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487B1 -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487B1
KR101220487B1 KR1020110029451A KR20110029451A KR101220487B1 KR 101220487 B1 KR101220487 B1 KR 101220487B1 KR 1020110029451 A KR1020110029451 A KR 1020110029451A KR 20110029451 A KR20110029451 A KR 20110029451A KR 101220487 B1 KR101220487 B1 KR 101220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ing
audio
broadcast
terminal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9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129A (ko
Inventor
정광재
임인식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캐스트
Priority to KR1020110029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48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이 분포된 하이브리드망 방송통신환경에서 선택적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는, 상기 하이브리드망에 분포된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과 각각 통신하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다수의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부; 다수의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각 분배기와 출력경로를 형성하는 오디오 출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 및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어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신호라인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제1입력신호라인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는 출력경로와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와 신호라인 테이블에서 각각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출력경로를 통해 오디오 분배기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단말 식별정보를 가지는 방송단말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오디오 믹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오디오 분배기 또는 방송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해당 방송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Premises broadcasting service apparatus for supporting audio mixing in hybrid network}
본 발명은 구내방송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이 분포된 하이브리드 방송환경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디지털 믹싱하여 송출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기업, 관공서, 호텔, 콘도 또는 학교 등의 업무용 빌딩 또는 교육용 빌딩에서는 구성원들에게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방송 관리자는 구내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주요 일과 통보, 화재 훈련 통보 또는 듣기평가 수행 등과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각 방송지역(예, 교실, 행정실, 사무실 등)에 구비된 스피커로 선택적으로 송출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믹싱 장치(11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이 중 어느 하나의 입력단자를 통해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로 전달하고, 더불어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전달한다.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는 믹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전달하여, 해당 스피커를 통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게 한다.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믹싱 장치(11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로 전달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는 상기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내부의 방송 네트워크(150)와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편,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수업 시작 또는 종료를 알리는 시보음원을 저장하고, 더불어 믹싱 장치(110)의 오디오 입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시보음원이 송출되는 시간을 카운트하여 해당 시간이 도래하면 해당 시보음원을 믹싱 장치(110)의 오디오 입력 단자로 전송한다. 그러면, 믹싱 장치(110)는 현재 송출중인 오디오 신호와 상기 시보음원을 믹싱하고, 이렇게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와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로 전송한다.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은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는 상기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로 전달한다. 또한,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전달받은 오디오 인코딩 장치(120)는 상기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인코딩하여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로 전달하고, 오디오 스트리밍 장치(130)는 믹싱되고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방송 네트워크(150)와 연결된 단말기로 전송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전체 방송으로 송신할 수 있어도, 선택적으로 특정 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지정하여 방송할 수 없다. 즉,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믹싱된 오디오 신호를 방송 네트워크(150)와 연결된 특정 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141, 142, 143)로 지정하여 출력할 수 없고,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모든 스피커로만 출력시켜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방송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복수의 방송단말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구내방송 시스템은 HFC(Hybrid Fiber Coax) 기반의 CATV 네트워크(Cable Television Network), HFC 기반의 IP(Internet Protocol) 네트워크, UTP(Unshielded Twisted Pair) 기반의 IP 네트워크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구축하고, 해당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방송단말로 전송한다.
그런데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이사 등의 내부사정으로 인하여 내부 방송 네트워크가 변경된 경우, 방송단말도 함께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내부 방송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복수의 방송단말을 구비하여 방송 메시지를 각각의 방송단말로 전송하는 형태로서, 상기 내부 방송 네트워크가 변경된 경우 이 방송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방송단말을 별도로 구입해야 된다. 예를 들어, 구내방송 시스템의 방송 네트워크(150)가 HFC 기반의 CATV 네트워크에서 UTP 기반의 IP 네트워크로 변경된 경우, 사용자들은 상기 UTP 기반의 IP 네트워크와 호환되는 방송단말을 구입해야 된다. 게다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은 단일의 방송 네트워크만을 이용하여 방송 메시지를 전달하므로, 방송 네트워크(150)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방송 서비스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 후 선택적으로 디지털 믹싱하여 지정된 오디오 분배기로 송출하거나,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IP 패킷 또는 CATV/ATSC 방식으로 변조하여 지정된 방송단말로 전송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기종 방송통신망이 분포된 하이브리드망과 이 하이브리드망과 호환되는 방송단말을 이용하여 구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외성(redundancy)을 가지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추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이 분포된 하이브리드망 방송통신환경에서 선택적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는, 상기 하이브리드망에 분포된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과 각각 통신하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다수의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부; 다수의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각 분배기와 출력경로를 형성하는 오디오 출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 및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어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신호라인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제1입력신호라인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는 출력경로와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와 신호라인 테이블에서 각각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출력경로를 통해 오디오 분배기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단말 식별정보를 가지는 방송단말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오디오 믹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오디오 분배기 또는 방송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해당 방송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목적지가 중복되는 일부 오디오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믹싱하고,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단말 또는 출력장치로 정확하게 송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이기종망을 가지는 하이브리망을 이용하여 구내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특정 방송통신망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방송통신망을 이용하여 중단없는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 모두와 호환되는 방송단말을 제안함으로써, 내부 네트워크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내부 네트워크 전용의 방송단말을 별도로 구입하지 않고 기 구축된 방송단말을 이용하여 방송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하이브리망의 로드(부하) 밸런싱을 수행하여 망자원의 이용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원활한 고품질 방송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통신품질이 열화된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다른 방송통신망으로 자동 전환하여, 상기 방송단말의 방송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는 장점도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의 구내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신호라인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관리하는 망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하이브리드망의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다른 방송통신망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방송통신품질에 근거하여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상향 방송 요청한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태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시스템은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 복수의 입력장치(200-N), 복수의 방송단말(600-N),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 및 복수의 오디오분배기(400-N)를 포함한다.
방송단말(600-N) 각각은 고유의 식별정보(즉, 방송단말 ID)를 가지고 있으며,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단말(600-N)은 스피커를 탑재하거나 스피커와 연결되어,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에 출력한다.
