 컨텐츠의 상세정보, 컨텐츠의 구매 개수,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구매자 사용 영역에는,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현재 보유한 컨텐츠의 개수, 현재 회수 가능한 컨텐츠의 개수,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외부 단말기에게 컨텐츠를 전송하는 경우, DRM부는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암호화된 컨텐츠는 외부 단말기에게 전달 및 양도 가능하며, 외부 단말기로부터 회수 가능하다.
암호화된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는 저장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가 회수되면, DRM부는 DRM 정보를 재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1회의 컨텐츠 다운로딩으로 복수 개의 라이센스-컨텐츠의 구매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컨텐츠 공급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는 외부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은,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구매한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변경하는 단계는,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할 때 적용된 초기 DRM 영역을 기초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초기 DRM 영역은 DRM부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며, 변경하는 단계는,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암호화된 컨텐츠가 외부 단말기로 전송되면,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가 회수되면, DRM 정보를 재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암호화하는 단계는, 외부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은, 컨텐츠를 판매하는 컨텐츠 공급 서버; 및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하며, 구매한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를 변경하고,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규모로 운영되는 컨텐츠 공급 업체 또는 사용자는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구매한 컨텐츠를 주변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컨텐츠 공급 서버의 개입없이 DRM 정보를 변경한 후, 변경된 DRM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 간의 컨텐츠 전송이 가능하고, 무분별한 복제가 아닌 전달 및 회수의 개념을 적용함으로써, 컨텐츠의 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공급 서버는 컨텐츠의 전달 가능 여부, 라이센스 개수, 대여 기간 등 다양한 조건을 설정하여 판매할 수 있다. 이는, 컨텐츠 공급 서버 간의 자유로운 경쟁 활동을 유발하며, 컨텐츠의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업체는 컨텐츠의 가격을 저렴하게 하면서 컨텐츠의 전송을 제한하고, B업체는 고가의 가격을 책정하면서 전달이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판매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DRM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초기 DRM 영역과 변경된 DRM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복수 개의 라이센스를 구매한 후 복수 개의 외부 단말기에게 컨텐츠를 대여하는 경우, 변경되는 DRM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사용자 단말기의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RM 확장에 따라 컨텐츠를 구매 및 전달하는 개괄적인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급 서버(10)와 제1 내지 제4단말기들(11~14, 12a, 13a, 14a~14d) 간의 컨텐츠 유통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 서버(10)는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는 자격을 보유하고,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이다. 컨텐츠는 디지털 형태를 가지며, 전자책, 음악, 동영상, 정지영상 등 다양한 종류를 갖는다. 컨텐츠 공급 서버(10)는 컨텐츠의 저작권을 소유한 저작권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위임을 받거나 또는 컨텐츠의 저작권을 구매하여 상기 자격을 보유할 수 있다.
컨텐츠 공급 서버(10)는 컨텐츠의 특성(예를 들어, 베스트셀러의 여부)과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 등을 참조하여 컨텐츠의 가격을 책정할 수 있다. DRM 정보는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을 기록하며, 컨텐츠 공급 서버(10)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DRM 정보에 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컨텐츠 공급 서버(10)는 가격과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판매하기 위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서 'A'는 컨텐츠 공급 서버(10)에게 컨텐츠의 검색 및 구매를 요청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1)는 컨텐츠 공급 서버(10)에게 정보를 요청하는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검색 및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B'는 사용자가 검색한 결과, 즉, 컨텐츠 검색 정보를 제1단말기(11)에게 다운로딩하고, 사용자가 구매한 컨텐츠를 판매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1)는, 컨텐츠 공급 서버(10)에서 제1단말기(11)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에 의해, 컨텐츠를 구매 및 다운로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단말기들(11~14)은 컨텐츠 공급 서버(10)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제1단말기(11)는 다른 단말기에게 추가 배포할 수 없는, 즉, 전송할 수 없는 컨텐츠를 구입하였다. 따라서, 제1단말기(11)는 컨텐츠 공급 서버(10)로부터 구매한 컨텐츠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전송'은 컨텐츠의 전달, 대여, 복사 양도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한다.
