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185A -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185A
KR20120015185A KR20100077491A KR20100077491A KR20120015185A KR 20120015185 A KR20120015185 A KR 20120015185A KR 20100077491 A KR20100077491 A KR 20100077491A KR 20100077491 A KR20100077491 A KR 20100077491A KR 20120015185 A KR20120015185 A KR 20120015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graphene
reel
post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77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7921B1 (ko
Inventor
원동관
조승민
윤종혁
나덕화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7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7921B1/ko
Priority to US13/816,351 priority patent/US9136112B2/en
Priority to PCT/KR2011/005731 priority patent/WO2012020950A2/en
Priority to CN201180039659.2A priority patent/CN103080004B/zh
Publication of KR20120015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7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7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84Preparation
    • C01B32/186Preparation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82Graphene
    • C01B32/194After-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21Materials
    • H01L21/02524Group 14 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1/02527Carbon, e.g. diamond-like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6Graph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핀의 후처리 공정과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릴을 이용하여 그래핀이 형성된 금속 박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도포용 롤러를 이용하여 그래핀 상에 액상의 캐리어를 도포하는 단계와, 캐리어를 경화하는 단계 및 캐리어 및 그래핀을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단계가 릴투릴 방식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진행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Method for post treatment of graphe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graphe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탄소에 기반을 둔 재료들, 예를 들어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다이아몬드(diamond),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등이 다양한 분야의 나노 기술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은 FET(field effect transistor), 바이오 센서(biosensor), 나노 복합물(nanocomposite) 또는 양자 소자(quantum device) 등에 이용되거나 이용될 수 있다.
그래핀은 2차원 물질로서 밴드갭이 0(zero gap)인 반도체 물질이며, 최근 몇년간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에 관하여 다양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의 전기적인 특성에는 양극성 수퍼 전류(biopolar supercurrent), 스핀이동(spin transport), 양자 홀 효과(quantum hole effect) 등이 포함된다. 현재 그래핀은 탄소를 기반으로 하는 나노 전자 소자의 집적화를 위한 기본 단위로 이용될 수 있는 물질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래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고품질의 그래핀을 생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저항이 크게 감소하여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고품질의 그래핀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고품질의 그래핀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릴을 이용하여 그래핀이 형성된 금속 박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상에 액상의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릴투릴 방식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진행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박판과 이격되어 구비된 도포용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용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금속 박판상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는 아크릴계 물질, 실리콘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가 아크릴계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경우에, 상기 캐리어는 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가 실리콘계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경우에, 상기 캐리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실리콘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의 캐리어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화용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에칭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 박판을 제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기판 릴을 이용하여 보호막 소재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 상에 상기 보호막 소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를 용매에 녹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가 담긴 용기에 상기 캐리어를 담그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용매에 녹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릴을 이용하여 금속 박판을 그래핀 형성 수단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금속 박판 상에 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상에 액상의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경화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상에 보호막 소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릴투릴 방식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진행되는 그래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금속 박판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철(Fe), 코발트(Co)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박판과 이격되어 구비된 도포용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용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금속 박판상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수용성 아크릴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실리콘 접착제, 수용성 에폭시 수지, 변성 에폭시 수지, 수용성 폴리 우레탄 수지, 수용성 천연 고분자 수지, 수계 접착제, 가시광 경화형 접착제, 적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빔 경화형 접착제, PBI 접착제, 폴리이미드 접착제, 이미드 접착제, BMI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에칭으로 상기 금속 박판을 제거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를 용매에 녹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 상기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가 담긴 용기에 상기 캐리어를 담그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용매에 녹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액상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면저항이 크게 감소된 고품질의 그래핀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릴투릴 방식을 이용하여 고품질의 그래핀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핀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그래핀 제조 방법에 따른 공정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계 S100에 따라 이송되는 금속 박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으로, 도 2의 Ⅲ에 대응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단계 S110 ~ S120에 따라 금속 박판에 그래핀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으로, 도 2의 Ⅳ에 대응되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단계 S130에 따라 그래핀에 액상의 캐리어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으로, 도 2의 Ⅴ에 대응되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단계 S150에 따라 금속 박판이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으로서 도 2의 Ⅵ에 대응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가 반전된 적층구조이다.
도 7은 도 1의 단계 S160에 따라 그래핀에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으로서 도 2의 Ⅶ에 대응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가 반전된 적층 구조이다.