특히, 방송단말(600-N)은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각각 연결된다. 즉, 방송단말(600-N)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기반의 IP 방송통신망(이하, 'UTP-IP망'이라고 칭함)(510)과 통신하는 UTP-IP 방송통신모듈, HFC(Hybrid Fiber Coax) 기반의 IP 방송통신망(이하, 'HFC-IP망'이라고 칭함)(520)과 통신하는 HFC-IP 방송통신모듈, HFC(Hybrid Fiber Coax) 기반의 CATV 방송통신망(Cable Television Network)(이하, 'HFC-CATV망'이라고 칭함)(530)과 통신하는 HFC-CATV 방송통신모듈 및 HFC(Hybrid Fiber Coax) 기반의 ATSC 방송통신망(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Network)(이하, 'HFC-ATSC망'이라고 칭함)(540)과 통신하는 HFC-ATSC 방송통신모듈을 탑재하고, 각각 방송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통신한다.
방송단말(600-N)은 UTP-IP 방송통신모듈, HFC-IP 방송통신모듈, HFC-CATV 방송통신모듈, HFC-ATSC 방송통신모듈 중 하나 이상을 활성화하여,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통신한다. 게다가, 방송단말(600-N)은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지시에 따라, 특정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기도 한다. 또한, 방송단말(600-N)은 초기 구동하여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할 때, 사전에 설정된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우선순위 정보를 토대로,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설정된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접속한다. 한편, 방송단말(600-N)은 접속된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접속하여 지속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
각각의 입력장치(200-N)는 아날로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 신호 또는 디지털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달하는 장치로서, 마이크, 아날로그 테이프 재생 장치 등의 아날로그 기반의 입력수단 또는 콤팩트 디스크 재생장치, MP3(MPEG Audio Layer-3) 재생 장치 등의 디지털 기반의 입력수단이 채택된다. 이러한 입력장치(200-N)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에 구비된 다수의 입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오디오분배기(400-N)는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복수의 스피커로 분배하는 장치로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에 구비된 다수의 출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와 연결된다. 이러한 오디오분배기(400-N)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디지털 신호를 지원하는 장치로서,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로 분배한다. 한편, 오디오분배기(400-N)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을 수신하면, 자신과 연결된 다수의 스피커 중에서 상기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분배한다.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UTP-IP망(510)과 통신하는 UTP-IP 방송통신모듈, HFC-IP망(520)과 통신하는 HFC-IP 방송통신모듈, HFC-CATV망(530)과 통신하는 HFC-CATV 방송통신모듈 및 HFC-ATSC망(540)과 통신하는 HFC-ATSC 통신모듈을 탑재하고, 이 복수의 방송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구내방송 서비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TTS(Text-to-speech) 자동 방송, 시보 방송, 동보 방송, 비상 방송, 예약 방송, 그룹 방송과 관련된 스케줄링 시나리오를 편집하여 해당 방송단말(600-N)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한다. 게다가,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방송 콘텐츠에 대한 실시간 볼륨제어, 방송 콘텐츠의 입력에 대한 ON/OFF 제어, 방송 콘텐츠의 믹싱을 위한 믹싱 버스의 선택 제어, 방송 콘텐츠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특히,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연결된 방송단말(600-N)측으로 선택적으로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제공하고, 더불어 오디오분배기(400-N)측으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선택적으로 믹싱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연결된 다수의 방송단말(600-N)측으로 인코딩하여 전송하고, 믹싱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분배기(400-N)측으로 송출한다. 마찬가지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입력단자와 연결된 특정 입력장치(200-N)로부터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면, 이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선택적으로 믹싱 처리하여 오디오분배기(400-N) 또는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연결된 방송단말(600-N)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지정된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믹싱 처리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 아울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방송 스케줄링(편성표)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분배기(4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예약 방송 시나리오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분배기(400-N)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오디오 입력부(310), 오디오 출력부(320), 방송통신부(330), 저장부(340), 오디오 믹싱부(350) 및 접속경로 관리부(360)를 포함한다.
오디오 입력부(310)는 복수의 입력단자를 구비하고, 이렇게 구비된 입력단자를 통하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기반의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장치(200-N)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입력부(310)에 구비된 각각의 입력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입력장치(200-N)와 연결되고, 해당 입력장치(200-N)는 오디오 기기로부터 입력받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케이블을 통하여 수신하고 디지털로 변환하여 오디오 입력부(310)로 전달한다. 아울러, 오디오 입력부(310)는 각각의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오디오 믹싱부(350)와 입력신호라인(IN1 ~ IN4)을 형성한다. 상기 입력신호라인 각각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오디오 출력부(320)는 오디오 출력경로인 복수의 출력단자(OUT1 ~ OUT4)를 구비하고, 각각의 출력단자를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오디오분배기(400-N)로 송출한다. 부연하면, 오디오 출력부(320)에 구비된 각 출력단자는 케이블을 통해 오디오분배기(400-N)와 일대일 연결되고, 해당 오디오분배기(400-N)는 오디오 출력부(320)로부터 송출받은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자신과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에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320)에 구비된 각각의 출력단자에는 고유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방송통신부(330)는 오디오 믹싱부(350)로부터 제공받은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일정 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패킷으로 생성하고, 이 패킷을 해당 방송단말(600-N)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방송통신부(330)는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각각 통신하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331, 332, 333, 334)을 포함한다.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은 하이브리드망 중에서 UTP-IP망(510)과 통신하여, 상기 UTP-IP망(510)을 통해 방송단말(600-N)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방송단말(600-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HFC-IP 방송통신모듈(332)은 하이브리드망 중에서 HFC-IP망(520)과 통신하여, 상기 HFC-IP망(520)을 통해 방송단말(600-N)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방송단말(600-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HFC-CATV 방송통신모듈(333)은 HFC-CATV망(530)을 통해 방송단말(600-N)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마찬가지로, HFC-ATSC 방송통신모듈(334)은 하이브리드망 중에서 HFC-ATSC망(540)과 통신하여, 상기 HFC-ATSC망(540)을 통해 방송단말(600-N)로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방송단말(600-N)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저장부(340)는 시보음, 듣기평가 사운드, 경보음 등과 같은 각종 방송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340)의 방송 콘텐츠에는 방송단말 식별정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출력단자 식별정보 및 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다. 