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218B1 -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218B1
KR101264218B1 KR1020110095073A KR20110095073A KR101264218B1 KR 101264218 B1 KR101264218 B1 KR 101264218B1 KR 1020110095073 A KR1020110095073 A KR 1020110095073A KR 20110095073 A KR20110095073 A KR 20110095073A KR 101264218 B1 KR101264218 B1 KR 101264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payment
information
distribution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1478A (ko
Inventor
정주형
Original Assignee
정주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형 filed Critical 정주형
Priority to KR102011009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2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3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1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3Billing, e.g. for subscription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서버의 정보 관리 모듈에서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로부터 업로드되는 원본 파일 및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컨텐츠 수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관리 모듈에서 상기 수신된 원본 파일을 특정 암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 키 값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에 의하여 복호화되어 재생 가능한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파일과 상기 컨텐츠 정보의 하나 이상 및 결제 창 연결 정보를 패키징하여 제1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제1 배포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결제처리 모듈에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결제창을 통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정상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제 처리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 값과 결제요약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승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digital conten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포된 컨텐츠 파일의 실행 시 자동으로 결제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는 키값을 제공받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작권이 있는 파일을 배포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여러 가지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가장 단순한 방법은 파일 다운로드 시 해당 컨텐츠의 저작권료를 지불하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파일 다운로드 후 재배포로 인한 저작권 침해의 우려가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서 서버상에 존재하는 저작권 파일을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시키지 않고 실시간 접속시에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스트리밍 기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인터넷이 가능한 기기로 인터넷 망에 접속된 상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는 단점과, 서버 운영 비용이 높아질 수 있다는 문제점, 그리고 망 속도 제한으로 인하여 서비스 품질이 일부 제한된다는 점이 문제이다.
마지막으로 DRM 기술을 이용하여 저작권 구매자가 자신이 지정한 기기에서 일정 기간 동안에만 파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DRM 처리된 파일을 보기 위해 별도의 장비 또는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는 점과 다운로드 시 해당 파일을 열람할 기기를 지정하여 서버측으로 전달해야 한다는 불편함 때문에 1회성 다운로드에 적합하지 않고 주로 한번 가입하고 오랜 기간 사용하는 월정액 서비스 등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된다는 점이 단점이다.
이러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관리를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 공개 공보 제10-2007-0053032호 "장치 간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엘지전자)"(문헌 1)에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 이하 DRM이라 한다)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2 장치가 소유하고 있는, DRM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사용권리(Rights Object)를 제1 장치가 사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 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의 위 세 가지 방식은 저작권자가 스스로 파일 서버를 운영하거나, 파일 서버 운영자와 계약을 통해 파일을 배포시킴으로써 컨텐츠 배포 채널이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공통의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2007-0053032 장치 간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엘지전자) 2007.05.23
본 발명의 목적은 자체적으로 복호화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실행할 때, 자동으로 결제 절차를 진행함으로써 서버로부터 복호화할 수 있는 키 값을 제공받을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저작권 파일을 사용하기 위하여 결제 서버에 접속 후 결제 시 해당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키 값 외에 결제자의 정보를 함께 전달하여 복호화된 파일의 로그상에 저장함으로써, 파일이 유포될 경우 해당 파일을 구매하여 복호화한 뒤 유포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게 되어, 저작권 무단 배포를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에 컨텐츠 배포자의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해당 컨텐츠의 결제 시 컨텐츠 배포자에게도 컨텐츠 배포에 따른 수익을 배분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서버의 정보 관리 모듈에서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로부터 업로드되는 원본 파일 및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컨텐츠 수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관리 모듈에서 상기 수신된 원본 파일을 특정 암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 키 값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에 의하여 복호화되어 재생 가능한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파일과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의 하나 이상 및 결제 창 연결 정보를 패키징하여 제1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제1 배포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결제처리 모듈에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결제창을 통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정상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제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 값과 결제요약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승인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에게 전송하는 저작권자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는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을 통해 결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다운로드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여 원본 파일을 복원하는 파일 복호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요약 정보를 상기 복원된 원본 파일의 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결제 정보 기록 단계;를 더 포함한다.