도 8은 도 1의 단계 S170에 따라 캐리어가 제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으로서 도 2의 Ⅷ에 대응되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하가 반전된 적층 수조이다.
도 9는 그래핀에 압력이 가해진 횟수에 따른 면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그래핀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은 그래핀의 제조 방법 중 단계S130 ~ 단계 S170로서 기 포함되어 설명되므로, 후처리 방법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이하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그래핀 제조 방법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각 단계별 공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단계 S100에서, 릴(10)을 이용하여 금속 박판(301)을 이송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릴(10)에 권취되어 있던 금속 박판(301)이 풀리면서 그래핀 형성 수단(100) 쪽으로 이송된다.
금속 박판(301)은 니켈(Ni), 코발트(Co), 철(Fe), 백금(Pt), 금(Au), 알루미늄(Al), 크롬(Cr), 구리(Cu), 마그네슘(Mg), 망간(Mn), 몰리브덴(Mo), 로듐(Ro), 규소(Si), 탄탈륨(Ta), 티타늄(Ti), 텅스텐(W)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박판(301)이 1개의 단일 층인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적어도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 기판 중 1개의 층이 금속 박판(301)일 수 있다. 이 경우 금속 박판(301)은 다층 기판의 최외곽에 배치된다. 도 3은 그래핀 형성 수단(100)으로 이송되는 금속 박판(301)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전처리 공정
단계 S110에서, 금속 박판(301)의 표면을 세정한다. 전처리 과정은 금속 박판(301)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수소 기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산/알칼리 용액 등을 사용하여 금속 박판(301)의 표면을 세정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인 그래핀(302) 형성시 결함을 줄이는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금속 박판(301)의 표면을 세정하는 본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으며, 릴(10)에 금속 박판(301)이 권취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래핀 형성 공정
단계 S120에서, 금속 박판(301)에 기상의 탄소 공급원을 투입하면서 열처리하여 그래핀(302)을 형성한다.
도 2를 참고하면, 그래핀 형성 수단(100)으로 금속 박판(301)이 이송되면, 기상의 탄소공급원을 투입하고 열처리한다. 열처리는 가열 및 냉각으로 이루어진다.
기상의 탄소 공급원은 메탄(CH4), 일산화탄소(CO), 에탄(C2H6), 에틸렌(CH2), 에탄올(C2H5), 아세틸렌(C2H2), 프로판(CH3CH2CH3), 프로필렌(C3H6), 부탄(C4H10), 펜탄(CH3(CH2)3CH3), 펜텐(C5H10), 사이클로펜타디엔(C5H6), 헥산(C6H14), 시클로헥산(C6H12), 벤젠(C6H6), 톨루엔(C7H8) 등 탄소 원자가 포함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상의 탄소 공급원은 고온에서 탄소 원자와 수소 원자로 분리된다.
분리된 탄소 원자는 가열된 금속 박판(301)에 증착되고, 금속 박판(301)이 냉각되면서 그래핀(302)으로 형성된다.
그래핀(302)이 형성된 금속 박판(301)은 이송용 롤러(11)를 통해 그래핀 형성 수단(100)의 외부로 반출된다. 도 4는 금속 박판(301)에 형성된 그래핀(302)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그래핀 형성 수단(100)은 가열과 냉각 공정이 모두 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하나의 장치일 수 있고, 또는 가열 공정과 냉각 공정이 별도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장치로 구성하여 가열과 냉각 공정을 별도의 공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박판(301)의 표면을 세정하는 전처리 공정이 그래핀 형성 수단(100)으로 금속 박판(301)을 이송하기 이전에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그래핀 형성 수단(100)으로 이송된 금속 박판(301)에 기상 탄소 공급원을 투입하기 이 전에, 수소 기체 등을 이용하여 전처리 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래핀 형성 수단(100)은 전처리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후처리 공정
단계 S130에서, 그래핀(302) 상에 액상의 캐리어(303)가 배치된다. 도 2를 참고하면, 그래핀(302) 및 금속 박판(301)이 적층된 구조가 이송용 롤러(11, 21)에 의하여 도포용 롤러(200) 쪽으로 이동한다.
캐리어 공급부(250)에 의하여 도포용 롤러(200)의 외주면에는 액상의 캐리어(303)가 묻어 있는 상태이다. 이 후, 도포용 롤러(200)가 회전하면, 그래핀(302) 상에 액상의 캐리어(303)가 도포된다.
