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657A -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657A
KR20120015657A KR1020100077943A KR20100077943A KR20120015657A KR 20120015657 A KR20120015657 A KR 20120015657A KR 1020100077943 A KR1020100077943 A KR 1020100077943A KR 20100077943 A KR20100077943 A KR 20100077943A KR 20120015657 A KR20120015657 A KR 201200156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audio data
mixing
broadcast
outpu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026B1 (ko
Inventor
정광재
임인식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캐스트
Priority to KR102010007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0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5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2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 information; Arrangements for generating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genera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and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04H60/04Studio equipment; Interconnection of stud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오디오 입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는 출력경로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출력경로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지정된 출력경로로 송출하는 오디오믹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가 중복되는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고,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 또는 출력장치로 정확하게 송출한다.

Description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본 발명은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와 저장장치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업, 관공서, 호텔, 콘도 또는 학교 등의 업무용 빌딩 또는 교육용 빌딩에서는 구성원들에게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구내방송 시스템 장치를 이용하여 주요 메시지를 전달한다. 예를 들어, 방송 관리자는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요 일과 통보, 화재 훈련 통보 또는 듣기평가 수행 등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각 교실에 구비된 스피커로 송출한다.
한편,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mixing)하여 스피커에 출력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믹싱 장치(11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이 중 어느 하나의 입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로 전달하고, 더불어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전달한다.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는 믹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전달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믹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로 전달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150)으로 전송하여, 상기 인트라넷(150)과 연결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
한편,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수업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시보음원을 저장하고, 더불어 믹싱 장치(110)의 오디오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시보음원이 송출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해당 시보음원을 믹싱 장치(110)의 오디오 입력 단자로 전송한다. 그러면, 믹싱 장치(110)는 현재 송출중인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시보음원을 믹싱하고, 이렇게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와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로 전송한다.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는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전달한다. 또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받은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로 전달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는 믹싱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150)과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체 방송으로 송신할 수 있어도, 특정 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600-N)로 지정하여 방송할 수 없다. 즉,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150)과 연결된 특정 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지정하여 출력할 수 없고,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든 스피커 또는 모든 단말기로만 출력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아날로그 오디오 믹싱 장치(110),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 스트리밍 서버(130) 등을 구축하여 오디오 방송 서비스를 구성원들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고, 방송을 위한 기기조작이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오디오 분배기 또는 방송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각 오디오 데이터의 믹싱 여부를 결정하여 선택적으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는,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오디오 입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는 출력경로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출력경로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지정된 출력경로로 송출하는 오디오믹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가 중복되는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고,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 또는 출력장치로 정확하게 송출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장치를 이중화하여, 액티브 방송 수단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스탠바이 방송 수단에서 중단없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단말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의 스탠바이 방송 수단에서 액티브 방송 수단을 대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시스템은 복수의 방송수신단말(200-N), 오디오믹싱 서버(300), 방송제어 서버(400), 입력장치(500-N) 및 오디오분배기(600-N)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디오믹싱 서버(300), 방송제어 서버(400), 복수의 방송수신단말(200-N)은 내부 네트워크인 인트라넷(70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방송수신단말(200-N) 각각은 고유의 식별정보(즉, 방송수신단말 ID)를 가지고 있으며, 오디오믹싱 서버(300)로부터 송출되는 패킷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수신단말(200-N)은 스피커를 탑재하거나 스피커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에 출력한다.
방송제어 서버(400)는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송출되는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방송제어 서버(400)는 시보 방송, 동보 방송, 비상 방송, 예약 방송, 그룹 방송과 관련된 시나리오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제어 서버(400)는 선택적 믹싱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와의 통신을 통해 오디오 입력에 대한 실시간 볼륨제어, 오디오 입력에 대한 ON/OFF 제어, 단독 오디오입력을 위한 ON/OFF 제어, 오디오 데이터의 믹싱을 위한 믹싱 버스의 선택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방송 관리자의 조작에 의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오디오믹싱 서버(400)로 전송한다.