삭제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명, 판매 가격정보 및 등록된 저작권자와 판매자 간의 수익 분배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컨텐츠 수신 단계에서 저작권자 ID, 컨텐츠명, 판매 가격 정보, 저작권자와 판매자 간의 수익 배분율, 결제창 연결 정보 및 암호화 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성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의 배포를 원하는 등록된 파일 배포자로부터의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선택과 판매 권한의 요청을 수신하여 승인하는 파일 배포 권한 요청 수신 단계; 상기 파일 배포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1 배포 파일에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를 추가하여 패키징함으로써 제2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제2 배포 파일 생성단계; 및 상기 제2 배포 파일을 상기 파일 배포자에게 전송하는 파일 배포자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는 파일 배포자 아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배포자 아이디는 제2 배포 파일 생성단계에서, 원본 파일의 로그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키 값을 생성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로부터 업로드되는 원본 파일 및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관리 모듈; 상기 수신된 원본 파일을 특정 암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 키 값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에 의하여 복호화되어 재생 가능한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파일과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의 하나 이상 및 결제 창 연결 정보를 패키징하여 제1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결제창을 통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정상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제처리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결제처리 모듈에서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 값과 결제요약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받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작권자는 파일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받는 형태로서 여러 경로를 통하여 파일을 배포시킬 수 있고, 사용자는 여러 경로를 통해 다운로드 한 파일을 결제 과정을 거쳐 복원화만 진행되면 일반 멀티미디어 파일의 형태와 다름없이 복원되므로 기기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작권자와 파일 배포자와의 계약 없이도 양자가 수익을 배분할 수 있는 구조로 서비스가 운영 가능하므로 컨텐츠의 확산과 배포가 빠르게 일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아울러 복호화된 파일에는 결제를 하면서 복호화를 실시한 결제자의 정보가 함께 기록되어 파일의 무단 배포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 배포자를 통한 디지털 컨텐츠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서비스 주체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전송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단말을 중심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배포자 단말을 중심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암호화 및 복호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실행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통한 회원 가입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단말의 파일 업로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업로드시 정보 등록을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를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제공을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스스로 복호화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내포한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배포하고, 해당 파일 실행 시 자동으로 결제 가능한 서버에 접속하여 결제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결제에 따라 복호화 키 값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파일을 복호화하여 원래의 컨텐츠 파일로 복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저작권자는 자신의 컨텐츠 파일을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여 암호화된 형태의 파일로서 내려받고 이를 배포함으로써 해당 파일이 유포되는 파일 서버에 상관없이 저작권료를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저작권 파일을 사용하기 위하여 결제 서버에 접속 후 결제 시 해당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키 값 외에 결제자의 정보를 함께 전달하여 복호화된 파일의 로그상에 저장한다. 이에 따라 파일이 유포될 경우 해당 파일을 구매하여 복호화한 뒤 유포한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작권 무단 배포를 방지하거나 배포 경로를 추적하여 그에 따른 책임을 물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를 설명한다.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100), 저작권자 단말(110), 통신 네트워크(120), 다운로드 서버(130), 사용자 단말(140) 및 배포자 단말(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서버(100)는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저작권자가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업로드한 컨텐츠 파일을 암호화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종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컨텐츠 파일 실행 시 진행되는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제 서버의 기능은 서비스 서버(1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독립적인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100)에 결제 요청을 하면, 서비스 서버(100)에서 별도의 결제 서버와 연동하여 결제 처리하거나, 다양한 결제 기관(예컨대, 금융 기관)과 연동하여 결제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작권자 단말(11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해당 컨텐츠 파일을 서비스 서버(100)에 업로드하면,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업로드된 컨텐츠 파일에 저작권자의 정보와 가격 등의 정보를 포함한 제1 배포 파일을 생성하여 다시 저작권자 단말(11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에 사용한 키값에 대응하는 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에는 상기 컨텐츠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하나의 파일로 패키징될 수 있으며, 상기 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제공받으면, 상기 복호화 프로그램에 의해 자체적으로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작권자 단말(110)에서 상기 암호화된 파일을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다운로드 서버(130)에 등록하면, 해당 컨텐츠 파일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40)에서 통신 네트워크(120)를 통해 다운로드 서버(130)에 접속하여 상기 해당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 파일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결제 서버(미도시)(예컨대,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를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수단(예컨대, 결제창 등)을 제공받게 된다. 