제2단말기(12)는 컨텐츠 공급 서버(10)로부터 전송이 가능한 컨텐츠를 구매하였다. 따라서, 제2단말기(12)는 컨텐츠 공급 서버(10)의 개입없이, 제2-1단말기(12a)에게 구매한 컨텐츠를 대여하고, 대여한 컨텐츠를 회수할 수 있다.
제2-1단말기(12a)는 제2단말기(12)로부터 컨텐츠를 유료 또는 무료로 대여받을 수 있다.
제3단말기(13)는 컨텐츠 공급 서버(10)로부터 다른 단말기에게 양도가 가능한 컨텐츠를 구매하였다. 따라서, 제3단말기(13)는 제3-1단말기(13a)에게 컨텐츠의 소유권과 컨텐츠를 양도할 수 있다. 이로써, 제3단말기(13)는 컨텐츠의 소유권을 잃게 된다.
제3-1단말기(13a)는 제3단말기(13)가 구입한 컨텐츠의 소유권을 제3단말기(13)로부터 이전받는다.
제4단말기(14)는 컨텐츠 공급 서버(10)로부터 컨텐츠를 다단계로 전송하며, 양도가 가능한 컨텐츠를 구매하였다. 도 1의 경우, 제4단말기(14)는 3개의 라이센스를 구매하여, 각각 제4-1단말기(14a), 제4-2단말기(14b) 및 제4-3단말기(14c)에게 컨텐츠를 동시에 대여하거나 양도할 수 있다. 반면, 제4단말기(14)가 2개의 라이센스를 구매한 경우, 제4단말기(14)는 제4-1단말기(14a), 제4-2단말기(14b) 및 제4-3단말기(14c)에게 컨텐츠를 동시에 대여하거나 양도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 제4단말기(14)는 대여한 컨텐츠를 회수하여 다시 대여 또는 양도할 수 있다.
제4-1단말기(14a)는 컨텐츠 공급 서버(10)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가입되어 있지 않다. 제4-1단말기(14a)는 제4단말기(14)에 접속하여 제4단말기(14)로부터 컨텐츠를 대여할 수 있다. 이 때, 제4단말기(14)에 여유분의 라이센스가 없다면, 제4-1단말기(14a)는 컨텐츠를 대여할 수 없다. 제4-1단말기(14a)는 컨텐츠를 사용한 후, 제4단말기(14)에게 컨텐츠를 반환하거나 또는 라이센스를 반환할 수 있다.
제4-2단말기(14b)는 제4-1단말기(14a)와 마찬가지로 제4단말기(14)로부터 컨텐츠를 대여할 수 있다. 이 때, 제4-2단말기(14b)는 대여한 컨텐츠를 다시 제4-4단말기(14d)에게 대여 및 회수할 수 있다.
제4-3단말기(14c)는 제4단말기(14)로부터 1개의 라이센스를 가지는 컨텐츠를 양도받는다. 양도 이후, 즉, 컨텐츠의 소유권 이전 후,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범위는 제4단말기(14)가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 조건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4-4단말기(14d)는 제4-2단말기(14b)가 대여한 컨텐츠에 대해, 제4-2단말기(14b)에게 대여를 요청한다. 제4-4단말기(14d)는 컨텐츠를 사용한 후 제4-2단말기(14b)에게 반납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와 제2 및 제3컨텐츠 공급 서버들(30, 40) 간의 컨텐츠 유통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는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는 자격을 보유하고, 최초의 판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형 업체이다.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는 컨텐츠 유통 시장에서, 지배적인 컨텐츠 유통을 담당하는 대형 업체를 총칭할 수 있다. 여기서 지배적이란, 규모뿐만 아니라, 특정 분야에 특화되어 있어 독점적 배포가 가능한 업체도 포함할 수 있다.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는 DRM 정보의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을 기록 및 조정할 수 있다.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컨텐츠 공급 서버(10)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서 'A'는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에게 컨텐츠의 검색 및 구매를 요청하는 일련의 과정이며, 'B'는 제2 및 제3컨텐츠 공급 서버(30, 40)의 관리자가 검색한 결과, 즉, 컨텐츠 검색 정보를 제2 및 제3컨텐츠 공급 서버(30, 40)에게 다운로딩하고, 구매한 컨텐츠를 판매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는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구매하고, 구매한 컨텐츠를 다시 단말기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은 유료 전송 또는 무료 전송을 포함하며, 대여 또는 판매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는 컨텐츠의 DRM 정보 중 판매 조건은 변경할 수 없으며, 구매 조건은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는 컨텐츠를 유통하는 규모가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에 비해 작을 수 있으며, 오프라인의 경우, 하나의 체인점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는 도서관, 학교, 학원, 컨텐츠 대여점 등 유상 또는 무상으로 대여 행위를 하는 업체일 수 있다.