도포용 롤러(200)는 그래핀(302)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도포용 롤러(200)가 그래핀(302)과 직접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하므로, 그래핀(302)에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압력은 그래핀(302)의 면저항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본 단계에 따른 캐리어(303) 도포시, 그래핀(302)에 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면저항이 작은 우수한 품질의 그래핀(302)을 제조할 수 있다. 도포용 롤러(200)와 그래핀(302) 사이의 이격 정도는, 도포용 롤러(200)의 외주면에 묻어있는 캐리어(303)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캐리어(303)로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PMMA:Polynethylmethacrylate) 또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와 같은 아크릴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MMA는 내후성이 우수하여, 그래핀(302)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캐리어(303)로는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polydimethylsiloxane) 또는 실리콘 접착제와 같은 실리콘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PDMS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그래핀(302)을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캐리어(303)로는 수용성 에폭시 수지 또는 변성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에폭시계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캐리어(303)로 수용성 폴리 우레탄 수지, 수용성 천연 고분자 수지, 수계 접착제, 가시광 경화형 접착제, 적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빔 경화형 접착제, PBI 접착제, 폴리이미드 접착제, 이미드 접착제, BMI 접착제 또는 핫멜트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그래핀(302)에 액상 캐리어(303)가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단계 S140에서, 액상의 캐리어(303)를 경화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액상의 캐리어(303), 그래핀(302) 및 금속 박판(301)이 적층된 구조가 이송용 롤러에 의하여 경화용 롤러(300) 쪽으로 이동한다.
경화용 롤러(300)는 그래핀(302)과 마주보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경화용 롤러(300)는 회전하면서 그래핀(302) 상에 도포된 액상의 캐리어(303)를 경화시킨다. 예컨대, 경화용 롤러(300)는 제자리에서 회전하거나 소정의 거리를 이동하면서 액상의 캐리어(303)를 경화시킬 수 있다.
경화용 롤러(300)는 캐리어(303)에 소정의 열을 가하거나,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전자 빔 등을 조사하여 액상의 캐리어(303)를 경화시킨다. 경화용 롤러(300)는 액상 캐리어(303)에 따라 열, 광선 또는 빔을 조사한다. 예컨대, 캐리어(303)로 PMMA, 수용성 아크릴 수지, PDMS,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접착제, 이미드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경화용 롤러(300)는 열을 가한다.
한편, 캐리어(303)로 가시광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용 롤러(300)는 가시광선을 조사하고, 캐리어(303)로 적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용 롤러(300)는 적외선을 조사하며, 캐리어(303)로 전자빔 경화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용 롤러(300)는 전자빔을 조사한다. 캐리어(303)로 적외선 경화형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경화용 롤러(300)는 적외선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화용 롤러(300)를 사용하여 액상의 캐리어(303)를 경화시키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박스형 오븐과 같은 챔버를 구비하여 챔버를 통과한 액상의 캐리어(303)가 경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박스형 오븐도 열뿐만 아니라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성 및 전자빔 등을 조사할 수 있다.
캐리어(303)는 에칭 공간(400)으로 그래핀(302)을 운반하는 매개일 뿐만 아니라 금속 박판(301)을 제거함이 있어서 그래핀(302)의 형태를 유지 및 보존시켜 준다.
단계 S150에서, 금속 박판(301)을 제거한다. 예컨대, 금속 박판(301)을 에칭 공정에 따라 제거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이송용 롤러(31, 32, 33)를 따라 캐리어(303), 그래핀(302) 및 금속 박판(301)이 포함된 적층 구조가 에칭 공간(400)으로 이송된다. 예컨대, 에칭 공간(400)에는 에칭액을 분사하는 분사기(410)가 구비되어 금속 박판(301)으로 에칭액을 분사할 수 있다.
에칭 액으로는 산, 불화수소(HF), BOE(Buffered Oxide Etch), 염화 제2철(FeCl3) 용액, 질산 제2철(Fe(NO3)3) 용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금속 박판(301)이 제거된 상태로, 캐리어(303)와 그래핀(302)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이다.
단계 S160에서, 그래핀(302)에 보호막 소재(700)를 형성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캐리어(303) 및 그래핀(302)이 적층된 구조가 이송용 롤러(410, 51)에 의하여 부착용 롤러(710) 쪽으로 이동한다.