상기 제공된 결제 수단을 통해 상기 실행된 컨텐츠에 대한 결제가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암호화시 저장한 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된 파일이 어떠한 서버에 자유롭게 복제 및 배포되더라도, 결제 및 저작권의 보호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가 아닌 컨텐츠 배포자에게도 컨텐츠 배포에 따른 이익이 분배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즉, 컨텐츠 배포자가 배포자 단말(150)(또는 배포자 서버)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 접속하고, 배포자 정보를 등록하면,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해당 컨텐츠 파일에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를 포함시켜 제2 배포 파일을 생성하여 배포자 단말(150)로 제공한다. 상기 배포자는 자신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제공된 컨텐츠 파일을 상기 다운로드 서버(130)를 포함하여 자신의 파일 서버 또는 외부의 각종 파일 서버에 자유롭게 배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상기 배포자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고, 결제하면, 상기 배포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 금액 중 설정된 일부 금액이 상기 배포자에게 제공된다. 따라서, 저작권자는 미리 파일 배포자를 위한 수익 배분율을 지정하여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상기 통신 네트워크(120)는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단거리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네트워크(120)는 공지의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으며, 적외선(Infrared Data Assosiation; IrDA) 또는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이 단거리 통신에 이용되는 무선전송기술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3G, 4G 등과 같은 공중 무선 통신망을 비롯하여,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LTE 등 어떠한 통신망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는 정보 관리 모듈(210), 컨텐츠 관리 모듈(220), 결제 처리 모듈(230), 및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들(240 내지 28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 관리 모듈(210)은 컨텐츠 정보 수신부(211), 저작권자 정보 수신부(212), 결제 정보 전송부(213) 및 수익 배분율 설정부(2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컨텐츠 관리 모듈(220)은 컨텐츠 암호화부(221), 컨텐츠 패키징부(222), 키값 설정부(223) 및 키값 전송부(224)를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처리 모듈(230)은 결제 요청 수신부(231), 결제창 전송부(232), 결제 정보 수신부(233) 및 결제 처리부(23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로는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40), 암호화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암호화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250),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260) 및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관리 모듈(210)은 본 발명에 따라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신 및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정보 수신부(211)는 저작권자가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업로드한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여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한다. 저작권자 정보 수신부(212)는 저작권자가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입력한 저작권자의 관련 정보를 입력받아,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한다. 상기 저작권자의 관련 정보의 세부 항목들의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결제 정보 전송부(213)는 저작권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주기적으로 해당 컨텐츠 파일에 대해 결제된 금액 정보를 각 해당 저작권자에게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컨텐츠 사용자의 결제에 따른 결제 관련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1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익 분배율 설정부(2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작권자가 파일 배포자에 대한 수익 분배율을 입력받아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관리 모듈(220)은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 정보 수신부(211)를 통해 업로드된 컨텐츠 파일을 상기 생성된 키값으로 암호화하여 패키징하며, 파일 사용자의 결제에 따라 상기 복호화를 위한 키값을 해당 사용자에게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암호화부(221)는 상기 컨텐츠 정보 수신부(211)를 통해 업로드된 컨텐츠 파일을 상기 키값 생성부(223)에서 생성한 키값으로 암호화한다. 컨텐츠 패키징부(222)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에 복호화 프로그램을 함께 패키징하여 패키징된 파일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패키징된 파일에는 실행 시 컨텐츠 결제 절차를 자동으로 진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결제 서버(예컨대,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패키징된 파일을 실행할 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제창 등을 생성할 수 있는 링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키값 생성부(223)는 각 컨텐츠 파일을 암호화 및 복호화할 수 있는 키값을 생성하며, 상기 키값 생성 방법은 해당 암호화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특정 암호화 방식에 종속되지 않으며, 대칭키 알고리즘, 비대칭키 알고리즘 등을 포함하여 키값을 사용하여 암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는 어떠한 방식의 암호화 방식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하다. 키값 전송부(224)는 사용자가 상기 패키징된 파일을 실행하여 정상적으로 결제를 완료할 경우, 상기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는 키값을 상기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결제 처리 모듈(230)은 상기 암호화된 파일이 배포되어 각 사용자를 통해 실행될 경우, 자동으로 접속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처리 모듈(230)은 서비스 서버(10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으며, 외부 결제 서버(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와 연동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결제 서버의 기능이 서비스 서버(100) 내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결제 요청 수신부(231)는 사용자가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때, 자동으로 요청되는 결제 요청을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창 전송부(232)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결제 방식에 따른 결제 수단(예컨대, 결제창)을 상기 사용자 단말(140)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40)에 전송된 결제창을 통해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를 결제 정보 수신부(233)에서 수신하고, 결제 처리부(234)에서 결제 처리한다.