제1 내지 제3단말기(51, 52, 53)는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로부터 유료 또는 무료로 전송받은 컨텐츠를 사용하며, 사용 후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에게 선택적으로 반납할 수 있다.
제3컨텐츠 공급 서버(40)는 제2컨텐츠 공급 서버(3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즉, 제3컨텐츠 공급 서버(40)는 제1컨텐츠 공급 서버(20)와는 별도의 유통 시스템을 특화하여, 컨텐츠를 유무상으로 배포할 수 있다.
제4 내지 제6단말기(54, 55, 56)는 제3컨텐츠 공급 서버(40)로부터 유료 또는 무료로 전송받은 컨텐츠를 사용하며, 사용 후 제3컨텐츠 공급 서버(40)에게 선택적으로 반납할 수 있다. 또한, 제4단말기(54)는 제3컨텐츠 공급 서버(40)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를 제4-1단말기(54a)에게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컨텐츠 공급 서버(300)와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공급 서버(3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컨텐츠 공급 서버(300)는 도 1의 서버(10) 또는 도 2의 서버들(20, 30)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공급 서버(300)는 컨텐츠 관리부(310), 컨텐츠 DB(DataBase)(320), UI(User Interface) 처리부(330), DRM 생성부(340), 암호화부(350), 서버 통신부(360) 및 서버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10)는 판매가 가능한 복수 개의 컨텐츠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관리부(310)는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DB(320)는 판매 가능한 복수 개의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UI 처리부(330)는 서버(300)에서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하여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UI를 생성하여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할 수 있다. UI의 예로는 서버(300)의 웹페이지를 들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가 제1사용자 단말기(700)를 이용하여 서버(300)에 접속한 경우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한 UI(4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4에 도시된 UI(400)는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UI(400)는 판매 조건을 보여주는 제1영역(410), 구매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2영역(420), 구매 요청을 위한 버튼(430), 이전 화면으로의 이동을 요청하기 위한 버튼(440) 및 구매 취소를 위한 버튼(45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AAA'라는 컨텐츠를 구매하기 위하여, 제2영역(420)에서 구매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2영역(420)에서 구매자, 구매할 라이센스 개수, 최대 전달 횟수, 복사 여부 및 양도 여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430)을 선택하면, UI 처리부(330)는 과금 프로세스를 위한 UI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버튼(430)을 선택하면, 후술할 과금 처리부(371)는 자동으로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DRM 생성부(340)는 제1사용자 단말기(700)가 컨텐츠를 구매한 조건을 이용하여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RM 생성부(340)는 구매자에게 판매되는 컨텐츠의 판매 조건과 구매자가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DRM 정보는 컨텐츠에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기 DRM 영역(520)을 포함하는 컨텐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구조는 컨텐츠 영역(510) 및 초기 DRM 영역(520)을 포함하며, 초기 DRM 영역(520)은 판매자 사용 영역(521)과 구매자 사용 영역(523)을 포함한다.