각각의 입력장치(500-N)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 또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마이크, 아날로그 테이프 재생 장치 등의 아날로그 기반의 입력수단 또는 콤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MP3(MPEG Audio Layer-3) 재생 장치 등의 디지털 기반의 입력수단이 채택된다. 이러한 입력장치(500-N)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에 구비된 다수의 입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오디오분배기(600-N)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는 장치로서, 오디오믹싱 서버(300)에 구비된 다수의 출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이러한 오디오분배기(600-N)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지원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로 분배한다. 한편, 오디오분배기(600-N)는 오디오믹싱 서버(300)로부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을 수신하면,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인트라넷(700)과 연결된 방송수신단말(200-N)측으로 선택적으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더불어 오디오분배기(600-N)측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선택적으로 믹싱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트라넷(700)에 연결된 다수의 방송수신단말(200-N)측으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오디오 믹싱 데이터를 오디오분배기(600-N)측으로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입력단자와 연결된 특정 입력장치(500-N)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 처리하여 오디오분배기(600-N) 또는 인트라넷(700)에 연결된 방송수신단말(200-N)측으로 전송한다.
특히,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받은 방송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예약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전송한다.
한편,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제1오디오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하는 도중에, 새로운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여 이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오디오 입력부(310), 패킷 수신부(320), 오디오 출력부(330), 패킷 전송부(340), 저장부(350) 및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를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부(31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이렇게 구비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반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장치(500-N)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입력부(310)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장치(500-N)와 연결되고, 해당 입력장치(500-N)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케이블을 통하여 오디오 입력부(310)로 전달한다. 아울러, 오디오 입력부(310)는 각각의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오디오믹싱 처리부(360)와 입력신호라인(IN1 ~ IN4)을 형성한다. 상기 입력신호라인 각각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오디오 출력부(330)는 오디오 출력경로인 복수의 출력단자(OUT1 ~ OUT4)를 구비하고,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한다. 부연하면, 오디오 출력부(330)에 구비된 각 출력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분배기(600-N)와 일대일 연결되고, 해당 오디오분배기(600-N)는 오디오 출력부(330)로부터 송출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에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30)에 구비된 각각의 출력단자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패킷 수신부(320)는 인트라넷(700)과 연결되고,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방송제어 서버(400)와 통신한다. 특히, 패킷 수신부(32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및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출력경로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로 전달한다. 상기 패킷 수신부(320)와 오디오믹싱 제어부(360) 사이에 형성된 입력신호라인에는 고유의 식별정보(IN8)가 부여된다.
패킷 전송부(340)는 인트라넷(700)과 연결되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에 의해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패킷으로 생성하고, 이 패킷을 해당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
저장부(350)는 시보음, 듣기평가 사운드, 경보음 등과 같은 각종 방송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350)의 방송 콘텐츠에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출력단자 식별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다. 아울러, 저장부(350)는 예약방송 시각, 오디오 방송 편성표 등의 방송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350)는 오디오 믹싱 제어의 기초가 되는 믹싱 매트릭스 및 각 입력신호라인(IN1~IN8)과 대응하여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매트릭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50)는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출력경로(OUT1~OUT4) 정보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한다. 부연하면,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IN1~IN8)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출력경로(OUT1~OUT4)로 출력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4에서, 숫자 '1'은 온(ON) 상태를 나타내고, 숫자 '0'은 오프(OFF)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입력신호라인6(IN6)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출력단자3(OUT3)으로 출력된다. 또한, 도 4에서 입력신호라인 1,3,5,8(IN1, IN3, IN5, IN8)에서 동시에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 처리되어, 오디오 출력단자1(즉, OUT1)로 출력된다. 이러한 믹싱 매트릭스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수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단말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50)는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매핑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는 오디오 입력부(310)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상기 오디오 입력부(310)와 형성된 입력신호라인(IN1~IN4) 및 패킷 수신부(320)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신호라인(IN8)에 각각 부여된다. 또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 중 일부(IN5~IN7)는 저장부(35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의 입력신호라인으로 예약된다. 이 경우,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방송 콘텐츠가 해당 입력신호라인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한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신호라인1(IN1)은 오디오 입력부(310)의 입력신호라인1(IN1)을 통해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입력신호라인5(IN5) 내지 입력신호라인7(IN7)은 저장부(35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즉, 사전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 각각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입력신호라인5(IN5)에서 입력신호라인7(IN7)까지 저장부(35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한다. 또한, 입력신호라인8(IN8)은 인트라넷(700)을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의 입력신호 경로, 즉 패킷 수신부(320)를 통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에 대응하여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 목록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라인2(IN2)와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로서 '2st0021' 및 '2st0022'가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는 입력신호라인의 유형에 따라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입력신호라인5(IN5) 내지 입력신호라인8(IN8)은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옵션 정보(optional)만이 기록되어 있다. 즉, 입력신호라인이 인트라넷(700)을 통해 수신되는 경로를 나타내거나 저장부(350)의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된 경우, 해당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매핑테이블에 기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신호라인에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다.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인트라넷(700)과 연결된 방송수신단말(2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더불어 다수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6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수신부(320)에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연결된 오디오분배기(600-N)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오디오 입력부(3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특정 입력장치(500-N)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로 송출하고, 더불어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와 매핑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단자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하나 이상의 출력단자 또는 방송수신단말(200-N)로만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패킷 전송부(340)를 통하여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한다.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예약 방송 시나리오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00-N) 또는 오디오분배기(600-N)로 전송한다.