이와 같이, 결제 처리 모듈(230)에서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 관리 모듈(220)의 키값 전송부(224)에서는 해당 컨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는 키값을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140)로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정보 관리 모듈(210)의 결제 정보 전송부(213)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 함께 전송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전송된 결제 관련 정보는 상기 컨텐츠 파일에 로그 정보로 포함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컨텐츠 파일이 불법으로 유포될 경우 상기 컨텐츠 파일에 포함된 결제 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추적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는 저작권자가 업로드한 컨텐츠 파일을 포함하여 해당 컨텐츠와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저장된다. 암호화 정보 데이터베이스(250)에는 상기 각 컨텐츠의 암호화 및 복호화를 위해 생성한 각종 키값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암호화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260)는 상기 생성된 키값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저장한다.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270)는 상기 결제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저장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280)에는 저작권자 또는 파일 배포자가 서비스 서버(100)에 회원으로 가입할 때 입력한 각종 회원 관련 정보들을 저장한다.
디지털 컨텐츠 제공 절차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절차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원본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하는 저작권자 단말(110)과 이를 암호화한 뒤 스스로 복호화가 가능한 프로그램과 결합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고, 암호화된 파일을 다운받아 실행 시, 자동으로 접속되어 결제가 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결제 시 해당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시킬 수 있는 암호키값을 전달하는 서비스 서버(1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파일 저작권자가 자신의 단말(즉,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고 가입한다. 이때, 가입 시 결제된 금액에 대한 전달 및 환불을 위한 기본 정보 등을 함께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파일 저작권자는 저작권자 단말을 통해(110)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뒤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파일을 업로드(S301) 시키고 해당 파일의 판매 가격을 입력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입력된 각종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업로드된 파일을 암호화(S302)하여 저작권자 단말(110)로 전송(S303)한다. 한편, 상기 암호화된 해당 파일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추후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 후 전달되는 암호 키값으로 자동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복호화 프로그램이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파일을 수신한 저작권자는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파일을 자신이 운영하는 컨텐츠 서버뿐만 아니라 웹 하드 또는 P2P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로 유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다운로드 서버(130)'라 한다.
따라서, 저작권자가 다양한 경로로 다운로드 서버(130)에 암호화된 파일을 등록(S304)하면, 상기 등록된 파일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다운로드(S305) 한 뒤 파일을 실행한다. 상기 파일 실행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자동으로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결제 요청(S306)을 한다.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부터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를 하고, 상기 결제 관련된 정보를 저장(S307)한다. 즉, 상기 파일 실행에 따라 해당 파일은 자동으로 결제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로 접속할 수 있도록 결제창을 띄운다. 해당 결제창을 통해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해당 파일을 복호화시킬 수 있는 암호키 값을 (예컨대, 파일 형태로) 사용자 단말(140)로 전달(S308)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40)에서는 상기 전송된 키값을 수신하여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함으로써 원래의 컨텐츠 파일로 복원(S310)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복호화를 위한 암호키값 외에 결제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식별자 값을 파일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140)에서 파일 복호화 시 해당 값(즉, 상기 결제 관련 정보)이 파일의 로그상에 함께 기록(S309)된다.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복호화된 파일이 무단으로 유포될 시 파일 유포자를 추적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되며, 이에 따라 파일의 무단 배포를 방지할 수 있고 무단 배포 시 책임을 지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결제된 금액은 서비스 서버(100)를 통한 서비스 운영자의 수수료를 제한 나머지 금액이 최초 계약에 따라 저작권 등록자에게 정산(S311)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일 배포자를 통한 디지털 컨텐츠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파일 배포자의 파일 배포 및 수익 분배 기능이 추가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파일 저작권자가 자신의 단말(즉,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고 가입한다. 이때, 가입 시 결제된 금액에 대한 전달 및 환불을 위한 기본 정보 등을 함께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파일 저작권자는 저작권자 단말을 통해(110)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로그인한 뒤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파일을 업로드(S401) 시키고 해당 파일의 판매 가격을 입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판매 가격 입력시 파일 배포자를 위한 수익 분배율을 함께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입력된 각종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업로드된 파일을 암호화(S402)하여 저작권자 단말(110)로 전송(S403)한다. 한편, 상기 암호화된 해당 파일은 별도의 프로그램 없이, 추후 결제 서버에서 결제 승인 후 전달되는 암호 키값으로 자동 복호화가 가능하도록 복호화 프로그램이 내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파일을 수신한 저작권자는 저작권자 단말(110)을 통해 상기 암호화된 파일을 자신이 운영하는 컨텐츠 서버뿐만 아니라 웹 하드 또는 P2P 서버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로 유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통칭하여 '다운로드 서버(130)'라 한다.