컨텐츠 영역(510)은 구매자가 구매한 컨텐츠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구매자가 전자책을 구매한 경우, 컨텐츠 영역(510)에는 전자책의 내용에 대한 컨텐츠가 기록된다.
초기 DRM 영역(520)은 DRM 생성부(340)에서 생성되는 DRM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이다. DRM 정보 중 판매 조건은 판매자 사용 영역(521)에 기록되며, 구매 조건은 구매자 사용 영역(523)에 기록될 수 있다. 판매자 사용 영역(521)은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DRM부(750)에 의해 변경이 불가하며, 구매자 사용 영역(523)은 DRM부(750)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판매 조건은 구매 조건과 무관하게 컨텐츠 별로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관리자는 컨텐츠 공급 서버(300)의 관리자 또는 저작권 소유자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판매 조건을 참조하여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다. 또한, 판매 조건은 컨텐츠 공급자(300)의 관리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다만, 선택적으로, 판매 조건은 구매자의 요청에 의해 변경되거나, 컨텐츠의 구매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판매자 사용 영역(521)에는, 컨텐츠의 상세정보, 컨텐츠의 라이센스 개수,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컨텐츠의 복사 가능 횟수 및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구매자 사용 영역(523)에는,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컨텐츠의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 컨텐츠의 현재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컨텐츠의 복사 가능 횟수,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라이센스 개수는 동일한 컨텐츠가 구매된 개수로서, 예를 들어, 전자책을 3권 구매한 경우, 라이센스 개수는 3이다. 따라서, 제1사용자 단말기(700)는, 컨텐츠 공급 서버(300)로부터 1회의 컨텐츠 다운로딩으로 3개의 라이센스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사용자 단말기(700)가 컨텐츠 1개를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전달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저장된 DRM 정보의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는 '2'가 된다.
도 6은 컨텐츠를 구매할 때 컨텐츠에 추가되는 초기 DRM 영역(600) 중 판매자 사용 영역(610)과 구매자 사용 영역(620)에 설정된 DRM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초기 DRM 영역(600)은 컨텐츠 공급 서버(300)에서 만들어진 후, 컨텐츠에 포함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700)로 전송된다. 이로써, 컨텐츠의 구매가 완료된다.
판매자 사용 영역(610)에 기록된 판매 조건을 참조하면, 컨텐츠의 구매가능한 라이센스 개수는 1개, 무제한 전달이 가능하며, 한 번에 최대 2명 전달 가능하며, 양도가 가능하다.
또한, 구매자 사용 영역(620)에 기록된 구매 조건을 참조하면, 컨텐츠를 구매한 구매자는 '단말1', 현재 컨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단말1',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는 '1'개,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는 '0'개,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2'회, 컨텐츠의 전달 시 대여 기간은 무제한임을 알 수 있다.
회수 가능한 라이센스 개수가 '0'임은 아직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컨텐츠가 전송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추가 전달 가능 횟수가 '2'임은, 한 번에 2명까지 전달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컨텐츠를 전달하면,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1'이 되며, 사용자 B가 사용자 C에게 동일한 컨텐츠를 전달하면, 추가 전달 가능 횟수는 '0'이 되어, 더 이상 컨텐츠는 전달될 수 없으며, 회수되어야 한다. 대여 기간은 컨텐츠를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부(350)는 DRM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암호화부(350)는 구매자의 구매 요청이 있으면,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인증정보는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고유 번호는 IMEI(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를 예로 들 수 있다. IMEI는 제조업자에 의해 할당된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일련번호이다.