아울러, 저장부(340)는 예약방송 시각, 오디오 방송 편성표 등의 방송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340)는 오디오 믹싱 제어의 기초가 되는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 각 입력신호라인(IN1~IN8)과 대응하여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신호라인 테이블 및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방송통신품질과 부하율(load rate) 등이 기록된 망관리 테이블을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40)는 각 입력신호라인(IN1~IN8)과 대응하여 출력경로(OUT1~OUT4) 정보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저장한다. 부연하면,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IN1~IN8)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를 어떠한 출력경로(OUT1~OUT4)로 출력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도 4에서, 숫자 '1'은 온(ON) 상태를 나타내고, 숫자 '0'은 오프(OFF)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서 입력신호라인6(IN6)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출력단자3(OUT3)과 출력단자4(OUT4)로 출력된다. 또한, 도 4에서 입력신호라인 1,3,5,8(IN1, IN3, IN5, IN8)에서 동시에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는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 처리되어, 오디오 출력단자1(즉, OUT1)로 출력된다. 이러한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토대로 수시로 변경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의 신호라인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40)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가 기록된 신호라인 테이블을 저장한다. 여기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는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중 일부(IN1-IN4)는 상기 오디오 입력부(310)와 오디오 믹싱부(350) 간에 형성된 콘텐츠 수신 경로에 대한 식별정보를 나타낸다. 또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중 일부(IN5~IN8)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의 입력신호라인으로 예약된다. 이 경우,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이 방송 콘텐츠가 해당 입력신호라인으로 수신된 것으로 간주한다.
도 5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입력신호라인1(IN1)은 오디오 입력부(310)의 입력신호라인1(IN1)을 통해서 마이크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입력신호라인5(IN5) 내지 입력신호라인8(IN8)은 저장부(34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경로 또는 하이브리드망(510, 520, 530, 540)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경로를 나타낸다. 즉, 사전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 또는 하이브리드망(510, 520, 530, 540)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 각각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입력신호라인5(IN5)에서 입력신호라인8(IN8)까지 저장부(340)에 저장된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하거나 하이브리드망(510, 520, 530, 54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한다.
또한, 저장부(340)의 신호라인 테이블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IN8)와 대응하여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 목록이 기록된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라인2(IN2)와 대응되는 방송단말 식별정보로서 'TE2'가 저장부(340)의 신호라인 테이블에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340)의 신호라인 테이블에는 입력신호라인의 유형에 따라 방송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입력신호라인5(IN5) 내지 입력신호라인8(IN8)은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고 옵션 정보(optional)만이 기록되어 있다. 즉, 입력신호라인이 하이브리드망(510, 520, 530, 540)를 통해 수신되는 경로를 나타내거나 저장부(340)의 방송 콘텐츠를 위하여 예약된 경우, 해당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방송단말 식별정보가 신호라인 테이블에 기록되지 않는다. 여기서, 방송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상기 입력신호라인에 대응되는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지정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에서 관리하는 망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은 각각의 망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대역폭량, 방송채널 수, 부하율, 음성지연 시간, 패킷 손실률 및 단말 식별정보를 기록한다. 여기서, 망 식별정보 필드(61)에는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대한 식별정보가 기록되고, 대역폭량 필드(62)에는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이용되는 대역폭이 BPS(Bits Per Second) 단위로 기록된다. 다시 말하면, 대역폭량 필드(62)에는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별로 개설된 방송채널의 총 대역폭이 기록된다. 또한, 방송채널수 필드(63)에는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개설된 방송채널의 총 개수가 기록된다.
게다가, 부하율 필드(64)에는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로드(load)가 퍼센트(%) 단위로서 기록된다. 여기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이 일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량(또는 패킷 처리량)에 상기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이 현재 송수신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량(또는 패킷 처리량)을 나눔으로써,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산출하여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이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처리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현재 송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처리량을 획득한다. 또는,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최대 대역폭에 현재 이용중인 대역폭(즉, 대역폭량 필드에 기록된 대역폭)을 나눔으로써,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산출하여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데이터 처리량, 대역폭량, 최대 데이터 처리량, 최대 대역폭을 조합하여,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음성지연시간 필드(65)에는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오디오 패킷 지연시간이 밀리세컨드(ms) 단위로 기록된다. 또한, 패킷 손실률 필드(66)에는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패킷 손실률이 퍼센트 단위(%)로 기록된다. 아울러, 단말 식별정보 필드(67)에는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한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UTP-IP망(510)에 접속한 방송단말(600-N)은 'TE1', 'TE4', 'TE8', 'TE11' 또는 'TE13'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방송단말(600-N)이다.
오디오 믹싱부(350)는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연결된 방송단말(600-N)로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하고, 더불어 다수의 출력단자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400-N)로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사용자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단말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아울러,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통신부(330)를 이용하여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단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방송단말(600-N)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320)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출력단자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연결된 오디오분배기(400-N)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오디오 입력부(310)의 입력단자에 연결된 특정 입력장치(200-N)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면, 저장부(340)의 신호라인 테이블와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20)의 출력단자로 송출하고, 더불어 방송통신부(330)를 이용하여 지정된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오디오 믹싱부(350)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고, 인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상기 방송통신부(330)를 통하여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
아울러,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 스케줄링 시나리오(예를 들어, 시보 방송 시나리오, 그룹 방송 시나리오, 방송시간 시나리오)를 근거로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분배기(400-N)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믹싱부(350)는 사용자로부터 예약 방송 시나리오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수신하면, 그 예약 시간을 카운트한 후에 해당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분배기(400-N)로 전송한다.