한편,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가 송출되는 도중에, 특정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를 참조하여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면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로 믹싱하여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특정 출력단자로 송출하거나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수신단말(200-N)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을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조정하고,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330)의 각 출력단자로 출력시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조정하는 볼륨조정 모듈(360a)을 포함한다. 상기 볼륨조정 모듈(360a)은 각각의 입력신호라인(IN1~IN8)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볼륨조정 모듈(360a)은 입력신호라인1(IN1)의 음량증감정보가 '+10dB'인 경우, 입력신호라인1(IN1)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10dB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볼륨조정 모듈(360a)은 오디오 출력부(330)의 각 출력단자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출력단자로 송출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볼륨조정 모듈(360a)은 출력단자2(OUT2)의 음량증감정보가 '-5dB'인 경우, 출력단자2(OUT2)에 출력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5dB만큼 감소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6을 참조한 설명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방송수신단말1(200-1)과 방송수신단말2(200-2)의 식별정보, 출력단자1(OUT1)과 출력단자2(OUT2)의 식별정보 및 제2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오디오믹싱 제어부(360)가 패킷 전송부(340) 및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송출하는 도중에, 패킷 수신부(320)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제2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 식별목록, 단말 식별목록이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한다(S601, S603, S605).
그러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 OUT2)를 확인하고, 상기 방송 콘텐츠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IN8)의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607).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8)와 대응하여 출력단자(OUT1, OUT2) 활성화 정보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한다. 즉,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로가 'IN8'이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출력단자 식별정보로서 'OUT1, OUT2'가 기록됨에 따라,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입력신호라인 'IN8'과 대응하여 'OUT1'과 'OUT1'의 활성화 정보(즉, 숫자 1)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609). 즉,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새로운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1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출력 경로(즉, 출력단자)로 동시에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1(200-1) 중에서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데이터를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로서 결정한다. 도 6에서는 방송수신단말1(600-1)과 오디오 분배기1(6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장치로서 표현된다. 한편,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믹싱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330)의 특정 출력단자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믹싱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면,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즉,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611).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613).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615).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되어 수신하지 않고 제2오디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단말2(2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617).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만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619).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출력단자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력단자2(OUT2)로 송출되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한편, S605 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콘텐츠에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송출하고, 상기 출력단자2(OUT2)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2(600-2)는 상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을 참조한 설명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예약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장부(350)는 방송 시각,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목록, 출력단자 식별목록,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및 제2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예약방송 콘텐츠를 사전에 저장한다.
이렇게 예약방송 콘텐츠가 저장된 상태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 및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 및 오디오분배기1(600-1)로 송출한다(S701, S703).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예약방송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도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도래한 경우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를 저장부(350)에서 추출한다(S705, S707).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 OUT2)와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확인한다(S709). 여기서,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는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내부에 저장되기 때문에 별도의 신호라인을 형성하지 않고, 이에 따라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즉, 방송 관리자는 예약 시각이 지정된 방송 콘텐츠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입력하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함께 입력한다. 한편,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에 의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확인되면,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출력단자 활성화 정보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11). 즉,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수신단말(200-N)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들(200-N) 중에서 제2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데이터를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로서 결정한다. 도 7에서는 방송수신단말1(6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말이고, 출력단자1(OUT1)이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로이다.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즉,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713).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715).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717).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하여 수신하지 않고, 예약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방송수신단말2(200-2)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719). 아울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만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721).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출력단자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력단자2(OUT2)로 송출되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한편, 예약방송 콘텐츠에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2(OUT2)로 송출하고, 상기 출력단자2(OUT2)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2(600-2)는 상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고 동시에 방송수신단말2(200-2)와 오디오분배기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2)로 송출되는 제3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장치1(500-1)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오디오믹싱 제어부(360)가 패킷 전송부(340) 및 오디오 출력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과 오디오분배기1(600-1)로 송출하고,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200-2)와 오디오분배기2(600-2)로 송출하는 도중에, 오디오 입력부(310)는 외부 입력장치1(500-1)로부터 제3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로 전달한다(S801, S803, S805, S807, S809).