서버 통신부(360)는 암호화된 컨텐츠를 통신망(미도시)을 통해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70)는 제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 공급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70)의 과금 처리부(371)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70)는 과금이 완료되면, 상기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하도록 암호화부(3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유통을 위한 제1사용자 단말기(7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1사용자 단말기(700)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기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사용자 단말기(700)는 통신부(710), 저장부(720), 표시부(730), 사용자 입력부(740), DRM부(750), 컨텐츠 처리부(760), 저장 관리부(770) 및 제어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700)는 컨텐츠 공급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하고, 구매한 컨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단말기로서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통신부(710)는 컨텐츠 공급 서버(300), 제1사용자 단말기(700) 및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 간의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구매된 컨텐츠를 컨텐츠 공급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720)는 컨텐츠 공급 서버(300)를 통해 구매한 컨텐츠를 파일 형태로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720)에는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표시부(730)는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각종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UI,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특히, 표시부(730)는 저장부(720)에 저장된 컨텐츠의 파일 리스트를 표시한다. 이 때, 파일 리스트에는 유효한 파일들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저장부(720)에는 저장되어 있으나,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전송되어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서 사용할 수 없는 컨텐츠의 경우, 이 컨텐츠의 파일명은 표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전송'은 전달, 복사 및 양도 등 컨텐츠의 이동과 관련된 동작을 의미한다. 전송된 컨텐츠는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4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패널로서, 다수의 버튼, 방향키, 터치 패널 등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740)는 표시부(730)에 도 4와 같은 UI가 표시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구매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7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대한 신호는 제어부(780)로 전달된다.
DRM부(750)는 컨텐츠에 대해 설정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즉, DRM부(750)는 컨텐츠 공급 서버(300)로부터 컨텐츠를 구매할 때 추가된 초기 DRM 영역(520)을 기초로 DRM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DRM부(750)는 구매한 컨텐츠에 포함된 초기 DRM 영역(520) 중 판매자 사용 영역(521)의 내용, 즉, 판매 조건을 분석하며, 파일 전송 조건을 관리할 수 있다. 파일 전송 조건은 구매 조건에 포함되거나 또는 구매 조건을 의미한다. 컨텐츠, 즉, 파일이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되는 경우, DRM부(750)는 구매자 사용 영역(523)에 저장된 구매 조건을 변경하고, 변경된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DRM 정보를 컨텐츠에 저장한다. 또한,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된 컨텐츠가 회수되면, DRM부(750)는 회수된 컨텐츠의 DRM 정보를 재변경할 수 있다.
도 8은 제1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된 컨텐츠에 포함된 DRM 정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DRM 정보는 도 6의 초기 DRM 영역(600)에 저장된 DRM 정보가 DRM부(750)에 의해 변경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된 컨텐츠의 DRM 영역(800)은 판매자 사용 영역(810)과 구매자 사용 영역(820)을 포함한다. 판매자 사용 영역(810)은 제1사용자 단말기(700)가 처음 컨텐츠를 구매할 때와 동일하다.
구매자 사용 영역(820)의 구매 조건은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DRM부(750)에 의해 구매자 사용 영역(620)의 구매 조건이 변경된 것이다. 구매자 사용 영역(820)을 참조하면, 컨텐츠 구매자는 동일하며, 현재 보유자는 '단말2'로 변경되었다. 현재 보유 라이센스 개수와 회수 가능 라이센스 개수는 컨텐츠를 제1사용자 단말기(700)로부터 대여한 것이므로, 각각 '1'과 '0'이다.
또한, 도 6에서 추가 전달 가능 횟수가 '2'로 되어 있었으므로,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사용자는 외부 단말기로 1회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제1사용자 단말기(700)가 대여 기간을 설정한 후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컨텐츠를 전달한 경우, 대여 기간이 경과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 저장된 컨텐츠는 삭제된다. 이와 함께,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서, DISABLE로 설정된 컨텐츠는 ENABLE 상태로 변경되어, 잠금이 해제되며, 따라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된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저장된 컨텐츠의 DRM 정보가 변경된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9의 변경된 DRM 정보는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저장된 컨텐츠에 포함된 정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컨텐츠가 전송됨으로써,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DRM 영역(900)은 판매자 사용 영역(910)과 구매자 사용 영역(920)을 포함한다. 판매자 사용 영역(910)은 제1사용자 단말기(700)가 처음 컨텐츠를 구매할 때와 동일하다.