한편, 오디오 믹싱부(350)는 특정 오디오 데이터가 송출되는 도중에, 특정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참조하여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존재하면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로 믹싱하여 오디오 출력부(320)의 특정 출력단자로 송출하거나 방송통신부(330)를 이용하여 특정 방송단말(600-N)로 송출한다.
또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을 통하여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조정하고, 더불어 오디오 출력부(320)의 각 출력단자로 출력시킬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음량을 조정하는 볼륨조정 모듈(351)을 포함한다. 상기 볼륨조정 모듈(351)은 각각의 입력신호라인(IN1~IN8)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볼륨조정 모듈(351)은 입력신호라인1(IN1)의 음량증감정보가 '+10dB'인 경우, 입력신호라인1(IN1)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10dB만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볼륨조정 모듈(351)은 오디오 출력부(320)의 각 출력단자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출력단자로 송출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볼륨조정 모듈(351)은 출력단자2(OUT2)의 음량증감정보가 '-5dB'인 경우, 출력단자2(OUT2)에 출력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볼륨을 5dB만큼 감소시킨다.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을 근거로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확인하여,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예컨대, 80%)을 초과한 경우, 이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한 복수의 방송단말(600-N) 중에서 일부 방송단말(600-N)의 접속경로를 다른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전환시킨다. 또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관리자로부터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대한 방송중단을 지시받으면,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된 방송단말(600-N)의 접속경로를 전환한다. 특히,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방송단말(600-N)로부터 상향방송을 요청받으면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근거하여 상기 상향방송을 위한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방송단말(600-N)을 접속시킨다.
이하,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 방송단말1(600-1)이 UTP-IP망(510)에 접속되고, 방송단말2(600-2)가 HFC-IP망(520)에 접속된 것으로 가정한다. 즉, 방송단말1(600-1)은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중에서 UTP-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UTP-IP망(510)과 통신하고, 방송단말2(600-2)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중에서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HFC-IP망(520)과 통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7을 참조한 설명에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가 방송단말1(600-1)과 오디오분배기1(4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방송단말1(600-1)과 방송단말2(600-2)의 식별정보, 출력단자1(OUT1)과 출력단자2(OUT2)의 식별정보,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8) 및 제2오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오디오 믹싱부(350)가 방송통신부(330)와 오디오 출력부(32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1(600-1)과 오디오분배기1(400-1)로 송출하는 도중에,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제2오디오 데이터, 출력단자 식별목록, 단말 식별목록 및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S701, S703, S705). 이때,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방송통신부(330)를 통하여 원격지의 위치한 사용자의 방송단말(600-N)로부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으며, 자신과 다이렉트로 연결된 제어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상기 방송 콘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콘텐츠에는 방송예약 시각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면,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 OUT2)와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8)를 확인한다(S707). 여기서, 입력장치(200-N)가 아닌 다른 장치(즉, 방송단말 또는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된 방송 콘텐츠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와 별도의 신호라인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방송 콘텐츠에는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가 기록된다. 즉, 사용자는 방송 콘텐츠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하는 경우, 상기 방송 콘텐츠에 대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를 별도로 입력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의 볼륨조정 모듈(351)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어서,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단말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이 단말 식별정보와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을 토대로,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단말1,2(600-1, 600-2)가 어느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709). 즉,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추출한 단말 식별정보가 어느 방송통신망 식별정보와 대응되어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어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8)와 대응하여 출력단자1,2(OUT1, OUT2)의 활성화 정보를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즉, 방송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로가 'IN8'이고 상기 방송 콘텐츠에 출력단자 식별정보로서 'OUT1, OUT2'가 기록됨에 따라, 오디오 믹싱부(350)는 입력신호라인 'IN8'과 대응하여 'OUT1'과 'OUT1'의 활성화 정보(즉, 숫자 1)를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 기록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11). 즉, 오디오 믹싱부(350)는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 기록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면, 오디오 믹싱부(350)는 새로운 제2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제2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출력 경로(즉, 출력단자)로 동시에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서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방송단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단말1(600-1) 중에서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단말(600-N)이 존재하거나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데이터를 믹싱 대상 오디오 데이터로 결정한다. 도 7에서는 방송단말1(600-1)과 오디오분배기1(400-1)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동시에 수신하는 장치로서 표현된다. 한편, 오디오 믹싱부(350)는 믹싱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통신부(330)를 이용하여 해당 방송단말(600-N)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부(320)의 특정 출력단자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때, 오디오 믹싱부(350)는 망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한 방송단말(600-N)을 접속경로를 토대로, 방송단말2(600-2)의 접속경로인 HFC-IP망(520)과 통신하는 HFC-IP 방송통신모듈(332)을 이용하여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2(600-2)로 송출한다.
오디오 믹싱부(350)는 믹싱 대상이 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면, 믹싱 대상이 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즉,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713).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통신부(330)의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단말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715). 그리고 오디오 믹싱부(35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경로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2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4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717).
아울러, 오디오 믹싱부(350)는 HFC-IP 방송통신모듈(332)을 이용하여,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중복되어 수신하지 않고 제2오디오 데이터만을 수신하는 방송단말2(6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719). 그리고 오디오 믹싱부(350)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만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20)의 출력단자2(OUT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2(4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721). 이때, 오디오 믹싱부(350)의 볼륨조정 모듈(351)은 사전에 저장된 출력단자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출력단자2(OUT2)로 송출되는 제2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한편, S705 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콘텐츠에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믹싱부(350)는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이 포함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출력부(320)의 출력단자2(OUT2)로 송출하고, 상기 출력단자2(OUT2)와 연결된 오디오분배기2(400-2)는 상기 스피커 출력 식별목록에 해당하는 스피커로만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분배한다. 또한, S705 단계에서 수신한 방송 콘텐츠에 방송예약 시각이 포함된 경우,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예약 시각이 도래한 경우 S707 단계 이후를 진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선택적으로 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하여 송출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8을 참조한 설명에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방송단말1(600-1)과 오디오분배기1(400-1)로 제1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고 동시에 방송단말2(600-2)와 오디오분배기2(400-2)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하는 도중에, 방송단말1(600-1)과 오디오분배기1(400-1)로 송출되는 제3오디오 데이터를 입력장치1(200-1)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오디오 믹싱부(350)가 방송통신부(330) 및 오디오 출력부(32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1(600-1)과 오디오분배기1(400-1)로 송출하고,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2(600-2)와 오디오분배기2(600-2)로 송출하는 도중에, 오디오 입력부(310)는 외부 입력장치1(200-1)로부터 제3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오디오 믹싱부(350)로 전달한다(S801, S803, S805, S807, S809).