입력장치1(500-1)로부터 제3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즉, IN1)를 확인한다(S811).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볼륨조정 모듈(360a)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3)와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를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한다. 부연하면, 외부 입력장치(500-N)가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전달할 뿐 추가적인 단말 식별목록, 출력단자 식별정보 등의 정보를 오디오믹싱 서버(300)로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로인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를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와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350)의 매핑테이블에서 확인한다(S813).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5). 구체적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면,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즉, 제3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출력 경로(즉, 출력단자)로 동시에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믹싱 매트릭스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상기 추출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토대로,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 또는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200-N) 중에서 제3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817). 도 8에서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출력단자1(OUT1)이 지정되고,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 단말로서 방송수신단말1(200-1)이 지정된다.
다음으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패킷 전송부(3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819). 그리고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단자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3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821). 이때, 오디오믹싱 제어부(360)는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2(200-2)와 출력단자2(OUT2)로 지속적으로 송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이중화되어, 서비스 제공중인 액티브 방송 수단에서 방송중단이 발생하더라도 스탠바이 방송 수단이 정상적인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 오디오 입력부(910), 패킷 수신부(920), 오디오 출력부(930) 및 패킷 전송부(940)를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부(910), 패킷 수신부(920), 오디오 출력부(930) 및 패킷 전송부(940)는 도 3을 참조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하게 동작하며, 액티브 방송 수단(950a)과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에 의해 공유된다. 게다가, 오디오 입력부(910)는 각각의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 및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와 동일한 입력신호라인(IN1~IN4)을 형성하며, 상기 입력신호라인을 통하여 입력장치(500-N)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각각 전달한다. 아울러, 패킷 수신부(920)는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 및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와 동일한 입력신호라인(IN8)을 형성하고, 인트라넷(700)을 통해 수신된 패킷 데이터를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각각 전달한다.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저장부(951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의 제2저장부(952a)는 동일한 데이터를 서로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제1저장부(951a)와 제2저장부(952a)는 믹싱 매트릭스(도 4 참조), 매핑테이블(도 5 참조), 방송 콘텐츠 등의 각종 데이터를 서로 동일하게 저장한다. 특히, 제1저장부(951a)와 제2저장부(952a)는 타임스탬프 정보가 부가된 동일한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디오믹싱 제어부(360)의 기능을 수행한다. 게다가,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부(951a, 951b)에 저장하는 경우,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예컨대, 10Kbyte)로 분할하고, 이렇게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 각각에 일련의 시간정보인 타임스탬프를 부가하여 저장부(951a, 951b)에 각각 저장한다. 즉,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제어부(952a, 952b)는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시간간격을 가지는 복수의 재생구간으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에 일련의 타임스탬프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저장부(951a, 952b)에 각각 저장한다.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포함된 제1이중화부(953a)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를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로 지속적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전달받은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를 토대로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이중화부(953a)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포함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로 전달한다.
또한,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전달받은 상태정보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서비스 활성화를 지시함으로써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에서 방송 서비스를 수행되게 한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된 오디오믹싱 서버(300)의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에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을 대신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0을 참조한 설명에서, 제1오디오 데이터는 제1저장부(951a), 제2저장부(951b) 각각에 저장된 데이터이고, 제2오디오 데이터는 외부 입력장치(500-N)로부터 수신된 실시간 오디오 데이터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방송제어 서버(400)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예컨대, 10Kbyte)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복수의 제1오디오 데이터에 일련의 시간정보인 타임스탬프 정보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제1저장부(951a)에 저장한다. 마찬가지로,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상기 제1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로 분할하고, 분할된 복수의 제1오디오 데이터에 일련의 시간정보인 타임스탬프 정보를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제2저장부(952a)에 저장한다. 부연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저장부(951a)와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저장부(952a)에는 일정 크기로 분할되어 타임스탬프 정보가 기록된 복수의 제1오디오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게 저장된다.