구매자 사용 영역(920)의 구매 조건은 DRM부(750)에 의해 구매자 사용 영역(620)의 구매 조건이 변경된 것이다. 구매자 사용 영역(920)을 참조하면, 컨텐츠 구매자는 동일하며, 현재 보유자는 '단말2'로 변경되었다.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대여 또는 전달하였으므로, 현재 보유 라이센스 개수는 '0'이며, 회수 가능 라이센스 개수는 '1'이다.
또한, 도 6에서 추가 전달 가능 횟수가 '2'로 되어 있고,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1회 전송되었으므로, 제1사용자 단말기(700)는 더 이상 컨텐츠를 전송할 수 없다.
대여 기간이 무제한인 경우, 전송된 컨텐츠는 반드시 회수되어야 하므로,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컨텐츠가 전송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 저장된 컨텐츠는 삭제될 수 있다. 반면, 대여 기간이 일정 기간까지 설정된 경우, 컨텐츠는 삭제되지 않고 다만 상술한 DISABLE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는,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회수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사용자 단말기(700)가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컨텐츠를 양도하는 경우, 도 9의 컨텐츠 구매자는 '단말2'로 변경되며, 제1사용자 단말기(700) 내에서 컨텐츠는 삭제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컨텐츠 처리부(760)는 통신부(710)에서 수신된 컨텐츠의 암호화 해제 및 암호화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760)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암호화를 해제할 수 있다. 컨텐츠 공급 서버(300)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한 경우, 컨텐츠 처리부(760)는 고유 번호를 이용하여 암호를 해제한다.
또한, 구매한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전송하는 경우, 컨텐츠 처리부(760)는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정보는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하나일 수 있다. 컨텐츠 처리부(760)는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정보를 이용하여, DRM부(750)에서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저장 관리부(770)는 DRM부(750) 및 컨텐츠 처리부(760)에서 컨텐츠가 암호화되거나 DRM 정보가 변경되면, 컨텐츠의 저장, 삭제, 상태 변경 등을 담당한다. 특히, 저장 관리부(770)는 암호화된 컨텐츠가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 전송되면, 제1사용자 단말기(700)에서는 동일한 컨텐츠의 사용이 불가하도록 잠금설정을 수행하고, 컨텐츠의 상태를 DISABLE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관리부(770)는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로부터 컨텐츠가 회수되면 컨텐츠의 상태를 ENABLE로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780)는 제어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등을 이용하여 상술한 제1사용자 단말기(7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780)는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 중 구매 조건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전송하도록 통신부(7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720)에 저장된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에게 유료로 대여하거나 재판매하는 경우, 과금 처리부(781)는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디지털 컨텐츠 전송 시스템의 컨텐츠 유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의 제1컨텐츠 공급 서버, 제2컨텐츠 공급 서버, 제1사용자 단말기 및 제2사용자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컨텐츠 공급 서버(10, 300), 제2컨텐츠 공급 서버(20), 제1사용자 단말기(700) 및 제2사용자 단말기(미도시)일 수 있다.
1002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컨텐츠 공급 서버에게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할 수 있다.
1004단계에서, 제1컨텐츠 공급 서버는 요청된 컨텐츠를 구매 프로세스에 따라 판매하고, 컨텐츠를 제2컨텐츠 공급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1006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전송받은 컨텐츠를 저장한다.
1008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컨텐츠 공급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의 구매를 시도할 수 있다.
1010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도 4와 같은 UI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1012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도 4와 같은 UI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구매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1014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
1016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1018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2컨텐츠 공급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1020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및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1022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구매 조건을 이용하여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1024단계에서, 제2컨텐츠 공급 서버는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컨텐츠의 판매 및 구매가 완료된다.
1026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구매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1028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제1사용자 단말기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103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1032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는 수신된 컨텐츠 리스트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원하는 컨텐츠 선택을 입력받는다.
1034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선택된 컨텐츠의 전달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전송은 대여, 복사 또는 양도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1036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인증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1038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로서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104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와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될 컨텐츠에 대한 DRM 정보를 변경한다. DRM 정보의 변경은 구매 당시 라이센스 개수, 현재 보유한 라이센스 개수, 양도 여부 등 구매 조건에 따라 다르게 변경될 수 있다.