입력장치1(200-1)로부터 제3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된 입력신호라인의 식별정보(즉, IN1)를 확인한다(S811).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의 볼륨조정 모듈(351)은 사전에 저장된 입력신호라인별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어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와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를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서 확인한다(S813). 부연하면, 외부 입력장치(200-N)가 오디오 데이터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달할 뿐 추가적인 단말 식별목록, 출력단자 식별정보 등의 정보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없기 때문에, 오디오 믹싱부(350)는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토대로,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로인 출력단자 식별정보(즉, OUT1)를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IN1)와 대응되는 방송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340)의 신호라인 테이블에서 추출한다. 이어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추출한 방송단말 식별정보와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을 토대로, 입력장치1(200-1)의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목적지 단말(600-N)이 복수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 중에서 어느 방송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815).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7). 구체적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부연하면, 오디오 믹싱부(350)는 새로운 오디오 데이터(즉, 제3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제3오디오 데이터와 동일한 출력 경로(즉, 출력단자)로 동시에 출력되는 다른 오디오 데이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확인한다. 또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추출한 방송단말 식별정보를 토대로, 현재 제1오디오 데이터 또는 제2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있는 방송단말(600-N) 중에서 제3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단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오디오 믹싱부(350)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단말(600-N)이 존재하거나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 지정된 출력단자가 존재하면, 상기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한다(S819). 도 8에서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의 출력경로로서 출력단자1(OUT1)이 지정되고, 상기 두 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 단말로서 방송단말1(600-1)이 지정된다.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통신부(330)의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단말1(6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821). 그리고 오디오 믹싱부(350)는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3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출력단자로서 지정된 오디오 출력부(320)의 출력단자1(OUT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송출함으로써, 오디오분배기1(400-1)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달한다(S823). 이때,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통신부(330)와 오디오 출력부(320)를 이용하여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2(600-2)와 출력단자2(OUT2)로 지속적으로 송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하이브리드망의 로드 밸런싱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9를 참조한 설명에서는 UTP-IP망(510)에서 로드가 증가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오디오 믹싱부(350)는 도 7 또는 도 8을 절차를 통해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하나 이상의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분배기(400-N)로 전송한다(S901). 이때, 오디오 믹싱부(350)는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을 토대로, 각 방송단말(600-N)이 어느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과 통신하는 방송통신모듈(331, 332, 333, 334)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
그러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331, 332, 333, 334)을 이용하여 각각의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통신상태를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측정하여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한다(S903). 이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331, 332, 333, 334)을 이용하여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송수신되고 있는 데이터 처리량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이 일괄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량에 이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이 현재 송수신하고 있는 데이터 처리량을 나눔으로써,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각각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이용중인 대역폭량을 확인하여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서 기록하고,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최대 대역폭에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대역폭량을 나눔으로써,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데이터 처리량, 대역폭량, 최대 데이터 처리량, 최대 대역폭을 조합하여,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을 토대로,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별 부하율이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예컨대, 80%)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905). 이어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 이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한 복수의 방송단말(600-N)을 망관리 테이블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단말(600-N) 중에서 경로전환시킬 다수의 방송단말(600-N)을 선정한다(S907). 이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초과된 부하율에 근거하여 경로전환시킬 방송단말(600-N)의 개수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개수만큼의 방송단말(600-N)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100개의 방송단말(600-N)이 접속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부하율이 90%인 경우(즉, 부하율이 임계값을 10% 정도로 초과한 경우), 상기 부하율을 임계값 이하 수준으로 떨어뜨리기 위하여 100개의 방송단말(600-N) 중에서 12개의 방송단말(600-N)을 경로전환시킬 방송단말(600-N)로 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각 방송통신망의 부하율을 토대로, 부하율이 낮은 망을 경로전환시킬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선정한다(S909). 바람직하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된 방송통신망별 부하율을 토대로, 부하율이 가장 낮은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을 경로전환시킬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선정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접속경로 관리부(360)가 경로전환 방송통신망으로 HFC-IP망(520)을 선정한 것으로 설명된다.
다음으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기 선정한 방송통신망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를 S907 단계에서 선정한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S911). 이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경로전환시킬 방송단말(600-N)의 접속경로인 UTP-IP망(510)과 통신하는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이용하여, 상기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9에서는 방송통신망 식별정보로서, HFC-IP망(52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다.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각각의 방송단말(600-N)은, 상기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통신망 식별정보를 근거로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한다(S913). 다음으로, 방송단말(600-N)은 HFC-IP망(520)을 경유하여 자신의 단말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915).
이어서, HFC-IP 방송통신모듈(332)에서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 단말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UTP-IP망(510)을 경유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전송 중이던 오디오 데이터를 HFC-IP망(520)을 경유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이어서 전송한다(S917).
다음으로, 방송단말(600-N)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UTP-IP 방송통신모듈을 비활성화한다(S919). 즉, 방송단말(600-N)은 중단없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S911 단계에서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더라도,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기 전까지는 UTP-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방송단말(600-N)은 로드 밸런싱에 따라 접속 경로를 전환하더라도, 중단없는 오디오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한다.
이렇게, 오디오 데이터가 다른 방송통신망(즉, HFC-IP망)을 통해 수신되면, 방송단말(600-N)은 UTP-IP망(510)에서 HFC-IP망(520)으로 경로전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HFC-IP망(520)을 경유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921).