이렇게 동일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서로 저장한 상태에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상기 방송 콘텐츠의 방송시간이 도래하면, 상기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와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이어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분할하여 제1저장부(951a)에 저장한 제1오디오 데이터 추출한다(S1001).
다음으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출력단자 식별정보에 해당하는 오디오 출력부(930)의 출력단자(OUT1)로 상기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출한다(S1003). 아울러,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패킷 전송부(940)를 이용하여 제1저장부(951a)에서 추출한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방송수신단말1(200-1)로 전송한다(S1005). 이때,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각각의 제1오디오 데이터에 부가된 타임스탬프 정보에 근거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의 재생 순서를 확인하고, 이 재생순서에 따라 제1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단자1(OUT1) 또는 방송수신단말1(200-1)로 송출한다.
이렇게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의해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이중화부(953a)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CPU, 메모리 등의 상태정보를 획득하고, 더불어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송출되고 있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 그리고 제1이중화부(953a)는 획득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와 제1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이중화부(953b)로 지속적으로 전달한다(S1007).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가 제1저장부(951a)에 저장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분배기(600-N) 또는 방송수신단말(200-N)로 전송하는 도중에, 오디오 입력부(910)는 자신과 연결된 외부 입력장치(500-N)로부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다(S1009). 그러면, 오디오 입력부(910)는 액티브 방송 수단(950a) 및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과 각각 형성된 입력신호 라인을 통하여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로 전달한다.
그러면,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오디오 입력부(910)로부터 전달받은 제2오디오를 수신받되 출력하지 않은 서비스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반면에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제1저장부(951a)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한다.
다음으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제1저장부(951a)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번호와 대응되는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제1저장부(951a)의 매핑테이블에서 추출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수신단말1(200-1)이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 존재하면, 제1오디오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대상 데이터로서 결정한다. 도 10에서는 방송수신단말1(2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수신하는 단말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는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함에 따라,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고, 패킷 전송부(9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 대신에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수신단말1(200-1)로 전송한다(S1011).
한편,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a)의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의 상태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상기 상태정보를 분석함으로써 상기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확인한다. 만약, 제2이중화부(953b)는 상기 분석 결과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면, 액티브 방송 수단(950a)로 서비스 중단을 지시하고 더불어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로 서비스 활성화를 지시한다(S1013, S1015, S1017). 이때, 제2이중화부(953b)는 제1이중화부(953a)로부터 마지막으로 전달받은 타임스탬프 정보를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로 전달한다.
제2이중화부(953b)로부터 서비스 중단을 지시받은 제1이중화부(953a)는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952a)로 방송 서비스 수단을 지시하여,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 의해 방송 서비스가 진행되는 것을 중단시킨다. 아울러,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a)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서비스 대기 상태에서 서비스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더불어 제2이중화부(953b)로부터 전달받은 토대로 제2저장부(951b)에 저장된 제1오디오 데이터 전체 중에서 송출할 제1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한다(S1019). 즉,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이중화부(953b)로부터 전달받은 타임스탬프 정보를 토대로, 액티브 방송 수단(950a)에서 제공한 제1오디오 데이터의 재생구간을 확인하고, 상기 재생구간 이후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 데이터를 제2저장부(951b)에서 추출한다.
다음으로,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저장부(952a)에 저장된 믹싱 매트릭스 및 매핑테이블을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21). 즉,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저장부(350)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더불어 제1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과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200-N)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방송수신단말1(2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를 수신하는 단말임을 확인한다.
이어서,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상기 타임스탬프 이후의 재생구간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외부 입력장치(500-N)로부터 입력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한다(S1023). 다음으로,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패킷 전송부(94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수신단말1(200-1)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1025).