1042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변경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고, 1044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츠를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한다.
1046단계에서, 제2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전송이 완료되었음이 보고되면, 1048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컨텐츠를 삭제하거나 또는 잠금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컨텐츠를 양도한 경우,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컨텐츠를 삭제하며, 컨텐츠를 대여한 것이면, 컨텐츠의 상태를 DISBALE로 설정할 수 있다.
105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2사용자 단말기에게 사용 허가를 발송한다. 이에 의해, 제2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컨텐츠의 DRM 영역은 확정되어, 제2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1052단계에서, 1040단계에서 변경된 DRM 영역의 대여 기간이 만료되면 컨텐츠는 제1사용자 단말기로 회수된다. 1044단계의 동작이 컨텐츠를 양도한 것이면, 1052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한편, 도 11의 1054단계 내지 1070단계는 제1사용자 단말기가 제1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직접 컨텐츠를 구매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1054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제1컨텐츠 공급 서버에 접속하여 컨텐츠의 구매를 시도할 수 있다.
1056단계에서, 제1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도 4와 같은 UI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1058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도 4와 같은 UI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선택되는 구매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1060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컨텐츠의 구매를 요청한다.
1062단계에서, 제1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인증 정보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다.
1064단계에서, 제1사용자 단말기는 인증 정보로서, 제1사용자 단말기의 고유 번호 및 개인 인증서 중 적어도 하나를 제1컨텐츠 공급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1066단계에서, 제1컨텐츠 공급 서버는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인증 및 과금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1068단계에서, 제1컨텐츠 공급 서버는 제1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가 설정한 구매 조건을 이용하여 DRM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1070단계에서, 제1컨텐츠 공급 서버는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제1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컨텐츠의 판매 및 구매가 완료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책, 음악, 영화 등의 컨텐츠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한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구매한 프로그램의 전달 및 회수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일의 암호화 범위에 따라 각종 컨텐츠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컨텐츠 공급 서버 200: 제1사용자 단말기
300: 제2사용자 단말기

Claims (24)

  1. 사용자 단말기가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이 기록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구매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DRM 정보 중 상기 구매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구조는, 상기 DRM 정보가 기록되는 DRM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DRM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의 상세정보, 상기 컨텐츠의 구매 개수, 상기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및 상기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상기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현재 보유한 상기 컨텐츠의 개수, 현재 회수 가능한 상기 컨텐츠의 개수, 상기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상기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상기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상기 구매 조건에 따라 과금이 조정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구매 조건을 변경하고, 상기 변경된 구매 조건이 기록된 DRM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포함시켜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구매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판매하는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구매 조건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구매 조건 및 기설정된 상기 판매 조건이 기록된 상기 DRM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다운로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대여 또는 양도하는 단계인,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대여된 경우, 상기 대여된 컨텐츠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회수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컨텐츠의 DRM 정보를 변경하여 다른 단말기에게 전송가능한,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11. 컨텐츠를 공급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구매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있어서,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이 기록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의 구매 결정에 따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DRM 정보 중 상기 구매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구조는, 상기 DRM 정보가 기록되는 DRM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DRM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의 상세정보, 상기 컨텐츠의 구매 개수, 상기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및 상기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는, 상기 컨텐츠의 최초 구매자 정보, 현재 상기 컨텐츠를 보유한 사용자 정보, 현재 보유한 상기 컨텐츠의 개수, 현재 회수 가능한 상기 컨텐츠의 개수, 상기 컨텐츠의 전달 가능 횟수, 상기 컨텐츠의 양도 가능 횟수 및 상기 컨텐츠의 대여 기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기록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구매자 사용 영역에 기록된 상기 구매 조건에 따라 과금이 조정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RM 정보의 상기 구매 조건을 변경하는 DRM부; 및
    상기 변경된 구매 조건이 기록된 DRM 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포함시켜 암호화하는 컨텐츠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상기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구매 조건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선택된 구매 조건 및 기설정된 상기 판매 조건이 기록된 상기 DRM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통신부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단말기에게 대여 및 양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대여된 경우, 상기 대여된 컨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회수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단말기는 상기 수신된 컨텐츠의 DRM 정보를 변경하여 다른 단말기에게 전송가능한,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21. 컨텐츠를 공급하는 서버가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이 기록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사용자 단말기에게 판매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를 구매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구매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구조는, 상기 DRM 정보가 기록되는 DRM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DRM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 관리 방법.