그러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UTP-IP망(510)의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기록된 상기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서 삭제하고, HFC-IP망(520)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단말 식별정보 필드(67)에 상기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기록한다(S923). 즉,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접속 경로를 전환한 방송단말(600-N)이 HFC-IP망(520)에 접속하였음을 망관리 테이블에서 기록함으로써, 망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다른 방송통신망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통신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복수의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S1001).
이어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관리자로부터 복수의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 중에서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대한 방송 서비스 중단을 입력받는다(S1003). 즉,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 선로 변경, 유지 보수 등의 작업이 진행되어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서의 통신단절이 예상됨에 따라, 관리자로부터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대한 방송 서비스 중단을 입력받는다. 이때,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자체 구비된 입력수단(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등)을 통하여 방송 서비스 중단 신호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원격지에 위치한 관리자의 방송단말(600-N)로부터 방송 서비스 중단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도 10에서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가 UTP-IP망(510)에 대한 방송 서비스 중단을 입력받는 것으로 설명된다.
그러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기 UTP-IP망(510)에 접속한 다수의 방송단말(600-N)을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고,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다수의 방송단말(600-N)로 UTP-IP망 방송중단 메시지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1005).
다음으로, 방송단말(600-N)은 UTP-IP망 방송중단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UTP-IP 통신 모듈을 제외한 다른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활성화하고 이 활성화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1007, S1009). 도 10에서는 UTP-IP망(510)에 접속한 방송단말(600-N)이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고, HFC-IP망(520)을 경유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어서, HFC-IP 방송통신모듈(332)에서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가 수신되면,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이 단말 식별정보를 토대로 UTP-IP망(510)을 경유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전송 중이던 오디오 데이터를 HFC-IP망(520)을 경유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이어서 전송한다(S1011).
방송단말(600-N)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UTP-IP 방송통신모듈을 비활성화한다(S1013). 즉, 방송단말(600-N)은 중단없는 오디오 데이터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하기 위하여, S1005 단계에서 방송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더라도,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통하여 오디오 데이터가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되기 전까지는 UTP-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한다. 이어서, 방송단말(600-N)은 UTP-IP망(510)에서 HFC-IP망(520)으로 경로전환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HFC-IP망(520)을 경유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1015).
그러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UTP-IP망(510)의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기록된 상기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서 삭제하고, HFC-IP망(520)의 식별정보와 대응되는 단말 식별정보 필드(67)에 상기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기록한다(S1017). 즉,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방송단말(600-N)이 HFC-IP망(520)에 접속하였음을 망관리 테이블에서 기록함으로써, 망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 이어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망관리 테이블을 토대로, UTP-IP망(510)에서 접속한 모든 방송단말(600-N)이 다른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경로전환 완료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모두 완료된 경우, 경로 절체 완료 메시지를 모니터 또는 스피커에 출력하거나 관리자의 방송단말(600-N)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해 상기 UTP-IP망(510)에서의 작업이 진행되게 한다.
다음으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상기 UTP-IP망(510)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이 관리자에 의해 완료되면, UTP-IP망(510)의 복구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거나 관리자의 방송단말(600-N)로부터 수신한다(S1019). 그러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제외한 HFC-IP 방송통신모듈(332), HFC-CATV 방송통신모듈(333) 및 HFC-ATSC 방송통신모듈(334)을 이용하여 UTP-IP망(510)의 복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S1021). 즉,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UTP-IP망(510)을 제외한 HFC-IP망(520), HFC-CATV망(530) 및 HFC-ATSC망(540)으로 UTP-IP망(510)의 복구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그러면, 방송단말(600-N)은 상기 UTP-IP망(510)의 복구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현재 접속된 방송통신망(520, 530)에서 장애가 발생하거나 방송통신품질이 불량한 경우, 상기 UTP-IP망(510)으로 접속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각각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중인 방송단말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고, 이 중 특정 방송단말(600-N)의 접속전환 명령을 관리자로부터 수신하여 이 방송단말(600-N)의 접속경로를 다른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변경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가 UTP-IP망(510)에 접속한 방송단말1(600-1)의 접속경로를 HFC-CATV망(530)으로 변경하라는 조작신호를 관리자로부터 수신하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기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방송단말1(600-1)의 접속경로를 UTP-IP망(510)에서 HFC-CATV망(530)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0의 방법을 통해, 관리자는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특정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중인 모든 방송단말(600-N)을 다른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으로 접속 전환시켜, 방송 서비스 중단없이 해당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방송통신품질에 근거하여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통신부(330)를 이용하여 제1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복수의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S1101).
그러면, 방송단말(600-N)은 상기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와의 방송통신품질을 측정한다(S1103). 즉, 방송단말(600-N)은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패킷을 토대로, 패킷 손실률, 오디오 패킷 지연시간 등을 측정한다. 이어서, 방송단말(600-N)은 상기 측정한 방송통신품질 정보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1105).
그러면, 방송통신부(330)에 포함된 특정 방송통신모듈(331, 332, 333, 334)은 상기 방송단말(600-N)로부터 방송통신품질 정보를 수신하고,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기 방송통신품질 정보(음성지연시간, 패킷 손실률)를 망관리 테이블에 기록한 후, 상기 방송통신품질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의 방송통신품질이 양호 또는 불량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7). 예를 들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패킷의 손실률이 1%를 초과하거나, 음성지연시간이 150ms를 초과한 경우 상기 방송단말(600-N)의 방송통신품질이 불량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제공받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기 방송단말(600-N)의 방송통신품질이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단말(600-N)이 접속된 방송통신망인 UTP-IP망(510)을 제외하고 HFC-IP망(520), HFC-CATV망(530) 및 HFC-ATSC망(540) 중에서, 접속경로 전환시킬 방송통신망(520, 530, 540)을 망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선정한다(S1109, S1111). 이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각각의 방송통신망(520, 530, 540)에 대한 부하율을 상기 망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이 중 부하율이 가장 적은 방송통신망을 경로 전환시킬 방송통신망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이렇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접속경로 전환시킬 방송통신망을 선정한 후에, 이 방송통신망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를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이용하여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S1113). 그러면, 방송단말(600-N)은 상기 경로전환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통신망 식별정보(즉, HFC-IP망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한다(S1115). 이어서, 방송단말(600-N)은 HFC-IP망(520)을 경유하여 자신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를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1117).