따라서, 저작권자가 다양한 경로로 다운로드 서버(130)에 암호화된 파일을 등록(S304)하면, 상기 등록된 파일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40)을 통해 다운로드(S305) 한 뒤 파일을 실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와 같이 저작권자가 파일 배포자를 위한 수익 분배율을 지정할 경우, 해당 파일을 유포시키고자 하는 파일 서버 등의 운영자가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기존 암호화된 파일에 파일 배포자 자신의 정보가 함께 수록된 형태의 파일로 재 암호화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음으로써 해당 파일을 자신의 파일 서버 등을 통하여 유포할 수 있다.
즉, 파일 배포자가 배포자 단말(150)을 통해 다운로드 서버(130)에 접속하여 암호화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고(S405), 서비스 서버(100)로 파일 배포 권한 신청(S406)을 하면,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해당 암호화된 파일에 배포 정보를 기록(S407)하여 재 암호화하고, 상기 재 암호화된 파일을 배포자 단말로 전송(S408)한다. 이와 같이, 자신의 배포 정보가 기록된 암호화된 파일을 수신하면, 상기 파일 배포자는 자신의 파일 서버(예컨대, 파일 배포 서버 등) 등에 암호화된 파일을 등록(S409)시킴으로써, 파일을 다양한 경로로 배포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파일 배포 서버 등에 접속하여 상기 배포 정보가 기록된 암호화된 파일을 다운로드(S410)받아, 실행하면, 상기 파일 실행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자동으로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여 결제 요청(S412)을 한다.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140)로부터의 결제 요청에 따라 결제 처리를 하고, 상기 결제 관련된 정보를 저장(S413)한다. 즉, 상기 파일 실행에 따라 해당 파일은 자동으로 결제를 위해 서비스 서버(100)로 접속할 수 있도록 결제창을 띄운다. 해당 결제창을 통해 정상적으로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서비스 서버(100)는 해당 파일을 복호화시킬 수 있는 암호키 값을 (예컨대, 파일 형태로) 사용자 단말(140)로 전달(S414)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140)에서는 상기 전송된 키값을 수신하여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함으로써 원래의 컨텐츠 파일로 복원(S416)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서는 상기 복호화를 위한 암호키값 외에 결제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식별자 값을 파일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140)에서 파일 복호화 시 해당 값(즉, 상기 결제 관련 정보)이 파일의 로그상에 함께 기록(S415)된다. 상기 결제 관련 정보는 복호화된 파일이 무단으로 유포될 시 파일 유포자를 추적하기 위한 용도로서 사용되며, 이에 따라 파일의 무단 배포를 방지할 수 있고 무단 배포 시 책임을 지게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결제된 금액은 서비스 서버(100)를 통한 서비스 운영자의 수수료를 제한 나머지 금액이 최초 계약에 따라 저작권 등록자에게 정산(S417)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제된 컨텐츠 파일에 배포 정보가 추가되어 있을 경우, 해당 배포자에 대해서도 상기에서 설정된 수익 배분율에 따라 결제 금액을 정산(S418)하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행위 주체 또는 각 단계에서의 진행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서비스 주체들 간의 데이터 전송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작권자는 먼저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하여 저작권자로 로그인한다. 그런 다음, 2차 배포자와의 수익분배율을 입력하고, 다운로드 비용(즉, 컨텐츠 결제 비용)을 입력한 후, 해당 컨텐츠를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 한다. 이때, 상기 업로드되는 컨텐츠는 예컨대 'xxx.AVI'와 같은 동영상 형태의 파일이 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정보 수신부에서는 업로드된 컨텐츠 파일을 수신하여 암호화 및 패키징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은 동영상 형태의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이 아니라 'xxx.EMO' 등과 같은 형태의 실행 파일이 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일 배포자가 접속하여 상기 파일 배포 신청을 함으로써 해당 컨텐츠 파일을 배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파일이 다운로드 서버에 배포되어 업로드 되면,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업로드된 암호화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자동으로 결제 절차를 진행하며, 결제 수단 및 방법 등을 선택한 후 결제 정보(예컨대, 결제자 이름, 주민등록 번호, 계좌 번호, 전화 번호, 아이디 등)를 입력한다. 