보호막 소재(700)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PET), 폴리이미드(polyimide:PI) 등과 같은 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막 소재(700)는 필름 형태로 제작되어 보호막 소재 공급 릴(70)에 의하여 공급된다. 캐리어(303) 및 그래핀(302)이 적층된 구조와, 보호막 소재(700)가 부착용 롤러(710)를 통과하면서 그래핀(302) 상에 보호막 소재(700)가 형성된다.
도 7은 보호막 소재(700)가 형성된 상태로, 보호막 소재(700), 그래핀(302), 캐리어(303)가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단계 S170에서, 캐리어(303)를 제거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보호막 소재(700), 그래핀(302), 캐리어(303)가 적층된 구조가 이송용 롤(51)을 통해 용기(500) 쪽으로 이동한다.
용기(500)에는 캐리어(303)를 제거하기 위한 용매(550)가 담겨있고, 캐리어(303)는 용매(550)를 통과하면서 녹는다.
용매(550)로는 알칼리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PMMA, 변성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접착제, 이미드 접착제와 같은 물질이 캐리어(303)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용매(550)로 알칼리성 물질을 사용한다.
용매(550)로는 유기 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PMMA나 변성 에폭시와 같은 물질을 캐리어(303)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케톤, 에스테르 염화탄화수소와 같은 유기 용제를 용매(550)로 사용할 수도 있다.
용매(550)로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용성 아크릴 수지, 수용성 에폭시 수지,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같은 물질을 캐리어(303)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을 용매(550)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303)에 따라서, 산성 물질을 용매(550)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캐리어(303)가 제거된 상태로, 그래핀(302), 보호막 소재(700)가 순서대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단계 S180에서, 권취용 릴(20)을 이용해 보호막 소재(700)가 형성된 그래핀(302)을 권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그래핀(302)이 형성된 금속 박판(301)은 별도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컨베이어 벨트에 실장된 금속 박판(301)이 그래핀 형성 수단(100)을 통과하면서 그래핀(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그래핀(302)이 형성된 금속 박판(301)은 릴(10)에 감긴 후, 릴(10) 및 이송용 롤러(11, 21)를 통해 도포용 롤러(200)로 이송되면서, 후처리 공정이 시작된다. 후처리 공정은 앞서 단계 S130 내지 단계 S17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다.
도 9는 그래핀(302)에 압력이 가해진 횟수와 그에 따른 그래핀(302)의 면저항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서 A구간은 그래핀(302)에 압력을 2회 가하여 면저항(R)을 측정한 경우이고, B구간은 그래핀(302)에 압력을 1회 가하여 면저항(R)을 측정한 경우이며, C구간은 그래핀(302)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면저항(R)을 측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그래핀(302)에 압력을 2회 가한 경우 면저항(R)은 약 2000 ~ 5000 Ω이고, 그래핀(302)에 압력을 1회 가한 경우 면저항은 약 1000 ~ 2000 Ω 정도이다.
본 발명은, 그래핀(302)에 불필요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진행되므로 C구간과 같이 면저항(R)이 약 1000 Ω이하가 된다. 따라서, 그래핀(302)의 도전성 및 전기적 특성이 더욱 향상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 릴
11, 21, 31, 32, 33, 41, 51: 이송용 롤러
20: 권취용 릴 100: 그래핀 형성 수단
200: 도포용 롤러 250: 캐리어 공급부
300: 경화용 롤러 301: 금속 박판
302: 그래핀 303: 캐리어
400: 에칭 공간 500: 용기
510: 분사기 550: 용매
700: 보호막 소재

Claims (18)

  1. 릴을 이용하여 그래핀이 형성된 금속 박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상에 액상의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릴투릴 방식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진행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박판과 이격되어 구비된 도포용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용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금속 박판상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아크릴계 물질, 실리콘계 물질 및 에폭시계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아크릴계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경우에, 상기 캐리어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수용성 아크릴 수지를 포함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가 실리콘계 물질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경우에, 상기 캐리어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또는 실리콘 접착제를 포함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하는 단계는,
    상기 액상의 캐리어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경화용 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경화시키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에칭을 이용하여 상기 금속 박판을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이후에,
    기판 릴을 이용하여 보호막 소재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그래핀 상에 상기 보호막 소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를 용매에 녹여 이루어지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가 담긴 용기에 상기 캐리어를 담그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용매에 녹이는,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12. 릴을 이용하여 금속 박판을 그래핀 형성 수단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금속 박판 상에 그래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상에 액상의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를 경화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그래핀 상에 보호막 소재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릴투릴 방식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진행되는, 그래핀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판은,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철(Fe), 코발트(Co) 및 텅스텐(W)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진, 그래핀 제조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금속 박판과 이격되어 구비된 도포용 롤러의 외주면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도포용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금속 박판상에 상기 액상의 캐리어를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그래핀 제조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수용성 아크릴 수지, 폴리디메틸실록산, 실리콘 접착제, 수용성 에폭시 수지, 변성 에폭시 수지, 수용성 폴리 우레탄 수지, 수용성 천연 고분자 수지, 수계 접착제, 가시광 경화형 접착제, 적외선 경화형 접착제, 전자빔 경화형 접착제, PBI 접착제, 폴리이미드 접착제, 이미드 접착제, BMI 접착제 및 핫멜트 접착제의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래핀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및 상기 그래핀을 상기 금속 박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에칭으로 상기 금속 박판을 제거하여 이루어지는, 그래핀 제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캐리어를 용매에 녹여 이루어지는, 그래핀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소재가 형성된 상기 그래핀을 상기 캐리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용매가 담긴 용기에 상기 캐리어를 담그어 상기 캐리어를 상기 용매에 녹이는, 그래핀 제조 방법.