아울러,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제2저장부(951b)에서 상기 타임스탬프 이후의 재생구간에 해당하는 분할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930)의 출력단자1(OUT1)로 순차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을 대신하여 오디오분배기1(6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S1027). 즉, 스탠바이 방송 수단(950b)의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952b)는 장애 발생하기 전에 액티브 방송 수단(950a)이 오디오 분배기1(600-1)로 제공한 제1오디오 데이터의 재생구간을 타임스탬프 정보를 통해 인지하여, 이 재생구간 이후에 해당하는 제1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 분배기1(600-1)로 제공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오디오믹싱 서버(300)에 형성된 입력신호라인이 8개이고 출력경로가 4개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가 2개 이상인 경우에 본 발명의 손쉽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를 포함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로 이해되어야 함이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방송제어 서버(400)와 오디오믹싱 서버(300)는 서로 독립되어 구현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두 서버(300, 400)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분명히 해 둔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00-N : 방송수신단말 300 : 오디오믹싱 서버
310 : 오디오 입력부 320 : 패킷 수신부
330 : 오디오 출력부 340 : 패킷 전송부
350 : 저장부 360 : 오디오믹싱 제어부
400 : 방송제어 서버 500-N : 입력장치
600-N : 오디오분배기

Claims (7)

  1. 선택적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로서,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구비하는 오디오 입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오디오 입력부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는 출력경로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서 확인하여 상기 출력경로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상기 지정된 출력경로로 송출하는 오디오믹싱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와 연결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와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는 패킷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상기 패킷 수신부를 통해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경로를 확인하고, 이 출력경로를 상기 패킷 수신부와 형성된 입력신호라인과 대응시켜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하여 믹싱 매트릭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렇게 갱신된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경로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경로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경로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에 기록하여 믹싱 매트릭스의 데이터를 갱신하고, 이렇게 갱신된 믹싱 매트릭스를 토대로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기록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방송수신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된 방송수신단말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해당 방송수신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량증가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각각의 출력경로로 송출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와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로 이중화되고,
    상기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서비스 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분할된 오디오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송출하고,
    상기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서비스 대기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제1오디오믹싱 제어부에서 송출하는 오디오 데이터의 타임스탬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에 의해서 수행되는 방송 서비스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방송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대기 상태에서 서비스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여 상기 획득된 타임스탬프 정보를 토대로 오디오 데이터의 송출구간을 확인하여 이 송출구간 이후에 해당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여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오디오믹싱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 이외에 다른 오디오 데이터가 동시에 송출되는 출력경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추출한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다른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20100077943A 2010-08-12 2010-08-12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1193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43A KR101193026B1 (ko) 2010-08-12 2010-08-12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943A KR101193026B1 (ko) 2010-08-12 2010-08-12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657A true KR20120015657A (ko) 2012-02-22
KR101193026B1 KR101193026B1 (ko) 2012-10-22

Family

ID=4583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943A KR101193026B1 (ko) 2010-08-12 2010-08-12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65B1 (ko) * 2020-07-30 2021-11-10 동양엘리베이터앤아이씨티솔루션(주) 다채널 오디오 실시간 동시 모니터링 및 타임베이스 통합파일 생성을 위한 Audio Mixing 녹취엔진 시스템
CN114416011A (zh) * 2021-11-12 2022-04-2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音频控制方法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30522B2 (ja) * 2000-01-31 2008-08-06 株式会社東芝 デジタル放送送出システムの現用・予備切替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4065B1 (ko) * 2020-07-30 2021-11-10 동양엘리베이터앤아이씨티솔루션(주) 다채널 오디오 실시간 동시 모니터링 및 타임베이스 통합파일 생성을 위한 Audio Mixing 녹취엔진 시스템
CN114416011A (zh) * 2021-11-12 2022-04-2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音频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4416011B (zh) * 2021-11-12 2024-03-1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音频控制方法及存储介质
CN114416011B8 (zh) * 2021-11-12 2024-04-0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音频控制方法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026B1 (ko)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1837B2 (en) Redundant media packet streams
JP6945590B2 (ja) 独立してクロックされる複数のデジタルデータプロセシングデバイスの間で動作を同期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2038710B1 (en) Control of a plurality of motion platforms in synchrony with an audio track
KR101284134B1 (ko)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US9878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motion signals in a multi-seat environment
KR100923490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관 방송 시스템
KR100917716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전관 방송 시스템의 로컬 방송 장치
KR101193026B1 (ko)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1021198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구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401990B1 (ko) 네트워크 기반 오디오 송수신기에서의 데이터 버퍼링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170340B1 (ko) 방송 콘텐츠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1220487B1 (ko)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JP3879949B2 (ja) 複数チャンネルデジタルデータ送出装置および方法
KR101221639B1 (ko) 방송 콘텐츠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JP3865467B2 (ja) 複数チャンネルデジタルデータ送出装置および方法
JP3880134B2 (ja) データ送出装置および方法
KR20230001982A (ko)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시스템
JPH10336564A (ja) データ送出装置と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