  23. 사용자 단말기에게 컨텐츠를 공급하는 서버에 있어서,
    판매 조건과 구매 조건이 기록된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정보를 생성하는 DRM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DRM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서버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구매 조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를 외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서버.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구조는, 상기 DRM 정보가 기록되는 DRM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DRM 영역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불가한 판매자 사용 영역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한 변경이 가능한 구매자 사용 영역을 포함하는, 컨텐츠 유통을 위한 서버.
KR1020100078114A 2010-08-13 2010-08-13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KR201200157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14A KR20120015732A (ko) 2010-08-13 2010-08-13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US13/185,282 US20120041848A1 (en) 2010-08-13 2011-07-18 Terminal, server, and method for content distribu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114A KR20120015732A (ko) 2010-08-13 2010-08-13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732A true KR20120015732A (ko) 2012-02-22

Family

ID=4556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114A KR20120015732A (ko) 2010-08-13 2010-08-13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041848A1 (ko)
KR (1) KR201200157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462A1 (ko) * 2018-03-06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콘텐츠의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26433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비클립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3845B1 (en) * 1995-02-13 2006-11-07 Intertrust Technologies Corp. System and methods for secure transaction management and electronic rights protection
US6989484B2 (en) * 2001-04-17 2006-01-24 Intel Corporation Controlling sharing of files by portable devices
JP2005012282A (ja) * 2003-06-16 2005-01-13 Toshiba Corp 電子商品流通システム、電子商品受信端末、及び電子商品流通方法
JP4466148B2 (ja) * 2004-03-25 2010-05-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ネットワーク転送対応コンテンツ利用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US20080005034A1 (en) * 2006-06-09 2008-01-03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Use of Trusted Third Parties for Additional Content-Sharing Security
KR20100047435A (ko) * 2008-10-29 2010-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콘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462A1 (ko) * 2018-03-06 2019-09-12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콘텐츠의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10126433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비클립 디지털 컨텐츠의 이용 권리 증서를 유통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41848A1 (en) 201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3186B (zh) 用于在多平台环境中管理、存储共享数字内容并向用户关系限定的群组中的用户提供共享数字内容的系统
KR101308162B1 (ko) 디지털 컨텐츠 전송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 그 방법 및 시스템
JP4880595B2 (ja) 電子使用許諾および電子コンテンツの効率的配信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1229425A1 (en) Conten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usage management method
US8560455B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multiple rental domains within a single credit card domain
US20140172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inding drm licenses to a customer domain
WO2006121084A1 (ja) ディジタル権利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サーバおよび携帯端末
US20110307362A1 (en) Method of Pay for Performance Accounting
CA2837161A1 (en) Service for managing digital content resales
KR101287929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3527533A (ja) コンテンツ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5893792B (zh) 数字版权管理方法、装置和系统
KR101350104B1 (ko)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US9219791B2 (en) Digital filling station for digital locker content
US8464356B2 (en) Personal library on net
US200900643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rights objects
US201401726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ontent delivery and transaction management
US20140172602A1 (en) Peer-to-peer system for sharing media content
JP4634392B2 (ja) 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方法、サーバ、コンテンツ利用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20015732A (ko) 컨텐츠 유통을 위한 사용자 단말기, 서버 및 그 방법
JP2004013743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保護・販売支援システム
US20140172601A1 (en) Media content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US20140172600A1 (en) Kiosk system for distributing media content
KR101264218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451212B2 (ja) コンテンツ利用権管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