KR1020100077491A 2010-08-11 2010-08-11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KR101767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91A KR101767921B1 (ko) 2010-08-11 2010-08-11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US13/816,351 US9136112B2 (en) 2010-08-11 2011-08-05 Method of post treating graphe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aphene using the same
PCT/KR2011/005731 WO2012020950A2 (en) 2010-08-11 2011-08-05 Method of post treating graphe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raphene using the same
CN201180039659.2A CN103080004B (zh) 2010-08-11 2011-08-05 对石墨烯进行后处理的方法和使用该方法制造石墨烯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491A KR101767921B1 (ko) 2010-08-11 2010-08-11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185A true KR20120015185A (ko) 2012-02-21
KR101767921B1 KR101767921B1 (ko) 2017-08-14

Family

ID=4556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491A KR101767921B1 (ko) 2010-08-11 2010-08-11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36112B2 (ko)
KR (1) KR101767921B1 (ko)
CN (1) CN103080004B (ko)
WO (1) WO2012020950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9705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WO2014077503A1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핀의 제조 방법 및 그 그래핀, 그 그래핀을 이용한 전자 소자
KR101405463B1 (ko) * 2010-01-15 2014-06-27 그래핀스퀘어 주식회사 기체 및 수분 차단용 그래핀 보호막, 이의 형성 방법 및 그의 용도
KR20140135519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합성 방법
KR20150108692A (ko) * 2014-03-18 2015-09-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전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6892A (zh) 2013-02-13 2015-09-23 韩华泰科株式会社 制造石墨烯膜的方法和由此制造的石墨烯膜
CN103964422A (zh) * 2014-04-25 2014-08-06 无锡格菲电子薄膜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烯转移方法
CN104129783B (zh) * 2014-08-04 2017-02-15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低成本、洁净无损转移大面积石墨烯的方法
CN106477567A (zh) * 2016-10-12 2017-03-08 安徽贝意克设备技术有限公司 一种石墨烯卷对卷连续生长设备
CN108190873B (zh) * 2017-11-23 2020-04-14 珠海市扬程玻璃制品有限公司 制备石墨烯的设备、方法及其制得的石墨烯
CN108414435A (zh) * 2018-01-22 2018-08-17 南京理工大学 一种通过表面受限效应调控石墨烯表面摩擦系数的方法
CN109179394B (zh) * 2018-09-26 2021-03-23 长飞光纤光缆股份有限公司 一种石墨烯薄膜直接转移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670A (en) 1994-02-02 1994-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wet application of a dry film to a panel
US5718830A (en) * 1996-02-15 1998-02-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king microlenses
DE10100442A1 (de) * 2001-01-08 2002-07-11 Bayer Ag Transparente Kunststoff-Formmasse
ATE526437T1 (de) * 2005-06-28 2011-10-15 Univ Oklahoma Verfahren zur züchtung und entnahme von kohlenstoffnanoröhren
US8815346B2 (en) * 2006-10-13 2014-08-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pliant and nonplanar nanostructure films
DE102007016995A1 (de) 2007-04-11 2008-10-16 Beyer, André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r Nanoschicht
KR100923304B1 (ko) * 2007-10-29 2009-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펜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4623107B2 (ja) * 2008-02-21 2011-0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
WO2009129194A2 (en) * 2008-04-14 2009-10-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arge-area single- and few-layer graphene on arbitrary substrates
KR101462401B1 (ko) * 2008-06-12 2014-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펜 시트로부터 탄소화 촉매를 제거하는 방법, 탄소화촉매가 제거된 그라펜 시트를 소자에 전사하는 방법, 이에따른 그라펜 시트 및 소자
KR101501599B1 (ko) * 2008-10-27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라펜 시트로부터 탄소화 촉매를 제거하는 방법 및 그라펜시트의 전사 방법