그러면, HFC-IP 방송통신모듈(332)은 상기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경로전환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단말(600-N)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이 단말 식별정보를 토대로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통해 상기 방송단말(600-N)로 전송중이던 오디오 데이터를 HFC-IP 방송통신모듈(332)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이어서 전송한다(S1119). 즉,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UTP-IP망(510)을 경유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전송중이던 오디오 데이터를 HFC-IP망(520)을 경유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로 이어서 전송한다.
다음으로, 방송단말(600-N)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가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통하여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UTP-IP 방송통신모듈을 비활성화한다(S1121). 이어서, 방송단말(600-N)은 UTP-IP망(510)에서 HFC-IP망(520)으로 접속경로 전환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경로전환 완료 메시지를 HFC-IP망(520)을 경유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전송한다(S1123).
그러면,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접속 경로를 전환한 방송단말(600-N)이 HFC-IP망(520)에 접속하였음을 망관리 테이블에서 기록함으로써, 망관리 테이블을 갱신한다(S1125).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에서 상향 방송 요청한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방송단말(600-N)은 UTP-IP망(510)을 통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스피커에 출력하고 있는 도중에, 사용자로부터 방송 시작 신호를 입력받는다(S1201).
그러면, 방송단말(600-N)은 현재 접속된 UTP-IP망(510)을 경유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상향 방송통신망의 선택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203). 그러면,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의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은 상향 방송통신망 선택 요청 메시지를 상기 방송단말(600-N)로부터 수신하고,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별 부하율을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에서 확인하여, 이 중 부하율이 가장 적은 방송통신망을 상기 방송단말(600-N)의 상향 방송통신망으로 선정한다(S1205, S1207). 이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기 상향 방송통신망 선택 요청 메시지의 수신경로인 UTP-IP망(510)을 선정대상 방송통신망에서 제외시킨다. 도 12에서는 접속경로 관리부(360)가 상향 방송통신망으로 HFC-IP망(520)을 선정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렇게 접속경로 관리부(360)는 상향 방송통신망을 선정한 후, 이 방송통신망(51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상향 방송통신망 응답 메시지를 UTP-IP 방송통신모듈(331)을 이용하여 방송단말(600-N)로 전송한다(S1209). 그러면, 방송단말(600-N)은 상기 상향 방송통신망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HFC-IP망 식별정보에 근거하여 HFC-IP 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고, 이 HFC-IP 방송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방송 시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S1211, S1213). 이때, 방송단말(600-N)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단말 식별목록,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 및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상기 방송 시작 요청 메시지에 포함시킨다.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HFC-IP 방송통신모듈(332)을 이용하여 상기 방송단말(600-N)과 세션을 형성하고, 이 세션을 통하여 방송단말(600-N)로부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는다(S1215, S1217). 즉,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HFC-IP망(520)을 경유하여 방송단말(600-N)과 세션을 형성하고, 상기 세션을 통하여 제2오디오 데이터를 방송단말(600-N)로부터 제공받는다.
그러면, 오디오 믹싱부(350)는 방송시작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단자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출력단자 활성화 정보를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 기록한다(S1219). 또한, 오디오 믹싱부(350)는 상기 방송단말 식별정보와 저장부(340)의 망관리 테이블을 토대로,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단말(600-N)이 어느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에 접속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1221).
다음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223). 구체적으로, 오디오 믹싱부(350)는 저장부(340)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특정 출력단자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중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아울러, 오디오 믹싱부(350)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동시에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단말(600-N)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오디오 믹싱부(350)는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면,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를 믹싱한 후, 제1오디오 데이터와 제2오디오 데이터 모두의 목적지로서 지정된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 분배기(400-N)로 상기 믹싱된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S1225). 반면에, 오디오 믹싱부(350)는 믹싱대상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오디오 데이터의 목적지로 지정된 방송단말(600-N) 또는 오디오 분배기(400-N)로 상기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12의 방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는 자신이 방송 주체가 되는 하향방송 경로와 방송단말(600-N)이 주체가 되는 상향방송 경로를 달리하여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방송단말(600-N)은 하향방송에 필요한 제1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부터 제1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향방송에 필요한 제2방송통신모듈을 활성화하여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300)로 제2오디오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이기종 방송통신망(510, 520, 530, 540)의 로드를 분산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향방송과 하향방송의 경로를 이원화하여 구내방송 서비스의 품질과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200 : 입력장치 300 :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310 : 오디오 입력부 320 : 오디오 출력부
330 : 방송통신부 331 : UTP-IP 방송통신모듈
332 : HFC-IP 방송통신모듈 333 : HFC-CATV 방송통신모듈
334 : HFC-ATSC 방송통신모듈
340 : 저장부 350 :오디오 믹싱부
351 : 볼륨조정 모듈 360 : 접속경로 관리부
400 : 오디오분배기 510 : UTP-IP망
520 : HFC-IP망 530 : HFC-CATV망
540 : HFC-ATSC망 600 : 방송단말

Claims (8)

  1.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이 분포된 하이브리드망 방송통신환경에서 선택적인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로서,
    상기 하이브리드망에 분포된 복수의 이기종 방송통신망과 각각 통신하는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다수의 오디오 입력단자를 통해 다수의 입력장치와 연결되는 오디오 입력부;