서비스 서버의 결제 처리부에서는 상기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 처리하고, 복호화할 수 있는 키값을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제공된 키값에 의해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하고, 파일에 결제 요약 정보를 기록한다. 이때, 기존의 암호화된 파일은 삭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호화된 파일은 상기 원본 파일(예컨대, 'xxx.AVI)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게 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결제 정보를 더 포함하게 된다. 상기 결제 정보는 해당 원본 파일의 데이터 영역이 아닌 다른 영역 등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저작권자가 서비스 서버를 통해 결제 정보를 조회하면,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요청에 따라 저장된 결제 정보를 제공하고, 정산 처리에 따라 해당 결제 금액을 사용자 단말에 입금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전송 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에서 상술한 원본 파일은 'xxx.AVI' 등과 같은 동영상 파일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 처리하게 되면 'xxx.EMO'와 같은 다른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로 변환된다. 상기 암호화된 파일에는 저작권자 ID, 암호화키 정보, 컨텐츠 명, 컨텐츠 ID, 판매 가격 정보, 수익 배분율, 결제창 연결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일 배포자가 해당 컨텐츠에 대한 파일 배포를 요청하게 되면, 상기 암호화된 파일을 재 암호화하게 된다. 예컨대, 'xxx.EMO2'와 같은 형태의 파일로 변환된다. 이때, 상기 재 암호화된 파일에는 상기 암호화된 파일에 저장된 정보에 추가하여, 파일 배포자 ID 및 파일 배포자 수익분배율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암호화된 파일 또는 재 암호화된 파일을 실행하여 결제 처리하게 되면, 제공된 복호화용 키값에 의해 상기 암호화된 파일 또는 재 암호화된 파일을 복호화하여 원본 파일을 복원하게 된다. 예컨대, 'xxx.AVI'와 같이 원본 파일과 동일한 확장자를 가지는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본 파일에 결제 관련 정보들이 추가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ID, 결제자 이름, 결제자 주민등록 번호, 구매 전화번호, 구매자 ID, 결제 ID 값 등이 추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단말을 중심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작권자는 상기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에 회원 가입하여 로그인하고 암호화된 컨텐츠를 제공받아 다운로드 서버를 통해 배포한다. 이때, 상기 저작권자가 입력한 2차 배포자와 수익 분배율 및 다운로드 비용은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컨텐츠 암호화시 포함되는 데이터로서 저작권자 ID, 암호화키 정보, 컨텐츠명, 컨텐츠 ID, 판매 가격 정보, 수익 배분율, 결제창 연결정보 등이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실행하여 결제를 진행할 경우, 결제 확인 및 결제 내용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키값이 상기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아울러, 추가로 결제 요약 정보를 파일 형태로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배포자 단말을 중심으로 하는 처리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파일 배포자는 서비스 서버에 회원으로 가입한 후, 파일 배포자로 로그인한다. 그런 다음, 배포할 컨텐츠 파일을 선택하고 파일 판매 권한을 요청한다. 서비스 서버는 상기 요청에 따라 권한 요청을 확인하고 해당 컨텐츠 파일에 상기 배포자 정보를 추가하여 암호화한다. 즉, 상기 도 7에서 암호화시 추가된 정보에 더 추가하여, 제2 배포자 ID, 제2 배포자 수익 분배율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포자가 배포한 파일이 결제 처리될 경우, 결제 정보가 파일 배포자에게도 전송되며, 상기 설정된 배포자 수익 분배율에 따라 해당 금액이 상기 파일 배포자에게로 입금 처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암호화 및 복호화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암호화 과정으로서 저작권자가 원본 파일(예컨대, 'xxx.AVI')을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면, 서비스 서버에서는 임의의 암호키를 생성하여 상기 원본 파일을 암호화한다. 이때, 컨텐츠 ID와 함께 상기 암호화된 파일(예컨대, 'xxx.EMO')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암호화된 파일은 임의의 다운로드 서버를 통해 배포되며, 사용자가 상기 배포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결제 절차가 진행된다.