US8927057B2 (en) * 2010-02-22 2015-01-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Graphene formation utilizing solid phase carbon sources
US20110314840A1 (en) * 2010-06-24 2011-12-29 Hamid-Reza Jahangiri-Famenini Various methods for industrial scale production of graphene and new devices/instruments to achieve the lat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463B1 (ko) * 2010-01-15 2014-06-27 그래핀스퀘어 주식회사 기체 및 수분 차단용 그래핀 보호막, 이의 형성 방법 및 그의 용도
KR20130139705A (ko) * 2012-06-13 2013-12-2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WO2014077503A1 (ko) * 2012-11-14 2014-05-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그래핀의 제조 방법 및 그 그래핀, 그 그래핀을 이용한 전자 소자
US10414657B2 (en) 2012-11-14 2019-09-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eparing graphene and said graphene, electronic device using said graphene
KR20140135519A (ko) * 2013-05-16 2014-11-2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합성 방법
KR20150108692A (ko) * 2014-03-18 2015-09-30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그래핀 전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34384A1 (en) 2013-05-30
WO2012020950A2 (en) 2012-02-16
CN103080004B (zh) 2016-04-06
US9136112B2 (en) 2015-09-15
CN103080004A (zh) 2013-05-01
KR101767921B1 (ko) 2017-08-14
WO2012020950A3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5185A (ko) 그래핀의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그래핀 제조 방법
Eres et al. Cooperative island growth of large-area single-crystal graphene on copper using chemical vapor deposition
KR101858642B1 (ko) 그래핀의 전사 방법
Ishigami et al. Crystal plane dependent growth of aligned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on sapphire
Gong et al. Rapid selective etching of PMMA residues from transferred graphene by carbon dioxide
Ji et al. Hydrogen-assisted epitaxial growth of monolayer tungsten disulfide and seamless grain stitching
US9782963B2 (en) Roll-to-roll transfer method of graphene, graphene roll produced by the method, and roll-to-roll transfer equipment for graphene
Yu et al. Cap formation engineering: from opened C60 to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KR101429518B1 (ko) 그래핀의 전사 장치 및 전사 방법
US10886501B2 (en) Graphene protective film serving as a gas and moisture barrier, method for forming same, and use thereof
Scardamaglia et al. Graphene-induced substrate decoupling and ideal doping of a self-assembled iron-phthalocyanine single layer
Zhou et al. Wafer scale synthesis of dense aligned arrays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Ding et al. Spatially controlled nucleation of single-crystal graphene on Cu assisted by stacked Ni
KR101236138B1 (ko) 마이크로파 및 ipl조사를 이용한 그래핀 복합필름 제조방법
KR101806917B1 (ko) 그래핀의 제조 방법
Entani et al. Interface properties of metal/graphene heterostructures studied by micro-raman spectroscopy
Moon et al. An eco‐friendly, CMOS‐compatible transfer process for large‐scale CVD‐graphene
Xu et al. Homogeneous surface oxidation and triangle patterning of monolayer MoS2 by hydrogen peroxide
Ahn et al. Area‐Selective Atomic Layer Deposition of MoS2 using Simultaneous Deposition and Etching Characteristics of MoCl5
KR101795637B1 (ko) 그래핀 필름 제조 방법
Park et al. Catalyst-free growth of readily detachable nanographene on alumina
KR101909368B1 (ko) 그래핀의 제조 방법
Neupane et al. Modulation of Opt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by Laterally Stretching DNAs on CVD‐Grown Monolayers of MoS2
KR101716187B1 (ko) 그래핀 전사 방법
KR101550301B1 (ko) 그래핀 필름과 캐리어 필름의 래미네이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래미네이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