    다수의 오디오 출력단자를 통해 각 분배기와 출력경로를 형성하는 오디오 출력부;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가 기록된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 및 각 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어 단말 식별정보가 기록된 신호라인 테이블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오디오 입력부의 각 입력단자와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신호라인을 형성하고, 제1입력신호라인을 통해 오디오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어 활성화된 출력경로와 상기 제1입력신호라인과 대응되는 단말 식별정보를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과 신호라인 테이블에서 각각 확인하여, 상기 확인된 출력경로를 통해 오디오 분배기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단말 식별정보를 가지는 방송단말로 상기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되,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 기록된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출력경로가 중복되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출력경로별로 확인하여 존재하면 동일한 출력경로를 가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1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여 상기 제1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에 속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하여 송출하는 오디오 믹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상기 복수의 방송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를 통해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경로가 포함된 방송 콘텐츠가 사용자의 방송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방송 콘텐츠에 포함된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출력경로를 확인하고 이 확인한 출력경로에 대한 활성화 정보를 상기 입력신호라인 식별정보와 대응하여 상기 저장부의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에 기록하여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을 갱신하고, 이렇게 갱신된 믹싱 매트릭스 테이블의 출력경로 활성화 정보를 토대로, 출력경로가 중복되는 오디오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동일한 출력경로를 가지는 복수의 오디오 데이터를 제2믹싱 대상 오디오 그룹으로 선정하여 하나의 오디오 데이터로 믹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각각의 입력신호라인과 출력경로에 대한 음량증감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음량증감정보를 토대로, 각각의 입력신호라인으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고, 각각의 출력경로로 송출시킬 오디오 데이터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방송단말별 방송통신망 접속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상기 방송단말별 방송통신망 접속정보를 토대로, 방송단말이 접속된 방송통신망과 통신하는 방송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해당 방송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망에 분포된 각 이기종 방송통신망의 부하율을 측정하여 제1방송통신망의 부하율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방송통신망에 접속된 전체의 방송단말 중에서 경로전환시킬 하나 이상의 방송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하나 이상의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상기 제1방송통신망에서 제2방송통신망으로 전환시키는 접속경로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상기 제2방송통신망과 통신하는 방송통신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경로 전환된 방송단말로 오디오 데이터를 이어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경로 관리부는,
    제1방송단말로부터 상향 방송통신망 선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제1방송단말이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하향 방송통신망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하향 방송통신망과 상이한 방송통신망을 상기 제1방송단말의 상향 방송통신망으로 선정하고,
    상기 오디오 믹싱부는, 상기 선정된 상향 방송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방송단말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이 오디오 데이터를 지정된 방송단말 또는 오디오 분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경로 관리부는,
    관리자로부터 방송 서비스를 중단시킬 방송통신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방송통신망에 접속된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서비스 중단 예정된 방송통신망에서 다른 방송통신망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경로 관리부는,
    각각 방송단말로부터 보고된 방송통신품질 정보를 토대로 각 방송단말의 방송통신품질의 열화여부를 분석하여, 방송통신품질 열화된 방송단말의 접속경로를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20110029451A 2011-03-31 2011-03-31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1220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451A KR101220487B1 (ko) 2011-03-31 2011-03-31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9451A KR101220487B1 (ko) 2011-03-31 2011-03-31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129A KR20120111129A (ko) 2012-10-10
KR101220487B1 true KR101220487B1 (ko) 2013-01-10

Family

ID=4728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9451A KR101220487B1 (ko) 2011-03-31 2011-03-31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4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5662B1 (ko) 2015-09-04 2017-06-20 (주)원영전자 구내 방송을 위한 송출기 및 수신기
KR102387394B1 (ko) * 2020-03-12 2022-04-14 최성국 환경 센서 모니터링을 이용한 스피커 매트릭스 시스템을 구비한 학교 방송 장비와 연동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122A (ko) * 2004-01-26 2005-08-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 액세스 통신망에서의 멀티모드-멀티밴드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0740980B1 (ko) * 2006-07-20 2007-07-23 주식회사 에어코드 데이터 방송 콘텐츠 테스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7122A (ko) * 2004-01-26 2005-08-0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 액세스 통신망에서의 멀티모드-멀티밴드이동통신단말의 모드 전환방법
KR100740980B1 (ko) * 2006-07-20 2007-07-23 주식회사 에어코드 데이터 방송 콘텐츠 테스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129A (ko)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4134B1 (ko)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CN100496018C (zh) 通信控制装置、通信终端装置、服务器装置和通信控制方法
CN104160687B (zh) 用于识别并且转变到改进的voip会话的方法和系统
CN109067578A (zh) 一种组播快速切换的方法和装置
RU2012147842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нференц-связью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му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CN107306192B (zh) 一种业务数据传输方法、装置和系统
KR20020005503A (ko) 무선 기지국, 무선 단말 및 콘텐츠 프로바이더
CN108063911B (zh) 一种视频会议扩容方法
CN109194904B (zh) 一种适用于指挥调度业务的移动视频会商系统
CN101778114A (zh) 一种基于负载均衡的流媒体业务多路并行传输方法
JP6816778B2 (ja) 無線端末、サーバ、無線端末の通信方法、プログラム
CN101471805B (zh) 一种业务切换的方法、系统和设备
CN107786456B (zh) 流量控制方法及系统,分组交换设备及用户设备
KR101220487B1 (ko)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CN102948116A (zh) 用于将内容发送到多个装置的方法和设备
CN102045586A (zh) 网络设备、信息处理装置、流切换方法和内容分送系统
KR101221639B1 (ko) 방송 콘텐츠 믹싱을 지원하는 하이브리드망 기반의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KR101021198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구내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00482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그 기록 매체
CN109874179A (zh) 通话系统、主控制器、无线处理单元以及转发方法
US11997339B2 (en) Adaptive streaming of media content with bitrate switching
KR101193026B1 (ko) 오디오 믹싱을 지원하는 구내방송 서비스 장치
CN112039924B (zh) 一种通信设备及通信系统
WO2012093718A1 (ja) コンテンツ取得装置、再生装置、コンテンツ取得方法、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907613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for audio rou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