상기 사용자가 결제창을 통해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된 정보가 서비스 서버로 전송되며, 결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ID와 대조하여 해당 키값을 출력한다. 이때, 결제 정보로는 컨텐츠 ID, 결제 정보, 카드 승인 번호, 메일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는 컨텐츠 암호키를 상기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하고, 파일에 결제 요약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는 수신된 암호키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함으로써 원본 파일(예컨대, 'xxx.AVI')을 생성하고, 상기 전송된 결제 요약 정보가 입력된 파일을 수신하여 상기 복호화된 파일에 상기 결제 요약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상기 최종 복호화된 파일에는 컨텐츠 ID, 결제자 이름, 결제자 주민등록 번호, 구매자 전화 번호, 구매자 ID 등의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익 분배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에서는 파일 정보, 수익 배분 정보 등을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에 포함하여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에 포함되는 정보는 판매 가격, 제1 수익 배분율(판매자/배포자), 제2 수익 배분율(파일 배포자)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저작권자 또는 파일 배포자가 상기 암호화된 파일을 다운로드 서버 등을 통해 배포하면, 사용자는 상기 배포된 콘텐츠 파일을 구매하고, 결제 처리한다. 이때,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결제 금액에서 상기 제1 수익 배분율에 따라 서비스 서버와 저작권자 간의 1차 수익 배분을 정산한다. 그런 다음, 저작권자가 설정한 2차 수익 배분율에 따라 파일 배포자와 2차 수익 배분을 정산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실행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암호화된 컨텐츠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면, 상기 실행에 따라 결제 요청 정보가 서비스 서버로 전송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실행 정보를 확인하고, 실행 정보를 대조하여 중복 동시 실행 정보가 확인될 경우 경고 정보를 저작권자 단말로 전송한다. 저작권자는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저작권 침해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컨텐츠 파일에는 상기 컨텐츠 ID, 결제자 이름, 결제자 주민등록 번호, 구매 전화 번호, 구매자 ID, 결제 ID값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구현 예
이하, 도 12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제 구현되어 처리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를 통한 회원 가입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저작권자 또는 파일 배포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이름, 주민등록 번호, 아이디, 비밀번호, 이 메일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계좌 번호 등을 입력하고, 가입 유형(예컨대, 저작권자, 파일 배포자)을 선택함으로써 회원 가입을 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자 단말의 파일 업로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저작권자는 로그인한 후, 컨텐츠명을 입력하고, 각 컨텐츠 파일을 업로드함으로써 배포할 파일을 서비스 서버에 업로드하게 된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해당 배포할 파일에 대한 정보로서, 판매 가격, 제1 수익배분율, 제2 수익배분율 등의 정보를 추가로 입력하게 된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를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암호화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실행할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제창이 자동으로 제공되며, 상기 결제창을 통해 결제 관련 정보를 입력함으로써 파일 실행에 따른 결제가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정보 제공을 위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각 저작권자 및 파일 배포자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고, 로그인하여 컨텐츠 배포 및 결제와 관련된 통합 정보를 열람할 수가 있다.
예컨대, 저작권자는 업로드한 각 컨텐츠에 대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명, 파일명, 컨텐츠 ID, 판매가격, 판매횟수, 총 판매 금액, 1차 분배율, 정산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한 각 컨텐츠에 대해 파일 배포자를 통해 판매된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 배포자도 배포 요청한 각 컨텐츠에 대해, 컨텐츠명, 파일명, 컨텐츠 ID, 저작권자, 판매가격, 판매횟수, 총 판매 금액, 분배율, 정산 금액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e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비스 서버 110 : 저작권자 단말
120 : 통신 네트워크 130 : 다운로드 서버
140 : 사용자 단말 150 : 배포자 단말
210 : 정보 관리 모듈 211 : 컨텐츠 정보 수신부
212 : 저작권자 정보 수신부 213 : 결제 정보 전송부
214 : 수익 분배율 설정부 220 : 컨텐츠 관리 모듈
221 : 컨텐츠 암호화부 222 : 컨텐츠 패키징부
223 : 키 값 생성부 224 : 키 값 전송부
230 : 결제 처리 모듈 231 : 결제 요청 수신부
232 : 결제창 전송부 233 : 결제 정보 수신부
234 : 결제 처리부 240 : 컨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 암호화 정보 데이터베이스
260 : 암호화된 파일 정보 데이터베이스
270 :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 280 :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1. 서비스 서버의 정보 관리 모듈에서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로부터 업로드되는 원본 파일 및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컨텐츠 수신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컨텐츠 관리 모듈에서 상기 수신된 원본 파일을 특정 암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 키 값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에 의하여 복호화되어 재생 가능한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파일과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의 하나 이상 및 결제 창 연결 정보를 패키징하여 제1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제1 배포 파일 생성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결제처리 모듈에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결제창을 통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정상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제 처리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 값과 결제요약 정보를 전송하는 결제 승인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에게 전송하는 저작권자 전송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는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을 통해 결제 과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다운로드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여 원본 파일을 복원하는 파일 복호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결제요약 정보를 상기 복원된 원본 파일의 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결제 정보 기록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명, 판매 가격정보 및 등록된 저작권자와 판매자 간의 수익 분배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디지털 컨텐츠 수신 단계에서, 저작권자 ID, 컨텐츠명, 판매 가격 정보, 저작권자와 판매자 간의 수익 배분율, 결제창 연결 정보 및 암호화 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성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의 배포를 원하는 등록된 파일 배포자로부터의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선택과 판매 권한의 요청을 수신하여 승인하는 파일 배포 권한 요청 수신 단계;
    상기 파일 배포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1 배포 파일에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를 추가하여 패키징함으로써 제2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제2 배포 파일 생성단계; 및
    상기 제2 배포 파일을 상기 파일 배포자에게 전송하는 파일 배포자 전송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는 파일 배포자 아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배포자 아이디는 제2 배포 파일 생성단계에서, 원본 파일의 로그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8. 키 값을 생성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등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로부터 업로드되는 원본 파일 및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관리 모듈;
    상기 수신된 원본 파일을 특정 암호화 키 값을 사용하여 암호화하며, 상기 암호화 키 값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 값에 의하여 복호화되어 재생 가능한 암호화된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파일과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의 하나 이상 및 결제 창 연결 정보를 패키징하여 제1 배포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츠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의 실행에 따라 제공되는 결제창을 통하여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정상 결제를 승인하고, 결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결제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결제처리 모듈에서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암호화된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 값과 결제요약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자에게 전송하며,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한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저작권자로부터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전송된 복호화 키 값을 통해 다운로드한 상기 제1 배포 파일을 복호화하여 원본 파일을 복원하고, 상기 전송된 결제요약 정보를 상기 복원된 원본 파일의 로그 정보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파일과 관련된 정보는,
    컨텐츠명, 판매 가격정보 및 등록된 저작권자와 판매자 간의 수익 분배율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관리 모듈에서 저작권자 ID, 컨텐츠명, 판매 가격 정보, 저작권자와 판매자 간의 수익 배분율, 결제창 연결 정보 및 암호화 키 값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성되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디지털 컨텐츠의 배포를 원하는 등록된 파일 배포자로부터의 특정 디지털 컨텐츠의 선택과 판매 권한의 요청을 수신하여 승인하고, 상기 파일 배포자가 선택한 디지털 컨텐츠의 제1 배포 파일에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를 추가하여 패키징함으로써 제2 배포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제2 배포 파일을 상기 파일 배포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 배포자의 정보는 파일 배포자 아이디를 포함하며, 상기 파일 배포자 아이디는 원본 파일의 로그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제공 시스템.
KR1020110095073A 2011-09-21 2011-09-21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264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73A KR101264218B1 (ko) 2011-09-21 2011-09-21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5073A KR101264218B1 (ko) 2011-09-21 2011-09-21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2287A Division KR101287929B1 (ko) 2012-11-21 2012-11-21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78A KR20130031478A (ko) 2013-03-29
KR101264218B1 true KR101264218B1 (ko) 2013-05-14

Family

ID=48180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5073A KR101264218B1 (ko) 2011-09-21 2011-09-21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4567A (zh) * 2018-02-13 2019-02-15 李茗 区块链数字内容版权操作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1478A (ko) 201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929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915215B2 (en) System and apparatus for reselling digital media rights
AU763380B2 (en) System for tracking end-user electronic content usage
US74443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rental or sale, and secure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JP4463998B2 (ja) 保護されたオンライン音楽配布システム
EP108544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iquely identifying a customer purchase in an electronic distribution system
CN102160391B (zh) 通过第三方网络的数字权利管理许可
US20020107806A1 (en) Conten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usage management method
US200501959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selective distribution of licensed digital content
US20050004873A1 (en) Distribution and rights management of digital content
KR20040071757A (ko) 저작권 보호된 디지털물의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50111A (ko) 암호화된 디지털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을 위한 시스템에전달하기 위한 방법 및 그를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110307362A1 (en) Method of Pay for Performance Accounting
KR10232372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보호 시스템
CA2467974C (en) System for tracking end-user electronic content usage
KR100768501B1 (ko) 디지털저작권이 보호된 디지털콘텐츠 전자상거래시스템 및방법과 이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US9122844B2 (en) Proxy device for managing digital rights
KR101264218B1 (ko)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W200917782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KR20040088621A (ko) 디지털 컨텐츠 및/또는 그 이용허락권의 재판매를 위한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WO2011034094A1 (ja) 著作物販売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596411B1 (ko) 개인간 지식정보 전송 중개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59347A (ko) 디지털 만화 콘텐츠 보호 및 유통을 위한 피투피통합구현방법
KR20090022831A (ko) 팩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방법
KR20030078412A (ko) 디지털 컨텐츠의 재판매를 위한 라이센스 중계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